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943B1 - 엔진밸브의 개폐타이밍 가변용 장치 - Google Patents

엔진밸브의 개폐타이밍 가변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943B1
KR900002943B1 KR1019870014044A KR870014044A KR900002943B1 KR 900002943 B1 KR900002943 B1 KR 900002943B1 KR 1019870014044 A KR1019870014044 A KR 1019870014044A KR 870014044 A KR870014044 A KR 870014044A KR 900002943 B1 KR900002943 B1 KR 900002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ular
hub
entry
opening
engin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4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7902A (ko
Inventor
햅프톤 케이스
Original Assignee
이턴 코오포레이숀
프랑크 엠.사죠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턴 코오포레이숀, 프랑크 엠.사죠백 filed Critical 이턴 코오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880007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7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5/00Gearings or mechanisms with other special functional features
    • F16H35/008Gearings or mechanisms with other special functional features for variation of rotational phase relationship, e.g.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input and output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01L1/34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 F01L1/34403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using helically teethed sleeve or gear moving axially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 F01L1/34406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using helically teethed sleeve or gear moving axially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the helically teethed sleeve being located in the camshaft driving pulle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엔진밸브의 개폐타이밍 가변용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부절개 종단면도.
제 2 도는, 제 2a 도 및 제 2b 도는 각각 진입부, 허브(hub), 스프로킷부(sprocket member)에 대한 평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부 절개 종단면도.
제 4 도는 제 1 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되는 전자제어회로에 대한 블록도.
제 5 도는 진입부, 허브, 스프로킷부에 대한 일부 측면도.
제 6 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부 절개 종단면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부 절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실린더헤드 13 : 캠축
15 : 스프로킷부 17 : 허부
19 : 파아스너 20 : 원통형 단부
21 : 수나사 22 : 암나사
24 : 환형진입부 25 : 베어링
26 : 축상연장홈 27 : 축상연장돌기
30 : 방사부 33 : 경사진 측벽
35 : 경사진 홈 36 : 환형지연기
37,38 : 경사진 환형작용면 39 : 탭부
40 : 코일 42 : 체인덮개
43 : 요우크 52 : R-S 플립플롭 장치
53 : 비교기 54 : 컴퓨터
본 발명은 내연기관에 있어서, 엔진벨브의 개폐타이밍을 가변시키기 위해 크랭크축에 대한 캠축의 각변위를 가변 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크랭크축에 대한 캠축의 각도를 다양하게 가변시키고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내연기관에 있어 캠축과 크랭크축은 톰니벨트 또는 체인으로 연결되어 연동하게 된다. 따라서 밸브의 개폐에 따르는 크랭크축과 캠축간의 위상 및 중첩각이 일정하다. 그러나 이러한 캠축과 크랭크축간의 위상에 따른 밸크개패의 최상타이밍은 엔진속도, 부하 및 토오크 등에 따라 가변한다. 따라서 밸브개폐의 최상 타이밍을 제공하기 위한 종래의 장치가 다음과 같이 제시된 바 있다. 즉, 미합중국특허 제3,626,720으로서 캠축과 크랭크축간의 위상을 피스톤밸브로서 조정하여 가변시키기 위해서 핼리컬 보올 스플라인을 구비한 장치가 제시되었고, 미합중국특허 제4,302,985로서 캠축과 크랭크 축간의 위상을 스프링으로 조절하여 가변시키기 위해 나선홈과 궤도 기둥을 구비한 장치가 제시되었으며, 미합중국특허 제4,305,352로서 위엄기어에 의해 캠축과 크랭크축간의 위상을 조절하기 위해 유성기어열을 구비하는 캠축조절장치가 제시되었고, 미합중국특허 제4,481,912로서 외부의 전기모우터로서 조절되는 나선안내부를 구비한 장치가 제시되었다. 또한, 미합중국 특허 제4,535,731로 전자석에 의해 동작하는 슬라이드밸브에 의해서 캠축을 유압적으로 동작하게 하고 타이밍을 조절하는 장치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외부모우터나 피스톤 및 슬라이드밸브 등으로 캠축과 크랭크축간의 위상을 조정하는 이러한 종래의 장치들은 조정할 수 있는 위상의 한개성과 장치의 부피 및 장치 배치상의 문제때문에 내연엔지의 캠축과 크랭크축간의 위상을 조절하는 장치로서 부적절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크랭크축에 대한 캠축의 각변위를 무수히 가변시킬 수 있고, 소형이며 현대차량의 엔진, 특히 횡적으로 설치되는 엔진의 구획상 제한된 공간내에 적합하게 수용될 수 있는 개선된 엔진밸브의 개폐타이밍 가변장치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회전성 지연기를 가동하여 진입장치에 지연토오크를 인가함으로서 내연기관의 크랭크축에 대한 캠축의 각변위를 정밀하게 조정하여 밸브개폐의 타이밍을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 있는 개선된 장치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과 이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확히 인지될 수 있을 것이다.
제 1 도에 있어서, 내연 기관의 실린더헤드(10)는 단편적으로 도시되었다. 여기서 실린더헤드(10)는 캠축(13)의 저어널(12)을 지지하는 베어링(11)을 포함한다. 캠축(13)에는 엔진실린더안으로 연료와 공기를 흡입하고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흡입밸브와 배기밸브를 가동시키는 캠(14)이 마련된다. 캠축(13)은 톱니밸트 또는 체인에 의해서 크랭크축과 동기적으로 연동하는데 톱니밸트 또는 체인은 캠축(13)의 단부에 부착되는 스프로킷부(15)에 접속되어 구동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밸브개폐타이밍 가변장치(16)는 캠축(13)의 단부에 형성한 구멍에 나사 삽입되는 파아스너(19)에 의해 캠축(13)의 단부(18)에 부착되는 허브(17)를 구비한다. 허브(17)의 원통형단부(20)에는 약 1/2인치의 피치를 가지는 수나사(21)가 형성된다.
수나사(21)는 전입환(23)에 마련되는 암나사(22)와 결합된다. 따라서 허브(17)가 1회전하면, 허브(17)와 나사 결합된 진입환(23)은 약 1/2인치 축상이동한다. 진입환(23)의 외부표면에는 베어링(25)을 사이에 두고 환형진입부(2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진입환(23)과 환형진입부(24)간에는 회전운동만 허용되고, 축상이동은 허용되지 않는다.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환형진입부(24)는 외경부에 다수의 축상연장홈(26)이 형성되어 있고, 이 축상연장홈(26)은 허브(17)의 방사부(30)로부터 축상 연장되는 플랜지(29)의 방사형 내측면(28)에 형성된 축상연장돌기(27)와 접속된다. 축상연장홈(26)과 축상연장돌기(27)간의 접속에 의해서 환형진입부(24)는 허브(17)에 대해서 회전운동할 수 없게 되고, 축상이동만이 허용된다. 스프로킷부(15)와 플랜지(29)사이에 베어링(31)을 삽입함으로서, 스프로킷부(15)는 허브(17)에 대해서 회전운동 할 수 있게 설치된다.
스프로킷부(15)의 방사형 내측벽(34)상에는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방사형 내측벽(34)에 대하여 경사지게 축상연장되는 경사진 측벽(33)을 구비하는 돌기(32)가 마련된다. 돌기(32)의 경사진 측벽(33)은 환형 진입부(24)의 외경부에 형성되는 경사진홈(35)과 접속된다. 경사진 홈(35)들도 등간격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환형진입부(24)의 외경상에 축상연장홈(26)과 교대로 형성된다. 따라서 환형진입부(24)가 축상 이동하면, 환형진입부(24)의 경사진 홈(35)이 스프로킷부(15)의 경사진 돌기(32)와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로킷부(15)가 허브(17)에 대하여 회전운동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인진할 수 있는 바와같이 허브(17) 및 캠축(13)에 대한 스프로킷부(15)의 각 변위량은 환형진입부(24)의 축상변위량에 직접적으로 비례하고, 진입환(23)이 암수나사(22), (21)를 따라서 축상이동됨으로서 환형진입부(24)도 축상이동된다. 여기서 진입환(23)이 축상이동하는 것은 지연토오크 또는 차단토오크를 진입환(23)에 인가하기 때문이다. 즉, 엔진이 가동되면 진입환(23)은 허브(17) 및 캠축(13)과 함께 회전한다.
이때 진입환(23)에게 지연력을 인가하여 진입환(23)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고 허브(17)를 더 고속으로 회전시키면 진입환(23)은 암수나사(22), (21)를 따라서 축상 이동한다. 여기서 진입환(23)에게 인가되는 지연력 또는 차단력은 진입환(23)과 인접하여 허브(17)의 원통형부(20)에 설치되는 환형지연기(36)에 의해 인가된다. 환형지연기(36)의 경사진 환형 작용면(37)은 진입환(23)에 형성되는 경사진 환형작용면(38)에 대하여 삽탈한다. 환형지연기(36)에는 실린더헤드(10)에 적당히 고정되며, 가용성이고,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탭부(39)가 마련된다. 이 탭부(39)는 가용성을 가지고 있어서 환형지연기(36)의 제한된 축상이동은 허용하지만 환형지연기(36)가 회전하는 것은 허용하지 않는다. 환형지연기(36)는 기계적으로 유압력으로 또는 전기력으로 작동되어 축상이동되고 따라서 경사진 환형작용면(37) 및 (38)은 마찰접속되거나 밀착됨으로서 저어널(12)을 통하여 오일펌프에 의해 분사된 엔진오일의 점성 전단응력이 지연력으로 작용한다. 특히 양호하게는 환형지연기(36)을 코일(40)에 의해 전기적으로 작동시킴으로서 전자석이 되게 하면 환형지연기(36)는 자력에 의해서 진입환(23)쪽으로 끌려오게 되고, 따라서 경사진 환형작용면(37) 및 (38)간의 거리가 밀착됨으로서 경사진 환형작용면(37) 및 (38)간의 엔진오일의 점성전단응력이 커지고, 따라서 진입환(23)에게 충분한 지연력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전기도선(41)은 탭부(39)내에 삽입하거나 부착하며, 코일(40)과 연결된다. 따라서 전기도선(41)은 탭부(39)와 동일선상에서 연장되며, 체인덮개(42)를 관통연장되어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고, 이 전기도선(41)을 통하여 코일(40)로 전류가 유입되어 코일(40)이 자화된다. 지연력의 인가방법은 경사진 환형 작용면(37)과 (38)간에 있는 엔진오일의 점성전단응력을 이용하는 것 이외에 기계적 마찰력을 이용하여 진입환(23)에 인가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서, 경사진 환형작용면(37) 및 (38)중의 한면에 마찰차단물질을 도포한후에 환형지연기(36)를 기계적으로 축상이동시키면 경사진 환형작용면(37)과 (38)은 서로 접속되어 지연력이 발생됨으로서 허브(17)에 대한 진입환(23)의 회전속도를 지연시키게 되고, 따라서 진입환(23)은 수나사(21)를 따라서 축상 이동하게 된다. 또한, 환형지연기(36)의 경사진 환형작용면(37)을 진입환(23)의 경사진 환형작용면(38)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코일(40)의 자력을 이용하는 방법대신에 요우크(43)를 환형지연기(36)에 접속하고,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덮개(42)의 외부에 위치하는 적당한 장치에 의해서 요우크(43)를 가동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제 3 도에서 요우크(43)는 피보트(44)를 축으로 하고, 요우크아암(45)은 피보트(44)로부터 방사상 연장하는 형태이다.
적절한 유압가동기 또는 기계적 가동기(46)는 체인덮개(42)의 외부에 위치하며, 한쪽은 가동기(46)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체인덮개(42)를 관통 연장하여 요우크아암(45)에 접속되어 있는 링크(47)를 가동시킨다.
따라서 요우크(43)가 종등하고, 경사진 환형작용면(37), (38)은 밀착된다. 제 3 도의 실시예에 있어 또 하나의 특징적인 점은 스프로킷부(15)와 허브(17)에 각각 양단부를 고정시키는 스프링(48)이 마련된다는 것이다. 이 스프링(48)은 환형지연기(36)에 의해 인가되는 토오크의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스프로킷부(15)에 탄성력을 인가하며, 이 탄성력의 크기는 지연력보다는 작다.
이 스프링(48)의 기능은 환형지연기(36)와 스프로킷부(15)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제 6 도 및 제 7 도에 도시하였으며, 여기서 제 1 도 내지 제 5 도의 부품과 동일 부품은 동일부호로서 표시하였다. 제 6 도에 있어서, 수나사(21)는 환형진입부(24)에 암나사(22)는 진입환(23)에 각각 형성된다. 진입환(23)은 환형이며, U자형 단면을 취하고, 외부원통형면(25)에 암나사(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암나사(22)는 환형진입부(24)의 방사형 내측면에 형성된 수나사(21)와 접속된다.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환형진입부(24)의 외경부에는 제 2 도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직선홈, 즉 축상연장홈(26) 및 경사진 홈(35)들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축상연장홈(26)은 플랜지(29)의 내측면(28)에 형성된 직선돌기, 즉 축상연장돌기(27)와 접속되고, 경사진 홈(35)은 경사진 돌기(32)와 접속된다. 따라서, 환형진입부(24)의 축상이동은 상기한 바와같이 허브(17)의 플랜지(29)에 대한 스프로킷부(15)의 각변위로 변환된다.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진입환(23)의 허브(77)에 대한 축상이동은 허브(17)에 가압고정된 제한기(59)에 의해서 제한된다.
제한기(59)에는 경사진 턱(62)내로 삽입되는 경사진 플랜지(61)가 형성된다. 진입환(23)의 반대쪽 단부에는 환형턱(63)이 마련되어 허브(17)의 방사부(30)와 밀착한다. 따라서 진입환(23)이 허브(17)에 대해서 회전가능하지만 축상이동하지 못하도록 환형턱(63)과 방사부(30)간 및 제한기(59)와 경사진 턱(62)간에 충분한 여유를 두도록 한다.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환형지연기(36)는 코일(40)과 L자형 단면을 가지는 전기자(65)를 구비한다. 환형지연기(36)는 U자형 단면형태를 가지는 진입환(23)의 환형공간내에 배치되고, 전기자(65)의 외경부(66)는 진입환(23)에 형성된 환형홈(67)내로 삽입된다. 환형지연기(36)는 한쌍의 패드(68) 및 (69)에 의해서 체인덮개(42)에 고정된다. 패드(68) 및 (69)는 원형이며, 패드(68)는 전기자(65)에 접착되고, 패드(69)는 체인덮개(42)의 인접부(70)에 접착된다.
물론 전기도선(41)이 코일(40)에 접속되어 체인덮개(42)를 관통하여 연장되고 제 4 도에 도시한 코일구동기(58)에 전기적 접속된다.
제 7 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제 7 도에 있어서, 밸브개폐타이밍 가변장치(16)는 제 1 도 내지 제 6 도의 실시예의 밸브개폐타이밍 가변장치(16)와 반대로 배치되었다. 따라서 허브(17)의 방사부(30)는 체인덮개(42)의 인접부(70)와 환형지연기(36)간에 설치된다. 또한, 전기자(65)와 제한기(59)도 체인덮개(42)의 인접부(70)에 인접하는 대신 단부덮개(42a)에 인접한다. 전기도선(41)은 코일(40)에 접속되어 단부덮개(42a)를 관통 연장하여 제 4 도에 도시한 코일구동기(58)에 전기 접속된다.
제 7 도의 실시예에서 환형지연기(36)는 전기도선(41)에 의하여 진입환(23)에 대해서 회전운동하는 것이 방지되며, 제한기(59)의 방사형 외경부에 환형연장부(71)를 설치함으로서 축상이동도 방지된다. 환형연장부(71)는 또는 전기자(65)의 방사형 내측면에 형성된 동일형태의 환형턱(72)내에 삽입된다. U자형 단면형태를 가지는 진입환(23)은 허브(17)에 가압 고정되는 제한기(59)에 의해서 축상이동이 금지되지만, 환형턱(63)과 방사부(30)간의 여유와 제한기(59)와 진입환(23)간의 여유때문에 회전이동은 자유로이 할 수 있다. 물론 단부덮개(42a)를 관통 연장하여 전기자(65)내로 삽입되는 가요성 파아스너 같은 다른 적당한 장치를 환형지연기(36)가 진입환(23)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제 6 도와 제 7 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엔진이 가동하면, 진입환(23)은 스프로킷부(15), 허브(17) 및 캠축(13)과 하나의 장치와 같이 회전하게 된다. 제 6 도 및 제 7 도에 도시한 코일(40)에 전류를 유입시키면 환형지연기(36)와 진입환(23)간에 자기력이 발생되어 진입환(23)의 회전속도는 감속되어 지연되고, 허브(17)는 더욱 급속히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환형진입부(24)는 암수나사(22) 및 (21)를 따라서 축상 이동한다. 이러한 환형진입부(24)의 축상이동에 의해서 스프로킷부(15)는 허브(17)에 대해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제 4 도에 도시된 귀환 제어회로는 코일(40)을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스프로킷부(15)를 캠축(13)에 대하여 바람직한 각도만큼 변위시키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제 4 도의 제1전자기센서(49)는 진입환(23)위에 설치되어 진입환(23)의 물리적 불연속성을 검별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진입환(23)이 영진입상태에서 전진입상태로 이동하는 1회전에 대해서 약 3/4만큼 회전하면, 제1전자기센서(49)에서 발생되는 신호(A)에 서 270°의 위상천이가 일어나게 된다.
한편, 제2전자기센서(51)는 체인덮개(42)위에 설치되어 허브(17)의 물리적 불연속성을 검별하여 신호(B)를 발출한다. 따라서 전자기센서(49) 및 (51)로부터의 신호(A) 및 (B)는 R-S플립플롭장치(52)로 공급되고, R-S플립플롭장치(52)는 출력신호(C)를 발생시켜서 비교기(53)에게 공급한다.
한편, 엔진 컴퓨터(54)에 의해서 발생되어 비교기(53)의 다른 입력으로 공급되는 신호(D)는 바람직한 진입환(23)의 진입위상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물론, 신호(B)도 제 2 전자기센서(51)대신에 엔진컴퓨터(54)에 의해서 발생시킬 수 있다. 비교기(53)는 에러신호(E)를 출력하며, 이 신호는 필터(55)에 공급되어 여파된 후 제어장치(56)를 경유하여 변환기(57)에게 공급된다.
따라서 변환기(57)의 출력신호는 코일(40)에 연결된 코일구동기(58)를 구동한다. 신호(C)는 펄스폭신호로서, 진입환(23)의 실위치, 즉 캠축(13)과 스프로킷부(15)간의 각도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따라서 에러신호(C)는 진입환(23)의 실위치와 바람직한 위치간의 차이를 표시하게 되고, 따라서 캠축(13)과 스프로킷부(15)의 각 변위가 진행되어 신호(D)와 신호(C)가 동일할때의 각도인 바람직한 각도가 됨으로서 에러신호(E)가 0에 도달할 때까지 코일가동기(58)의 출력신호는 계속 발출된다.

Claims (19)

  1. 허브(17)와 허브(17)를 캠축(13)에 부착시키는 파아스너(19)와 상기 허브(17)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프로킷부(15)와 스프로킷부(15)를 크랭크축과 구동 접속시키는 장치, 환형진입부(24) 및 상기 환형진입부(24)와 허브(17)를 상호 연결하여 환형진입부(24)를 허브(17)에 대하여 제한된 축상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는 축상연장홈(26) 및 축상연장돌기(27)와 환형진입부(24)와 스프로킷부(15)를 상호 연결하며 환형진입부(24)를 축상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스프로킷부(15)를 허브(17)에 대하여 제한된 회전을 하게 하는 경사진 홈(35) 및 경사진 측벽(33)등으로 구성되며, 내연엔진의 크랭크축에 대하여 캠축(13)을 각변위시킴으로서 엔진의 개폐타이밍을 가변시키는 장치는 상기 허브(17)위에 설치되며 자신위에 환형진입부(24)를 설치하는 진입환(23)과 진입환(23)이 허브(17)에 대해서 제한된 회전을 할때 상기 환형진입부(24)를 허브(17)에 대해서 축상 이동시키는 용도로 진입환(23)에 형성되는 암수나사(22) 및 (21)와 가동시에 상기 진입환(23)에게 지연력을 인가하여 허브(17)에 대한 진입환(23)의 회전운동을 제한하고 환형진입부(24)를 허브(17)에 대하여 축상 이동시킴으로서 스프로킷부(15)가 허브(17)에 대해서 제한된 각변위를 시행하도록 하는 환형지연기(36)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밸브의 개폐타이밍 가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엔진밸브의 개폐타이밍 가변장치는 환형지연기(36)가 상기 진입환(23)에게 일정량의 지연력을 인가함으로서 환형진입부(24)가 일정거리를 축상 이동하게 하여 크랭크축에 대하여 캠축(13)을 일정각도만큼 각변위시키도록 환형지연기(36)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밸브의 개폐타이밍 가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엔진밸브의 개폐타이밍 가변장치는 진입환(23)을 환형진입부(24)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베어링(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밸브의 개폐타이밍 가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환형지연기(36)에 형성되는 경사진 환형작용면(37)은 이와 대향하며 진입환(23)에 형성되는 경사진 환형작용면(38)쪽으로 축상 이동가능하고, 환형지연기(36)의 경사진 환형작용면(37)을 진입환(23)에 형성된 경사진 환형작용면(38)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용도로 코일(40)을 엔진밸브의 개폐타이밍 가변장치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밸브의 개폐타이밍 가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서로 대향되게 마련되는 경사진 환형작용면(38), (37)간에는 엔진오일이 마련되고, 이 엔진오일의 점성전단응력에 의하여 환형지연기(36)의 지연력이 진입환(23)에게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밸브의 개폐타이밍 가변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경사진 환형작용면(37), (38)은 환형지연기(36)가 가동되었을때 서로 마찰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밸브의 개폐타이밍 가변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원주상에 서로 이격되어 다수 마련되는 축상 연장돌기(27)는 허브(17)에 형성되어 환형진입부(24)에 마련되는 축상연장홈(26)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밸브의 개폐타이밍 가변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허브(17)는 플랜지(29)를 허브(17)에 연결시켜 주는 방사부(30)를 구비하며, 축상 연장돌기(27)는 플랜지(29)에 형성되고, 축상연장홈(26)은 상기 환형진입부(24)의 외경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밸브의 개폐타이밍 가변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경사진 측벽(33)은 스프로킷부(15)의 원주상에 경사진 형태로 서로 이격되게 다수 형성된 돌기(32)의 측벽으로서, 상기 경사진 측벽(33)이 상기 환형진입부(24)에 형성된 경사진 홈(35)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밸브의 개폐타이밍 가변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32)는 환형진입부(24)로부터 축상 연장된 플랜지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밸브의 개폐타이밍 가변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환형진입부(24)는 허브(17)에 형성된 축상연장돌기(27)와 접속되는 축상연장홈(2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밸브의 개폐타이밍 가변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축상연장홈(26)은 환형진입부(24)의 외경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밸브의 개폐타이밍 가변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수나사(21)는 허브(17)의 원통형 단부(20)에 형성되고, 암나사(22)는 진입환(23)의 내경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밸브의 개폐타이밍 가변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허브(17)의 원통형단부(20)의 축상길이는 허브(17)를 부착하는 캠축(13)의 직경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밸브의 개폐타이밍 가변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환형지연기(36)는 전류가 유입되면 전자기력을 발생하여 환형지연기(36)로 하여금 진입환(23)에게 지연력을 인가하도록 하는 코일(40)에 의해 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밸브의 개폐타이밍 가변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환형지연기(36)는 환형지연기(36)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실린더헤드(10)에 고정되는 단부에서 종결되는 형태의 가용성 탭부(39)에 의해서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밸브의 개폐타이밍 가변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환형지연기(36)를 실린더헤드(10)에 대해서 회전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용도로 탭부(39)이외에 요우크(43)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밸브의 개폐타이밍 가변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환형지연기(36)를 실린더헤드(10)에 대해서 회전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탭부(39)는 스프로킷부(15)를 덮는 체인덮개(42)에 파아스너 장치로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밸브의 개폐타이밍 가변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코일(40)은 궤환 제어회로에서 출력된 에러신호(E)에 의해 자화되며, 궤환 제어회로는 크랭크축에 대한 스프로킷부(15)의 실제위상각을 표시하는 신호(C)를 감지하고 발생하는 R-S 플립플롭장치(52)과 크랭크축에 대한 스프로킷부(15)의 요망 위상각을 표시하는 신호(D)를 발출하는 컴퓨터(54)와 상기 신호(C)와 신호(D)를 입력하여 에러신호(E)를 출력하는 비교기(53)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밸브의 개폐타이밍 가변장치.
KR1019870014044A 1986-12-09 1987-12-09 엔진밸브의 개폐타이밍 가변용 장치 KR9000029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3958786A 1986-12-09 1986-12-09
US939,587 1986-12-09
US939587 1986-12-09
US73598 1987-07-13
US07/073,598 US4754727A (en) 1986-12-09 1987-07-13 Device for varying engine valve tim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902A KR880007902A (ko) 1988-08-29
KR900002943B1 true KR900002943B1 (ko) 1990-05-03

Family

ID=26754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4044A KR900002943B1 (ko) 1986-12-09 1987-12-09 엔진밸브의 개폐타이밍 가변용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754727A (ko)
EP (1) EP0274019B1 (ko)
JP (1) JP2608077B2 (ko)
KR (1) KR900002943B1 (ko)
CA (1) CA1294500C (ko)
DE (1) DE3772022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1924A (en) * 1988-08-18 1989-06-27 Eaton Corporation Sealed camshaft phase change device
DE3830382C1 (ko) * 1988-09-07 1990-01-18 Daimler-Benz Aktiengesellschaft, 7000 Stuttgart, De
JPH0528321Y2 (ko) * 1988-09-30 1993-07-21
EP0363600B1 (de) * 1988-10-13 1992-07-2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Patentabteilung AJ-3 Vorrichtung zur Winkelverstellung einer Nockenwelle
GB2224093A (en) * 1988-10-20 1990-04-25 Ford Motor Co Actuating system for a phase change mechanism
US4967701A (en) * 1989-01-12 1990-11-06 Nippondenso Co., Ltd. Valve timing adjuster
AU5181490A (en) * 1989-03-15 1990-10-09 Ford Motor Co. Phase change mechanism
US4928640A (en) * 1989-07-20 1990-05-29 Siemens-Bendix Automotive Electronics L.P. Autocalibration of camshaft phasing feedback in a variable valve timing system
US5163872A (en) * 1989-10-10 1992-11-17 General Motors Corporation Compact camshaft phasing drive
US5119691A (en) * 1989-10-10 1992-06-09 General Motors Corporation Hydraulic phasers and valve means therefor
US5129370A (en) * 1989-12-25 1992-07-14 Atsugi Unisia Corporation Valve timing control device for automotive internal combustion engine clutch mechanism
US4976229A (en) * 1990-02-12 1990-12-11 Siemens Automotive L.P. Engine camshaft phasing
US5031585A (en) * 1990-05-07 1991-07-16 Eaton Corporation Electromagnetic brake for a camshaft phase change device
US5095857A (en) * 1990-07-17 1992-03-17 Eaton Corporation Self actuator for cam phasers
US5040651A (en) * 1990-07-17 1991-08-20 Eaton Corporation Self actuator for cam phaser with sprag clutch
JPH0486310A (ja) * 1990-07-31 1992-03-18 Atsugi Unisia Corp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GB2246834A (en) * 1990-08-11 1992-02-12 Ford Motor Co Variable valve timing
DE4027631C1 (ko) * 1990-08-31 1991-09-19 Dr.Ing.H.C. F. Porsche Ag, 7000 Stuttgart, De
US5078647A (en) * 1990-09-19 1992-01-07 Eaton Corporation Camshaft phase change device with roller clutches
US5205248A (en) * 1990-11-16 1993-04-27 Atsugi Unisia Corp. Intake- and/or exhaust-valve timing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H04350311A (ja) * 1990-12-28 1992-12-04 Atsugi Unisia Corp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3076390B2 (ja) * 1991-03-26 2000-08-14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カム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2905612B2 (ja) * 1991-03-28 1999-06-14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US5097804A (en) * 1991-04-18 1992-03-24 Eaton Corporation Phase change device
US5179918A (en) * 1991-06-26 1993-01-19 Gyurovits John S Timing-range gear
US5219313A (en) * 1991-10-11 1993-06-15 Eaton Corporation Camshaft phase change device
US5152263A (en) * 1991-10-11 1992-10-06 Eaton Corporation Bearing and retention apparatus for a camshaft phase change device
US5172661A (en) * 1992-03-20 1992-12-22 Eaton Corporation Variable cam phasing device
GB2268245A (en) * 1992-06-20 1994-01-05 Ford Motor Co Phase change mechanism having latching means for arresting an inertial member
US5326321A (en) * 1992-06-25 1994-07-05 Chang Ping Lung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the instantaneous relative angular difference between two rotating members
US5235939A (en) * 1992-11-05 1993-08-17 Ford Motor Company Automotive engine torsional pulse enhancer
JP3392514B2 (ja) * 1993-05-10 2003-03-31 日鍛バルブ株式会社 エンジン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US5417186A (en) * 1993-06-28 1995-05-23 Clemson University Dual-acting apparatus for variable valve timing and the like
US5305719A (en) * 1993-07-06 1994-04-26 Ford Motor Company Engine camshaft deactivation mechanism
US5297508A (en) * 1993-07-06 1994-03-29 Ford Motor Company Variable camshaft drive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29517755U1 (de) * 1995-11-09 1997-03-13 Fev Motorentech Gmbh & Co Kg Verstelleinrichtung für einen nockengesteuerten Ventilbetrieb an einer Kolbenbrennkraftmaschine
US5803030A (en) * 1997-01-10 1998-09-08 Cole; Kenneth Wade Phase adjustable cam drive
JP3911982B2 (ja) * 2000-09-25 2007-05-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装置
KR20020049229A (ko) * 2000-12-19 2002-06-26 이계안 가변 밸브 타이밍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960917B2 (ja) 2001-01-29 2007-08-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4657500B2 (ja) * 2001-06-15 2011-03-23 日鍛バルブ株式会社 自動車用エンジンにおける位相可変装置の電磁ブレーキ冷却構造
JP3943892B2 (ja) * 2001-06-19 2007-07-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回転制御装置及び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3917833B2 (ja) * 2001-08-15 2007-05-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GB2382858A (en) * 2001-12-07 2003-06-11 Mechadyne Plc Camshaft phase shifting mechanism
DE10207760B4 (de) * 2002-02-23 2019-10-3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orrichtung zum lösbaren Verbinden und Verstellen zweier zueinander drehwinkelverstellbarer Wellen
DE10242659A1 (de) 2002-09-13 2004-03-18 Aft Atlas Fahrzeugtechnik Gmbh Steuer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Verstellen des Verhältnisses der Wirkelgeschwindigkeiten zwischen Nocken und Kurbelwelle
WO2006047099A2 (en) 2004-10-26 2006-05-04 George Louie Continuously variable valve timing device
US20070056538A1 (en) * 2005-09-13 2007-03-15 Borgwarner Inc. Electronic lock for VCT phaser
US7540267B1 (en) * 2007-11-20 2009-06-02 Honda Motor Company, Ltd. Engines with variable valve actuation and vehicles including the same
US7866292B2 (en) * 2008-03-26 2011-01-11 AES Industrie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inuous variable valve timing
DE102008043671A1 (de) * 2008-11-12 2010-05-20 Zf Friedrichshafen Ag Verstellsystem für Nockenwellen einer Brennkraftmaschine
US9133735B2 (en) 2013-03-15 2015-09-15 Kohler Co. Variable valve timing apparatu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corporating the same
CN114190998B (zh) * 2021-11-17 2023-07-28 重庆市人民医院 一种妇科用刮宫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29012A (en) * 1939-05-19 1940-11-12 Herbert Lorenzo Dunca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ontrol mechanis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3827413A (en) * 1973-03-02 1974-08-06 Eaton Corp Timing control system
US4091776A (en) * 1974-04-04 1978-05-30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Fluid actuated timing mechanism
JPS5452218A (en) * 1977-09-30 1979-04-24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Internal-combustion engine
JPS5987214A (ja) * 1982-11-12 1984-05-19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US4545338A (en) * 1984-12-03 1985-10-08 Stephen E. Lawing Cam shaft timing control device
US4708101A (en) * 1984-12-20 1987-11-24 Nissan Motor Co., Ltd. Driving apparatus for intake and exhaust valv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294500C (en) 1992-01-21
EP0274019A1 (en) 1988-07-13
JPS63162910A (ja) 1988-07-06
EP0274019B1 (en) 1991-08-07
DE3772022D1 (de) 1991-09-12
US4754727A (en) 1988-07-05
JP2608077B2 (ja) 1997-05-07
KR880007902A (ko) 1988-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2943B1 (ko) 엔진밸브의 개폐타이밍 가변용 장치
EP0918142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rotational phase
US4841924A (en) Sealed camshaft phase change device
US6276321B1 (en) Cam phaser having a torsional bias spring to offset retarding force of camshaft friction
US4498431A (en) Variable valve-timing apparatus in an internal-combustion engine
EP0558198B1 (en) Camshaft phase change device
EP0558200B1 (en) Camshaft phase change device
US5263442A (en) Valve timing control apparatus
EP2067944B1 (en) Engine valve controller
US5172661A (en) Variable cam phasing device
EP2559868B1 (en) Engine valve controller
JP4027670B2 (ja) 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機構の制御装置
JP2958163B2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4104866B2 (ja) 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機構の制御装置
US7472670B2 (en) Valve timing controller
US20180216503A1 (en) Travel stop for planetary gears of an electric phaser
EP1785597A1 (en) Cam phaser apparatus
JP4297950B2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4109967B2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4008225B2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4109972B2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2003301703A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2008115867A (ja) 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機構の制御装置
JPH04164109A (ja) 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装置
MXPA99000212A (en) Temporization system of combusti inj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