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598B1 - 전원 온.오프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전원 온.오프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598B1
KR900002598B1 KR1019840004480A KR840004480A KR900002598B1 KR 900002598 B1 KR900002598 B1 KR 900002598B1 KR 1019840004480 A KR1019840004480 A KR 1019840004480A KR 840004480 A KR840004480 A KR 840004480A KR 900002598 B1 KR900002598 B1 KR 900002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transistor
control circuit
power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4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5917A (ko
Inventor
켄 고오다
Original Assignee
샤아프 가부시기가이샤
사에기 아끼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아프 가부시기가이샤, 사에기 아끼라 filed Critical 샤아프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5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5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46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characterised by reference voltage circuitry, e.g. soft start, remote shut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 Dc-Dc Converter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원 온,오프 제어회로
제 1 도는 종래 일반적인 전원 온,오프 제어회로의 회로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온,오프 제어회로의 회로도.
제 3 도는 동실시예의 동작설명을 위한 과도 전압특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r1: 전류제어용 트랜지스터 T1: 전원트랜스
Tr2: 스위칭 트랜지스터 D4: 스위칭 다이오드
D5: 제너다이오드 Vcc1: 구동전압인 정류출력전압
R5: 저항 Vcc3: 기준전압인 정류출력전압
Tr3: 반전용 스위칭 트랜지스터
본 발명은 비교적 적은 용량의 소형 전원회로의 온,오프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전원 온,오프 제어회로는 직렬형 안정화 전원회로의 전류제어용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스위칭 트랜지스터(Tr2)를 삽입하여, 그 트랜지스터(Tr2)를 온,오프함으로써 전원의 온,오프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즉, 제 1 도에 있어서, 전원 온,오프 제어회로는 전원트랜스(T1)와, 정류용 다이오드(D1)와, 평활콘덴서(C1,C2)와, 전류제어용 트랜지스터(Tr1)와, 제너다이오드(D2)와, 콘덴서(C3)와, 스위칭 트랜지스터(Tr2)를 포함한다.
전원 안정화 회로는 전원트랜스(T1)와, 정류용 다이오드(D1)와, 평활콘덴서(C1,C2)와, 전류제어용 트랜지스터(Tr1)와, 제너다이오드(D2)와, 저항(R1)과, 콘덴서(C3)를 포함하며, 전원으로부터의 전원을 안정화 시키기 위해 작동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스위칭 트랜지스터(Tr2)는 전류제어용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와 접지사이에 삽입, 접속되며, 전기한 전원안정화 회로의 작동에 따라 전원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도록 작동한다. 전원 온,오프 제어회로는 교류플러그(P)를 통하여 교류전원에 접속되며, 전원이 교류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부하에 접속된다. 교류전원으로부터의 전원은 메인 전원스위치(SW1)에 의해 온,오프된다. 이어서, 전원 온,오프 제어회로의 작동을 이하에 기술한다. 메인전원 스위치(SW1)가 "온"되는 경우, 스위칭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L"(로우)레벨의 제어신호가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Tr2)는 "오프"상태로 되고 동시에 전류제어용 트랜지스터(Tr1)는 "온"상태로 된다. 따라서, 전류제어용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측의 구동전압인 정류출력전압(Vcc1)은 전류제어용 트랜지스터(Tr1)에 의해 안정화되어 직류전압(Vcc2)으로 변환되어, 이 전압(Vcc2)이 부하(L)에 인가된다. 한편, 메인전원 스위치(SW1)가 "오프"되는 경우 스위칭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H"(하이)레벨의 제어신호가 인가되므로 스위칭 트랜지스터(Tr2)는 "온"상태로 되고 아울러 제어용 트랜지스터(Tr1)는 차단상태로 된다. 따라서, 정류출력전압(Vcc1)은 전류제어용 트랜지스터(Tr1)에 의해 차단상태로 되어 직류전압(Vcc2)가 부하(L)에 공급되지 않는다.
그러나, 스위칭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L"로우레벨의 제어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즉 메인전원스위치(SW1)가 "온"되어있을 때 교류플러그(P)가 빠지거나 메인전원스위치(SW1)가 "오프"되는 경우에, 부하(L)에 인가되는 직류전압(Vcc2)은 정류출력전압(Vcc1)의 감소에 따라 점차 감소되는 반면, 전류제어용 트랜지스터(Tr1)는 계속해서 "온"상태로 된다. 이런 경우에, 정류출력전압(Vcc1)이 다소 진동하면서 감소하므로 직류전압(Vcc2)도 다소 진동하면서 점차 감소하게 된다. 그러므로 부하(L)가 반도체 메모리와 같은 메모리를 내장하고 있는 경우, 직류전압(Vcc2)의 진동으로 인하여 메모리가 오동작할 우려가 있으며, 메모리의 메모리 내용이 파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한 종래 회로의 결점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목적은 메모리를 내장한 전자장치를 구동하는 전원의 온,오프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전원 온,오프 제어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교적 적은 용량의 전원에 대해 전원 온,오프 제어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전원의 턴온,턴오프시의 전압변동으로부터 전자장치에 내장된 메모리의 메모리 내용을 보호하기 위해 전원 온,오프 제어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추가의 응용분야는 이후에 기재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 실시예에만 국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영역과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분야에 익숙한 사람들에 의해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실시 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원 온,오프 제어회로는 전원으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안정화 하기 위한 안정화 수단과, 제어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과, 전원으로부터 전원이 입력되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의 출력에 따라 제어신호를 디스에이블링 하기 위한 스위칭 수단과. 상기 스위칭 수단에 따라 전원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이 제어수단은 전원 안정화수단에 접속된다.
이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제 2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온,오프 제어회로의 회로도로 여기에 사용된 도면참조부호는 제 1 도의 예와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전원 온,오프 제어회로는 전원트랜스(T1)와, 정류형 다이오드(D1,D6)와, 평활콘덴서(C1,C2,C4)와, 제너 다이오드(D2,D5)와, 전류제어용 트랜지스터(Tr1)와, 스위칭 트랜지스터(Tr2, Tr3)와, 저항(R1, R2, R3, R4, R5,)과, 다이오드(D3) 및 스위칭 다이오드(D4)를 포함한다.
전원 온,오프 제어회로는 플러그(P) 및 메인전원스위치(SW1)를 통하여 전원에 접속된다. 여기서 저항(R'1)의 일단은 전류제어용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접속되며 다른단은 정류출력전압(Vcc3〉Vcc1)을 출력하는 출력단자에 접속된다. 정류다이오드(D1,D6)는 정류다이오드(D6)로 부터의 정류출력전압(Vcc3)보다 작은 정류출력전압(Vcc1)을 다이오드(D1)으로부터 출력하도록 전원트랜스(T1)에 접속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는 저항(R2)을 통하여 전류제어용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에 접속함과 아울러 저항(R3)을 통하여 접지되며, 또한 그 스위칭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와 접지사이에 반전용 스위칭 트랜지스터(Tr3)가 접속된다. 그리고 여기에서는 반전용 스위칭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에 저항(R4) 및 다이오드(D3)를 통하여 "H"또는 "L"의 제어신호가 인가된다. 저항(R4)과 다이오드(D3)와의 접속점은 스위칭 다이오드(D4)를 통하여 제너다이오드(D5)와 저항(R5)의 접속점 ,에 접속된다. 또 정류다이오드(D6), 평활콘덴서(C4)는 비교적 높은 직류 정류출력전압(Vcc3)을 얻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전원 온,오프 제어회로의 동작을 이하에 기술한다. 메인 전원스위치(SW1)의 "온"상태에서 "H"레벨의 제어신호를 저항(R4) 및 다이오드(D3)를 통하여 반전용스위칭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에 인가하면, 반전용 스위칭 트랜지스터(Tr3)는 "온"상태로 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전윈가 감소한다. 따라서 그 스위칭 트랜지스터(Tr2)는 "차단"상태로 되고, 이러한 차단상태에 따라 전류제어용 트랜지스터(Tr1)는 "온"상태가 된다. 이때, 전류제어용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에는 안정화 직류전압(Vcc2)이 발생되어 이것이 부하(L)에 공급된다.
한편, "L"레벨의 제어신호를 저항(R4)을 통하여 다이오드(D3)양극에 인가하면, 다이오드(D3) 및 반전용 스위칭 트랜지스터(Tr3)는 함께 "차단"상태가 된다. 이때 스위칭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 전압이 상승되므로 스위칭 트랜지스터(Tr2)는 "온"상태가 되고 이에 의하여 전류제어용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전위는 감소한다. 그 결과 그 전류제어용 트랜지스터(Tr1)는 "차단"상태가 되어 부하(L)로의 전원전압의 공급이 중지된다.
이와같이 하여 본 실시예의 회로에서는 제어신호의 "H","L"의 레벨에 대응하여 전류제어용 트랜지스터(Tr1)가 온,오프 상태로 되어 그 결과 부하(L)로의 전원공급이 온,오프 제어된다. 상기한 회로에 있어서 "H"레벨의 제어신호를 저항(R4) 및 다이오드(D3)를 통해서 스위칭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인가하는 경우, 즉 메인전원스위치(SW1)가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플러그(P)를 잡아빼거나 혹은 메인전원스위치(SW1)를 "오프"상태로한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이하에 기술한다. 예를들면 지금 시간(to)에서 메인전원스위치(SW1)를 "오프"로 한 경우, 정류출력전압(Vcc1), (Vcc3)은 각각 소정의 시정수로 저하되는데, 이때 제너 다이오드(D5)와 저항(R5)과의 접속점 ,
Figure kpo00001
의 전위도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정류출력전압(Vcc3)에 비례하여 감소된다. 따라서 이 경우 접속점 ,
Figure kpo00002
의 전위저하와 동시에 스위칭 다이오드(D4)가 "온"상태로 되고, 이에 따라 다이오드(D3) 및 반전용 스위칭 트랜지스터(Tr3)가 "오프"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스위칭 트랜지스터(Tr2)가 재빠르게 "온"상태가 되어 정류출력전압(Vcc1)이 부하(L)에 공급되는 직류전압(Vcc2)이하로 저하되기 전에 전류제어용 트랜지스터(Tr1)가 "차단"상태로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전원 온,오프 제어회로에 있어서, 전류 제어용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스위칭 트랜지스터(Tr2), 반전용 스위칭 트랜지스터(Tr3)를 직렬로 접속하여 전원안정화 회로를 형성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에 "H", "L"의 제어신호를 인가함에 따라 전류제어용 트랜지스터(Tr1)를 온,오프하여 부하 "L"로의 직류전압(Vcc2)의 공급을 온,오프 제어한다. 추가로, 제너다이오드(D5) 및 저항(R5)에 의하여 구동전압인 정류출력전압(Vcc1), 기준전압인 정류출력전압(Vcc3)의 유무를 검출한다. 특히 기준전압인 정류출력전압(Vcc3) 및 직류전압(Vcc2)의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스위칭 다이오드(D4)를 "온"시킴에 따라 반전형 트랜지스터(Tr3)는 오프상태로 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Tr2)는 "온"상태로 됨으로써 전류제어용 트랜지스터(Tr1)는 재빨리 "오프"상태로 된다. 따라서, 정류 출력전압(Vcc1)이 진동하면서 저하 되어도 그 진동성분 없이 직류전압(Vcc2)이 부하(L)에 공급된다.
결국 본 발명의 전원 온,오프 제어회로를 사용하면, 부하에 반도체 메모리등을 내장하는 경우에도 전원의 온,오프시에 메모리가 오동작할 우려가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전원 온,오프 제어회로는 텔레비젼 수신기 등과 같은 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영역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분야에 익숙한 사람들에 의해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이 포함될 수 있다.

Claims (6)

  1. 전자장치에 입력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P)과 ; 상기 입력전압으로부터 제 1 의 출력전압인 기준전압(Vcc3)과 제 2 의 출력전압인 구동전압(Vcc1)을 발생하기 위한 분할수단(D6, D1)과 ; 상기 기준전압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D5, R5)과 ; 상기 구동전압을 안정화 하여 이것을 부하에 인가하기 위한 안정화 수단(Tr1, Tr2, Tr3)과 ; 입력전압의 유무, 즉 상기 검출수단에 의한 상기 기준전압(Vcc3)의 검출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검출수단에 작동가능하게 접속된 제어수단(Tr3)과 ; 상기 안정화 수단을 턴 "온" 및 턴 "오프"하기 위한 스위칭 수단(D4)을 구비하는데, 상기 스위칭 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에 작동가능하게 접속되며,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기준전압, 즉 상기 입력전압이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낼 때 상기 안정화 수단을 턴 "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온, 오프 제어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 수단은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온, 오프 제어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온, 오프 제어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제너다이오드 및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온, 오프 제어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은 스위칭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온, 오프 제어회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는 입력전압이 중단될 때 재빨리 차단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온, 오프 제어회로.
KR1019840004480A 1984-01-19 1984-07-27 전원 온.오프 제어회로 KR9000025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008322A JPH0614303B2 (ja) 1984-01-19 1984-01-19 電源オンオフ制御回路
JP59-8322 1984-0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917A KR850005917A (ko) 1985-09-26
KR900002598B1 true KR900002598B1 (ko) 1990-04-20

Family

ID=11689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4480A KR900002598B1 (ko) 1984-01-19 1984-07-27 전원 온.오프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609982A (ko)
EP (1) EP0151856B1 (ko)
JP (1) JPH0614303B2 (ko)
KR (1) KR900002598B1 (ko)
AU (1) AU565172B2 (ko)
BR (1) BR8405888A (ko)
DE (1) DE3483158D1 (ko)
ES (1) ES8601504A1 (ko)
MY (1) MY100993A (ko)
PH (1) PH2147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8276B1 (ko) * 1985-02-08 1990-11-10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2단계차단동작을이용한절연게이트바이폴라트랜지스터용보호회로
US4673824A (en) * 1986-03-03 1987-06-16 Tektronix, Inc. Power supply switch circuit
DE3632746C2 (de) * 1986-09-26 1995-04-13 Kommunikations Elektronik Schaltungsanordnung zur Erzeugung einer Wechselspannung
JPH0324707U (ko) * 1989-07-21 1991-03-14
JPH06209569A (ja) * 1993-01-05 1994-07-26 Yokogawa Electric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3122605B2 (ja) * 1995-11-17 2001-01-09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
US5948085A (en) * 1996-08-08 1999-09-07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Bus voltage detection and protection
FR2755804B1 (fr) * 1996-11-08 1999-01-29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Mise en veille d'un regulateur lineaire
US5909365A (en) * 1997-06-30 1999-06-01 Motorola Inc. Leakage current power supply
US6262565B1 (en) 1999-05-07 2001-07-17 Mytech Corporation Electrical load switch
JP3727292B2 (ja) * 2002-08-20 2005-12-14 株式会社シマノ 自転車用電装品駆動装置
US7363518B2 (en) * 2004-07-22 2008-04-22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with power fault protection circuit
US20090057514A1 (en) * 2007-09-04 2009-03-05 Oh Sung I Mounting system adapted to extend and retract in a straight line
CN103715660B (zh) * 2014-01-16 2017-05-03 深圳市共进电子股份有限公司 输出电压可以调节的开关电源的过压保护电路及保护方法
TWI674751B (zh) * 2018-03-21 2019-10-1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可保護低電壓元件的電路架構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88037A1 (de) * 1967-03-08 1970-12-17 Braun Ag Spannungsregelung fuer batteriegespeiste Geraete
DE1638153A1 (de) * 1968-01-16 1971-08-12 Telefunken Patent Netzgeraet bestehend aus einer Gleichspannungsquelle und einer Regelschaltung
US3754182A (en) * 1972-10-02 1973-08-21 Litton Business Systems Inc Switching voltage regulator with input low voltage and output voltage detectors
JPS5239152A (en) * 1975-09-23 1977-03-26 Mitsubishi Electric Corp Undervoltage detector
JPS5424029U (ko) * 1977-07-21 1979-02-16
DE2813402A1 (de) * 1978-03-29 1979-10-11 Bosch Gmbh Robert Einrichtung zur stabilisierung einer versorgungsspannung
JPS582018U (ja) * 1981-06-25 1983-01-07 株式会社東芝 電源回路
JPS5810116U (ja) * 1981-07-15 1983-01-22 富士電機株式会社 半導体変換装置の制御電源回路
US4493000A (en) * 1983-09-30 1985-01-08 Magnetic Peripherals Incorporated Power on/off protect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917A (ko) 1985-09-26
ES536824A0 (es) 1985-10-16
EP0151856A3 (en) 1986-12-17
JPH0614303B2 (ja) 1994-02-23
US4609982A (en) 1986-09-02
ES8601504A1 (es) 1985-10-16
EP0151856A2 (en) 1985-08-21
MY100993A (en) 1991-06-29
AU565172B2 (en) 1987-09-10
JPS60151728A (ja) 1985-08-09
DE3483158D1 (de) 1990-10-11
AU3410484A (en) 1985-07-25
EP0151856B1 (en) 1990-09-05
PH21472A (en) 1987-10-28
BR8405888A (pt) 1985-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2598B1 (ko) 전원 온.오프 제어회로
US5579193A (en) Reducing the natural current limit in a power MOS device by reducing the gate-source voltage
US6657877B2 (en) Power supply circuit
KR940017212A (ko) 전력 트랜지스터에 대한 제어 전극 디스에이블 회로
US4547828A (en) Circuit for preventing excessive power dissipation in power switching semiconductors
US4675547A (en) High power transistor base drive circuit
US3597654A (en) Protective circuit for a voltage regulator
US5157270A (en) Reset signal generating circuit
US4405964A (en) Over voltage circuit for a switching regulator power supply
KR950012711B1 (ko) 제어 회로용 슬로우 스타트 시스템
US4677519A (en) Short-circuit protected mains supply unit, especially for television receivers
US5852377A (en) Reset circuit for ensuring proper reset when used with decaying power supplies
KR19990072223A (ko) 강하하는 전원에서 적절한 리셋을 보장하는리셋 회로
US4764839A (en) Low voltage reset circuit
KR950007457A (ko) 핫 스타트 플레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 키네스코프 바이어스 장치
JP3309039B2 (ja) インバータ制御装置の過電流保護回路
KR930001255Y1 (ko) 과전류 검출 및 보호회로
KR100205783B1 (ko) 감지 온도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장치
JPH06213941A (ja) 外部電源電圧検知回路
JPS609371B2 (ja) 交流2線式無接点スイツチ
KR910000534Y1 (ko) 리모트 콘트롤 집적회로의 초기 오동작 방지회로
KR840001051Y1 (ko) 전압 자동 조절회로
KR920000518Y1 (ko) 원칩사용시 직류전압을 안정화시키는 전압 안정화회로
JPS6338690Y2 (ko)
KR100187503B1 (ko) 시간 순서 제어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3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