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941B1 - 세펨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세펨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941B1
KR0130941B1 KR1019940020023A KR19940020023A KR0130941B1 KR 0130941 B1 KR0130941 B1 KR 0130941B1 KR 1019940020023 A KR1019940020023 A KR 1019940020023A KR 19940020023 A KR19940020023 A KR 19940020023A KR 0130941 B1 KR0130941 B1 KR 0130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oxyimino
reaction
methoxybenzyl
tritylaminothiazol
carbox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0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7601A (ko
Inventor
강태원
최경석
최윤환
함정엽
이성윤
Original Assignee
유영학
미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학, 미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영학
Priority to KR1019940020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941B1/ko
Publication of KR960007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9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5-thia-1-azabicyclo [4.2.0] oc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cephalosporins; Such ring systems being further condensed, e.g. 2,3-condensed with an oxygen-, nitrogen- or sulfur-containing hetero ring
    • C07D501/02Preparation
    • C07D501/04Preparation from compounds already containing the ring or condensed ring systems, e.g. by dehydrogenation of the ring, by introduction, elimination or modification of substituents
    • C07D501/06Acylation of 7-aminocephalosporan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5-thia-1-azabicyclo [4.2.0] oc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cephalosporins; Such ring systems being further condensed, e.g. 2,3-condensed with an oxygen-, nitrogen- or sulfur-containing hetero ring
    • C07D501/14Compounds having a nitro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7
    • C07D501/16Compounds having a nitro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7 with a double bond between positions 2 and 3
    • C07D501/207-Acylaminocephalosporanic or substituted 7-acylaminocephalosporanic acids in which the acyl radicals are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 C07D501/247-Acylaminocephalosporanic or substituted 7-acylaminocephalosporanic acids in which the acyl radicals are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hetero atoms or hetero rings, attached in position 3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phalospori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펨 유도체를 제조하기 위한 신규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하기 일반식(Ⅱ)의 2-(Z)-메톡시이미노-2-(2-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산을 트리에틸아민 존재하에 트리틸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하기 일반식(Ⅲ)의 2-(Z)-메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산을 제조 하고; 얻어진 화합물을(Ⅲ)을 수용성 또는 비수용성 용매중에서 트리에틸아민의 존재하에 오염화인을 이용하여 클로리네이션시켜 하기 일반식(Ⅳ)의 2-(Z)-메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틸클로라이드를 제조하며; 얻어진 화합물(Ⅵ)의 수용성 또는 비수용성 용매중에서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존재하에 하기 일반식(Ⅴ)의 p-메톡시벤질(6R, 7R)-7-아미노-3-클로로메틸-세펨-4-카르복실레이트(CMC)와 반응시켜 하기 일반식(Ⅰ)의 p-메톡시벤질(6R, 7R)-7-[(Z)-2-메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아미도]-3-클로로메틸세펨-4-카르복실레이트를 제조한다.

Description

세펨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본 발명은 세펨유도체를 제조하는 신규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2-(Z)-메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틸클로라이드(이하 TAMA-Cl이라 칭함)을 수용성 또는 비수용성 용매중에서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존재하에 p-메톡시벤질(6R, 7R)-7-아미노-3-클로로메틸-세펨-4-카르복실레이트(이하 CMC라 칭함)염산염과 반응시켜 p-메톡시벤질(6R, 7R)-7-[(Z)-2-메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아미도]-3-클로로메틸세펨-4-카르복실레이트(이하 TAMA-CMC라 칭함)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AMA-CMC는 세펨유도체 합성에 이용되는 중간체 물질로서 그 사용범위가 넓어 산업적 이용가치가 큰 물질이다. TAMA-CMC를 제조하기 위한 공지의 방법에 따르면,
2-(Z)-메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산(이하 TAMA라 칭함)을 삼염화인(PCl3), 염화티오닐(SOCl2), 오염화인(PCl5), 또는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POCl3)를 이용하여 클로리네이션시켜 TAMA-Cl을 제조한 후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TAMA-Cl을 유기용매중에서 알킬아민류의 존재하에 CMC와 반응시키거나(일본공개특허 소 52-102,096, 소 53-34,795, 소 53-68,796, 소 54-52,096, 소 54-157,596 및 영국공개특허 2,205,933, J. Antibiotics 1986, 39(8) pp 1092-1107; 1990, 43(1), pp 62-69; 1990, 42(2) pp 189-198); 또는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에스테르와 디시클로헥실카보다이이미드를 이용하여 합성한다(J. Antibiotics 1988, 41(11) pp 1602-1616).
그러나 전자의 방법의 경우, 상기한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TAMA-Cl을 이용하여 TAMA-CMC를 제조하면 얻어진 TAMA-CMC가 (Z)형과 (E)형의 이성질체의 혼합물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를 분리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후자의 경우는 반응시간과 반응조건이 길고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이러한 상황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선행기술상의 단점울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던중 TAMA-Cl을 쉽게 제조하고 TAMA-Cl과 CMC를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상에서 반응시키면 선행기술상의 문제점을 쉽게 해결할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2-(Z)-메톡시이미노-2-(2-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산(AMA)(Ⅱ)을 아세토니트릴중에서 트리에틸아민 존재하에 트리틸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2-(Z)-메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산(TAMA)(Ⅲ)을 제조하고; 얻어진 TAMA를 수용성 또는 비수용성 용매중에서 트리에틸아민의 존재하에 오염화인을 이용하여 클로리네이션시켜 2-(Z)-메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틸클로라이드(TAMA-Cl)(Ⅳ)를 제조하며; 얻어진 TAMA-Cl를 수용성 또는 비수용성 용매중에서 탄산수소나트륨 존재하에 p-메톡시벤질(6R, 7R)-7-아미노-3-클로로메틸-3-세펨-4-카르복실레이트(CMC)(V)와 반응시켜 p-메톡시벤질(6R, 7R)-7-[(Z)-2-메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아미도]-3-클로로메틸세펨-4-카르복실레이트(TAMA-CMC)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p-메톡시벤질(6R, 7R)-7-[(Z)-2-메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아미도]-3-클로로메틸세펨-4-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TAMA-CMC를 제조하는 방법을 반응공정도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 AMA에 대한 트리틸클로라이드의 양은 0.8∼1.0당량이 좋으며 아세토니트릴에서의 반응은 혼합물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실시하며 특히 60∼90℃에서 1∼3시간동안의 반응이 가장 적합하다. TAMA-Cl의 제조시 오염화인의 양은 TAMA에 대해 1.0∼3.0당량이며, 특히 1.2당량이 바람직하다. 온도는 -20∼0℃를 유지하된 0℃이상이 되지 않게 해야한다. TAMA-CMC제조시 탄산수소나트륨은 오염화인에 대하여 5.0∼8.0당량의 양으로 사용하며 반응중에 수용액의 산도는 pH6.5∼8.0을 유지하여야 한다. TAMA-Cl과 CMC를 반응시켜 TAMA-CMC를 제조하는 반응은 0∼20℃에서 실시한다.
상기 반응에서 사용될 수 있는 수용성 용매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아세토니트릴 또는 아세톤이며, 유기용매로는 사염화탄소,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벤젠 또는 에틸아세테이트를 예시할 수 있다. 반응은 상기한 것들 중에서 선택된 유기 용매 또는 수용액 단독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중에서 실시할 수 있으며, 특히 테트라하이드로퓨란과 에틸아세테이트 등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에서 사용될 수 있는 수용성 용매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아세토니트릴 또는 아세톤이며, 유기용매로는 사염화탄소,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벤젠 또는 에틸아세테이트를 예시할 수 있다. 반응은 상기한 것들 중에서 선택된 유기 용매 또는 수용액 단독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중에서 실시할 수 있으며, 특히 테트라하이드로퓨란과 에틸아세테이트 등이 가장 바람직하다.
TAMA와 TAMA-CMC는 결정화에 의해 분리할 수 있는데, 이때 결정화 용매로는 에테르, 이소프로필에테르, 헥산, 석유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이상의 비극성 유기용매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조방법은 반응시간이 짧고, 반응온도에 있어서도 유리하며, TAMA-CMC를 고수율, 고순도로 결정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어 보다 경제적인 제조방법이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에에만 국한 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3구 플라스크에 아세토니트릴 200㎖넣고 AMA 20.1g과 트리틸클로라이드 24.46g을 넣었다. 혼합물을 잘 교반시키면서 트리에틸아민 14㎖를 가하고 온도를 60℃로 올려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이 거의 녹으면 아세토니트릴을 감압증류하여 제거하고 온도를 실온으로 낮춘 뒤 아세톤 100㎖를 넣어 트리에틸아민 염산염결정과 반응하지 않은 AMA를 여과제거하였다. 아세톤을 감압증류하여 농축한 후 헥산 300㎖에 가하면서 결정화를 행하였다. 결정을 여과 건조하여 2-(Z)-메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산 39.5g(94%)을 얻었다.
1 H-NMR(CDCl3 δ ppm) : 3.94(3H, s), 6.56(1H, s), 7.30(15H, m)
(실시예 2)
3구 플라스크에 2-(Z)-메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산 39.5gr을 넣고 디클로로메탄 150㎖와 트리에틸아민 12.4㎖를 부가하였다. 혼합물을 -10℃로 온도를 내린 후 오염화인 22.3g을 넣고 한시간동안 강렬히 교반시켰다. 디클로로메탄을 감압증류하여 제거한 후 아세톤 80㎖를 부가하여 트리에틸아민 염산염을 여과제거하였다. 아세톤을 감압증류하여 점도가 높은 2-(Z)-메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틸클로라이드 38.0g(92%)을 얻었다.
1 H-NMR(CDCl3 δ ppm) : 4.25(3H, s), 6.55(1H, s), 7.33(15H, m)
(실시예 3)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디클로로메탄 대신 아세톤만을 사용하여 2-(Z)-메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틸클로라이드 40g(97%)을 얻었다.
(실시예 4)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디클로로메탄 대신 아세토니트릴을 동량 사용하여 2-(Z)-메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틸클로라이드 36.7g(89%)을 얻었다.
(실시예 5)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디클로로메탄 대신 사염화탄소를 동량 사용하여 2-(Z)-메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틸클로라이드 39.5g(96%)을 얻었다.
(실시예 6)
500㎖ 비이커에 물 150㎖와 탄산수소나트륨 36.4g을 넣어녹인 후 p-메톡시벤질(6R, 7R)-7-아미노-3-클로로메틸-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염산염 35.1g을 넣고, 얻어진 혼합용액의 온도를 5℃로 내렸다. 이 혼합용액을 강렬히 교반하면서 2-(Z)-메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틸클로라이드 40g을 디클로로메탄 60㎖에 녹여 만든 용액을 서시히 부가하였다. 5℃에서 30분간 더욱 반응시킨 후 상온에서 30분간 강렬히 교반시켰다. 디클로로메탄 층을 분리하여 농축시킨 후 에틸에테르:헥산 = 1:3 비율의 혼합액에 적하면서 결정을 얻었다. 결정을 여과건조하여 p-메톡시벤질(6R, 7R)-7-[(Z)-2-메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알)아세트이미도]-3-클로로메틸세펨-4-카르복실레이트 63.5g(93%)을 얻었다.
1 H-NMR(CDCl3 δ ppm) : 3.85(2H, ABq), 3.80(3H, s), 4.10(3H, s), 4.50(2H, ABq), 5.05(1H, d), 5.25(2H, ABq), 5.92(1H, q), 6.70(1H, s), 6.90(2 H, d), 7.00(1H, d), 7.30(17H, m)
(실시예 7)
디클로로메탄 대신 아세톤을 사용하여 반응시켰으며, 반응완료 후 물층에 소금을 가하여 아세톤층을 분리시키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6의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여 p-메톡시벤질(6R, 7R)-7-[(Z)-2-메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아미도]-3-클로로메틸세펨-4-카르복실레이트 63.7g(93%)을 얻었다.
(실시예 8)
디클로로메탄 대신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사용하여 반응시켰으며, 반응완료 후 물층에 소금을 가하여 테트라하이드로퓨란층을 분리시키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6의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여 p-메톡시벤질(6R, 7R)-7-[(Z)-2-메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아미도]-3-클로로메틸세펨-4-카르복실레이트 67.0g(97%)을 얻었다.
(실시예 9)
디클로로메탄 대신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반응시켰으며, 반응완료 후 물층에 소금을 가하여 아세토니트릴층을 분리시키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6의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여 p-메톡시벤질(6R, 7R)-7-[(Z)-2-메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아미도]-3-클로로메틸세펨-4-카르복실레이트64.0g(93%)을 얻었다.
(실시예 10)
디클로로메탄 대신 사염화탄소를 동량 사용하여 실시예 6의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여 p-메톡시벤질(6R, 7R)-7-[(Z)-2-메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아미도]-3-클로로메틸세펨-4-카르복실레이트 64.0g(93%)을 얻었다.
(실시예 11)
디클로로메탄 대신 클로로포름을 동량 사용하여 실시예 6의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여 p-메톡시벤질(6R, 7R)-7-[(Z)-2-메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아미도]-3-클로로메틸세펨-4-카르복실레이트 64.0g(93 %)을 얻었다.
(실시예 12)
디클로로메탄 대신 에틸아세테이트를 동량 사용하여 실시예 6의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여 p-메톡시벤질(6R, 7R)-7-[(Z)-2-메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아미도]-3-클로로메틸세펨-4-카르복실레이트 63.0g(97%)을 얻었다.
(실시예 13.)
디클로로메탄 대신 벤젠을 동량 사용하여 실시예 6의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여 p-메톡시벤질(6R, 7R)-7-[(Z)-2-메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아미도]-3-클로로메틸세펨-4-카르복실레이트 62.8g(91%)을 얻었다.

Claims (7)

  1. 하기 일반식(Ⅱ)의 2-(Z)-메톡시이미노-2-(2-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산을 아세토니트릴중에서 트리에틸아민 존재하에 트리틸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하기 일반식(Ⅲ)의 2-(Z)-메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산을 제조하고; 얻어진 화합물(Ⅲ)을 수용성 또는 비수용성 용매중에서 트리에틸아민의 존재하에 오염화인을 이용하여 클로리네이션시켜 하기 일반식(Ⅳ)의 2-(Z)-메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틸클로라이드를 제조하며; 얻어진 화합물(Ⅴ)를 수용성 또는 비수용성 용매중에서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존재하에 하기 일반식(Ⅴ)의 p-메톡시벤질(6R, 7R)-7-아미노-3-클로로메틸-3-세펨-4-카르복실레이트(CMC)와 반응시켜 하기 일반식(Ⅰ)의 p-메톡시벤질(6R, 7R)-7-[(Z)-2-메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아미도]-3-클로로메틸세펨-4-카르복실레이트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p-메톡시벤질(6R, 7R)-7-[(Z)-2-메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아미도]-3-클로로메틸세펨-4-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각 단계의 반응은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아세토니트릴, 디클로로메탄, 아세톤,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및 사염화탄소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용매중에서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화합물(Ⅲ)를 제조하는 반응은 60∼90℃에서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화합물(Ⅳ)를 제조하는 반응 -20∼0℃에서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화합물(Ⅲ)에 대한 오염화인의 비율은 1.0∼3.0당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탄산수소나트륨의 사용량은 오염화인에 대하여 5.0∼8.0당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화합물(Ⅰ)을 제조하는 반응 0∼20℃의 온도에서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40020023A 1994-08-13 1994-08-13 세펨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KR0130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0023A KR0130941B1 (ko) 1994-08-13 1994-08-13 세펨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0023A KR0130941B1 (ko) 1994-08-13 1994-08-13 세펨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601A KR960007601A (ko) 1996-03-22
KR0130941B1 true KR0130941B1 (ko) 1998-04-16

Family

ID=19390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0023A KR0130941B1 (ko) 1994-08-13 1994-08-13 세펨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94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601A (ko) 199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2717B1 (ko) 세프디니르의 결정성 아민 염
HU202184B (en) Process for producing terc-butyl-3-oxobutirate
KR850000923B1 (ko) 피록시캄의 제조 방법
KR100515273B1 (ko) 3-(2-치환-비닐)-세파로스포린의 z-이성체의 선택적제조방법
WO1999051607A2 (en) Process for purification of a cephalosporin derivative
KR0130941B1 (ko) 세펨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JP2003513983A (ja) 高純度セフポドキシムプロキセチルの製造方法
DE69233042T2 (de) Herstellung eines Cephalosporin-Antibiotikums unter Verwendung des Syn-Isomers einer Thiazolylzwischenverbindung
KR20010087055A (ko) 신규한 티아졸 화합물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020065412A1 (en) Cephalosporin compound and a process for its preparation
EP0613480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cephem derivatives
JP3514495B2 (ja) ハロゲン化アミノチアジアゾリル酢酸誘導体の製造法
US4237280A (en) Intermediate for cephalosporin type compound
US4659812A (en) Cephalosporin intermediates
US7157574B2 (en) Process for preparing crystalline 3-chloromethyl-3-cephem derivatives
KR960011777B1 (ko) 신규한 결정성 세팔로스포린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EP0382220B1 (en) Method for preparing aminothiazolylacetic acid derivatives
HUT59687A (en) Process for producing 7-amino-3-methoxy-methyl-ceph-3-eme-4-carboxylic acid
KR960011778B1 (ko) 신규한 결정성 세팔로스포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970004047B1 (ko) 세펨 화합물의 신규한 제조방법
KR900003407B1 (ko) 실릴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JP2661810B2 (ja) 7−アミノ−3−クロロメチル−3−セフェム誘導体の製法
KR0126665B1 (ko) 신규 피리미딘 티온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0077356A (ko) 세프디토렌 피복실의 신규 제조 방법
KR100390549B1 (ko) 3-할로메틸-3-세펨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