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407B1 - 실릴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실릴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407B1
KR900003407B1 KR1019870014207A KR870014207A KR900003407B1 KR 900003407 B1 KR900003407 B1 KR 900003407B1 KR 1019870014207 A KR1019870014207 A KR 1019870014207A KR 870014207 A KR870014207 A KR 870014207A KR 900003407 B1 KR900003407 B1 KR 900003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l formula
formula
compound
producing
silyl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4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9898A (ko
Inventor
장문호
고훈영
이봉규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이정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이정요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19870014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3407B1/ko
Publication of KR890009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9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4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 C07D27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77/2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77/2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77/28Radicals substituted by 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 C07F7/02Silicon compounds
    • C07F7/0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 C07F7/10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containing nitrogen having a Si-N link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phalosporin Compounds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실릴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세팔로스포린 화합물을 제조할 때에 유용한 중간체로 사용될 수 있는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신규한 실릴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세히 설명하며 하기 일반식(II)로 표시되는 에스테르화합물과 하기 일반식(III)으로 표시되는 할로실란화합물을 반응시켜 하기 일반식(I)의 신규한 실릴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일반식(I)에서 R1은 수소, 또는 페니실린이나 세팔로스포린 화합물합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호기를 말한다. 즉, 벤질, 벤즈히드릴, 트리틸과 같은 저급 아릴 및 알킬기, tert-부톡시카르보닐, 2,2,2-트리클로로메톡시카르보닐, 클로로아세틸, 트리 클로로아세틸, 벤질옥시카르보닐, p-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 포르밀, 그리고 트리플루오로아세틸 등을 말한다. R2는 카복실산, 아실화 반응에 유용한 활성화된 카복실산유도체, 카르복실 보호기의 기능을 지닌 저급 에스테르를 말한다. n은 0∼2이고, X, Y, 및 Z는 저급알킬, 알케닐 및 아릴기를 나타내는데 예로서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비닐, 페닐 등)이며, 입체구조적으로는 syn, anti의 2가지 형태의 이성체가 있을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구조와 항균력과의 관계를 고려할 때, syn 이성체가 anti이성체 보다 훨씬 더 높은 항균작용을 보여줄 수 있기 때문에, 그 효용가치의 입장에서 보면 syn이성체가 유효한 것으로 본다. 위에서 표시되어 있는 일반식(I)에서 2-아미노티아졸과 같은 헤테로고리구조는 대한민국 특허 공고번호 81-860, 81-950에 표시되어 있다. 이들 아미노티아졸 구조에서 토오토머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어, 2-이미노티아졸리닐의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이 경우도 본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일반식(II)에 있어서, R1과 R2는 각각 일반식(I)의 R1과 R2와 서로 동일하다.
일반식(III)에 있어서, M은 염소, 브롬, 요오드 등의 할로겐 원자를 표시하며, X, Y 및 Z는 일반식(I)에서의 X, Y 및 Z와 각각 서로 동일하며 n은 0∼2까지의 정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반식(I)로 표시되는 신규한 실릴화합물과 관련된 직접적 공지문헌은 없으나, 일본국의 공개특허공보 제62-175489 (출원일자 1986년 1월 29일)에 의하면, 세괄로스포린 유도체의 제조에 있어서 실릴화합물을 적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2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릴화합물이 첨가된 세팔로스포린 유도체가 베타-락탐계 항생물질로 유용하다는 것을 알고, 보다 광범위한 세팔로스포린계 항생물질을 제조하고자 연구를 거듭하던차 기대이상으로 유용한 세팔로스포린 제조의 중간체로 사용되는 신규한 일반식(I)의 실릴 화합물을 제조하게 되었다.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하면, 일반식(II)의 에스테르화합물과 일반식(III)의 할로실란화합물을 반응시키는 알킬화 반응에서는 염기 존재하에서 일반식(II)의 옥심 작용기가 치환함으로써 일반식(I)의 실릴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반응 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디메틸술폭시드,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아세트아미드,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극성 용매들이 가능하며, 염기로는 일반적으로 저급알킬 아민과 같은 유기염기가, 사용 될 수 있는데, 특히 알칼리금속 염기, 즉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탄산 나트륨, 탄산칼륨과 같은 무기염기가 유용하다. 반응온도는 -10℃-50℃가 가능한데, 가장 효과적으로 반응을 시킬 수 있는 온도는 10℃-3℃가 적당하다.
한편 일반식(I)의 실릴화합물에 있어서, R2를 카르복시산으로 제조하고자 할 경우에는 R2가 에스테르로 구성된 일반식(I)의 실릴화합물을 가수분해하여 얻을 수 있다. 가수분해 반응은 메탄올, 에탄올, 테트라하이드로퓨란과 같은 극성 용매의 수용액을 용매로하여 알칼리 금속 염기 존재하에서 반응을 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사용된 알칼리 금속 염기로는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탄산 칼륨, 탄산나트륨등이 유용하며, 생성된 화합물을 교체화하기 위해서는 산수용액을 사용하여 반응 혼합액 내의 PH를 조절하여 액성을 산성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사용되는 산으로는 염산, 황산, 인산과 같은 무기산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더욱 더 이해시키고자 예로서 일반식(I)에서 R1이 트리틸기이며, R2가 카르복실산의 에틸에스테르이고 n이 1이며, X, Y 및 Z가 메틸기인 실릴화합물이 반응과정을 반응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3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국한된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2-트리메틸실릴메톡시이미노-초산의 제조 에틸 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2-히드록시이미노아세테이트 10g(0.02몰)을 용매 DMF 50ml에 녹이고, 탄산 칼륨 8g(0.06몰)을 가하고, 요오도메틸트리메틸실란 3.56ml(0.02몰)을 서서히 적가하면서 강력하게 1.6시간 동안 교반시킨다. 교반이 끝난후 몰 30ml, 에틸에테르 50ml를 반응용액내에 투여한 다음 유기층을 분리한 다음, 3% 수소탄산나트륨용액 20ml와 포화 소금물 30ml로 씻어주고 농축한 뒤, 실리카겔로 충진된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를 시도하여 표기 화합물 6.7g을 얻는다. 이때 얻은 포기물에 에탄올 15ml를 물 2ml에 가성소다 0.5g을 녹인 용액(0.013몰)을 가하고, 반응용액에다 에탄올 100ml을 더 첨가한 다음 20분간 가열환류시킨 후 급냉시키면 결정이 석출하기 시작한다. 여과된 결정을 물 30ml에 에틸아세테이트 60ml에 현탁시키고, 2N-HCL 용액으로 pH2.5으로 맞춘후 유기층에 합한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여액을 30ml정도로 감압 농축시킨 후 액산 120ml를 서서히 가하면 흰색의 결정 9.7g을 얻는다.(융점 : 123-125℃)
1H NMR(CDCl3, δ) : 0.1 (s, 9H,-SiMe3),4.0 (s, 2H -OCH3 -), 6.6 (s, 1H), 7.4 (s, 1H, ψH)
[실시예2]
2-(2-아미노티아졸-4-일)-2-트리메틸실릴메톡시이미노초산의 제조 실시예 1에서 합성된 표기물 9.7g을 50% 포름산 수용액 200ml을 가하고 40-45℃로 2시간 정도 교반시키고 30분간 빙냉하에서 교반시키면 흰색의 결정이 석출되어진다. 얻어진 결정은 여과하고 에틸아세테이트 2l로 3회에 걸쳐서 추출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은로 1∼2시간 건조시킨 후 감압증류를 하면 고체의 2-(2-아미노티아졸-4-일)-2-트리메틸실릴메톡시 이미노아세트산 5.8g이 얻어진다. (융점 : 143∼145℃)
1H NMR (DMSO-d6,δ) : 0.1 (s, 9H), 3.7 (s, 2H),6.7 (s, 1H)

Claims (8)

  1.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실릴화합물.
    Figure kpo00004
    일반식(I)에 있어서 R1이 수소 또는 트리틸기를 표시하며, R2는 카르복시산 또는 에틸에스테르기를 나타내고, n은 1이여 X, Y 및 Z는 메틸기를 각각 나타낸다.
  2. 하기 일반식(n)의 에스테르화합물과 하기 일반식(III)의 할로실란화합물을 용매와 염기존재하에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일반식(I)의 실릴화합물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05
    일반식(I)에 있어서, R1이 수소 또는 트리틸기를 표시하며, R2는 카르복시 또는 메틸에스테르기를 나타내고, n은 1이며, X, Y 및 Z는 메틸기를 각각 나타낸다.
    일반식(Ⅲ)에 있어서, R1이 수소 또는 트리틸기를 나타내며, R2는 카르복시 또는 메틸에스테르기를 나타낸다.
    일반식(III)에 있어서 M은 요오드를 나타내고, n은 1이며 그리고 X, Y 및 Z는 각각 메틸기를 나타낸다.
  3. 제 2 항에 있어서, 알킬화의 용매로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메탄올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I)의 실릴화합물의 제조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알킬화의 염기로 수산화나트륨 또는 탄산나트륨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I)의 실릴화합물의 제조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알킬화의 반응온도로l0∼30℃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I)의 실릴화합물의 제조방법.
  6. 제 2 항에 았어서, 가수분해 반응에 사용되는 용매로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사용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I)의 설릴화합물의 제조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가수분해반응에 사용되는 염기로 수산화나트륨 또는 탄산나트륨을 사용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I) 실릴화합물의 제조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가수분해 반응의 PH를 2∼3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일반식(I)의 실릴화합물의 제조방법.
KR1019870014207A 1987-12-12 1987-12-12 실릴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KR900003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4207A KR900003407B1 (ko) 1987-12-12 1987-12-12 실릴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4207A KR900003407B1 (ko) 1987-12-12 1987-12-12 실릴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9898A KR890009898A (ko) 1989-08-04
KR900003407B1 true KR900003407B1 (ko) 1990-05-18

Family

ID=19266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4207A KR900003407B1 (ko) 1987-12-12 1987-12-12 실릴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340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9898A (ko) 1989-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1426B1 (ko) 세팔로스포린 제조용 중간체의 제조방법
EP0162395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ephalosporinen
JPH07121900B2 (ja) アミジン化合物
KR0140887B1 (ko) 7-[2-(2-아미노티아졸-4-일)-2-하이드록시이미노아세타미도]-3-세펨 화합물의 제조방법
US4868301A (en) Processes and intermediates for the preparation of oxophthalazinyl acetic acids having benzothiazole or other heterocyclic side chains
KR900003407B1 (ko) 실릴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JP4022070B2 (ja) 新規チアゾール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378395B2 (ko)
KR0140232B1 (ko) 헥사히드로피리다진-1,2-디카르복시 유도체의 제조방법
GB2083820A (en) Aminothiazole oxime derivatives
KR890002107B1 (ko) 세팔로스포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JP2595605B2 (ja) 2−置換オキシイミノ−3−オキソ酪酸の製造法
CA2154426A1 (en) 3-substituted quinoline-5-carboxylic acid derivatives and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KR920003897B1 (ko) 글루타콘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90002253B1 (ko) 티아졸 화합물의 제조방법
US5631378A (en) Protected aminothiazolylacetic acid derivatives
EP0382220B1 (en) Method for preparing aminothiazolylacetic acid derivatives
KR890001284B1 (ko) 새로운 아실화방법에 의한 세팔로스포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0130941B1 (ko) 세펨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JP2859630B2 (ja) チアジアゾリル酢酸誘導体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中間体
KR840002009B1 (ko) 7-아실아미노-3-비닐세팔로스포란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80001761B1 (ko) 세팔로스포린 제조용 중간체의 제조방법
KR880001540B1 (ko) 세팔로스포린의 제조방법
JPS62294672A (ja) チアジアゾリルアセトアミド誘導体
KR0176335B1 (ko) 프로페닐세펨계 중간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