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047Y1 - 버스고정봉 및 안전손잡이 - Google Patents

버스고정봉 및 안전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047Y1
KR900003047Y1 KR2019870008070U KR870008070U KR900003047Y1 KR 900003047 Y1 KR900003047 Y1 KR 900003047Y1 KR 2019870008070 U KR2019870008070 U KR 2019870008070U KR 870008070 U KR870008070 U KR 870008070U KR 900003047 Y1 KR900003047 Y1 KR 9000030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rod
fixed
foam rubber
soft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80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21686U (ko
Inventor
김학수
임주섭
Original Assignee
김학수
임주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수, 임주섭 filed Critical 김학수
Priority to KR20198700080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3047Y1/ko
Publication of KR8800216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216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0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0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버스 고정봉 및 안전손잡이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부 확대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로써, a도는 사용전의 상태이고, b도는 사용시의 상태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L형 손잡이 2 : 굴곡부
3, 3' : 요철 4 : 이탈방지턱
5 : 삽입봉 6 : 이동로
7 : 고정편 8 : 안내봉
9 : 스프링 10 : 정사각형 고정봉
본 고안은 버스 고정봉 및 안전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시내버스 손잡이는 버스 실내 천장에 원형 타입의 손잡이를 피륙밸트에 걸어 널어 뜨려서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철파이프에 비닐코팅을 한 것으로서 앞에서 뒤로 길게 부착하여 주로 신장이 큰 승객들이 이용하고 있으나, 파이프의 직경이 작고 파이프를 감싼 P.V.C 코팅이 경질되어서 표면이 딱딱하고 원형으로 되어 있어 장시간 잡고 있을 시 손에 통증은 물론 피로가 쉽게 쌓이며, 특히 하절기 사용시에는 체내에서 배어 나오는 땀으로 인하여 불쾌할 뿐만 아니라 미끌림 현상을 일으켜 몸의 균형 유지를 저해하기도 하였으며, 또 손잡이를 잡은 손바닥과 손가락 마디가 형성하고 있는 모양은 원형이 아니기 때문에 고정봉에 접촉하지 않는 부위에서는 힘의 누루 현상이 빚게 되어 몸의 균형 유지 및 안전도 확보를 위한 장력(掌力)이 추가 소요되므로 손잡이를 잡는 힘은 자연적으로 손과 팔이 쉬 피로해지게 되고 피륙밸트에 원형 손잡이를 걸어 고정봉에 체결하여 된 것은 전후 좌우 자유자재로 흔들리게 되어 주행중 차체의 움직이는 방향으로 흔들리게 되어 이를 잡고 있는 승객들도 각자의 의지와 관계없이 버스의 움직이는 방향으로 흔들리게 될 뿐만 아니라 피륙밸트는 잦은 사용으로 파열이 잘 되며, 파열직전의 상태에서 방치된 채 사용하다 잦은 안전사고가 발생하며, 출고시의 신차에서 폐차시까지 3-6회 가량 교환하여야 되는 등 불편한 점이 많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불편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차내에서 손잡이를 잡았을 때 흔들림을 최소화시킨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국곡부(2)로 된 "L"형 손잡이(1)을 연질 발포성 고무로 표면을 요철(3) 엠보싱 처리하여 이탈방지턱(4)이 부착된 삽입봉(5) 내부와 이동로(6)를 뚫고 고정편(7)을 형성한 안내봉(8) 내부상하에 스프링(9)을 고정하여 동작토록 한 다음 표면이 연질 발포성 고무로 요철(3') 엠보싱 처리된 강화프라스틱 정사각형 고정봉(10)에 일정 간격으로 체결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버스 실내 천장에 정사각형 고정봉(10)을 길게 고정한 다음 일정 간격을 유지시켜 "L"형 손잡이(1) 선단부분이 버스의 창문을 향하게 고정편(7)으로 리벳팅하여 고정사용하는 것으로 안내봉(8)을 고정봉(10)에 고정편(7)으로 부착되므로 해서 "L"형 손잡이(1) 전체가 주행중 흔들림이 없고 이를 사용할 때만 삽입봉(5)과 안내봉(8) 내부 상하에 고정된 스프링(9)이 늘어나면서 20cm가량 내려온 고정 상태에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손잡이를 놓으면 스프링(9)의 복원력에 의해 삽입봉(5)이 안내봉(8) 위쪽으로 당겨져 자연적으로 원위치로 올라가게 되는 것으로, "L"형 손잡이(1) 굴곡부(2)는 손의 파지 모양과 같이 편안한 감을 느끼며, 또 연질 발포성 고무로 된 요철(3)은 하절기 때 손바닥의 땀에 의해 미끌어짐을 방지하여 줌은 물론 장시간 잡고 있어도 기공 처리된 부분이 지압의 효과를 줄 수 있어 혈액 순환에도 유익하여 종래에서와 같은 피로도 및 통증을 훨씬 경감시킬 수 있으며, 손잡이(1)의 삽입봉(5)이 저면으로 당겨져도 삽입봉에 부착된 이탈방지턱(4)이 이동로(6)의 끝단부에 걸려서 빠지지 않게 되었으며, 또 정사각형 고정봉(10)은 손으로 고정봉을 잡을 때 손측면 파지모양과 비슷할 뿐만 아니라 연질발포성 고무로써 요철(3') 엠보싱 처리하였으므로 피로도를 한층 덜어주는 고안인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종래 것에 비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손잡이 표층이 연질 발포성 고무로 감싸져 요철처리(엠보싱)가 되어 있어 손잡이를 잡고 있는 동안에 미끄럼 현상이나 손과 손잡이에 땀이 차지 않으며, "L"형 손잡이의 우 상단부위가 천개되어 있으므로 손잡이를 잡을 때 쉽게 잡을 수 있는 특징이 있는 실용적이고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굴곡부(2)로 된 "L"형 손잡이(1)을 연질 발포성 고무로 표면을 요철(3) 엠보싱 처리하여 이탈방지턱(4)이 부착된 삽입봉(5) 내부와 이동로(6)를 뚫고 고정편(7)을 부착한 안내봉(8) 내부 상하에 스프링(9)을 고정하여 동작토록 한 다음 표면이 연질 발포성 고무로 요철(3') 엠보싱 처리된 강화프라스틱 정사각형 고정봉(10)에 일정 간격으로 체결하여서 된 버스 고정봉 및 안전손잡이.
KR2019870008070U 1987-05-22 1987-05-22 버스고정봉 및 안전손잡이 KR9000030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8070U KR900003047Y1 (ko) 1987-05-22 1987-05-22 버스고정봉 및 안전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8070U KR900003047Y1 (ko) 1987-05-22 1987-05-22 버스고정봉 및 안전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1686U KR880021686U (ko) 1988-12-14
KR900003047Y1 true KR900003047Y1 (ko) 1990-04-12

Family

ID=19263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8070U KR900003047Y1 (ko) 1987-05-22 1987-05-22 버스고정봉 및 안전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304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1610A (ko) * 2005-05-04 2005-06-01 길윤성 손목을 보호하는 버스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1686U (ko) 1988-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2885A (en) Implement holding cuff
US3237939A (en) Baby walking aid
US3564616A (en) Safety device
US5327918A (en) Manicuring aid for infants and toddlers
KR900003047Y1 (ko) 버스고정봉 및 안전손잡이
US4328733A (en) Slide bar holder device for Hawaiian guitar
JP2003047671A (ja) フィットネス用具
US3734049A (en) Handle structure
US3016547A (en) Bathtub attachments
KR100695977B1 (ko) 집필 교정구
US3140496A (en) Bath tub grip
JP3001698U (ja) 手 摺
KR20200064763A (ko) 수영 보조 기구
JPH065813Y2 (ja) 押引運動棒
JP2006340790A (ja) 健康器具
JPS5912919Y2 (ja) 手袋係着具
JP2576128Y2 (ja) 車両用手掛け
JP2001346855A (ja) リハビリ用ボール
JPS6343199Y2 (ko)
JP2571025Y2 (ja) 剣道における小手の吸汗具
JPH0247983Y2 (ko)
JP2000240249A (ja) 手すり
JP3131382U (ja) 脇当部および把持部に低反発素材を使用した松葉杖
JPH0733771U (ja) 乗物用ハンドル構造体
JP3019296U (ja) 整体健康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