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761B1 - 세팔로스포린 제조용 중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세팔로스포린 제조용 중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761B1
KR880001761B1 KR1019880007496A KR880007496A KR880001761B1 KR 880001761 B1 KR880001761 B1 KR 880001761B1 KR 1019880007496 A KR1019880007496 A KR 1019880007496A KR 880007496 A KR880007496 A KR 880007496A KR 880001761 B1 KR880001761 B1 KR 880001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l formula
compound
formula
tert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7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키나스트 귄터
Original Assignee
바이엘 아크티엔게젤샤프트
에르빈 딜, 하인쯔-게르트 뮐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9813145727 external-priority patent/DE3145727A1/d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아크티엔게젤샤프트, 에르빈 딜, 하인쯔-게르트 뮐러 filed Critical 바이엘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to KR1019880007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17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7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 C07D27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77/2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77/2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77/28Radicals substituted by nitroge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hiazole And Isothizaole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세팔로스포린 제조용 중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특정한 세팔소스포린을 제조하기 위한 특정한 중간체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및 세팔로스포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음 일반식(Ⅰ)의 세팔로스포린은 아직 공고되지 않은 독일연방공화국 특허원 제P30 37 997.6호에 비교적 오랫동안 언급되어 왔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R1은 알킬 또는 아릴 라디칼을 나타내고, X는 세팔로스토린 치환체로서 적합한 라디칼을 나타낸다.
이들 화합물은 그램-음성균 뿐만 아니라 그램-양성균에 대한 항균작용이 광범위하다.
상기한 특허원에 언급된 방법에 따르면,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다음 반응도식에 따라 제조된다 :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상기식에서, R1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R1이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는 일반식(Ⅰ)의 화합물이 만족스럽지 못한 수율로 수득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R1이 이소프로필 라디칼을 나타내는 경우, 일반식(Ⅲ)의 화합물을 티오우레아와 반응시키는 도중에 이중결합의 탈공액화(deconjugation) 및 마이클(Michael) 부가반응으로 인하여 목적하는 일반식(Ⅳ)의 화합물외에도 다음 구조식(Ⅵ) 및 (Ⅶ)의 생성물이 훨씬 더 큰 분획으로 수득된다 :
Figure kpo00004
더우기, R1이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는 경우, 일반식(Ⅴ)의 산을 7-아미노세팔로스포란산과 커플링시켜 일반식(Ⅰ)의 생성물을 수득하기 위해서 상기한 특허원에 기술된(예를 들면, 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DCC를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이중 결합의 이성체화가 상당히 많이 발생하여 다음 일반식(Ⅷ)의 생성물이 수득된다 :
Figure kpo00005
상기식에서, R1및 X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그러나, 일반식(Ⅷ)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일반식(Ⅰ) 화합물의 약 1/10의 생물학적 활성만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신규한 중간체 생성물을 통해 제조되며 전술한 단점은 갖지 않는 일반식(Ⅰ)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밝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일반식(Ⅸ)의 화합물을 일반식(Ⅸa)의 피로카본산 에스테르와 반응시키고 ; (b) 이렇게 하여 수득한 일반식(Ⅹ)의 생성물을 우선 적합한 염기와 반응시킨 다음, 일반식 R1-CHO의 알데하이드와 반응시켜 일반식(ⅩⅠ)의 화합물을 수득한 다음 ; (c) 수득한 일반식(ⅩⅠ)의 화합물을 염기와 반응시켜 일반식(ⅩⅡ) 의 화합물을 수득하고 ; (d) 일반식(ⅩⅡ)의 화합물로부터 Z 및 E이성체를 분리한 다음, 이어서 비누화시키거나, 선택적으로 비누화시켜 일반식(ⅩⅢ)의 Z-산을 수득한 다음 ; (e) 일반식(ⅩⅢ)의 Z-산을 일반식(ⅩⅤ)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일반식(ⅩⅥ)의 화합물을 수득한 다음 : (f) 일반식(ⅩⅥ)의 화합물을 일반식(ⅩⅦ)의 세팔로스포란산과 커플링시키고 : (g) 보호그룹 R2를 분리시켜 일반식(Ⅰ)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상기식에서, R1은 임의로 치환된 알킬, 사이클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 라디칼을 나타내고 ; X는 세팔로스포린 치환체로서 적합한 라디칼을 나타내며 ; R2는 CO2R3을 나타내고 ; R3및 R4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임의로 치환된 알킬, 사이클로알킬, 알케닐, 사이클로알케닐, 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 라디칼을 나타내고, 라디칼의 치환체로서의 헤테로원자와 알케닐 및 사이클로알케닐 라디칼중의 이중결합을 옥시카보닐그룹으로부터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소원자가 존재하며 ; Z는 염소원자, 브롬원자 또는 -O-SO2-R5를 나타내고 ; R5는 임의로 치환된 알킬, 사이클로알킬, 알케닐, 사이클로알케닐, 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 라디칼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한 화합물로서 다음 일반식(Ⅹ)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
Figure kpo00008
상기식에서, R2,R3및 R4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일반식(Ⅸ)의 화합물을 반응물에 적합한 용매중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일반식(Ⅸa)의 피로카본산 에스테르와 반응시키는 일반식(Ⅹ)화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 일반식(ⅩⅠ)의 신규한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
Figure kpo00009
상기식에서, R2,R3및 R4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 R1은 임의로 치환된 알킬, 사이클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 라디칼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일반식(Ⅹ)의 화합물을 반응물에 적합한 용매중에서 저온에서 염기와 반응시킨 다음, 일반식 R1-CHO(여기서, R1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의 알데하이드와 반응시키는 일반식(ⅩⅠ) 화합물의 제조방법에도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 일반식(ⅩⅥ)의 신규한 화합물에도 관한 것이다 :
Figure kpo00010
상기식에서, R1및 R2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 R5는 불소원자, 임의로 치환된 알킬, 알케닐,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케닐, 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 라디칼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 일반식(ⅩⅢ)의 화합물을 다음 일반식(ⅩⅤ)의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일반식(ⅩⅥ) 화합물의 제조방법에도 관한 것이다 :
Figure kpo00011
상기식에서, R1,R2및 R5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 Z는 염소원자, 브롬원자 또는 -O-SO2-R5를 나타낸다.
일반식(Ⅰ)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다음의 반응도식으로 요약할 수도 있다 :
Figure kpo00012
상기식에서, R1,R2, R3,R4및 X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일반식(Ⅰ)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반응 단계는 이후의 본 명세서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특히 바람직한 일반식(Ⅹ)의 화합물은 R2가 O-CO-O(CH3)3를 나타내고 ; R3은 O(CH3)3를 나타내며 ; R4는 C1-15의 임의로 치환된 알킬 라디칼, C3-15의 임의로 치환된 알케닐라디칼, C3-10의 임의로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라디칼, C5-10의 임의로 치환된 사이클로알케닐 라디칼, 1 내지 3개의 환을 갖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 라디칼, 또는 질소, 황 및 산소로부터 선택된 5개 이하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할 수 있는 1 내지 3개의 환을 갖는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 라디칼을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특히 바람직한 일반식(Ⅹ)의 화합물은 R2가 3급-부톡시카보닐 라디칼을 나타내고 ; R3은 3급-부틸 라디칼을 나타내며 ; R4는 메틸, 에틸, 3급-부틸 또는 트리메틸실릴 에틸 라디칼을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언급한 알킬, 알케닐, 사이클로알킬 및 사이클로알케닐 라디칼은 C1-4의 알킬 라디칼, C1-4의 O-알킬 라디칼, 할로겐(바람직하게는, 염소), 임의로 치환된 페닐 라디칼, C=N 및 트리(C1-5의 알킬)실릴로 치환할 수 있다.
언급한 페닐 라디칼을 포함하여 모든 아릴 및 헤테로사이클릴 라디칼은 알킬, O-알킬, S-알킬, 알킬옥시카보닐, 할로겐, 페닐, 니트로 및 C=N 라디칼로 치환할 수 있으며, 여기서 모든 알킬 라디칼은 C1-4일 수 있다.
라디칼 R3및/또는 R4가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치환체에 의해 치환되는 경우, 이들은 1 내지 5개,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개의 치환체를 함유할 수 있다.
R2가 염기에 대해서는 안정하고 산중에서는 제거 가능한 보호그룹(예 : 3급-부톡시카보닐)을 나타내고, R4는 염기로 비누화할 수 있는 라디칼(예 : 메틸 또는 에틸)을 나타내는 경우의 방법은 특히 유리하다.
일반식(Ⅹ)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에서 사용되는 일반식(Ⅸ)의 화합물은 그 자체가 공지되어 있다[참조 : E. Campaine & T.P.Selby, J. Heterocycl.Chem. 17(1980)].
일반식(Ⅹ)의 화합물을 제조하는데 특히 적합한 용매는 비양자성 극성용매(예 : 아세토니트릴, 디메틸포름아미드, 헥사메틸포스포르산 트리아미드 또는 디메틸 설폭사이드)이며, 특히 헥사메틸포스포르산 트리아미드 또는 디메틸 설폭사이드가 적합하다. 반응을 실온 또는 저온(예 : 10 내지 -50℃)에서 수행하는 것은 특히 유리하며, 일반적으로 1 내지 7일 동안 성분을 서로 반응시킨다. 일반적으로, 일반식(Ⅸa)의 피로카본산 에스테르는 2 내지 2.5몰당량으로 사용한다.
기타의 용매, 고온 또는 아실화 촉매(예 : 4-디메틸포름아미노피리딘)는 다음 일반식(ⅩⅨ)의 목적하지 않는 생성물의 형성을 상당히 촉진시킨다 :
Figure kpo00013
상기식에서, R2,R3및 R4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일반식(ⅩⅠ)의 신규한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에서는, 일반적으로 일반식(Ⅹ)의 화합물을 반응물에 적합한 용매중에서 저온에서 1 내지 1.1당량의 염기로 처리한 다음, 일반식 R1-CHO의 알데하이드를 1 내지 1.2당량 가한다.
이 반응에 사용할 수도 있는 용매는, 예를 들면, 디메틸포름아미드, 디에틸 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또는 톨루엔이고,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이며, 사용할 수도 있는 염기는 알콜레이트, 수소화물, 아미드 또는 유기 금속화합물(바람직하게는, 칼륨 3급-부틸레이트,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 및 부틸리튬)이다. 반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50 내지 -80℃에서 일반식(Ⅹ) 화합물의 용액에 염기를 가한 다음, -50 내지 -60℃에서 알데하이드를 가하고, 혼합물을 -50 내지 -60℃에서 약 12시간 동안 교반한다. 일반식(ⅩⅠ)의 생성물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혼합물을 중화시키고 후처리한다.
일반식(ⅩⅠ)의 바람직한 화합물은 R2내지 R4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 R1은 C1-15의 임의로 치환된 알킬 라디칼, C3-10의 임의로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라디칼, 1 내지 2개의 환을 갖는 임의로 치환된 카보사이클릭 또는 헤테로사이클릭 아릴 라디칼, 또는 질소, 황 및 산소원자로부터 선택된 5개 이하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할 수 있는 1 내지 3개의 환을 갖는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라디칼을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알킬 및 사이클로알킬에 적합한 치환체는 C1-6의 알킬 라디칼, C1-6의 O-알킬 라디칼, C1-6의 S-알킬 라디칼, C1-6의 N-알킬 라디칼, C1-6의 알킬옥시카보닐 라디칼 및 임의로 치환된 페닐 라디칼이다.
언급한 페닐 라디칼을 포함하여 모든 아릴 및 헤테로사이클릴 라디칼은 알킬, O-알킬, S-알킬, 알킬옥시카보닐, 할로겐(바람직하게는, 염소) 및 페닐 라디칼에 의해 치환될 수 있으며, 모든 알킬 라디칼은 C1-6일 수 있다.
R1이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치환체에 의해) 치환된 라디칼을 나타내는 경우, 1 내지 5개,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개의 치환체가 바람직하다.
R1이 C1-10의 알킬 라디칼 또는 C3-10의 사이클로알킬 라디칼을 나타내며, 각각의 경우에서 1 내지 2개의 C1-6의 알킬 라디칼 및/또는 1 내지 2개의 페닐 라디칼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화합물은 특히 바람직하다.
일반식(Ⅰ)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을 수행하는 중에, 일반식(ⅩⅠ)의 화합물을 분리할 필요는 없다. 반면에, 일반식(ⅩⅠ)의 화합물을 동일 반응계내에서 일반식(ⅩⅡ)의 화합물로 직접 전환시키는 것은 유리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는, 알데하이드 R1-CHO를 가한 후에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이를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는 것은 충분하다. 일반식(ⅩⅡ)의 화합물을 수득하기 위한 일반식(ⅩⅠ)의 화합물의 제거반응이 완결되지 않은 경우, 1 내지 1.2당량의 염기[예 : 수소화물, 알콜레이트 또는 아미드(특히, 칼륨 3급-부틸레이트)]를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약 10시간 동안 교반한다.
한편, 일반식(ⅩⅡ)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일반식(ⅩⅠ)의 화합물을 미리 분리하는 경우, 1.1 내지 2.2당량의 염기를 적합한 용매중에서 일반식(ⅩⅠ) 화합물의 용액에 가한다. 사용하는 용매 및 염기는 일반식(ⅩⅠ)의 화합물을 수득하기 위한 일반식(Ⅹ)의 화합물의 반응에서 언급한 것들이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및 칼륨 3급-부틸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일반식(ⅩⅡ)의 화합물은, 예를 들면, 재결정 또는 실리카겔상에서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할 수도 있는 E/Z 이성체의 혼합물로서 수득한다.
일반식(ⅩⅡ)의 화합물에서 R1,R2및 R4는 일반식(ⅩⅠ)의 화합물에서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일반식(ⅩⅢ)의 Z-카복실산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일반식(ⅩⅡ) 에스테르의 E/Z 이성체 혼합물을 분리하여 수득할 수 있는 Z-에스테르를 비누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일반식(Ⅰ)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완만한 조건하에 E-에스테트롤 일반식(ⅩⅣ)의 E-카복실산으로 전화시키고 분리한 다음, 잔류하는 Z-에스테르(여기서, 에스테르 그룹은 보다 입체적으로 장애된다)를 보다 격렬한 조건하에 비누화시켜, 일반식(ⅩⅢ)의 Z-카복실산을 수득하는 방법으로 일반식(ⅩⅡ) 에스테르의 E/Z 이성체 혼합물을 선택적으로 비누화시키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일반식(ⅩⅣ)의 E-카복실산을 생성하는 비누화를 위한 완만한 조건은, 예를 들면, 에탄올, 2N 수산화나트륨용액, 실온 및 24시간이다. 일반식(ⅩⅠ)의 화합물을 일반식(ⅩⅡ)의 화합물로 전환시킨 후, 2N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반응 혼합물에 직접 가하고, E-에스테르가 비누화될 때까지 실온에서 교반하거나 약간 가열하는 방법으로 비누화를 수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후, Z-에스테르를 알칼리성 조건하에 추출시켜 혼합물로부터 분리하고, 보다 격렬한 조건하에 비누화시킨다.
비누화를 위한 보다 격렬한 조건은, 예를 들면, 에탄올, 2N 수산화나트륨 용액 및 24시간-환류인데, 가능하게는 보다 진한 수산화나트륨 용액 또는 고비등 용매(예 : 디옥산)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목적하는 일반식(ⅩⅢ)의 Z-카복실산 및 일반식(ⅩⅣ)의 E-카복실산을 수득한다.
일반식(ⅩⅣ)의 E-카복실산은, 예를 들면, 비스트리메틸 실릴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하여 실릴 에스테르로 전환시킨후, 적합한 용매(예 : 디에틸 에테르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중에서 염기(예 : 칼륨 3급-부틸레이트)를 사용하고, 이어서 묽은 산으로 가수분해하여, 일반식(ⅩⅣ)의 E-카복실산과 일반식(ⅩⅢ)의 Z-카복실산과의 혼합물로 다시 전환시킬 수 있다.
일반식(ⅩⅢ)의 Z-카복실산은, 예를 들면, 결정화 또는 이온 교환제상에서 분리함으로써 E/Z 이성체의 혼합물로부터 순수한 형태로 분리할 수도 있다.
일반식(ⅩⅢ)의 Z-카복실산은 일반식(ⅩⅣ)의 E-카복실산보다 산성이 더 강하기 때문에, 이온 교환제를 이용하는 분리는 간단하다. 즉, 일반식(ⅩⅣ)의 E-카복실산은 메탄올을 사용하여 약염기성 이온 교환제로부터 용출되는 반면, 일반식(ⅩⅢ)의 Z-카복실산은 전해질(예 : 2N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가한 후에만 용출된다. 약염기성 이온 교환제는 3급-아미노그룹(예 : Lewatit MP 62)을 함유하는 고체 또는 액체 형태의 이온 교환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일반식(ⅩⅢ) 및 (ⅩⅣ)의 화합물에서 R1 R2는 일반식(ⅩⅡ)의 화합물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또한, 일반식(ⅩⅡ)의 화합물에서 R2가 비누화되기 전에 알칼리에 의해 비누화될 수 있는 보호그룹(예 : 메틸옥시카보닐그룹)인 경우, R2는 수소원자일 수 있다. 그러나, R2가 비누화 조건하에 안정한 보호그룹, 바람직하게는 3급-부틸옥시카보닐인 경우, 일반식(Ⅰ)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는 것은 보다 유리하다.
종래의 펩타이드 화학분야에서 유도된 다수의 분석방법은 카복실산을 7-아미노세팔로스포린과 커플링시키기 위한 세팔로스포린 화학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으로는 일반식(ⅩⅢ)의 Z-카복실산과 일반식(ⅩⅦ)의 세팔로스포란산 사이에서 아미드 결합을 형성할 수 없으며, 특히 R1이 알킬 라디칼인 경우에는 수율이 매우 낮게 된다. 이러한 이유는 일반식(ⅩⅢ)의 카복실산에서 라디칼 R1에 의한 카복실그룹의 상당한 입체장애 및, 카복실 작용기가 활성화한 후 라디칼 R1이 E-형태로 이성체화하려는 현저한 경향, 예를 들면, 산 클로라이드로의 전환에서 밝혀졌다. 이어서, 일반식(ⅩⅦ)의 7-아미노세팔로스포란산과 반응시킨 후에, 목적하는 일반식(ⅩⅧ)의 화합물이 수득되지는 않지만, 오히려 다음 일반식(ⅩⅩⅠ)의 화합물 또는 이 두 화합물의 혼합물이 수득된다 :
Figure kpo00014
상기식에서, R1,R2및 X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는 일반식(ⅩⅢ)의 Z-카복실산을 일반식(ⅩⅥ)의 혼합된 무수물로 전환시키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단점없이 저온에서 간단하고 완만하며 저렴한 방법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음을 밝혀내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식(ⅩⅥ)의 화합물은 신규하며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을 형성한다.
이들 화합물에서 R5가 임의로 치환된 알킬, 알케닐,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케닐, 아릴 또는 헤테로 사이클릴 라디칼인 경우, R5는 할로겐, 알킬, 아릴, O-알킬, S-알킬, CN, 알콕시카보닐 및 니트로로부터 선택된 치환체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일반식(ⅩⅥ)의 화합물은 R5가 불소, 염소, CN, 페닐, 알킬옥시카보닐, 알킬옥시 또는 알킬(이들 치환체중의 알킬그룹은 C1-14인 것이 바람직하다)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C1-10의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거나, 불소, 염소, 브롬, CN, 알킬, 알킬옥시,알킬티오 및 알킬옥시카보닐(이들 치환체중의 알킬그룹은 C1-4인 것이 바람직하다),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및 페닐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페닐 라디칼을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R5를 치환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전술된 1 내지 3개의 치환체가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당히 바람직한 일반식(ⅩⅥ)의 화합물에서, R5는 메틸 또는 p-톨릴 라디칼을 나타낸다.
이러한 종류의 일반식(ⅩⅥ)의 혼합된 무수물은 등몰량의 일반식(ⅩⅢ)의 카복실산 및 적합한 아민을 적합한 용매에 용해시키고, 이를 1 내지 1.05당량의 일반식(ⅩⅤ)의 설폰산 유도체와 반응시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적합한 용매는 반응 조건하에 안정된 모든 용매(예 : 디에틸 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아세토니트릴, 아세톤, 메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이다.
적합한 아민은 3급-아민(예 : 트리에틸아민 또는 트리부틸아민) 및 입체장애된 2급-아민(예 : 디이소프로필아민)이다.
반응을 -80℃내지 실온에서 수행할 수 있는데, 저온은 이중결합상에서 치환체의 이성체화를 방해한다. 유리하게는, 반응을 -20 내지 -50℃에서 10분 내지 6시간 동안 수행한다.
일반식(ⅩⅥ)의 화합물은, 예를 들면, 용매로서 테트로하이드로푸란을 사용하고 염기로서 트리에틸아민을 사용하여, 형성된 트리에탈아민 염산을 흡입여과시키고,용매를 진공중에서 증류시켜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수득한 일반식(ⅩⅥ) 화합물의 용액을 일반식(ⅩⅦ)의 세팔로스포란산과 직접 반응시키는 것이 보다 유리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는, 일반식(ⅩⅦ)의 세팔로스포란산을 2 내지 4당량의 아민과 함께 적합한 용매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목적하는 후속 반응 온도로 미리 냉각시킨 다음, 이 용액을 이 온도에서 전술한 일반식(ⅩⅥ) 화합물의 용액에 가한다. 일반식(ⅩⅧ)의 반응 생성물에서 라디칼 R1의 이성체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유리하게는 반응을 -60 내지 -30℃에서 수행하고 혼합물을 밤새 실온으로 방치한다.
일반식(ⅩⅥ)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해 언급한 아민 및 용매를 사용하여 일반식(ⅩⅦ)의 세팔로스포란산을 용해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는 만족스러운 농도의 일반식(ⅩⅦ)의 세팔로스포란산 용액을 수득할 수 없는 경우, 세팔로스포린 화학분야에서는 충분히 공지된 일반식(ⅩⅦ) 화합물의 고용성 에스테르(예 : 실릴, 3급-부틸 또는 디페닐 메틸 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도 명백하다.
반응을 완결한 후, R1및 R2가 일반식(ⅩⅥ)의 화합물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X는 세팔로스포린 치환체로서 적합한 그룹[예 : 수소, C1-4의 알킬, 할로겐, C1-4의 알콕시, 하이드록시메틸, 포르밀옥시메틸, (C1-4의 알킬) 카보닐옥시메틸, 아미노카보닐옥시메틸, 피리디늄메틸, 4-카바모일피리디늄메틸 또는 헤테로 사이클릴티오메틸{여기서, "헤테로사이클릴"은 바람직하게는 다음 구조식
Figure kpo00015
(이때, R6은 수소, 메틸, 2-디메틸 아미노에틸, 카복시메틸 또는 설포메틸을 나타내고 ; R7은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낸다)의 라디칼을 나타낸다}]을 나타내는 일반식(ⅩⅧ)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바람직한 일반식(ⅩⅧ)의 화합물은 X가 수소, 염소, 메톡시, 하이드록시메틸, 아세틸옥시메틸, 아미노카보닐옥시메틸, 피리디늄메틸,
Figure kpo00016
을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R1및 X가 일반식(ⅩⅧ)의 화합물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보호그룹 R2를 일반식(ⅩⅧ)의 화합물로부터 분리한 후에 수득한다. 이미 일반식(Ⅹ)의 화합물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R2가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도 있는 염기에 안정한 보호그룹[예 :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사용하여 분리하는) 3급-부틸옥시카보닐]인 경우, 일반식(Ⅹ)의 화합물로부터 일반식(Ⅰ)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완전한 반응순서를 직접 수행하는 것은 상당히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 및 본 발명에 따르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다음 실시예로 설명한다 :
[실시예 1]
에틸 2-3급-부톡시카보닐이미노-3-3급-부톡시카보닐-4-티아졸린-4-일아세테이트
에틸 2-아미노티아졸-4-일아세테이트 186g(1몰), 디메틸 설폭사이드 300ml 및 98% 디-3급-부틸 피로카보네이트 500g(2.3몰)을 실온에서 7일간 교반한다. 빙수 3.5l를 최대 20℃에서 빙냉시키면서 가하고, 혼합물을 30분간 교반한 후, 침전물을 흡입여과하고, 물 2ℓ로 세척한 다음, 메틸렌 클로라이드 2ℓ에 넣는다. 물을 분리하고, 메틸렌 클로라이드 상을 Na2SO4상에서 건조시킨 후, 회전 증발기로 농축시킨다. 수득한 오일을 (결정화가 시작되기 전에) 즉시 석유 에테르 2ℓ에 넣어 결정화한다.
수율 : 78%(302g)
융점 : 90℃
[실시예 2]
메틸 2-3급-부톡시카보닐-3-3급-부톡시카보닐-4-티아졸린-4-일아세테이트
메틸 2-아미노티아졸-4-일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한다.
수율 : 67%
융점 : 67 내지 69℃
[실시예 3]
에틸 2-에톡시카보닐이미노-3-에톡시카보닐-4-티아졸린-4-일아세테이트
에틸 2-아미노티아졸-4-일아세테이트 및 디에틸피로카보네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한다.
수율 : 71%
융점 : 102℃
[실시예 4]
3급-부틸 2-3급-부톡시카보닐이미노-3-3급 부톡시카보닐-4-티아졸린-4-일아세테이트
3급-부틸 2-아미노티아졸-4-일아세테이트 157g(0.5몰), 디메틸 설폭사이드 150ml 및 98% 디-3급-부틸 피로카보네이트 260g(1.2몰)을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킨다.
수율 : 62%
[실시예 5]
트리메틸실릴에틸 2-아미노티아졸-4-일아세테이트
트리메틸실릴에탄올 11.2g(15.8ml, 0.1몰),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100mg 및 디사이클로헥실 카보디이미드 11.4g을 실온에서 아세토니트릴 50ml 중의 2-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산 7.9g(0.05몰)에 가하고, 혼합물을 2일간 교반한다. 그후 침전된 우레아를 흡입 여과하고, 에테르로 세척한 후, 세척물을 회전 증발기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에테르에 넣은 다음, 에테르성 용액을 0.5N 염산 및 NaHCO3용액으로 세척하고, 이어서 MgSO4상에서 건조시킨 다음, 회전 증발기로 농축시킨다. 용액을 농축시키고, 석유 에테르를 가하면, 목적하는 에스테르가 결정화된다.
수득량 : 2.8g
[실시예 6]
트리메틸실릴에틸 2-3급-부틸옥시카보닐이미노-3-3급-부톡시카보닐-4-티아졸린-4-일아세테이트
트리메틸실릴 2-아미노티아졸-4-일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한다.
수율 : 50%
[실시예 7]
에틸 1-(2-3급-부톡시카보닐아미노티아졸-4-일)-2-3급-부톡시카보닐옥시프로판카복실레이트
에틸 2-3급-부톡시카보닐이미노-3-3급-부톡시카보닐-4-티아졸린-4-일아세테이트 11.2g(0.03몰)을 무수테트라하이드로푸란 80ml에 용해시키고, 질소하에 -50 내지 -60℃에서 n-헥산중 15% n-부틸리튬 용액 20ml(0.032밀리몰)를 가한 후, 아세트알데하이드 1.91ml(0.034몰)를 가한다. 혼합물을 -50 내지 -6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10% 시트르산 수용액 30ml를 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가온한다. 후처리하기 위하여,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진공중 실온에서 증류하고, 잔류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추출한 후, 유기 추출물 Na2SO4상에서 건조시키고, 이어서 용매를 증류한다. NMR 및 TLC (사이클로헥산/에테르 1 : 1)에 따르는 부분입체이성체의 혼합물인 오일 10.8g을 수득한다.
[실시예 8]
에틸 1-(2-3급-부톡시카보닐아미노 티아졸-4-일)-1(E,Z)-프로펜카복실레이트
혼합물을 실시예 7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제조하되, 단 아세트알데하이드를 가한 후, 실온으로 가온하고, 밤새 교반한 다음, 실시예 7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후처리한다. NMR 및 TLC (사이클로헥산/에테르 1 : 1, Z 이성체가 더 높이 전개된다)에 따르는 E/Z 이성체의 약 1 : 1 혼합물인 오일 9.2g을 수득한다. 두 화합물은 실리카겔 60(유동상 : 사이클로헥산/에테르 1 : 1)상에서 분리할 수 있다.
Z 이성체 :
1H-NMR(250MHz, CDCl3) : δ=10.5(bs ; 1H,NH), 6.95(s ; 1H, S-CH), 6.88(q ; J=7Hz, 1H,
Figure kpo00017
-CH3), 4.35(q ; J=7Hz, 2H,
Figure kpo00018
-CH3), 2.04(d, J=7Hz, 3H, CH-
Figure kpo00019
3), 1.50(s ; 9H, C(CH3)3), 1.36(t ; J=7Hz, 3H, CH2-
Figure kpo00020
3).
E 이성체 :
1H-NMR(250MHz, CDCl3) : δ=10.5(bs ; 1H, NH), 7.22(q ; J=7Hz, 1H,
Figure kpo00021
-CH3), 6.94(s ; 1H, S-CH), 4.19(q ; J=7Hz, 2H,
Figure kpo00022
2-CH3), 1.95(d ; J=7Hz, 3H, CH-
Figure kpo00023
3), 1.52(s ; 9H, C(CH3)3), 1.22(t ; J=7Hz, 3H, CH2-
Figure kpo00024
3).
[실시예 9]
에틸 2-(2-3급-부톡시카보닐아미노티아졸-4-일)-2(E,Z)-벤질리덴아세테이트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40ml중의 에틸 2-3급-부톡시카보닐이미노-3-3급-부톡시카보닐-4-티아졸린-4-일아세테이트 3.86g(0.01몰)을 -50℃로 냉각시키고, 칼륨 3급-부틸레이트 2.8g(0.024몰)을 가한 후, 용액이 완결될때까지 혼합물을 교반하고, 이어서 벤즈알데하이드 1.11ml(0.012몰)를 가한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밤새 교반한다. 후처리하기 위하여 2N HCl 약 12ml를 얼음중에서 냉각하면서 가하고, pH가 4 내지 5가 될때까지 pH를 검사하고,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및 3급-부탄올을 진공중에서 제거한 다음, 잔류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추출한다. Na2SO4상에서 건조시킨 후,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진공중에서 제거한다. NMR 및 TLC (사이클로헥산/에테르 1 : 1)에 따르는 E/Z 이성체의 약 1 : 1 혼합물인 오일 3.1g을 수득한다.
[실시예 10]
1-(2-3급-부톡시카보닐아미노티아졸-4-일)-1(Z)-프로펜카복실산
에틸 2-3급-부톡시카보닐이미노-3-3급-부톡시카보닐-4-티아졸린-4-일아세테이트 56g(0.145몰) 및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400ml를 질소하에 넣고, -60 내지 -50℃에서 15% 헥산 100ml중의 n-부틸리튬(0.16몰)을 적가한다. 그후 아세트알데하이드 9.55ml(0.17몰)를 즉시 가하고, 혼합물을 -60℃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다.
2N 수상화나트륨 용액 250ml를 가하고, 두 상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한다.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진공중 실온에서 증류하고, 알칼리성 상을 매회 메틸렌 클로라이드 100ml로 2회 세척한다. 수성상을 pH 2 내지 3으로 산성화하고, 추출한 후, 1-(2-3급-부톡시카보닐아미노티아졸-4-일)-1(E)-프로펜카복실산을 수득한다.
수율 : 51%(21.0g)
융점 : 195℃(아세토니트릴로부터)
메틸렌 클로라이드 상을 진공중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에탄올 250ml에 넣은 후, 2N 수산화나트륨 용액 250ml로 처리하고, 60℃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한다.
증류하여 에탄올을 제거한 후, 알칼리성 상을 메틸렌 클로라이드 100ml로 1회 추출하고, 추출물을 버린 다음, 알칼리성 상을 pH 2 내지 3으로 산성화하고, 목적하는 1-(2-3급-부톡시카보닐아미노티아졸-4-일)-1(Z)-프로펜카복실산을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추출한다.
수율 : 20%(8.3g)
융점 : 183℃(아세토니트릴로부터)
[실시예 11]
1-(2-3급-부톡시카보닐아미노티아졸-4-일)-1(Z)-부텐카복실산
아세트알데하이드 대신에 프로판알을 사용하여, 실시예 10과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한다.
수율 : 17%
융점 : 172℃(아세토니트릴로부터)
[실시예 12]
1-(2-3급-부톡시카보닐아미노티아졸-4-일)-1(Z)-펜텐카복실산
아세트알데하이드 대신에 부탄알을 사용하여, 실시예 10과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한다.
융점 : 162 내지 163℃(아세토니트릴로부터)
[실시예 13]
1-(2-3급-부톡시카보닐아미노티아졸-4-일)-1(Z)-헥센카복실산
아세트알데하이드 대신에 펜탄알을 사용하여, 실시예 10과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한다.
융점 : 158℃(아세토니트릴로부터)
[실시예 14]
1-(2-3급-부톡시카보닐아미노티아졸-4-일)-1(Z)-헵텐카복실산
아세트알데하이드 대신에 헥산알을 사용하여, 실시예 10과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한다.
융점 : 130 내지 131℃(아세토니트릴로부터)
[실시예 15]
1-(2-3급-부톡시카보닐아미노티아졸-4-일)-1(Z)-옥텐카복실산
아세트알데하이드 대신에 헵탄알을 사용하여, 실시예 10과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한다.
융점 : 164℃(아세토니트릴로부터)
[실시예 16]
1-(2-3급-부톡시카보닐아미노티아졸-4-일)-3-메틸-1(Z)-부텐카복실산
아세트알데하이드 대신에 이소부티르알데하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0과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한다.
융점 : 169 내지 171℃(아세토니트릴로부터)
[실시예 17]
1-(2-3급-부톡시카보닐아미노티아졸-4-일)-4-메틸-1(Z)-펜텐카복실산
아세트알데하이드 대신에 이소발레르알데하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0과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한다.
융점 : 173℃(아세토니트릴로부터)
[실시예 18]
2-(2-3급-부톡시카보닐아미노티아졸-4-일)-3-사이클로헥실-(Z)-아크릴산
아세트알데하이드 대신에 사이클로헥실알데하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0과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한다.
융점 : 210℃보다 높음(아세토니트릴로부터)
[실시예 19]
2-(2-3급-부톡시카보닐아미노티아졸-4-일)-페닐-1(Z)-펜텐카복실산
아세트알데하이드 대신에 디하이드로신남알데하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0과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한다.
융점 : 174℃(아세토니트릴로부터)
[실시예 20]
1-(2-3급-부톡시카보닐아미노티아졸-4-일)-1(Z)-프로펜카복실산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800ml중의 1-(2-3급-부톡시카보닐아미노티아졸-4-일)-1(E)-프로펜카복실산 122g(0.43몰)을 비스트리메틸실릴아세트아미드 129ml(0.52몰)로 처리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다. 그후 -60℃로 냉각시키고, 98% 칼륨 3급-부틸레이트 200g(1.74몰)을 가한 다음, 실온으로 가온하고, 이어서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다.
후처리하기 위하여, 얼음속에서 냉각시키면서 물 100ml를 가하고, 2N HCl 약 900ml로 pH 6 내지 8로 조절한 후,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진공중에서 제거하고, 이어서 pH 2 내지 3으로 조절한 다음, 혼합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 300ml로 3회 추출한다. 추출물을 건조시키고, 회전 증발기로 농축한 후, 잔류물을 메탄올 700ml에 용해시킨다. 메탄올성 용액을 약염기성 이온 교환제 Lewatit MP 62를 함유하는 컬럼(2.5×80cm ; 400ml)속으로 약 10ml/min의 속도로 통과시킨 후, 컬럼을 메탄올 2l로 세척하고, 메탄올/2N 수산화나트륨(10 : 1) 용액 1ℓ로 용출한다. 용출물을 농축한 후, 2N HCl로 pH 2 내지 3으로 산성화하고,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추출한다.Na2SO4상에서건조시키고,메틸렌클로라이드를 증류하여 목적하는 Z-프로펜카복실산 50g(41%)을 수득한다. 메탄올 세척물을 증발시켜 컬럼으로부터 이성체화되지 않은 E- 프로펜카복실산을 회수한다.
[실시예 21]
1-(2-3급-부톡시카보닐아미노티아졸-4-일)-1(Z)-펜텐카복실산
상응하는 E-펜텐카복실산을 실시예 20과 유사한 방법으로 이성체화시켜 표체 화합물을 제조한다.
수율 : 45%
[실시예 22]
1-(2-3급-부톡시카보닐아미노티아졸-4-일)-1(Z)-프로펜카복실 메탄설폰산 무수물
1-(2-3급-부톡시카보닐아미노티아졸-4-일)-1(Z)-프로펜카복실산 1.42g(0.005몰) 및 트리에틸아민 0.76ml(0.0055몰)를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0ml에 용해시키고, -50℃로 냉각시킨다. 그후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 0.40ml(0.0051몰)를 가하고, 혼합물을 -40 내지 -5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다. 트리에틸아민 염산염을 물을 제거하면서 흡입여과하고,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진공중 -10℃에서 증류한다. 혼합된 무수물을 가온하여 E 형태로 쉽게 이성체화되는 오일로서 수득한다(NMR).
[실시예 23]
1-(2-3급-부톡시카보닐아미노티아졸-4-일)-1(Z)-부텐카복실 p-톨루엔설폰산 무수물
실시예 22와 유사한 방법으로 -20 내지 -30℃에서 적절한 Z-부텐카복실산 및 p-톨루엔설포닐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제조한다.

Claims (5)

  1. 다음 일반식(ⅩⅢ)의 화합물을 다음 일반식(ⅩⅤ)의 화합물과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다음 일반식(ⅩⅥ)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25
    상기식에서 R1은 저급 알킬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페닐이고 ; R2는 알콕시카보닐이며 ; Z는 Cl, Br 또는 -O-SO2-R5이고 ; R5는 저급 알킬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아릴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반응을 반응 조건하에 안정한 용매중에서 수행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반응을 3급 아민 또는 입체 장애된 2급 아민의 존재하에 수행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반응을 실온 내지 -80℃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R5가 메틸 또는 p-톨릴그룹인 일반식(ⅩⅥ)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19880007496A 1981-11-19 1988-06-21 세팔로스포린 제조용 중간체의 제조방법 KR880001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7496A KR880001761B1 (ko) 1981-11-19 1988-06-21 세팔로스포린 제조용 중간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145727.4 1981-11-19
DE19813145727 DE3145727A1 (de) 1981-11-19 1981-11-19 Zwischenproduk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ephalosporinen
KR8205213A KR880001426B1 (ko) 1981-11-19 1982-11-18 세팔로스포린 제조용 중간체의 제조방법
KR1019880007496A KR880001761B1 (ko) 1981-11-19 1988-06-21 세팔로스포린 제조용 중간체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5213A Division KR880001426B1 (ko) 1981-11-19 1982-11-18 세팔로스포린 제조용 중간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761B1 true KR880001761B1 (ko) 1988-09-12

Family

ID=27189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7496A KR880001761B1 (ko) 1981-11-19 1988-06-21 세팔로스포린 제조용 중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176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1426B1 (ko) 세팔로스포린 제조용 중간체의 제조방법
EP0371004A1 (en) [(1-Alkoxy-1-methyl)-ethoxy]-amines,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for the preparation of 3-acylamino-1-hydroxy-2-azetidinones
KR900001170B1 (ko) 4-아세톡시-3-히드록시에틸아제티진-2-온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80001761B1 (ko) 세팔로스포린 제조용 중간체의 제조방법
CS196371B2 (en) Method of preparing 2-lower alkyl-7-substituted 2-or 3-cephem-4-carboxylic acids
KR880001760B1 (ko) 세팔로스포린 제조용 중간체의 제조방법
KR880001540B1 (ko) 세팔로스포린의 제조방법
US4925944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o-carboxypyridyl- and o-carboxyquinolylimidazolinones
HU199777B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alpha-naphtil propionamids
EP0397212B1 (en) Process for preparing cephalosporin compounds
CA1240985A (en) Preparation of cephalosporins
CA1238911A (en) Substituted amino thiazole derivatives
EP0125777B1 (en) Process and intermediates for preparation of 4-acetyl-2-substituted-imidazoles
US4816580A (en) Improved method for preparing penicillanic acid derivatives
KR920003897B1 (ko) 글루타콘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EP0248434B1 (en) Thiadiazolylacetamide derivatives,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their use
JP3420321B2 (ja) 2,4,5−トリハロゲノ−3−メチル安息香酸の製造方法
US6372913B1 (en) Process for preparing 2-substituted 5-formylthiazoles
GB2173502A (en) New thiadiazole compounds and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KR900003407B1 (ko) 실릴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JP3538889B2 (ja) アルキルチオアセタミドの製造方法
CA2065741A1 (en) Asymmetric chemical synthesis and intermediates for making antifungal compounds
JPH0641066A (ja) ピロール誘導体の製造方法
KR870000725B1 (ko) 세펨 화합물의 제조방법
JPH0687841A (ja) グルタコン酸エステル誘導体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81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