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647Y1 - 지하 통신관로용 마개 - Google Patents

지하 통신관로용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647Y1
KR900002647Y1 KR2019870019150U KR870019150U KR900002647Y1 KR 900002647 Y1 KR900002647 Y1 KR 900002647Y1 KR 2019870019150 U KR2019870019150 U KR 2019870019150U KR 870019150 U KR870019150 U KR 870019150U KR 900002647 Y1 KR900002647 Y1 KR 9000026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fixing plates
underground communication
assembly shaft
outer periph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91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1784U (ko
Inventor
김치선
우종원
Original Assignee
김치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치선 filed Critical 김치선
Priority to KR20198700191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2647Y1/ko
Publication of KR8900117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17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6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6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지하 통신관로용 마개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a,2b,2'a,2'b : 조립축
4 : 팽창실 7 : 고무막
8a,8b,8'a,8'b : 고정판 13a,13b : 와셔
본 고안은 지하에 매설되는 통신케이블 보호용 통신관로내로 침수를 방지하기 위한 지하통신관로용 마개에 관한 것이다.
통신관로의 개구를 폐쇄하여, 외부로부터 물의 침투가 되지 않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834호 공고번호 87-839호에 게제된 바와 같은 지하 통신관로용 마개가 공지되어 있다.
이것은 원통형의 마개몸체 외주에 링형 튜브를 끼워 놓은 구조로 되어있고, 공기주입에 의해 튜브가 팽창하여 관로 내주면과 밀착함으로서, 통신관로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통신관로용 마개는 사용이 간편하고 관로폐쇄의 효과가 양호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그런데, 제조에 있어서 몸체외주에는 튜브가 끼워지고, 그 튜브의 공기주입구를 몸체측방향으로 인출해 내어야 하는 관계로 수공이 많이 들고, 관로폐쇄는 도너츠형태로 팽창하는 튜브에 의해 행해지기 때문에, 관로 내주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좁아서, 가령, 관로 내주면이 평활하지 못한 경우에는 폐쇄 효과가 반감하게 된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조립제작이 수월하고, 관로내주면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킨 지하통신관로용 마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따라, 본 고안은 실패형상의 몸체외주에 고무막을 씌우고, 몸체 상하단에서 고정판을 삽입부착함으로서 내부에 팽창실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몸체(1)은 상하양면 중심에 조립축(2a)(2b)를 일체로 돌출형성하고 있으며, 이들 조립축(2a)(2b)은 선단 외주에 걸림턱(3)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몸체(1)의 외주면은 잘록하게 패여져서 원주방향으로 팽창실(4)를 형성하고 있으며, 내부에는 급기통로(5)가 뚫려져서 통상적인 공기주입용 체크밸브(6)과 연통되어 있다.
몸체(1)의 외주에는 고무막(7)이 씌워진다.
따라서, 전술한 팽창실(4)는 체크밸브(6)를 경유하는 통로외에는, 외부와 완전히 밀폐된다.
고무막(7)은 몸체(1)의 조립축(2a)(2b)주변에 자연히 형성되는 쇼율더로 지지되는 한편, 몸체(1)의 상하측으로 끼워지는 고정판(8a)(8b)에 의해 견고하게 부착된다.
고정판(8a)(8b)는 상호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즉, 중앙에는 전기한 조립축(2a)(2b)로 삽입관통되는 장착공(9)가 뚫려있고, 이 장착공(9)의 내주면에는 전기한 조립축(2a)(2b)의 걸림턱(3)과 맞물리는 단부(1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몸체(1)의 쇼율더측을 감싸는 내측면(11)에는 몸체(1)의 쇼율더에 지지되는 고무막(7)을 견고하게 부착시키기 위한 링상의 융출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제조공정이 몸체(1)에 고무막(7)을 씌우고, 상하측에서 고정판(8a)(8b)를 끼워 붙이면 되는 것으로, 대단히 간편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몸체(1)의 조립축(2a)(2b)로 고정판(8a)(8b)가 강제 삽입되면, 그 선단의 걸림턱(3)이 고정판(8a)(8b)의 융출부(12)가 고무막(7)의 일부분을 눌러 잡아서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해준다.
물론, 제조에 있어서 필요하다면 몸체(1)과 고정판(8a)(8b)사이에 접착제를 칠하여 보다 긴밀하게 부착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몸체(1)에 (8a)(8b)를 끼워붙이는 구조로 예시하고 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2 도의 도시와 같이 변형할 수도 있다.
제 2 도는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몸체(1)의 조립축(2'a)(2'b)는 외주에 나사를 성형하고 있으며, 고정판(8'a)(8'b)는 와셔(13)를 개재하여 전기한 조립축(2'a)(2'b)로 나사부착 되어져 조합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고무막(7)과 와셔(13)의 접촉면에 접착제를 칠하여 고착시킬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제조에 있어서 조립수공이 용이하고, 또한 몸체(1)의 외주면은 거의 전체가 고무막(7)로 덮여지는 팽창실(4)를 형성하고 있어서, 통신관로의 내면과 접촉되는 면적이 넓으므로, 관로의 내주면이 비평활 하여도 폐쇄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공기주입에 의해 팽창되어 관로를 폐쇄시키도록 구성한 지하 통신관용 마개에있어성, 외주에 고무막(7)이 뒤덮힌 팽창실(4)를 보유하고, 측방향 양측으로 조립축(2a)(2b)를 돌출형성한 몸체(1)과, 이 몸체(1)의 조립축(2a)(2b)로 끼워붙이는 한쌍의 고정판(8a)(8b)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통신관용 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몸체(1)의 조립축(2'a)(2'b)는 외주에 나사를 보유하고, 고정판(8'a)(8'b)가 각각 와셔(13a)(13b)를 개재하여 전기한 조립축(2'a)(2'b)로 나사부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통신관로용 마개.
KR2019870019150U 1987-11-05 1987-11-05 지하 통신관로용 마개 KR9000026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9150U KR900002647Y1 (ko) 1987-11-05 1987-11-05 지하 통신관로용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9150U KR900002647Y1 (ko) 1987-11-05 1987-11-05 지하 통신관로용 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784U KR890011784U (ko) 1989-07-15
KR900002647Y1 true KR900002647Y1 (ko) 1990-03-31

Family

ID=19269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9150U KR900002647Y1 (ko) 1987-11-05 1987-11-05 지하 통신관로용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264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784U (ko) 198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05752A1 (en) Branch pipe connection
JP3196016B2 (ja) 分岐管継手
KR900002647Y1 (ko) 지하 통신관로용 마개
CN211203148U (zh) 一种穿墙套管的安装结构
JP3194710B2 (ja) 漏水検査装置
KR970000536Y1 (ko) 유체의 유입관 체결구조
JPH0326388Y2 (ko)
JPH0237889Y2 (ko)
JPH0854092A (ja) 継手の配管構造
KR200164120Y1 (ko) 호스 연결 구조
KR880001373Y1 (ko) 주철관 연결패킹
JP2533704Y2 (ja) 水道用器具の接続パッキン
KR200339779Y1 (ko) 배관연결구조
JP3391497B2 (ja) 配管カバーの取付構造
KR960010289Y1 (ko) 밸브접관의 체결장치
KR200182942Y1 (ko) 배관 파이프용 플러그
KR20030006737A (ko) 농업용 밸브
KR101105760B1 (ko) 세탁기의 배수장치
KR960002852Y1 (ko) 관 연결구
KR200257366Y1 (ko) 플랜지와 슬리브형 연결이 가능한 파이프의 연결구조
JPH0134798Y2 (ko)
KR920007770Y1 (ko) 조립용 맨홀
KR930003670Y1 (ko) 오수 배수관의 연결장치
KR200182941Y1 (ko) 수도꼭지 어셈블리의 유동호스 결합구조
KR20030060562A (ko) 일체형 플랜지 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12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