KR900003620B1 - 뮤팅 기능을 갖는 전화기의 록크해제 장치 - Google Patents

뮤팅 기능을 갖는 전화기의 록크해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620B1
KR900003620B1 KR1019860700169A KR860700169A KR900003620B1 KR 900003620 B1 KR900003620 B1 KR 900003620B1 KR 1019860700169 A KR1019860700169 A KR 1019860700169A KR 860700169 A KR860700169 A KR 860700169A KR 900003620 B1 KR900003620 B1 KR 900003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set
button
lock release
muting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700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700325A (ko
Inventor
히사미쯔 다가끼
데쯔야 하나와
아끼히데 니시야마
유다까 다까시마
Original Assignee
후지쓰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도 다꾸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521448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30851A/ja
Priority claimed from JP59254362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131920A/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도 다꾸마 filed Critical 후지쓰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700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700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9Arrangements of transmitters, receivers, or complete sets to prevent eavesdropping, to attenuate local noise or to prevent undesired transmission; Mouthpiece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 H04M1/08Hooks; Cradles associated with switches operated by the weight of the receiver or hand-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뮤팅 기능을 갖는 전화기의 록크해제 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전화기에 의한 록크해제장치의 전개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에서 화살표 d의 방향으로부터 본 록크해제장치의 평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송수화기가 송수화기대상에 록크된 상태의 설명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송수화기가 송수화기대상에 록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 5 및 6 도는 뮤팅동작제어회로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 7 도는 종래의 전화기의 록크해제장치의 설명도.
제 8 도는 제 7 도의 송수화기가 송수화기대상에 록킹되는것을 설명하는 도면.
제 9 도는 제 7 도에서 화살표 a의 방향으로부터 본 록크해제장치의 평면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송수화기와 송수화기대로 구성되는 전화기에 관한것으로 특히, 자동차와 같은 이동체내에 탑재할시에 사용편리한 이동가능 또는 휴대가능 무선전화기의 뮤팅(muting)기능을 갖는 전화기의 록크해제(lock-releasing)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배경]
이러한 형의 전화기들은 자동차와 같은 이동체가 진동이나 충격을 받을때 송수화기가 송수화기대로부터 떨어지거나 진동잡음이 없도록 탑제되어야 한다. 이렇게 하기위해, 일반적으로 송수화기는 록크장치등으로서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형의 전화기의 취급은 송수화기를 송수화기대상에 쉽게 올려놓을 수 있고, 송수화기대로부더 송수화기를 쉽게 들어올릴 수 있으며, 또한 록킹장치이 구조가 부드럽게 작동될 수 있는 구조로 되는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송화부는 항상 음성을 취출하여 타방에 송신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따라서 타방에서 듣기를 원하지 않는 말을 주변에 있는 사람이 할때나 또는 일방에서 타방으로부터의 잡음을 제거하려고할때 송화부는 그러한 말이나 잡음을 차단시키도록(즉, 뮤팅시키도록)손바닥으로 덮는것이 보통이다. 특히 전화기를 자동차에 탑재할경우 그러한 뮤팅이 필요한 기타경우들이 있을것이다.
이러한 형의 대부분의 종래의 전화기는 송수화기의 수신부측 헤드가 송수화기대의 압입부의 바닥표면과 접촉상태가 되도록 송수화기를 보지하고 있으며 또한 송수화기대상에는 록킹돌기, 록크해제장치 및 록크해제보턴이 구비되어있다. 이러한 형의 전화기는 그의 송수화기가 소형경량으로 설계될 수 있는것이 장점이다. 그러나, 수신부측 헤드표면은 송수화기대의 압입부의 바닥표면과 접촉상태에 있기 때문에 송수화기는 안정한 방식으로 보지될 수 없어 결국 푸쉬보턴들을 작동시킬때 송수화기가 불안정하게 되기때문에 쉽게 작동시킬 수 없고, 또한 록크해제보턴이 송수화기 대상에 위치되어 있기때문에 송수화기를 송수화기 대상에서 쉽게 착탈할 수 없다.
앞에서 제안된 몇가지 전화기들에서는 록킹돌기, 록크해제장치 및 록크해제보턴이 송수화기 상에 모두 설비되어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형의 전화기들중 어떤것에서는 송수화기가 필연적으로 부피가 커지고 무거워 취급이 용이하지 않다.
종래의 전화기, 특히 자동차전화기로서 뮤팅동작을 시키는것은 차를 운전하면서 통화하는동안 단 한손만을 사용할 수 있기때문에 손바닥으로 송화기를 막는것이 어렵다. 따라서 일방적으로 부터의 음성을 뮤팅시킬 수 있는 음성뮤팅스위치를 제공하는것이 제안되어왔다.
그러나, 송수화기상의 록크해제장치에 무관하게 부착된 그러한 음성뮤팅스위치의 설비는 송수화기 자체에 또는 기타 다른 장소에 위치되든간에 자동차운전중 안전문제를 야기시키며, 또한 전화기에서 이용할 수 있는 제한된 공간의 관점에서 또다른 문제를 야기시킨다.
[발명의 내용]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경량이며 뮤팅기능을 갖고있는 송수화기를 갖는 전화기를 제공하고, 그내에 또한 송수화기를 송수화기대상에 쉽게 착탈시킬 수 있는 록킹 및 록크해제(비록킹)장치를 설비하여 송수화기가 송수화기대상에 안정되게 보지될 수 있으며, 비록킹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록크해제보턴이 뮤팅스위칭용 작동자로서 이용되므로서 그에 의해 뮤팅동작이 간단히 수행될 수 있는 그러한 전화기를 제공하여 종래의 단점들을 제거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목적은 일단에 송화부 또는 마이크로폰부 그리고 타단에 수화부 또는 스피커부를 갖고있는 송수화기, 대향단부에 송수화기를 지지하기위한 송수화기대, 송수화기대상에 송수화기를 안정되게 보지시키기 위해 송수화기와 송수화기대간에 제공된 록킹장치, 그리고 록크해제보턴을 갖는 록크해제 장치를 포함하되, 록크해제보턴은 송수화기상에 있고 또한 록크해제보턴의 동작과 상호연동되어 동작하는 뮤팅스위치는 또한 송수화기상에 있어 그에의해 일방에 의한 음성을 록크해제보턴에 의해 작동되는 뮤팅스위치에 의해 타방으로 전송되지 않게 할 수 있는 전화기를 제공하므로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큰 장점은 송수화기상에 제공된 록크해제보턴을 또한 뮤팅스위치의 접촉을 개방 및 폐쇄시키기위한 작동자로서 사용하는것 즉, 록크해제보턴이 작동될때 뮤팅접촉을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록크해제 및 뮤팅동작들을 항상 동시에 행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입각하여 두 동작물을 수행하는 공통 록크해제 보턴을 제공하였다.
[발명을 수행하기위한 양호한 실시예]
제 7 내지 9 도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종래의 자동차전화기의 록크해제장치를 설명한다.
제 7 내지 9 도는 일본미심사특허공보(공개)소 59-72261호에 기술된 전화기의 록크해제장치를 나타낸것이다. 제 7 도는 송수화기11이 송수화기대 12상에서 록크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제 8 도는 송수화기대12상에 제 7 도내의 송수화기11의 록킹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제 9 도는 제 7 도내의 화살표 a의 방향에서 본록킹해제장치30의 평면도이다(여기서, 록킹해제장치는 제 7 도의 상태로 부터 수평으로 시계회전방향으로 90도 회전된것으로 보임).
제 7 도에 보인 바와같이 송수화기11은 송수화기11내부에 설비된 추후 설명될 수화부 또는 스피커부 13 및 송화부 또는 마이크로폰부 14 및 록크해제장치 30으로 구성된다. 체결구멍 16은 수화부13의 내벽 13a내에 형성되며 인접벽 A(B)는 송수화기 11의 좌우외부 코너들을 각각 압입시켜 형성된다. 송수화기대 12는 수화부 13을 수신하기 위해 그내에 형성된 압입부 17과 송화부 14를 수신하기 위한 또다른 압입부 18을 갖고있다. 압입부 17의 내벽 17a 내측에 그리고 상기 체결구멍 16에 대향하여 스프링 20에 의해 외향으로 바이어스된 슬라이드 가능 록킹돌기가 설비되어있으며, 또한 압입부 17의 바닥벽 17b내에는 스프링 22에 의해 상향으로 바이어스된 후크 레버(hook lever) 21이 설비되어 있다. 또한, 후크스위치 23은 후크레버 21과 상호 체결되도록 배치되어있다. 또한, 압입부 18의 바닥벽 18a내에는 샤프트 25에 의해 지지되는 일단고 스프링 26에 의해 상향으로 항상 바이어스되도록 배치되어있는 자유단부를 갖고 있는 푸쉬엎(push-up)부재24가 설비되어있다.
송수화기 11이 송수화기대 12상에 체결될때, 록킹들기 19는 송수화기 11의 수화부 13이 제 8 도에 보인 바와같이 송수화기대 12의 압입부 17내로 밀려들어갈때 수화부 13의 내벽 13a에 의해(화살표 b의 방향으로)내향으로 서서히 밀려 들어간다. 체결구멍 16이 록킹돌기 19에 대향하는 위치에 도달할때 록킹돌기 19는 스프링 20의 힘을 받아 다시 자동으로(화살표 c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체결구멍16으로 들어가게되어 결국 제 7 도에 보인바와 같이 수화부 13과 맞물리게되어 송수화기 11을 록크시킨다. 다시말해, 도명들로 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송수화기 11은 인접벽들 A와 B의 외부 우측 및 좌측단부들 각각과 또한 송수화기대 12의 압입부 17의 상부우측 및 좌측 코너부분들 각각에 지지되어 수화부 13가 푸쉬엎부재 24에 의해 상향으로 밀어올려질때 인접벽들 A와 B는 받침대와 같은 록킹돌기 19로서 송수화기대 12의 상부우측 및 좌측코너 부분들상으로 각각 힘을 받아 그에의해 송수화기11이 보지되어 체결된다.
송수화기는 제 9 도에 보인 록크해제장치 30에 의해 비록크된다.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록크해제장치 30은 주요구성요소로서 록크해제 또는 비록크보턴 31, 록크해제 또는 비록킹레버 32, 그리고 스프링33으로 구성된다. 보턴 31의 외측단부는 송수화기 11 외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내측단부는 그것이 내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록킹해제 레버 32의(제 9 도의 평면을 향해 볼때 하부측에서) 후미단부의 일측단부의일측 정면에 대해 인접해있다. 록크해제 레버 32는 레버 32의 정면단부의 타측(보턴 31에 반대쪽)과 일체로 설비된 한쌍의 상하 베어링들 31a와 31b(제 7 도 참조)에 의해 수평으로 선회되고 또한 송수화기 11내에서 선회적으로 지지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록크해제 레버 32의 측면은 제 7 도에 보인 바와같이 변형된 U-형부로서 형성되며, 또한 그의 단부 32a는 록킹돌기 19를 위로 밀어주는 부재로서 반대로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그의 타단은 록크해제 레버 32의 측면을 항상 바이어스시키도록 록크해제보턴 31에 일반적으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그러므로, 해제상태에 있을때 보턴 31과 레버 32는 제 9 도에서 실선으로 각각 보인 바와같은 위치들로 각각 바이어스된다. 이 상태에서 레버 32의 단부 32a는 돌출하는 록킹돌기 19의 단부에 대향하여 제 9 도에서 쇄선으로 보인 바와같은 위치(록크된 상태)를 취한다. 레버 32의 단부 32a는 제 9 도에 보인 바와같이 볼록하게 되어있어 그의 정점 32b가 록킹돌기 19와 점접촉된다.
록크해제장치 30의 기능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제 9 도를 참조하면, 록크해제보턴 31이 스프링 33의 힘에 의해 점선 및 쇄선 31-1에 의해 보인 위치로 밀려들어갈때 록크해제레버 32는 보턴 31의 이동으로 상호 체결되기때문에 점선 및 쇄선 32-1로 보인 위치로 선회된다. 레버 32가 선회될때 그의 단부 32-a도 또한 제 9 도에서 점선 및 쇄선 32a-1로 보인 위치로 선회되어 단부 32a의 정점 32b는 록킹돌기 19상에서 슬라이드하는동안 선회되어 결국 록킹돌기 19를 밀어넣는다. 록킹 돌기 19가 제 7 도에 보인 수화부 13의 내벽 13a내의 체결구멍 16으로부터 이탈하는 동시에 송수화기 11은 록크가 해제되고 또한 수화부 13은 후크레버 21에 의해 위로 밀리게 되므로 그에 의해 송수화기 11은 송수화기대 12로 부터 해체된다.
상술한 구성의 종래의 전화기에서, 비록킹동작이 수행될때 레버 32의 단부 32a의 정점 32b는 록킹돌기19상에서 슬라이딩하는 동안 선회하여, 결국 록킹돌기 19를 밀어 수화기는 비록크된다. 따라서, 밀어넣는 힘은 록킹돌기 19가 슬라이딩하고 있는동안 록킹돌기 19의 이동방향에 대해 비스듬한 방향으로부터 록킹돌기 19상에 작용한다. 그러므로, 비록킹 또는 록크해제동작은 항상 부드럽지 못하다. 더우기, 록크해제 레버32가 자유상태에 있을때 그의 단부 32a의 외부단부면은 수화부의 내벽 13a의 외부면에 대해 경사진 위치에 있어 전화기의 외양을 좋지않게하며 또한 경사진 내벽 13a에 의해 생긴 유격을 통해 먼지나 기타 외부물질이 쉽게 들어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록크해제장치는 종래의 상술한 단점과 결점물을 제거한다.
제 1 내지 6 도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전화기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본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장점들은 다음 설명으로부더 더욱 명확히 이해될 수 있다.
제 1 도는 송수화기 41과 송수화기대 42의 전개도를 나타내는 본 발명에 의한 전화기의 록크해제장치의 사시도이다. 송수화기 41의 상부덮개 43를 송수화기 41의 주몸체 44로 부터 분리시켜 나타낸 도면이다. 제 2 도는 제 1 도에서 화살표 d의 방향에서 본 도면으로서 송수화기 41의 록크해제장치 60의 평면도이다(제 2 도에서, 록크해제장치는 제 1 도에 보인 상태로 부터 수평으로 시계회전방향으로 약 45도 회전시킨 상태로 나타냄). 제 3 도는 송수화기대 42에 제 1 도의 송수화기 41을 록킹시키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제 1 도에서, 화살표 e의 방향에서 본것임). 제 4 도는 송수화기대 42상에 록크된 제 3 도의 송수화기 41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후 제 1 도의 평면을 향해볼때 좌측은 전화기의 "정면"으로 칭하고, 우측은 "후면"으로 칭한다.
제 1 도로 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송수화기 41은 상부덮개 43과 주몸체 44를 포함하며, 상부덮개 43은 조몸체 44상에 고정되며, 또한 수평 주케이스 41a와 경사진 케이스 41b로 구성된다. 상부덮개 43은 그내에 다이알 보턴들(다이알 스위치들) 46, 전화번호 표시장치 75등과 같은 전화기에 필요한 부품들로 조립되어있다. 주몸체 44는 그의 일단에 즉 본 실시예의 경사진 케이스부 41b의 단부에 제공된 송화부 또는 마이크로폰부 47을 타단에 즉, 수평 주케이스부 41a의 단부에 수화부 또는 스피커부 48을, 그리고 송화부와 수화부들간의 중간부분에 록크해제장치 60을 갖고있다. 체결구멍 49는 송화부 47의 내벽 47a내에 형성되고 맞물림 압입부 50은 수화부 48(제 3 도 참조)의 내벽에 형성되어있다. 송수화기대 42는 그의 한 경사진벽 42a에 즉, 후면측의 경사진 표면에 스프링 54의 힘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세로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록킹돌기 51(제 3 도 참조)과 록킹돌기 51아래 근처에, 스프링의 힘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수직으로 돌출한 수직지지보턴 52(제 3 도 참조)를 그리고 다른 경사진 벽 42b에 즉, 수화부 48의 내벽 48a에 대향하는 정면의 경사진 표면에 수화부 48내에 제공된 맞물림 압임부 50에서 맞물림을 위한 맞물림 돌출부 53(제 3 도 참조)을 갖고있다.
제 1 및 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록크해제장치 60은 록크해제보턴 61, 선회받침대로서 긴구멍 62a를 갖는 벨크랭크형 선회링크부재 62, 변형 U형부를 갖는 록크해제 링크부재 63 그리고 압축스프링들 64 및 65로 구성된다. 록크해제보턴 61은 송수화기 주몸체 44의 측벽 44a로 부터 외향으로 돌출된 그의 외부단부 61a와 주몸체 44의 기장에 수직한 방향으로 즉, 주몸체 44의 바닥벽 44b상에 고정된 안내부재들 66a, 66b 및66c에 의해 안내된 바와같이 화살표 f 또는 g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그의 내부중간부 61b를 갖고있다. 안내부재 66c는 록크해제 보턴 61의 바닥면내에 형성된 안내요홈 61c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이 주목된다. 장방형 긴구멍 61d는 보턴 61의 내부중간부 61b내에 형성되며, 여기서 압축스프링 64는 선부하를 위해 제공된다. 이 압축스프링 64는 향상 외향으로(화살표 g의 방향으로)록크 해제 보턴61을 밀어준다. 즉, 압축 또는 코일스프링 64는 주몸체 44의 바닥벽 44b에 고성된 지지부제 67a상에 놓이는 일단과 록크해제 보턴 61내의 긴구멍 61d의 내부 단부면을 외향으로(화살표 g방향으로)밀도록 배치된 타단을 갖고있다. 선회링크 부재 62는 주몸체 44의 바닥벽상에 고정된 고정샤프트 68상에서 선회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는 긴구멍 62a를 갖고있다. 록크해제 보턴 61의 내부단부 61e는 상호 선회적 핀 69a에 의해 보턴 61의 내부단부 61e에 결합되며, 링크부재 62의 타단 62c는 핀 69b에 의해 그에 선회적으로 결합된 록크해제 링크부재 63의 일단 63a를 갖고 있다. 록크해제 링크부재 63은 제 3 도에 보인바와같이 변형 U형부(측면외관)을 갖고있으며, 또한 그의 상부 긴부분 63b는 주몸체 44의 세로방향으로 즉, 송수화기 주몸체 44의 바닥벽상에 고정된 안내부재들 70a 및 70b에 의해 안내된 바와같이 화살표 h 또는 i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부 긴부분 63b는 그내에 장방형의 긴 구멍 63c가 형성 관통되어있어 그내에 압축 스프링 65가 선부하를 위해 배치되어 주몸체 44의 세로방향으로 즉, 화살표 i의 방향으로 록크해제링크부재 63을 항상 바이어스시켜 준다. 압축 또는 코일스프링 65는 주몸체 44의 바닥벽 44b에 고정된 지지부재 67b상에 놓여있는 일단과 긴구멍 63c의 내부단면을 화살표 i의 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키도록 배치되는 타단을 갖고있다. 그러므로 상술한 코일 스프링 64와 이 코일스프링 65는 록크해제 보턴 61을 (화살표 g의 방향으로) 그리고 록크해제 링크부재 63을 동일방향으로(화살표 i의 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키도록 협동한다. 록크해제 링크부재 63은 제 3 도에 보인 바와같이 체결 구멍 49의 하부벽 49a상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는 타단 63d 즉, 하부 짧은부분과, 제 4 도에 보인 바와같이 송수화기 41이 송수화기 대상에 록크될때 록킹돌기 51의 단부면에 거의 평행하게 대향하는 동시에 거의 접촉상태가 되게 배치되는 타단 63d의 단부변 63e를 갗고있다. 단부 63d의 단부면 63e는 제 3 도에 보인 바와같이 록크해제 링크부재 63이 자유상태에있을때 체결구멍 49의 하부벽 단면, 49b로 부터 내향으로 약간 후퇴한 위치에 배치된다. 제 2 도에서 참조번호들 73과 74는 각각 보유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2 도에 보인 바와같이 록크해제보턴 6l에 인접하여 송화부 또는 마이크로폰(도시안됨)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뮤팅스위치 71이 배성되어있다. 뮤팅스위치 71은 스위칭레버 71a가 실선으로 보인 위치에 있을때 타방과 통화하기위한 마이크로폰을 온시키고 또한 레버 71a가 쇄선으로 보인 위치 71b에 있을때 일방에서 음성 또는 잡음을 방지하도록 마이크로폰을 오프시키는 뮤팅접촉부 91(제 5 및 6 도에 도시된 바와같음)을 갖는 마이크로 스위치와 같은 작은 스냅스위치일 수 있다. 선택레버 7la는 레버 71a 근처에서 록크해제보턴 61의 세로측과 일체로 제공된 작동자(경사짐) 61f에 의해 작동된다. 즉, 보턴 61을 누를때 레버 71a는 쇄선 71b로 보인 위치로 작동자 61f에 의해 이동되고 또한 보턴 61을(제 2 도에서와 같이)초기위치로 복귀시킬때 레버 71a는 실선으로 보인 위치로 자동으로 복귀된다.
공지된 바와같이, 송화부 47에 의해 취출된 음성신호는 무선통신 장비내에 내포되어 보통 전화기내의 송화부에 연결된 음성전송차단 회로 91을 통해 통과하여 타방 또는 수신측에 전자파로 송출된 변조된 신호를 제공하는 변조기(도시안됨)로 통과한다. 그에 의해 통화가 쌍방간에 이루어 질 수 있다.
다른한편, 다이알 스위치들 46을 원하는 타방을 호출하도록 동작시킬때 눌른 스위치들에 대응하는 온오프정보는 다이알 신호 발생회로 93으로부터 송출된다. 다이알 신호 발생회로 93으로부터의 신호는 호출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음조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다이알신호 수신회로 95에 의해 부호화되며 또한 음성전송 차단회로 97은 동시에 다이알신호 수신회로 95로 스위치된다. 따라서 호출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음조신호는 변조기에 공급되어 전송을 위한 변조신호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 다이알스위치들 46은 제 1 도에 보인 마이크로 스위치(상표명) 71의 뮤팅 접촉부(제 5 도 참조)에 연결된다. 통화하는 동안 록크해제보턴 61은 도통되지않는다. 즉, 이와관련하여 뮤팅 접촉부 91은 예를들어 오프되어 다이알 스위치들 46이 작용하지 못하여 송화부 또는 마이크로폰 47에 의해 취출된 음선신호는 음성전송차단회로 97을 통해 변조기로 통과된다. 만일 록크해제보턴 61 송화음성을 뮤트시키도록 통화중눌려질경우, 뮤팅접촉부 91은 도통되고 또한 다이알스위치들 46은 예정된 온/오프신호가 다이알신호 발생회로 34로 부터 송출되도록 동작한다. 다이알신호 수신회로 93은 음성전송 차단회로 97을 제어하도록 온/오프신호를 부호화한다. 따라서, 송화부 47은 번조기로 부터 단속되어 결국 송화부 47로 부터 입력되는 음성이 뮤트될 수 있다.
그밖에, 뮤팅접속부 91은 전화기를 제어하도록 제 6 도에 보인 바와같이 송화부 47과 음성전송 차단회로97간에 연결시켜주는 라인에 직접 제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전송음성 뮤팅장치로서, 송화음성은 통화중 필요할때 록크해제보턴 61을 눌러줌으로써 쉽게 뮤트될 수 있다. 록크해제보턴 61은 송수화기를 전술한 바와같이 통화하기 위해 송수화기대로부터 들어올릴때 동작되어 통화중에는 필요가 없다. 통화하는 동안 주몸체 44는 보통 록크해제보턴 61 근처의 일부분에 유지되도록 보턴을 록크해제보턴을 바로 동작시키도록 송수화기상에 다시 유지시킬 필요없이쉽게 동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요지는 뮤팅스위치가 어떻게 작동되고, 뮤팅스위치가 온된후 뮤팅이 어떻게 행해지지 않는가에 있다. 후자는 각종 공지방법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뮤팅회로 자체에 대해서는 여기서 설명하지 않는다.
제 3 도에 보인 바와같이, 전화기의 온/오프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소위 후크스위치 72는 수직으로 지지된 보턴 52옆에 제공된다. 후크스위치 72는 스위칭 레버 72a가 제 3 도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때 즉, 그의 수직축에 대해 경사져 있는 위치에 있을때 온되고, 또한 스위칭 레버 72a가 제 4 도에 보인 위치에 있을때 즉,수직축과 평행한 위치에 있을때 오프된다. 후크스위치 72는 스위치에 인접하여 수직으로 지지된 보턴 52와 일체로 제공된 작동자 52a에 의해 온된다. 다시말하여, 제 3 도에 보인 바와같이 송수화기 41이 송수화기대 42로 부터 제거될때 작동자 52a는 수직으로 지지된 보턴 52와 상호 연동되기 때문에 상승되어 결국 스위치레버 72a는 도시된 바와같이 경사진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되어 그에의해 후크스위치 72가 온된다. 송수화기 41이 제 4 도에 보인 바와같이 송수화기대 42상에 놓일때 작동자 52a는 보턴 52와 연동되기 때문에 아래로 이동되어 그에의해 스위칭데버 72a는 도시된 바와같이 수직위치로 이동되어 후크스위치 72는 오프된다.
송수화기 41을 송수화기대 42에 록크시키기 위해 송수화기 41내의 맞물림 압입부 50을 우선 화살표 j로 지시된 바와같이 송수화기대 42의 맞물림 돌출부 53상에 끼운다음 경사진 케이스 41b를 송수화기대 42의 후면에 경사직 벽 42a상으로 압축시켜주면 결국 록킹돌기 51과 보턴 52는 송화부에 내벽 47a을 따라 송수화기대 42속으로 서서히 밀려들어간다. 체결구멍 49가 록킹돌기 51의 대향위치에 도달할때 후자는 스프링 54의 힘을 받아 체결구멍 49속으로 자동으로 들어가 제 4 도에 보인 바와같이 송수화기대 42에 송수화기 41을 록크시킨다. 이때에 수직으로 지지된 보턴 52는 스프링 55의 힘을 받아 록킹돌기 51상으로 송화부의 체결구멍 49의 하부벽 49a를 밀어주고 또한 송화부의 내벽 47a가 경사져 있기 때문에 송수화기 41을 후방(화살표 k의 방향으로)으로 밀어준다. 따라서, 맞물림 돌출부 53은 그들이 테이퍼(taper)로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4 도에 보인 바와같이 맞물림 압입부 50속으로 안정되게 꼭 끼워지므로 심한 진동이나 충격을 받더라도 아무런 진동잡음도 발생시키지 않는다.
송수화기 41을 비록킹시키기 위한 제 2 도에 보인 록크해제장치 60의 기능을 이하 설명한다. 보턴 61을 제 2 도에 보인 바와같이 코일 또는 압축스프링 64의 힘에 저항하여(화살표 f방향으로) 눌러줄때 보턴 61의 압축과 연동하기 때문에 록크해제 링크부재 63은 벨크랭크형 선회링크부재 62에 의해 화살표 h의 방향으로 선형으로 이동되므로, 결국 록크해제 링크부재 63의 타단 63d는 제 3 도에서 점선으로 보인 위치로 이동되어 록킹돌기 51을 밀어서 송수화기 41을 비록킹시켜 송화부 47을 상승시키도록 수직으로 지지된 보턴 52가 송화부 47을 상승시켜 주게된다. 따라서, 송수화기 41은 송수화기대 42로 부터 해제된다.
록크해제 링크부재 63이 록킹돌기 51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선형으로 이동되기때문에 록크해제장치 60은 항상 부들럽게 동작할 수 있다.
앞에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록킹돌기에 인접하여 설비된 수직으로 지지된 보턴을 갖는 록크해제장치를 제공하여 상호 긴밀한 테이퍼 맞춤이 될 수 있도록 돌출부와 압입부가 맞물림으로서 그에의해 송수화기는 송수화기대에 간단히 그리고 확실하게 록크될 수 있으며, 또한 록크해제 링크부재는 록킹돌기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선형으로 이동하므로 록크해제 또는 비록킹이 항상 부드립케 될 수 있어 송수화기 록킹의 신뢰성과 송수화기 동작성에 대한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고 또한 록크해제 레버의 타단 63d의 단부면 63e가 록킹돌기의 단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기때문에 송수화기는 양호한 의양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음성뮤팅은 록크해제보턴을 동작시킴으로서 온될 수 있도록 뮤팅스위치를 배열함으로서 통화중 한손으로 쉽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보턴과 같은 뮤팅작동자가 필요없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전화기를 소형 경량으로 간단하게 설계할 수 있다.
통화중 뮤팅동작은 아무런 안전문제를 야기시키지 않으며, 또한 록크해제보턴을 록크해제용과 뮤팅접촉의 도통용으로 겸용될 수 있어, 송수화기의 공간제한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고있다.
[산업응용성]
본 발명에 의한 록크해제장치는 전화기에 록크해제와 뮤팅기능에 공통으로 이용할 수 있어 자동차 전화기에 아주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7)

  1. 일단에 송화부(47), 타단에 수화부(48)를 갖는 송수화기(41)와, 그의 대향 단부들에 상기 송수화기를 지지하기 위한 송수화기대(42)를 갖는 전화기에서, 상기 송수화기와 송수화기대간에는 상기 송수화기대상에 상기 송수화기를 안정되게 보유시키는 록킹장치와 록크해제보턴(61)을 갖는 록크해제장치(60)가 설비되어있으며, 상기 송수화기(41)에는 상기 록크해제보턴이 설비되어있고, 또한 상기 록크해제보턴의 동작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뮤팅스위치(71)가 설비되어있고, 그에 의해 일방측의 음성이 록크해제보턴에 의해 작동되는뮤팅스위치로서 타방으로 전송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인 뮤팅기능을 갖는 전화기의 록크해제장치.
  2. 제 1 항에서, 상기 뮤팅스위치(71)는 뮤팅스위치의 온/오프동작을 제어하도록 작동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록크해제보턴(61)은 상기 작동부재를 온시키도록 그위에 형성되는 작동자를 갖고있는 것이 특징인 뮤팅기능을 갖는 전화기의 록크해제장치.
  3. 제 1 항에서, 상기 송수화기(41)의 외부케이스(43)는 주케이스부(41a)와 주케이스부로 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경사진 케이스부(41b)로 구성되며, 상기 송수화기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송수화기대의 앞쪽에는 송수화기측의 돌출부 및 압입부에 상대하여 맞춰지는 압입부(50) 및 돌출부(53)로 구성되는 맞물림 지지체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인 뮤팅기능을 갖는 전화기의 록크해제장치.
  4. 제 1 항에서, 상기 록킹장치는 상기 경사진 케이스부에 대응하는 송수화기대의 경사진 표면상에 제공되어 스프링(54)의 힘을 받아 수평으로 이동되는 록킹돌기(51)와 상기 록킹돌기가 꼭 맞춰지는 상기 경사진 케이스부(41b)의 내벽(47a)내에 형성된 체결구멍(49)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인 뮤팅기능을 갖는 전화기의 록크해제장치.
  5. 제 4 항에서, 상기 록크해제장치는 상기 주케이스부(41a)의 측벽을 관통하는 상기 록크해제보턴(61), 상기 고정샤프트(68) 주위에서 선회될 수 있도록 긴 구멍(62a)내에 꼭 맞춰지는 고정샤프트(68)를 갖고 있으며, 또한 상기 록크해제 보턴의 내부단부와 선회적으로 결합되는 일단을 갖는 선회링크부재(62), 그리고 상기 록킹돌기(51)의 이동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이동될 수 있는 상기 선회링크부재의 타단과 선회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록크해제보턴의 압입부와 연동함으로서 상기 록킹돌기를 밀어주도록 된 록크해제 링크부재(63)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뮤팅기능을 갖는 전화기의 록크해제장치.
  6. 제 1 항에서, 상기 경사진 케이스부에 대응하는 송수화기대의 경사진면상에 제공된 수직으로 지지되는 보턴(52)에 의해 형성된 탄성후미측 지지체가 송수화기대의 후미측에 제공되어 있어 스프링의 힘으로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뮤팅기능을 갖는 전화기의 록크해제장치.
  7. 제 6 항에서, 상기 송수화기대는 전화통화 할 수 있는 후크스위치(72)를 더 갖고 있으며, 상기 수직으로 지지된 보턴(52)상에는 보턴의 동작과 연동될때 상기 후크스위치를 온/오프시키는 작동자(52a)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인 뮤팅기능을 갖는 전화기의 록크해제장치.
    초록
    송수화기(41)를 수화기대(42)에 움직이지 않게케 고정시킬 수 있는 록킹기구용 록크해제 보턴(61)을 갖고 있으며, 이 보턴은 또한 뮤팅스위치(71)를 작동시킬 수도 있는 전화기에 사용되는 록크해제장치.
KR1019860700169A 1984-07-24 1985-07-23 뮤팅 기능을 갖는 전화기의 록크해제 장치 KR9000036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152144 1984-07-24
JP15214484A JPS6130851A (ja) 1984-07-24 1984-07-24 電話機のロツク解除装置
JP84-152144 1984-07-24
JP59254362A JPS61131920A (ja) 1984-11-30 1984-11-30 自動車電話における送信音声ミユ−ト装置
JP84-254362 1984-11-30
PCT/JP1985/000419 WO1986001059A1 (en) 1984-07-24 1985-07-23 Device for unlocking a telephone provided with a mute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700325A KR860700325A (ko) 1986-08-01
KR900003620B1 true KR900003620B1 (ko) 1990-05-26

Family

ID=26481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700169A KR900003620B1 (ko) 1984-07-24 1985-07-23 뮤팅 기능을 갖는 전화기의 록크해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700383A (ko)
KR (1) KR900003620B1 (ko)
WO (1) WO19860010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3281A (en) * 1984-08-27 1988-02-02 Andreas Peiker Automobile telephone
JPS6251342A (ja) * 1985-08-30 1987-03-06 Toshiba Corp 電話機
US4907265A (en) * 1985-08-30 1990-03-06 Kabushiki Kaisha Toshiba Telephone set with a mechanism for preventing unwanted displacements
GB2241132B (en) * 1990-02-20 1994-02-09 Technophone Ltd Mobile telephone
US5301224A (en) * 1990-02-20 1994-04-05 Nokia Mobile Phones (U.K.) Limited Mobile telephone with lateral loudspeaker
FI85072C (fi) * 1990-04-12 1992-02-25 Nokia Mobile Phones Ltd Kopplingsanordning.
FI51U1 (fi) * 1992-01-21 1992-03-24 High Set Tecno Oy Personlyftare
US5912948A (en) * 1996-12-10 1999-06-15 Vertizon Corporation Automatic scree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with telephone answering devices
US6246762B1 (en) 1997-09-30 2001-06-12 Lucent Technologies, Inc. Spring biased microphone sub-assemblies
US6212275B1 (en) * 1998-06-30 2001-04-03 Lucent Technologies, Inc. Telephone with automatic pause responsive, noise reduction muting and method
CN103095868B (zh) * 2011-10-31 2017-07-07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电话装置
TWI596957B (zh) * 2013-02-18 2017-08-21 國立清華大學 電容式麥克風
TWI536852B (zh) 2013-02-18 2016-06-01 國立清華大學 電容式麥克風的製作方法
US9853673B2 (en) 2015-02-23 2017-12-2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radle device including a locker and a push up member and cradle set
US9975638B2 (en) 2015-03-26 2018-05-2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radle device, cradle set, and termina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30035A (en) * 1930-07-11 1931-11-03 Louis J Loeffler Telephone hand set
BE434077A (ko) * 1938-05-18
US3396244A (en) * 1964-12-01 1968-08-06 Bell Telephone Labor Inc Handset mounted alternate action switchhook and associated mode indicator means
US4117276A (en) * 1977-05-23 1978-09-26 Motorola, Inc. Handset locking and release mechanism
US4476354A (en) * 1981-08-13 1984-10-09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Telephone device
JPS5972261A (ja) * 1982-10-18 1984-04-24 Fujitsu Ltd 電話機等における送受話器の保持装置
JPS5972062U (ja) * 1982-11-02 1984-05-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話機
US4609790A (en) * 1984-09-27 1986-09-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ocking apparatus for tele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700383A (en) 1987-10-13
WO1986001059A1 (en) 1986-02-13
KR860700325A (ko) 198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3620B1 (ko) 뮤팅 기능을 갖는 전화기의 록크해제 장치
US6073027A (en) Portable radiotelephone with sliding cover and automatic antenna extension
JPH0824325B2 (ja) 携帯電話機
JPS59135960A (ja) 電話機等における折りたたみ型送受話器のフツクスイツチ切替装置
GB2384389A (en) Sliding cover having openings aligned with microphone in mobile phone housing
KR100780164B1 (ko) 휴대 전화 및 음성 저장 겸용 장치 및 그 사용 방법
WO1996017463A1 (en) Portable telephone with an asymmetric hinged housing configuration
JP2000270067A (ja) 携帯電話機
US6223060B1 (en) Voice message recorder and limited range transmitter for use with telephones
JP2000295337A (ja) ケースに連結されたフラップを有する携帯電話装置
JPH037303B2 (ko)
EP1199870A1 (en) Mobile telephone recording system and method
JP2572995B2 (ja) 電話装置
JP2001502144A (ja) 無線受信機
JPH0338149A (ja) 伸縮自在なハンドセット装置
JPH0238535Y2 (ko)
KR200205527Y1 (ko) 휴대용 전화기
JP3046998U (ja) 携帯電話
JP2002125019A (ja) 携帯型電話機
KR10107577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원격 조종기 및 그를 이용한 단말 동작제어 방법
JPH0212665Y2 (ko)
JP2000083091A (ja) ハンズフリー装置
US4977299A (en) Double action switch
JP3067625B2 (ja) 双方向音声端末機
JPS613373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