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493Y1 - 다출력 전원 회로의 정전압 회로 - Google Patents

다출력 전원 회로의 정전압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493Y1
KR900002493Y1 KR2019870012093U KR870012093U KR900002493Y1 KR 900002493 Y1 KR900002493 Y1 KR 900002493Y1 KR 2019870012093 U KR2019870012093 U KR 2019870012093U KR 870012093 U KR870012093 U KR 870012093U KR 900002493 Y1 KR900002493 Y1 KR 9000024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output
diode
resistor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20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3281U (ko
Inventor
김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120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2493Y1/ko
Publication of KR8900032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2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4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4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285Single converters with a plurality of output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3/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13/0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by tap-changing; by rearranging interconnections of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출력 전원 회로의 정전압 회로
본 고안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제 1 전압발생부 10 : 제 2 전압발생부
15 : 제 3 전압발생부 20 : 전압 분배부
25 : 제 2 전압출력부 30 : 이상출력 감지부
D1-D5: 다이오드 BD2: 브릿지다이오드
T1, T2: 탭 RE : 레규레이터
R1-R12: 저항 C1-V4: 콘덴서
본 고안은 여러가지 가전기기를 병행시켜 구동 시키고자 할때에 사용되는 다출력 전원 회로의 정전압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다출력 전원 회로는 각각의 레규레이터 회로에 각기 기준 전압을 설정할 수 있는 회로를 각각 구성시켜야 하기때문에 회로가 복잡하여지며 부품 소자가 증대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출력 레규레이터라는 점을 착안하여 하나의 기준 전압에서 출력되는 레벨의 전압을 이용하여 그 보다 높은 전압의 레규레이터의 기준 전압으로 사용하여 회로의 부품소자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게하며 이상 전압을 감지하여 차단할 수 있는 보호 회로를 구성시킬 수 있게 한것으로 제1, 제2, 제3전압 발생부에 바이어스 분배부와 제2전압 출력부를 구성시키고 이상 출력 감지부에서 제어되게 구성시킨 것이다.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압트랜스의 2차측 탭 (T1)에 다이오드(D1) 및 콘덴서(C1)를 연결시켜 정류되게 구성한 후 저항(R1) 및 제너다이오드(ZD3)와 연결되게 제1전압발생부(5)를 구성시켜 제1출력단자(V1)로 출력되는 동시에 저항(R2)(R3)(R11), 콘덴서(C4)로 구성된 전압분배부(20)를 통하여 이상출력감지부(30)에 전원(B+)이 공급되게 구성시킨다.
그리고 고압트랜스의 2차측 탭(T2)에 브릿지다이오드(BD2) 및 콘덴서(C2)로 구성시켜 푸우즈(F1)로 출력되게 제2전압발생부(10)를 구성시켜 제2전압출력부(25)의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측에 인가되게 구성시키며 저항(R4-R6)을 통하여 에미터측에 다이오드(D5)가 연결된 트랜지스터(Q2)를 접속되게 구성시킨 후 제2출력단자(V2)로 출력되게 구성시킨다.
또한 탭(T2)의 중간에 레규레이터(RE)가 연결된 제3전압발생부(15)의 출력이 발생되게 구성시키며 이상출력 감지부(30)의 비교기(OP)에는 반전단자(-)에 저항(R7)(R10)으로 분배되는 비교전압이 인가되게 구성시키고 비반전단자(+)에는 저항(R8)(R9)을 통한 기준 전압이 인가되게 구성시켜 후단에 연결되는 트랜지스터(Q3)를 제어하여 제2전압출력부(25)의 트랜지스터(Q1)가 구동되게 구성시킨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 제1전압발행부(5)는 파워트랜스의 2차측 탭(T1)에 유기된 교류 전압이 다이오드(D1) 및 콘덴서(C1)에 의하여 반파정류된 후 직류 전압이 저항(R1) 및 제너다이오드(ZD3)에 의하여 정전압이 된 후 제1출력단자(V1)로 전압을 공급하며 (VTR의 경우 33V)또한 전압이 다이오드(D4)를 거쳐 비교기(OP)의 전원(B+)으로 공급하게 된다.
또한 저항(R2) 및 콘덴서(C4)를 통한 전압은 제2전압출력부(25)의 저항(R4)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측에 공급되 트랜지스터(Q1)가 도통되므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파워트랜스의 탭(T2)에 유기된 교류 전압은 제2전압발생부(10)의 브릿지다이오드(BD2) 및 콘덴서(C2)에 의하여 전파 정류되어 퓨으즈(F1)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측에 공급되며 이때 저항(R4)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측에 가해진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어 제2전압출력부(25)에서 출력단자(V2) 의 제2전압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저항(R4)(R6)에 의하여 분압된 전압이 트랜지스터(Q2)의 벵측에 입력되는데 이 전압이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측에 가해진 전압과 비교하여 베이스에 걸린전압(VBQ2)이 에미터에 걸린 전압(VBQ2)보다 0.5V 클때 저항(R4)을 통하여 트랜지스턴(Q1)의 베이스측에서 에미터측으로 흐르는 전류를 트랜지스터(Q2)로 바이페스시켜 출력전압(V2)에 흐르는 전류를 조정하게 된다.
이때 출력전압(V2)은 저항(R7)(R10)에 의하여 분배되어 비교기(OP)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기준전압은 저항(R8)(R9)으로 분배되어 공급되므로 비교기(OP)에서는 비교 전압이 기준전압 이하로 강하될때에 후단의 트랜지스터(Q3)를 턴온시켜 트랜지스터(Q1)로 흐르는 전원을 차단할 수가 있는 것이며 제3전압발생부(15)는 레규레이터(RE)를 통한 정전압을 출력전압(V3)으로 발생시킨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이상출력 감지부(30)에서 비교기(OP)에 저항(R8)(R9)을 ㅗ공급되는 기준전압보다는 출력단자(V2)의 전압이 다이오드(D4)를 통하여 공급되는전압보다 높거나 같을때에 다이오드(D4)는 차단되나 출력단자(V2)가 외부 및 내부 원인에 의해 낮아졌을 때에도 비교기(OP)의 동작을 확실시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다출력 레규레이터의 하나의 기준 전압으로 다른회로의 기준 전압으로 이용하여 부품수를 크게 줄일수가 있으며 이상출력 감지부에서 출력전아을 제어하여 안정되게 동작시킬 수가 있어 신회성 있는 전원회로를 제공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탭(T1)에 반파 정류소자 및 제너다이오드(ZD3)를 연결시켜 제1전압발생부(5)를 구성하여 콘덴서(C4) 및 저항(R2)(R3)(R11)으로 구성된 전압분배부에 연결되게 구성시키고 탭(T2)의 중간에 레규레이터(RE)로 구성시킨 제3전압출력부(15)가 탭(T2)을 통하여 브릿지다이오드(BD2), 콘덴서(C2), 퓨우즈(F1)로 구성된 제2전압발생부(10)와 연결되게 구성시킨후 트랜지스터(Q1)(Q2)사이에 저항(R4-R6) 및 다이오드(D4)(D5)가 연결되게 제2전압출력부(25)를 구성시키고 이상출력감지부(30)의 저항(R7-R10)에 비교기(OP)가 연결되어 트랜지스터(Q3)를 통하여 제어되게 구성시킨 다출력 전원회로의 정정납 회로.
KR2019870012093U 1987-07-22 1987-07-22 다출력 전원 회로의 정전압 회로 KR9000024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2093U KR900002493Y1 (ko) 1987-07-22 1987-07-22 다출력 전원 회로의 정전압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2093U KR900002493Y1 (ko) 1987-07-22 1987-07-22 다출력 전원 회로의 정전압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281U KR890003281U (ko) 1989-04-13
KR900002493Y1 true KR900002493Y1 (ko) 1990-03-30

Family

ID=19265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2093U KR900002493Y1 (ko) 1987-07-22 1987-07-22 다출력 전원 회로의 정전압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249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281U (ko) 1989-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4518A (en) High frequency heating apparatus having an output controlling function
EP0904545B1 (en) Current and voltage sensing
US5329100A (en) Circuit for compensating for output of high frequency induction heating cooker
US4646218A (en) Self-adjusting switched mode power supply
KR900002493Y1 (ko) 다출력 전원 회로의 정전압 회로
EP0115896A1 (en) Optical indicator device
JPH0785648B2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電源回路
JPH07264846A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KR970006425Y1 (ko) 전류 및 전압 궤환에 의해 제어되는 직류 전원 장치.
JP2767010B2 (ja) 過電圧保護回路
KR920000518Y1 (ko) 원칩사용시 직류전압을 안정화시키는 전압 안정화회로
KR910000601Y1 (ko) 교류 전압 레귤레이터
KR900001911Y1 (ko)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레귤레이터 회로
KR930004375Y1 (ko) 마이크로 웨이브 오븐의 인버터 보호회로
JP3134913B2 (ja) スイッチングデバイス
KR970002782Y1 (ko) 서보 콘트롤러의 과전압 검출 및 보호 회로
KR930011247B1 (ko) 트라이액을 이용한 전압 레귤레이터
JPH08115134A (ja) 電源回路
KR940001193Y1 (ko) 정전압기의 발열 감쇄회로
KR890006042Y1 (ko) 전압 자동 제어 장치
KR900007410B1 (ko) 전원기기의 과전류 보호회로
KR0172862B1 (ko) 스위칭 전원장치의 펄스 폭 제어 회로
KR890000287Y1 (ko) 전원제어용 집적회로의 발열방지회로
KR900010911Y1 (ko) 리모콘(remocon) 대기 전원회로
KR880000772Y1 (ko) 발열체의 전력 제어회로(發熱體의 電力制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