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6042Y1 - 전압 자동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전압 자동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6042Y1
KR890006042Y1 KR2019860017161U KR860017161U KR890006042Y1 KR 890006042 Y1 KR890006042 Y1 KR 890006042Y1 KR 2019860017161 U KR2019860017161 U KR 2019860017161U KR 860017161 U KR860017161 U KR 860017161U KR 890006042 Y1 KR890006042 Y1 KR 8900060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output
transformer
power supply
com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71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812U (ko
Inventor
심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171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6042Y1/ko
Publication of KR8800108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8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60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0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4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4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4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 H02M5/443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 H02M5/4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5/45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wavefor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4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4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4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 H02M5/443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 H02M5/4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5/451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frequ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압 자동 제어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개요도.
제2도는 본 고안 일실시예를 도시한 상세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원부 2 : 정류부
3 : 전원 제어부 4 : 전원구동부
본 고안은 트랜스 포머의 1차측에 인가되는 AC 전압이 변화 하더라도 2차측에 유기되는 AC전압을 정전압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전압 자동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 회로 설계시 1차측 전압을 100/110V 기준으로 2차측 AC회로를 설계하는 것이 보통이다.
우리나라의 전원 사정을 보면 전압 변동이 AC 85V-125V로 되어 2차측 AC전압도 같이 변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바, 예컨데 AC 1차측 전압이 낮게 걸린 경우에는 2차측 AC 전압이 기존 설계한 전압보다 낮게 걸리므로 AC로드(LOAD)를 제대로 구동시킬 없었으며, 반대로 AC 1차측 전압이 높게 걸린 경우에는 2차측 AC 전압이 과전압으로 되어 AC 회로나 AC 로드에 큰 악영향을 미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결점을 해소코자 안출한 것으로써, 1차측 AC 전압의 변동에 무관하게 2차측에는 항상 일정한 전압을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제어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실시예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개요도로써, 회로구성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1)와 AC 전압을 DC전압으로 정류시키는 정류부(2)와 상기한 정류부(2)의 출력을 비교 판단하여 이를 제어하는 전원제어부(3)와 전원제어부(3)에서 출력되는 레벨 전압에 따라 트랜지스터 포머 2차측에 연결된 릴레이(RY) 및 트라이아악(TA1)(TA2)를 구동시켜 AC로드에 정전압을 출력하는 전원구동부(4)로 이루어진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시도로써, 전원부(1)는 브릿지 다이오드(BD), 트랜지스터(Q1), 제너다이오드(ZD), 콘덴서(C1) 및 저항(R1)으로 구성된 통상의 전원부이다.
정류부(2)는 트랜스포머 2차측에서 유기되는 AC전압을 분배시키기 위한 저항(R2)(R3)와 AC 전압을 DC 전압으로 정류 시키기 위한 다이오드(D2) 및 콘덴서(C2)와 콘덴서(C2)의 역전압을 방지시키기 위한 다이오드(D1)로 구성이 된다.
전원제어부(3)는 정류부(2)의 출력 레벨에 따라 레벨전압을 자동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비교기(OP1-OP2) 앤드게이트(AN1)(AN2) 인버터(I1)(I2) 오아게이트(OR)등으로 구성된다.
전원구동부(4)는 전원제어부(3)의 전압레벨에 따라 구동하는 트랜지스터(Q2-Q5), 저항(R8-R14)와 트랜지스터(Q2)(Q3)의 동작에 따라서 전기한 트라이악(TA1)(TA2)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도록 포토센서(PH1)(PH2)와 트랜지스터(Q5)에 의거 동작하는 릴레이(RY)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실시예 동작을 설명한다.
처음 전원을 넣게 되면 통상의 전원부(1)에서는 전원전압(Vcc)이 출력되어 하기 각 전원전압(Vcc)단자에 인가된다.
이때 트랜스 포머의 2차측 A점에서 유기되는 AC전압이 AC로드 전압을 분배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는 저항(R2)(R3)을 통하여 분배된후 다이오드(D2)와 콘덴서(C2)를 통해 AC 전압이 DC 전압으로 정류되어 비교기(OP1)(OP2)의 비반전단자(+), 반전단자(-)에 각각 입력이 되는데 이때 전압을 Vin이라 한다.
상기 비교기(OP1)의 반전단자(-)에는 저항(R4)(R5)에 의해서 분배된 전원단자(Vcc), 즉, V1이 입력이 되고 다른 비교기(OP2)의 비반전단자(+)에는 저항(R6)(R7)에 의해서 분배되는 전원전압(Vcc)이 즉 V2가 입력이 된다.
여기서, 트랜스포머에 일정한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비교기(OP1)(OP2)의 각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압, 즉 V1, Vin, V2가 V1>Vin>V2로 되도록 사용자가 저항값을 설정한다.
그런데, Vin>V1이라고 가정하면, 비교기(OP1)의 출력은 "하이" 신호의 레벨이 되고, 반대로 비교기(OP2)의 출력은 "로우" 신호의 레벨이 되어 직접 또는 인버터(I1)(I2)를 각거쳐 앤드게이트(AN1)(AN2)에 각각 인가되는 바, 앤드게이트(AN1)의 출력은 "하이"신호의 레벨이 되어 저항(R10)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되므로 포토센서(PH2)가 동작을 하여 트라이악(TA2)에 트리거 전압이 인가되어 트라이악(TA2)이 동작을 한다.
따라서, 트랜스 포머 2차측 B점에서 유기되는 전압 AC이 로드(LOAD)에 인가된다.
한편, 비교기(OP1)(OP2)에 인가되는 전압(Vin)이 V1, V2보다 적으면, 비교기(OP1)의 출력은 "로우" 상태이고 비교기(OP2)의 출력은 "하이" 상태가 되므로 결국 앤드게이트(AN2)의 출력은 "하이"신호의 레벨이 되어 저항(R8)을 통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단자에 인가되는 바, 트랜지스터(Q2)가 동작을 하여 포토센서(PH1)의 동작을 하므로 트라이악(TA)이 트리거되어 트랜스 포머 2차측 C점에서 유기된 전압이 AC 로드에 인가된다.
그리고 트랜스 포머 1차측에 정격 AC 전압이 인가되면 이때 A점에 유기되는 전압이 AC 로드에 인가되는 동작을 설명한다.
비교기(OP1)(OP2)에 각각 인가된 전압(Vin)는 전기한 바와 같이 V1>Vin>V2가 되게 사용자 설정하였으므로 비교기(OP1)(OP2)의 출력은 "로우" 신호가 되어 앤드게이트(AN1)(AN2)의 출력은 "로우" 신호가 되어 오아게이트(OR)에 각각 입력된다.
오아게이트(OR)는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로우" 신호를 논리 합하여 그 출력 "로우"신호를 저항(R9)를 통해 트랜지스터(Q4)에 인가한다.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단자에 "로우" 신호의 레벨이 인가되면 "오프"되므로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단자에 바이어스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바, 초기 상태에서 "온"되어 있는 릴레이(RY)가 동작하지않아 A점에서 유기되는 전압이 AC 로드에 인가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동작하는 본 고안의 작용 효과는 트랜스포머 1차측에 인가되는 AC 전압의 변동에 무관하게 트랜스 포머 2차측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기기에 항상 일정한 전압을 공급하므로써 기기의 파괴 및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트랜스포머 2차측의 A점에서 유기된 AC전압을 DC 전압으로 정류시키는 정류부(2)와, 사용자가 설정하는 전압(V1)(V2)와 상기한 정류부(2)에서 정류된 전압(Vin)과 비교하여 이 출력을 조합하여 AC로드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도록 하는 전원제어부(3)와, 상기한 전원제어부(3)의 출력을 받아 트랜스 포머 2차측에 각각 연결된 트라이악(TA1)(TA2) 및 릴레이(RY)를 구동시키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트랜지스터(Q1-Q5) 및 포토센서(PH1)(PH2) 등으로 구성된 전원구동부(4) 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자동 제어장치.
KR2019860017161U 1986-11-05 1986-11-05 전압 자동 제어 장치 KR8900060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7161U KR890006042Y1 (ko) 1986-11-05 1986-11-05 전압 자동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7161U KR890006042Y1 (ko) 1986-11-05 1986-11-05 전압 자동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812U KR880010812U (ko) 1988-07-28
KR890006042Y1 true KR890006042Y1 (ko) 1989-09-09

Family

ID=19256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7161U KR890006042Y1 (ko) 1986-11-05 1986-11-05 전압 자동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604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812U (ko) 1988-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4560A (en) Protection circuit for switching mode power supply circuit
US5168435A (en) Converter
JPH0279773A (ja) 電源制御回路
KR890006042Y1 (ko) 전압 자동 제어 장치
US4672367A (en) Optical indicator device
JPS5837774B2 (ja) インバ−タノカデンリユウホゴソウチ
JP3248623B2 (ja) 無接点開閉器
JPH0130845Y2 (ko)
JPH0739344Y2 (ja) 保護回路付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KR960016603B1 (ko) Smps 과전압 상승 방지회로
KR930007960Y1 (ko) 3상전원의 역상 및 결상 검출회로
JP3339543B2 (ja) リモートセンシング端子付き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900000146Y1 (ko) 전원스위칭회로
KR900009471Y1 (ko) 절연형 다출력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의 보호회로
KR910002049Y1 (ko) 전원공급장치의 보호회로
KR920004324Y1 (ko) 프리볼트용 콜드 정전압 회로
KR970006425Y1 (ko) 전류 및 전압 궤환에 의해 제어되는 직류 전원 장치.
KR900009237Y1 (ko) Smps회로의 상용입력 자동선택회로
KR100207436B1 (ko) 모니터의 파우어 이차측 전압 안정화 회로
SU1191896A1 (ru) Вторичный источник электропитани посто нного или переменного напр жени
KR940004485Y1 (ko) 릴레이와 저항을 이용한 콘덴서 방전회로
KR900002493Y1 (ko) 다출력 전원 회로의 정전압 회로
KR880002181Y1 (ko) 트라이악을 이용한 절환식 절전회로
KR970002430Y1 (ko) 스위칭 모드 파워써플라이의 전압자동 조절회로
KR900001905Y1 (ko) 리모콘 사용기기의 전원릴레이 구동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