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467Y1 - 라바 플러그(Rubber Plug)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라바 플러그(Rubber Plug)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467Y1
KR900002467Y1 KR2019860012518U KR860012518U KR900002467Y1 KR 900002467 Y1 KR900002467 Y1 KR 900002467Y1 KR 2019860012518 U KR2019860012518 U KR 2019860012518U KR 860012518 U KR860012518 U KR 860012518U KR 900002467 Y1 KR900002467 Y1 KR 9000024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lava
plugs
air
bl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25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4412U (ko
Inventor
호리바 노부오
Original Assignee
엠프 인코퍼레이티드
제이 엘 세이트 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프 인코퍼레이티드, 제이 엘 세이트 칙 filed Critical 엠프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700044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44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4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467Y1/ko

Links

Landscapes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라바 플러그(Rubber Plug) 공급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라바 플러그 공급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장치의 화살표 A-A에 따른 단면도.
제 3 도는 종래의 라바 플러그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형피이다(圓形 feeder) 3 : 직진피이다(直進 feder)
4 : 피이다 파이프(feeder pipe) 5 : 스톱파 부재(stopper 部材)
6 : 스톱파 레바(storpper lever) 7 : 스톱파 핀(stooper pin)
10 : 공기송출장치 11 : 공기실(空氣室)
21 : 플러그 보지암(piug 保持arm) 22 : 플러그 수용공(plug 受容孔)
본 고안은 방수(防水)곤텍터용으로서 전선의 단부에 방수용 라바 플러그를 자동적으로 장착(裝着)하는 라바플러그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한 것은 본 장착장치에 있어서 라바 플러그를 순차적으로 송출하기 위한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선의 단부에 중공상(中空狀)의 라바 플러그를 장착하고 그 라바 플러그의 한 단부를 저선과 함께 전기 콘넥터의 전선 수용부에 압착한 구성의 방수 저기 콘넥터는, 예를 들어 일본 특개소(特開昭) 55-57276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 이 종류의 라바 플러그의 전선 단부에의 장착은, 전선 단부의 절연 피복을 벗겨낸후, 수작업에 의하여 행하여지고 있는데, 이것을 자동화 하는 것이 강하게 요망되어 왔다.
이를 위하여 본 출원인은 일본 특개소 59-157483호에 있어서, 라바 플러그 공급원으로 부터 일정한 방향성을 갖고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오는 라바 플러그를 수취하며, 이것을 전선의 피복단부에 정착하는 라바 플러그 장착장치를 제안하였다.
이 제안에 의한 리바 플러그 장착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것이 제 3 도인데, 피이다파이프(51)내를 라바 플러그(P)가 일정한 방향성을 갖고 전달되고 온다.
피이다파이프(51)의 선단은 플로그 보지암(53)의 윗면과 마주보며, 왕복실린더 (52)에 이하여 플러그 보지암(53)이 도면중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어, 플러그 보지암(53)의 플러그 수용공(54)이 피이다파이프(51)선단과 마주보면, 이 플러그 수용공(54)내에 1개의 라바 플러그(P)가 수용된다.
다음에 왕복실린더(52)에 의하여 보지암(保持 arm 53)이 우측으로 이동되어 플러그 수용공(54)이 플러그 운반장치(55)와 관상(管狀) 스톱파(56)에 마주보게 되어, 이와 같이 전선 단부에의 라바 플러그 장착이 행하여지게 되는 것이다. 왕복실린더(52)에 의하여 플러그 보지암(53)이 우측으로 이동될때, 플러그 수용공(54)내의 라바 플러그(P)와 이 라바 플러그(P)위에 겹쳐진 라바 플러그(P)가 서로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플러그 수용공(54)내의 라바 플러그(P)의 우측 이동과 함께 그위에 겹친 라바 플러그(P)가 우측방향으로 비틀리는 힘을 받아 이 라바 플러그(P)가 피이다파이프(51)내에서 기울여져 막히는 상태가 될 우려가 있다.
라바 플러그(P)는 고무 재료로 된 연약한 것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일이 발생하기 쉬우며 라바 플러그가 막히면 다음 공정에서 플러그 수용공(54)이 피이다파이프(51)의 선단과 마주 하여도 이 막힌 라바 플러그(P)는 플러그 수용공(54)내에 원활하게 들어갈 수 없어 작업이 진행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라바 플러그를 순차적으로 원활하게 송출할 수 있는 라바 플러그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라바 플러그 공급장치는 공급원으로 부처 순차적으로 보내어진 라바 플러그 전선의 피복단부에 자동적으로 장착하는 라바 플러그 장착 장치에 있어서, 라바 플러그(P)를 일정한 방향성을 갖고 직렬로 나란히 보내지는 핑다(1)의 출구단부에 마주하여 플러그 보지함(21)을 배치하고, 이 플러그 보지함(21)에 의하여 피이다(1)를 통하여 보내어진 라바 플러그(P)를 1개씩 받아 보지 함과 함께 이 보지된 라바 플러그(P)를 전선 단부와 마주한 위치까지 운반하도록 되어 있고, 한편, 플러그 보지함(21)에 라바 플러그(P)가 보지된때에, 이 보지된 라바 플러그(P)와 상기 피이다(1)내에서 이것에 인접한 라바 플러그(P)와의 사이에 공기 송출장치(10)에 의하여 공기를 보내 넣어 피이다(1)내의 라바 플러그(P)를 뒤로 밀어내도록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하여 뒤로 밀려난 피이다(1)내의 라바 플러그(P)를, 라바 플러그(P)의 공급방향으로의 이동은 허용하나 이것과 역방향으로 일정량 이상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톱파 부재(5)를 사용하여 중지하고, 이 라바 플러그(P)가 일정량 이상후퇴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할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관계되는 라바 플러그 공급 장치의 1에를 표시하는 정면도인데, 라바 플러그(P)를 일정한 방향성를 갖고 순차적으로 송출하는 피이다(1)가 있으며, 이 피이다(1)는 원형피이다(2), 직진피이다(3) 및 피이다 파이프(4)로 되어 있다.
원형피이다(2)에는 다수의 라바 플러그(P)가 들어 있어서 내부 진동에 따라 라바 플러그(P)의 방향이 같은 방향으로 정리되어 직렬로 진열되어 이 라바 플러그(P)는 순차적으로 직진피이다(3)에 보내진다.
직진피이다(3)에는 원형피이다(2)로 부처 공급된 라바 플러그(P)를 직렬로 안내하여 보내는 직진구(直進溝, 3a)가 형성되고, 이 직진구(3a)의 입구측에 직진구(3a)내를 통과하는 라바 플러그(P)를 검지하는 플러그 공급 포터센서(photo senser, 3b)가 부착되어 있다.
이 스톱파 부재(5)를 화살표 A-A에 따라 본것이 제 2 도인데, 스톱파 부재(5)는, 지지판(支持板, 5a)에 지지핀(5b)를 중심으로 자유로 흔들리며, 선단(6a)이 직진구(3a)내에 돌출한 스톱파레바(6)를 갖게되고, 이 스톱파레바(6)는 스튜파 핀(7)에 의하여 도면중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일정각도 이상 흔들리는 것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직진구(3a)내를 공급방향(도면중에서 우측에서 좌측으로의 방향) 으로 라바 플러그(P)가 보내질 때에는 도면중에서 2점쇄선을 표시한 바와 같이 스톱파레바(6)가 흔들려 라바 플러그(P)를 원활하게 송출하나 라바 플러그(P)가 공급방향과 역방향(도면중에서 좌측으로 우측방향)으로 이동될때에는 스톱파 핀(7)에 의하여 스톱파레바(6)가 일정각 이상 시계반대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이 저지되어 라바 플러그(P)가 일정량을 초과하여 뒤로 밀려나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직진피이다(3)를 통과하는 라바 플러그(P)는 피이다 파이프(4)내에 보내어져 피이다 파이프(4)의 내공(내공, 4a)을 따라 플러그 보지함(21)의 위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보내진다.
플러그 보지함(21)은 라바 플러그(P)를 1개씩 받아 보지할 수 있는 플러그 수용공(22)을 갖고 있음과 동시에 왕복실린다(23)에 의하여 도면중에서 좌우로 자유로이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왕복실린다(23)에 의하여 플러그 보지함(21)이 좌측으로 움직이면 플러그 수용공(22)은 피아다 파이프(4)의 하단과 마주하는 위치가 되고 이 때문에 플러그 수용공(22)내에 라바 플러그(P)가 1개 들어와 보지된다.
이떼, 플러그 수용공(22)내로 부터 햐향으로 돌출한 라바 플러그(P)의 하단을 검출센서(檢出 Senser, 24)에 의하여 검출하는데, 라바 플러그(P)가 플러그 수용공(22)내에 확실히 수용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왕복실린다(23)에 의하여 플러그 보지함(21)을 우측으로 이동하여 플러그 수용공(22)내에 수용된 라바 플러그(P)를 플러그 운반장치(25)와 관상스톱파 부재(26) 사이의 좁은 장소에 위치하게 하는 것이다. 이대로 플러그 보지함(21)을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은 플러그 수용공(22)내에 수용된 라바 플러그(P)위에 겹쳐진 라바 플러그(P)의 하단이 가로방향으로 피이다 파이프(4)내에 막혀버리는 우려가 있기 때문에, 본 장치에 있어서는 공기 송출장치(10)가 피이다 파이프(4)의 하단에 부착되어 있다.
공기송출장치(10)는, 피이다 파이프(4)의 하단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공기실(11)과, 이 공기실(11)과 피이다 파이프(4) 내공을 연결하는 소공(소공, 12), (12)로 되어 있어, 플러그수용공(22)내에 라바플러그(P)가 수용되면 수용된 라바 플러그(P)와 그위에 인접한 라바 플러그(P)와의 사이에 공기실(11)의 공기를 소공(12), (12)를 통하여 집어 넣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공기가 공급되면 플러그 수용공(22)내에 수용된 라바플러그에 인접한 라바 플러그는 이 공기의 힘에 의하여 피이다 파이프(4)내를 공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밀려난다.
이에 따라 피이다 파이프(4)내의 라바 플러그(P)는 모두 뒤로 밀려나나, 스톱파 부재(5)에 의하여 일정량 이상의 후퇴는 저지된다.
이와 같은 피이다 파이프(4)내의 라바 플러그(P)는 일정량만 후퇴되기 때문에 다음 플러그 보지함(21)을 우측으로 이동하면 된다.
다음에, 플러그 운반장치(25)와 관상스톱파 부재(26)에 의하여 플러그 수용공(22)내의 라바 플러그(P)를 전선단바에 장착하면 공간이 빈 플러그 수용공(22)을 갖는 플러그 보지 암(21)은 왕복실린다(23)에 의하여 다시 좌측으로 이동하여 라바플러그 수용공(22)은 피이다 파이프(4)의 하단과 마주보게 된다.
그후, 공기 송출장치(10)에의 공기 공급이 정지되고 이에 따라 피이다 파이프(4)내의 라바 플러그(P)가 플러그 수용공(22)내로 보내지게 된다.
이때 라바 플러그(P)는 탄성체이고 공기의 힘을 받아 압축 변형되는 있는 라바 플러그(P)은 공기의 공급이 정지되면 그 압출력에 의하여 플러그(P)를 밀어내는데, 소위 흡핑(hopping)효과에 의하여 반강제적으로 라바 플러그를 송출하게 되어, 피이다 파이프(4)내에 라바 플러그(P)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우기 공기의 공급 및 정지때 마다 라바 플러그(P)는 피이다 파이프(4)내를 왕복운동하여 진행하기 때문에 라바 플러그의 활동(滑動) 불안정이나, 부정렬(不整列)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스톱파 레버(6)을 제 1 도에 있어서 파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반전시키면 라바 플러그가 진입 스톱파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 있어서는, 자유로 흔들힐 수 있는 스톱피 레바를 이용하여 공기에 의한 라바 플러그의 후퇴를 저지하는 예를 나타냈으나, 스톱파 부재로서는 라바 플러그를 공급방향으로의 이동은 허용하나 반대 방향으로는 일정량 이상의 이동을 저지하는 구성의 것이면 좋은데, 예를 들면 랄체트 기구(Ratchet 機構)를 갖고 있는 회전암(回轉 arm)이나. 공기 송출시에만 직진구내에 스톱파 레바를 돌출시키도록 한 기구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파이프다로 부터 보내어진 라바 플러그를 플러그보지암에 의하여 하나씩 받아 보지하고, 이것을 전선 단부에 마주보는 위치까지 운반할때에 공기 송출 장치에 의하여 플러그 보지암에 보지된 라바 플러그와 이 라바 플러그에 인접하는 라바 플러그와의 사이에 공기를 보내 넣어 인접하는 라바 플러그를 뒤로 밀어내도록 이루어짐과 동시에, 피이다위에 설치된 스톱파 부재에 의하여 상기 뒤로 밀려난 라바 플러그가 일정량 이상 후퇴 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피이다내에 라바 플러그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라바 플러그를 원할하게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2)

  1. 공원원으로부터 일정한 방향성을 갖고 순차적으로 보내오는 라바 플러그를 수취하여, 그 라바 플러그를 전선의 피복단부에 장착하는 라바 플러그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라바 플러그(P)를 일정한 방향성을 갖고 직렬로 나란히 보내는 피이다(1)와, 그 피이다(1)의 출구단부와 마주하는 그 피이다(1)를 따라 보내진 상기 라바 플러그(P)를 1개씩 받아 보지하고, 그 보지된 라바 플러그(P)를 상기 전선 단부와 마주보는 위치까지 운반하는 플러그 보지함(21)과, 상기 피이다(1)의 출구단부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보지함(21)에 보지된 라바 플러그(P)와 상기 피이다(1)내에 그 라바 플러그(P)에 인접하는 라바 플러그(P)와의 사이에 공기를 불어 넣어 이 공기에 의하여 상기 피이다(1)내에 위치하는 라바 플러그(P)를 뒤로 밀여내는 공기 송출장치와, 상기 피이다(1)에 설치되어, 상기 피이다(1)내에서 상기 라바 플러그(P)를 공급방향으로의 이동은 허용하나 그 공급방향과 반대 방향으로는 일정량 이상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톱파 부재(5)를 갖게 되어, 그 스톱파 부재(5)가 상기 공기 송출장치(10)로 부터의 공기에 의하여 뒤로 밀려난 상기 라바 플러그(P)를 일정향 이상 후퇴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바 플러그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파 부재(5)가, 선단(6a)이 상기 피이다(1)내에 돌출함과 동시에 후단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공급방향으로는 자유로 흔들리며 또한 상기 공급방향과 반대방향으로는 일정각 이상의 흔들림이 저지된 스톱파 레바(6)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바 플러그의 공급장치.
KR2019860012518U 1985-08-21 1986-08-19 라바 플러그(Rubber Plug) 공급장치 KR90000246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127716 1985-08-21
JP12771685U JPH021833Y2 (ko) 1985-08-21 1985-08-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412U KR870004412U (ko) 1987-07-31
KR900002467Y1 true KR900002467Y1 (ko) 1990-03-26

Family

ID=31022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2518U KR900002467Y1 (ko) 1985-08-21 1986-08-19 라바 플러그(Rubber Plug) 공급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21833Y2 (ko)
KR (1) KR90000246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567A (ko) * 2001-08-07 2001-09-28 권오직 잭플러그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412U (ko) 1987-07-31
JPS6237189U (ko) 1987-03-05
JPH021833Y2 (ko) 1990-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93026A3 (en) Liquid chemical dispensing system with sensor
CA2047374A1 (en) Optical fiber connecting device including attenuator
JPS627666B2 (ko)
DE69009528T2 (de) Steckvorrichtung mit einem Auswurfmechanismus.
KR900002467Y1 (ko) 라바 플러그(Rubber Plug) 공급장치
JP2513741B2 (ja) コネクタ
EP0439940B1 (en) Electric wire-identifying tab and a band thereof
KR100301385B1 (ko) 벌크피더
US3577115A (en) Electrical connector storing device for motor vehicle trailers
US5645252A (en) Fastening device
US5151047A (en) Connector for connecton to a celluar telephone
JPH0377291A (ja) シールプラグを電導体に取り付けるための装置
US20020133945A1 (en) Rubber plug insertion apparatus and rubber plug insertion method
US5362247A (en) Rotary board retainer system for activ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212683072U (zh) 批嘴机构和螺丝锁付设备
US11759896B2 (en) Device for distributing clip-type components
JPH0440906B2 (ko)
IE56425B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plating interior surfaces of electric terminals
JP2649969B2 (ja) コネクタヘのパッキン組付装置
US4379610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olarity barrier
FR2696214A1 (fr) Système de fixation pour élément tubulaire souple.
JPH06278878A (ja) 空になって乱雑に集積されているチューブを捌いて取出し、移送するための装置
JPS58148129A (ja) パ−ツフイ−ダ−
CN218550953U (zh) 一种发球定位的宠物发球器
JPH063753B2 (ja) ケーブルをコネクタに装着す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