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911Y1 -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레귤레이터 회로 - Google Patents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레귤레이터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911Y1
KR900001911Y1 KR2019850018181U KR850018181U KR900001911Y1 KR 900001911 Y1 KR900001911 Y1 KR 900001911Y1 KR 2019850018181 U KR2019850018181 U KR 2019850018181U KR 850018181 U KR850018181 U KR 850018181U KR 900001911 Y1 KR900001911 Y1 KR 9000019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npn transistor
base
diod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81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1411U (ko
Inventor
장해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181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1911Y1/ko
Publication of KR8700114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14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9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9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14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 H02M7/15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7/16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bridge configuration
    • H02M7/1623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control circuit
    • H02M7/162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control circuit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4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레귤레이터 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종래의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R1 : NPN 트랜지스터 R1-R4 : 저항
C1 : 콘덴서
본 고안은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데에 있어서,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동작을 이용하여 교류나 직류에 공동으로 사용하며 입력 전원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출력전원을 안정되게 얻을 수 있도록 한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레귤레이터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전압일 때에는 트랜스를 거치고 전파 정류 다이오드에서 전파 정류된 후 두개의 NPN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를 거치도록 한다.
이때 교류 입력인 경우에는 다이오드와 정전압 다이오드에서 일정 전압으로 NPN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로 바이어스를 걸어 주도록 하며 입력 파형 및 전류량에 따라 기준 전압이 변화한다.
그러나 직류 전압이 입력될 경우 기준 전압의 바이어스는 일반적으로 감소하게 되어 직류와 교류에 공동으로 사용하기에는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못하였다.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파 정류 다이오드의 출력단에서 분할 저항을 거쳐 NPN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로 연결하여 AC의 전압 변동에 따른 레귤레이터 기능을 안정되게 함은 물론 직류 및 교류 전압의 어떤 전압의 입력시에도 안정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 기기의 전원 공급 회로에 있어서 교류전압(AC)이 트랜스(T)를 거치고 전파 정류 다이오드(D)를 통한후, 분항전후(R1), (R2)과 콘덴서(C1)를 거쳐 NPN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와 연결하고 에미터가 접지된 NPN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에서 분할 저항(R3), (R4)을 거쳐 NPN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와 연결하는 한편, 다이오드(D1) 및 콘덴서(C2)를 거쳐 NPN트랜지스터(TR2), (TR3)의 콜렉터에 각각 연결하고, 바이어스용 다이오드(D3) 및 정전압 다이오드(ZD)가 베이스에 연결된 NPN트랜지스터(TR2)의 에미터에서 NPN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와 연결하며, 에미터에서 저항(R5)을 거쳐 콜렉터로 귀환되는 NPN트랜지스터(TR3)의 에미터에서 콘덴서(C3)를 통하여 부하(Load)로 연결하고, 일측이 전파 정류 다이오드(D)와 연결된 직류 전원 입력단(DC)이 다이오드(D2)를 거쳐 NPN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와 연결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콜렉터와 연결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교류전안이 입력될 경우에는 교류전압 입력단(AC)에서 트랜스(T)를 거치고 전파 정류 다이오드(D)에서 전파 정류된후, 분할저항(R1), (R2)에서 분할된 전압이 NPN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NPN 트랜지스터(TR1)가 턴온 되어 구동하고 콜렉터 측의 전압이 분할 저항(R3), (R4)에서 분할되어 NPN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로 인가되면서 다이오드(D3) 및 정전압 다이오드(ZD)의 바이어스 전압이 항상 일정하도록 하여 NPN 트랜지스터(TR2), (TR3)를 제어하게 되어 일정 전압이 출력되는 것이다.
그리고 직류 전압이 입력될 경우에는 직류 전압 입력단(DC)에서 바로 저항(R4)을 거쳐 NPN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로 인가되므로 NFN 트랜지스터(TR2) 의 베이스로 인가되므로 NPN 트랜지스터(TR1)는 턴 오프되고 다이오드(D3) 및 정전압 다이오드(ZD)의 바이어스 전압이 NPN 트랜지스터(TR2), (TR3)를 제어하므로서 일정 전압이 출력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에 분할 저항(R1), (R2)과 NPN 트랜지스터(TR1)를 연결하므로서 입력 파형 및 전류량에 따라 기준 전압이 변하는 교류전압 입력시에도 항상 인정한 출력전압을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으며 직류 전압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전자 기기의 전원 공급 회로에 있어서, 통상의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의 전파 정류 다이오드(D)의 출력단에서 분할 저항(R1), (R2) 및 콘덴서(C1)를 거쳐 NPN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와 연결하고, 에미터가 접지된 NPN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에서 분할 저항(R3), (R4)를 통하여 NPN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와 연결하여 교류 전압이 입력될때 입력 파형과 전류량이 변할 경우에도 일정한 출력 전압을 공급하도록 한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레귤레이터 회로.
KR2019850018181U 1985-12-30 1985-12-30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레귤레이터 회로 KR9000019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8181U KR900001911Y1 (ko) 1985-12-30 1985-12-30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레귤레이터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8181U KR900001911Y1 (ko) 1985-12-30 1985-12-30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레귤레이터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411U KR870011411U (ko) 1987-07-16
KR900001911Y1 true KR900001911Y1 (ko) 1990-03-10

Family

ID=19247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8181U KR900001911Y1 (ko) 1985-12-30 1985-12-30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레귤레이터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191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411U (ko) 1987-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2322A (en) Transistor rectifier
US4030024A (en) Switching power supply with floating internal supply circuit
US5892355A (en) Current and voltage-sensing
KR900005676A (ko) 전파 정류기 회로
US4420804A (en) Switching regulator with base charge removal circuit
US4063147A (en) Stabilized power supply circuit
KR0155183B1 (ko) 절연형 스위칭전원
KR900001911Y1 (ko)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레귤레이터 회로
GB1343251A (en) Dc voltage regulator circuit
KR920000518Y1 (ko) 원칩사용시 직류전압을 안정화시키는 전압 안정화회로
US4322674A (en) Transistorized voltage regulator
KR890000711Y1 (ko) 교류의 자유 전압 입력시 정전류 드라이버와 에러 앰프(Error Amp)에 의한 직류의 안정화 콜드(Cold)회로
KR900002493Y1 (ko) 다출력 전원 회로의 정전압 회로
KR960003739Y1 (ko) 전원 온/오프 제어회로
KR890008556Y1 (ko) 리세트 회로
KR890008917Y1 (ko) 트라이액 구동회로
KR910004080Y1 (ko) 초기 구동용 전원공급회로
KR900008499Y1 (ko) 모니터의 고압 안정화 회로
KR890003163Y1 (ko) 출력전압 안정화회로
KR900001898Y1 (ko) 직류 전압 안정화 회로
KR890003608Y1 (ko) 컴팩트 디스크용 전원회로
JPH0332131Y2 (ko)
KR900003645Y1 (ko) 전원 전압 자동 제어 회로
KR200296292Y1 (ko) 전원제어장치
KR860002360Y1 (ko) 직유 정전압 가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