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527Y1 - 데이타 송수신 집적회로용 디엠에이회로 - Google Patents

데이타 송수신 집적회로용 디엠에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527Y1
KR900003527Y1 KR2019870015033U KR870015033U KR900003527Y1 KR 900003527 Y1 KR900003527 Y1 KR 900003527Y1 KR 2019870015033 U KR2019870015033 U KR 2019870015033U KR 870015033 U KR870015033 U KR 870015033U KR 900003527 Y1 KR900003527 Y1 KR 9000035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output
potential signal
data transmiss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50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7855U (ko
Inventor
주현오
민승기
Original Assignee
금성통신 주식회사
임종염 · 하인츠 디러 케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통신 주식회사, 임종염 · 하인츠 디러 케루트 filed Critical 금성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150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3527Y1/ko
Publication of KR8900078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8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5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5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20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 G06F13/28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using burst mode transfer, e.g. direct memory access DMA, cycle ste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데이타 송수신 집적회로용 디엠에이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데이터 송수신 집적회로용 디엠에이(DMA) 회로도.
제2도는 제1도의 각부 출력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앙처리장치 2 : 데이터송수신집적회로
3 : 메모리 4 : 앤드 게이트
5 : 플립플롭 6 : 레지스터
7, 8 : 인버터 9, 10 : 낸드게이트
본 고안은 데이터송수신집적회로(WD2511IC)에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디엠에이(Direct Memory Access)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엠에이회로를 간단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게한 데이터 송수신 집적회로용 디엠에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송수신 집적회로로서는 미국 웨스턴 디지털 코포레이션(Western digital corporation)사의 제품인 WD2511IC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 데이터송수신집적회로(WD2511IC)에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디엠에이회로는 많은 갯수의 플립플롭 및 게이트들로 구성되어 그의 구조가 복잡하므로 회로설계가 어렵고 고장발생율이 크며, 원가가 상승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요 부품수가 적고 회로설계가 용이한 동시에 고장발생율이 적은 간단한 구조의 디엠에이회로를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데이터 송수신 집적회로용 디엠에이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1)의 메모리요구단자() 및 읽기제어단자(), 쓰기제어단자(), 데이터단자(D0-D7), 어드레스단자(A0-A15)가 메모리(3)의 출력인에이블단자(OE) 및 읽기제어단자(), 쓰기제어단자(), 데이터단자(D0-D7), 어드레스단자(A0-A15)에 각각 연결되고, 데이터송수신집적회로(2)의 데이터단자(D0-D7) 및 어드레스단자(A0-A15)가 상기 메모리(3)의 데이터단자(D0-D7) 및 어드레스단자(A0-A15)에 접속된 회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송수신집적회로(2)의 데이터 입력요구단자() 및 데이터출력요구단자()를 앤드게이트(4)의 입력단자와 플립플롭(5)의 프리세트단자() 및 클리어단자()에 각기 공통접속하여 그 앤드게이트(4)의 출력단자를 상기 중앙처리장치(1)의 버스요구단자()에 접속하고 플립플롭(5)의 출력단자(Q),()를 버퍼(11), (12)를 통하여 상기 메모리(3)의 쓰기제어단자() 및 읽기제어단자()에 접속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1)의 버스인지단자()를 레지스터(6)의 입력단자(D0) 및 버퍼(13)의 제어단자에 접속함과 아울러 인버터(7)를 통하여 낸드게이트(9)의 입력 단자에 접속하고, 그 레지스터(6)의 출력단자(Q2)를 인버터(8)를 통하여 낸드게이트(10)의 입력단자에 접속함과 아울러 출력단자(Q4)를 낸드게이트(9), (10)의 다른입력단자에 공통 접속하며, 그 낸드게이트(9)의 출력단자를 상기 데이터송수신 집적회로(2)의 데이터인지단자() 및 앤드게이트(4)의 다른 입력단자에 접속하고 낸드게이트(10)의 출력단자를 상기 버퍼(11), (12)의 제어단자에 접속함과 아울러 버퍼(13)를 통해 상기 메모리(3)의 출력인에이블단자(OE)에 접속하여 구성한 것으로, 도면의 설명중 미설명부호 CP는 클럭 펄스이고 Vcc는 전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Vcc)이 인가되고, 중앙처리장치(1)의 버스요구단자()에 버스요구신호인 저전위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그의 버스인지단자()에 고전위 신호가 출력된다.
이 고전위 신호는 버퍼(13)의 제어단자에 인가되므로 그버퍼(13)는 차단상태로 되고, 또 상기 고전위 신호는 레지스터(6)의 입력단자(D0)에 인가되므로 그의 클럭단자(CLK)에 클럭신호(CP)가 인가되어도 그의 출력단자(Q2),(Q4)에는 계속 고전위 신호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레지스터(6)의 출력단자(Q2)에서 출력된 고전위 신호는 인버터(8)에서 저전위 신호로 반전되어 낸드게이트(10)의 입력단자에 인가되므로 그의 출력단자에 고전위 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버퍼(11), (12)도 차단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중앙처리장치(1)의 버스인지단자()에서 출력된 고전위 신호는 인버터(7)에서 저전위 신호로 반전되어 낸드게이트(9)의 입력단자에 인가되므로 그의 출력단자에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고, 이 고전위 신호는 앤드게이트(4)의 입력단자 및 데이터송수신집적회로(2)의 데이터인지단자()에 인가된다.
따라서, 데이터송수신집적회로(2)의 데이터출력요구단자() 및 데이터입력요구단자()에서 모두 고전위 신호가 출력된 상태에서는 앤드게이트(4)의 출력단자에는 계속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어 상기 설명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데이터송수신집적회로(2)의 데이터출력요구단자()에 제2도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출력 요구신호인 저전위 신호가 출력되면 앤드게이트(4)의 출력단자에 제2도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전위 신호가 출력되어 중앙처리장치(1)의 버스요구단자()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중앙처리장치(1)에서 그를 감지한 일정시간후에 그의 버스인지단자()에 저전위 신호가 출력되고, 이 저전위 신호는 버퍼(13)의 제어단자에 인가되므로 그 버퍼(13)는 도통상태로 된다.
또 그 저전위 신호는 인버터(7)에서 고전위 신호를 반전되어 낸드게이트(9)의 입력단자에 인가되고 그 낸드게이트(9)의 다른 입력단자에는 래지스터(6)의 출력단자(Q4)에서 출력되는 고전위 신호가 인가되고 있으므로 그의 출력단자에 저전위 신호가 출력되고, 이 저전위 신호는 데이터송수신집적회로(2)의 데이터인지단자()에 인가되므로 그 데이터송수신집적회로(2)는 메모리(3)를 직접 엑세스할 수 있는 주기임을 감지하게 되고, 그의 데이터출력요구단자()에 제2도의 (b)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전위 신호가 출력된다. 그러나 이때 낸드게이트(9)에서 출력된 저전위 신호에 의해 앤드게이트(4)의 출력단자에는 계속 저전위 신호가 출력된다.
한편, 상기 중앙처리장치(1)의 버스인지단자()에서 출력된 저전위 신호는 래지스터(6)의 입력단자(D0)에 인가되므로 그 시점으로부터 클럭신호(CP)가 3번째 인가될 때 그의 출력단자(Q2)에 제2도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전위 신호가 출력되고 클럭신호(CP)가 5번째 인가될 때 그의 출력단자(Q4)에 제2도의 (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전위 신호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래지스터(6)의 출력단자(Q2)에서 출력된 저전위신호는 인버터(8)에서 고전위 신호로 반전되어 낸드게이트(10)의 입력단자에 인가되고, 또 이때 그 낸드게이트(10)의 다른 입력단자에는 래지스터(6)의 출력단자(Q4)에서 출력된 고전위 신호가 인가되고 있으므로 그의 출력단자에서 저전위 신호가 출력되고, 이 저전위 신호는 버퍼(11), (12)의 제어단자에 인가되므로 그 버퍼(11), (12)는 도통상태로 되고, 또그 저전위 신호는 버퍼(13)를 통하여 메모리 요구신호()로서 메모리(3)의 출력인에이블단자(OE)에 인가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데이터송수신집적회로(2)의 데이터출력요구단자()에서 출력된 저전위 신호가 플립플롭(5)의 클리어단자()에 인가되어 그 플립플롬(5)을 클리어시키므로 그의 출력단자()에는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고 그의 출력단자(Q)에는 저전위 신호가 출력된다.
이에 따라, 플립플롭(5)의 출력단자(Q)에서 출력된 저전위신호는 상기와 같이 버퍼(11), (12)가 도통상태로 될 때 버퍼(11)를 통하여 메모리(3)의 쓰기제어단자()에 제2도의 (h)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가되므로 그 메모리(3)는 쓰기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때 데이터송수신집적회로(2)의 어드레스단자(A0-A15)에서 어드레스신호를 출력하여 메모리(3)의 어드레스를 지정한 후 그 데이터송수신집적회로(2)의 데이터단자(D0-D7)에서 데이터를 출력하여 메모리(3)에 기록하게 된다.
이후, 상기에서와 같이 레지스터(6)의 출력단자(Q4)에서 저전위 신호가 출력될 때 낸드게이트(10)에서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어 버퍼(11), (12)를 차단상태로 하고, 또 낸드게이트(9)에서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므로 앤드게이트(4)에서 제2도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어 중앙처리장치(1)의 버스요구단자()에 인가된다. 따라서 이를 감지한 중앙처리장치(1)에서 그의 버스인지단자()에 제2도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전위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이 시점으로부터 클럭신호(CP)가 3번째 인가될때 래지스터(6)의 출력단자(Q2)에서 제2도의(f)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고, 클럭신호(CP)가 5번째 인가될 때 출력단자(Q4)에서 제2도의 (g)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어 상기에서 설명한 초기 상태로 된다.
그리고, 데이터송수신집적회로(2)의 데이터입력요구단자()에 데이터입력요구신호인 저전위 신호가 출력될 경우에는 앤드게이트(4)에서 저전위 신호가 출력되므로 상기와 동일하게 버퍼(11), (12), (13)가 도통상태로 된다.
그러나, 이때 데이터송수신집적회로(2)의 데이터입력요구단자()에서 출력된 저전위 신호가 플립플롭(5)의 프리세트단자()에 인가되어 그 플립플롭(5)을 프리세트시키므로 그의 출력단자(Q)에는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고 출력단자()에는 저전위 신호가 출력된다. 결국 이때는 메모리(3)의 읽기제어단자()에 저전위 신호가 인가되어 읽기 상태로 된다. 따라서 데이터송수신집적회로(2)의 어드레스단자(A0-A15)에서 어드레스신호를 출력하여 메모리(3)의 어드레스를 지정한 후 그 지정된 어드레스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읽어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회로구성이 간단하므로 회로설계가 용이한 동시에 고장발생율이 적게 되고, 소요부품수가 적어 원가절감에 기여하는 이점이 있게 된다.

Claims (1)

  1. 데이터 송수신 집적회로(2)의 데이터출력 요구단자() 및 데이터입력 요구단자()를 플립플롭(5)의 클리어단자() 및 프리세트단자()에 접속함과 아울러 앤드게이트(4)의 입력단자에 접속하여, 그 플립플롭(5)의 출력단자(Q)()를 버퍼(11), (12)를 통하여 메모리(3)의 쓰기 및 읽기 제어단자(), ()에 접속하고 앤드게이트(4)의 출력단자를 중앙처리장치(1)의 버스요구단자()에 접속하며, 이 중앙처리장치(1)의 버스인지단자()를 버퍼(13)의 제어단자 및 래지스터(6)의 입력단자(D0)에 접속함과 아울러 인버터(7)를 통하여 낸드게이트(9)의 입력단자에 접속하고, 상기 래지스터(6)의 출력단자(Q2)를 인버터(8)를 통해 낸드게이트(10)의 입력단자에 접속함과 아울러 그의 출력단자(Q4)를 낸드게이트(9), (10)의 다른 입력단자에 접속하여, 그 낸드게이트(9)의 출력단자를 상기 데이터 송수신 집적회로(2)의 데이터 인지단자() 및 앤드게이트(4)의 다른 입력단자에 접속하고, 낸드게이트(10)의 출력단자를 상기 버퍼(11), (12)의 제어단자에 접속함과 아울러 버퍼(13)를 통해 메모리(3)의 출력인에이블단자(OE)에 접속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집적회로용 디엠에이회로.
KR2019870015033U 1987-09-02 1987-09-02 데이타 송수신 집적회로용 디엠에이회로 KR9000035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5033U KR900003527Y1 (ko) 1987-09-02 1987-09-02 데이타 송수신 집적회로용 디엠에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5033U KR900003527Y1 (ko) 1987-09-02 1987-09-02 데이타 송수신 집적회로용 디엠에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855U KR890007855U (ko) 1989-05-17
KR900003527Y1 true KR900003527Y1 (ko) 1990-04-28

Family

ID=19267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5033U KR900003527Y1 (ko) 1987-09-02 1987-09-02 데이타 송수신 집적회로용 디엠에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352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855U (ko) 1989-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4426A (en) Asynchronous FIFO status circuit
KR890002330B1 (ko)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KR900000048B1 (ko) Lsi 메모리회로
EP0658852A3 (en) Computer system with derived local bus
KR900003527Y1 (ko) 데이타 송수신 집적회로용 디엠에이회로
KR920004420B1 (ko) 비동기식 인터페이스 회로
KR910001545A (ko) Cpu 코어
KR940001271B1 (ko) Pc용 인터럽트 시스템
KR900003621Y1 (ko) 상이한 프로세서간의 데이터 교환장치
US4330842A (en) Valid memory address pin elimination
KR900006797Y1 (ko) 데이타 카운트회로
KR920000401B1 (ko) 데이터 버퍼링회로
KR100276263B1 (ko) 피시 카드 인터페이스 회로
KR940007479Y1 (ko) 복수 프로세서 간의 데이타 전송회로
KR940001028Y1 (ko) 캐쉬 메모리 클럭 제어회로
KR0124131Y1 (ko) 동적메모리 억세스 제어 회로
KR900007614B1 (ko) 버스 콘트롤러
KR900008883Y1 (ko) 버스 싸이클 신호 발생기
KR940008120Y1 (ko) 디스플레이용 메모리 제어회로
KR910007400B1 (ko) Dma 제어기와 결합한 인터페이스 회로
KR930002025Y1 (ko) 글리치 방지용 클럭스위칭 회로
KR890006508Y1 (ko) 듀얼디스플레이용 램억세스회로
JP2595707B2 (ja) メモリ装置
KR970000140Y1 (ko) Rtc 인터페이스 회로
JPH06251168A (ja) Eprom内蔵マイコンのアドレス生成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