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626B1 - 연료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연료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626B1
KR900001626B1 KR1019870003707A KR870003707A KR900001626B1 KR 900001626 B1 KR900001626 B1 KR 900001626B1 KR 1019870003707 A KR1019870003707 A KR 1019870003707A KR 870003707 A KR870003707 A KR 870003707A KR 900001626 B1 KR900001626 B1 KR 900001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intake
fuel
stopped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3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0295A (ko
Inventor
세쓰히로 시모무라
다 야스오 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시끼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095132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248838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10005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255547A/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시끼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870010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0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68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thermal effects
    • G01F1/696Circuits therefor, e.g. constant-current flow meters
    • G01F1/698Feedback or rebalancing circuits, e.g. self heated constant temperature flowmeters
    • G01F1/6983Feedback or rebalancing circuits, e.g. self heated constant temperature flowmeters adapted for burning-off depos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8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by measuring intake air flow
    • F02D41/187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by measuring intake air flow using a hot wire flow sen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1/00Engines characterised by fuel-air mixture compression
    • F02B1/02Engines characterised by fuel-air mixture compression with positive ignition
    • F02B1/04Engines characterised by fuel-air mixture compression with positive ignition with fuel-air mixture admission into cylin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료 제어장치
제1도는 이 발명의 연료제어장치의한 실시예의 구성을표시하는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의 연료 제어장치에서의 ECU 내부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
제3도는 이 발명의 연료 제어장치 프로그램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프로우 차아트.
제4도는 기관을 정지하였을때의 AFS 출력파형도.
제5도는 이 발명의 연료 제어장치 프로그램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프로우 차아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AFS 3 : 드로틀 밸브
4 : 드로틀 센서 8 : 실린더
9 : 인젝터 10: ECU
11 : 크랭크각센서 12 : 시동스위치
13 : 냉각 수온 센서 105 : CPU
105a : ROM 105b : RAM
105c, 105d : 타이머 106, 107 : 구동회로
이 발명은 내연기관의 연료제어에 사용되는 열선식 흡개량 센서의 표면 부착물의 고온소각(Burn off)을 행하는 경우에 가소린 혼합기체에 착화시킬 염려가 없도록 한 연료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선식 흡기량센서는 열선표면에 부착하는 물질에 의하여 특헝 변화가 생기면 그 결과 기관으로의 연료 공급량에 오차가 생겨 배기가스의 악화나 운전성능 저하라는 문제를 초래한다.
이와같은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기관이 정지상태일때 열선표면의 부착물을 고온소각하는 것은 종래부터 행하여 왔다. 고온 소각방법에 관하여는 일본 특개소 54-76182호 공보에 설명되고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고온소각 동작을 효과적으로 행하기 위하여 열선의 가열온도는 1000℃ 전후로 하여야 함은 실험에 의하여 판명되고 있다. 그렇지만 열선은 1000℃에 가열하면은 가소린 혼합기체에 착화가능이 있으며 가소린 기관의 흡기통로에 설치되는 흡기량 센서에 대하여 악영향을 주게된다.
그래서 종래부터 가소린 혼합기체의 착화를 피하기 위하여 고온소각 실행의 경우 기관 운전중의 온도, 회전수가 소정조건을 충족하고 흡기관내에 예열과정에서 과잉공급된 가소린이 충분히 소기(掃氣)되어 있는 경우에만 실행을 허용하고 있다. 그렇지만 상술의 고온소각 실행조건이 판정만으로는 불충분하며 고온소각에 의하여 가소린 혼합기체에 작화시키게 되는 경우가 있음을 실험에서 밝혀졌다.
즉 기관에 예열완료한 경우라도, 기관을 전개(全開) 운전하였을때의 흡기역류등에 의하여 연료 제어밸브부근에 체류 가소린이 대향존재하는 경우가 있으며 기관 정지후에 급속하게 흡기량 센서 근방까지 가소린 혼합기체가 소상(遡上)하여 그 상태로 고옹소각을 실행하면은 가소린에착화시키게 된다는 결합이 생긴다. 또 기관이 상기 고온소각 실행 조건을 충족한 후에 연료 제어밸브를 비롯한 각부의 고장에 의하여 흡기관에 다량의 가소린이 공급되어 기관이 과농(過濃) 공연비에 의하여 정지(소위 엔진스톱) 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에도 다량의 가소린의 기관에 의하여 소기되어 있지 않으모로 고온소각을 실행하면은 가소린에 착화시키게 된다는 결합이 있다. 이 발명은 그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소린 혼합기체에 착화시킬 염려가 없는 연료 공급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에 관한 연료제어장치는 기관의 정지시 흡기량 센서의 출력에서 기관의 흡기정지를 판정한 시점으로부터 소정시한내에 고온 소각하도록 제어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특히 상기 기관의 흡기정지가 엔진정지의 경우에는 엔진정지후에는 고온소각을 실행하지 않도록 한 것으로서 전원스위치가 폐로 상태일때 회전수가 소정치를 하회할때 엔진정지표식을 세트하는 동시에 연료제어 밸브의 제어를 정지하고 전원스위치가 개로로 되었을때 연료제어 밸브의 제어를 정지하는 동시에 엔진정지표식이 리세트상태에 있을때는 흡기량 센서의 출력이 소정치이하로된 시점 또는 이 시점에서 소정시한 후에 열선을 통상의 동작온도를 상회하는 운도까지 가열하여 열선의 표면부착물을 소각시키는 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이 발명에서는 흡기가 정지후 연료공급부의 체류가소린 이 기화하여 흡기량 센서부근에 소상하여 올때까지 고온 소각을 실행하여 가소린의 착화를 방지한다.
특히 흡기의 정지가 엔진정지의 경우에는 엔진정지표식을 세트하여 그후의 고온소각을 저지하도록 하여 흡기관내에 다량 잔류하고 있는 가소린에 착화시키지 않도록 한다.
이하이 발명의 연료제어장치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그 한실시예의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이며 엔진의 흡입공기량을 검출하는 열선식 흡기량 센서(이하 AFS라함)를 사용한 연료제허장치의 구성표시도이다. 이 제1도에서, 1은 에어크리너, 2는 AFS, 3은 엔진의 흡입 공기량을 제어하는 드로틀밸브(throttle value)이다.
드로틀센서(4)는 이 드로틀 밸브(3)과 연동하며, 그 개도(開度)를 전압신호로 발생시켜 전자 제어유닛(이하 ECU라함)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 서어지 탱크(5)에 흡기 매니폴드(6)가 이어지고 흡기 매니폴드(6)는 실린더(8)에 연결되어 있다. 실린더(8)에선 도시 생략된 캠에 의하여 구동되는 흡기 밸브(7)이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8)(기통)은 도면에서는 간략화를 위하여 엔진의 1기통 부분만 표시하고 있지만은 실제에는 복소기통으로 구성된다. 각 실린더(8)마다 연료 제어밸브(이하 인젝터라 함)(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인젝터(9)의 연료분사량을 각 실린더(8)에 흡입되는 공기량에 대하여 소정의 공연(A/F)비가 되도록 ECU(10)으로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ECU(10)은 AFS(2) 및 크랭크각센서(11), 시동스위치(12), 엔진의 냉각수온센서(13) 및 드로클센서(4)의 신호에 기준하여 연료분사량을 결정하고 또한 크랭크각센서(11)의 신호에 동기하여 인젝터(9)의 연료분사펄스의 펄스폭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ECU(10)은 고온소각 조건이 모두 성립하였을때 고온소각 제어신호(14)를 발생하여 AFS(2)에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AFS(2)의 고온소각제어에 관련한 구성 및 동작을 공지의 것과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도는 ECU(10)의 내부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이며 이 제2도에서, 101은 크랙크각센서(11), 시동 스위치(12)의 디지틀 입력의 인터페이스회로, 102는 AFS(2) 냉각수온센서(13)의 아날로그 입력의 인터페이스회로, 103은 멀티풀렉서 (multip lexer)이며, A/D(아날로그/디지틀)변환기(104)에 의하여 AFS(2), 냉각수온센서 (13)으로부터의 아닐로그입력이 순차 디지틀치로 변환한다.
105는 ROM(105a), RAM(105b) 및 타이머(105c)(105d)를 내장하는 CPU이며 상기 인터페이스회로(101) 및 A/D변환기(104)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기준하여 ROM(105a)에 출적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인젝터 구동펄스폭을 연산하고 타이머(105c)에 의하여 소정시간폭의 펄스를 출력한다. 타이머(105c)에서 출력되는 펄스는 구동회로(106)에서 증폭되어 인젝터(9)를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연료제어에 관련한 상기 구성은 종래의 공지의 것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타이머(105d)는 제3도에 표시한 프로그램 동작에 의하여 고온소각 펄스를 출력하는 타이머이며 이펄스는 구동회로(107)에서 증폭되어 AFS(2)로 고온소각신호(108)로서 부여된다. 이하 고온소각에 관련한 프로그램은 제3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제3도는 기관정지에서 고온 소각에 이르는 제어만을 표시하면 운전상태에서의 연료제어는 생략하고 있다. 스탭 S에서, AFS(2)의 출력Qa를 판독하여 이것을 스택 S2에서 흡기량 Qth와 비교한다.
흡기량 Qth는 제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흡기가 대략 정지하였다고 간주되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Qa<Qth가 성립하였을 때 스텝 S3에 이행하며 타이머가 세트된다. 타이머의 시한을 제4도에서 출력 Qa가 흡기량 Qth를 하회하고 대략 완전한 O으로 되기까지이 시간 T보다 길고, 흡기량이 전지하고서부터 연료공급의 잔류가 가소린이 기화하여 소상하여오는 시간보다 짧은 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스탭 S4에서 타임오버가 판정되면은 스탭S5로 이행하고 고온소각을 실행한다. 그리고 기관정지후 흡기량이 급속히 감쇠하는 경우 Qa<Qth가 성립한 후 바고 고온소각을 실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스탭 S4가 생략될 수 있는 것을 말할 것도 없다. 다음에 엔진정지를 고려한 경우이 고온소각에 관련한 프로그램은 제5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스탭 S1에서 키이스위치를 판정하여 ON상태이면은 스탭S2에서 회전수 N가 소정치 NS보다 높은지여부를 판정한다. 소정치 NS는 기관정지로 간주되는 회전수가 상당한다. N>NS이면은 기관은 정상운전중이므로 스탭 S3에서 엔진정지표식이 리쎄트되며, N
Figure kpo00001
NS이면은 스탭 S4에서 엔진정지표식이 세트된다. 이어서 스탭 S5에서 엔진정지표식상태를 판정하여 리세트 상태이면은 스탭 S6의 연료제어를 실행하고 스탭 S1에 복귀한다. 엔진정지표식이 세트되어 있으면서 스탭 S6은 통하지 않고 스탭으로 복귀하므로 연료를 불필요하게 공급하지 않는다.
다시 스탭 S1에서 키이스위치가 OFF상태이면은 연료는 불필요하므로 스탭 S7에서 인젝터(9)를 강제적으로 정지시킨다. 그리고 인젝터(9)의 전원이 키이스위치에 연동하여 차단되도록 되어 있을 경우에는 스탭 S7은 폐지하여도 된다.
이어서 스탭 S8에서 엔진정지표식을 판정한다. 키이스위치 OFF전에는 엔진정지가 없는 경우는 엔진정지표식은 리세트 되어 있으므로 스탭 S9으로 이행하며 AFS ( 2)의 출력 Q를 소정치 QS와 비교한다. 이 소정치 QS는 흡기량이 대략 정지로 간주되는 값에 상당한다. Q
Figure kpo00002
QS로 되기까지 흡기량이 감소하면은 S10에서 타이머가 작동한다. 타이머의 시한은 Q
Figure kpo00003
QS로 되어 더욱 흡기량이 완전 0으로 되기까지의 시간에 맞추어 정해져 있다.
다음에 스탭 S11에서 고온소각을 실행한다. 만약 Q=QS의 상태에서 고온소각하여 지정없는 경우 스텝 S10은 생략가능하다. 다시 스텝 S8에서 엔진정지표식이 세트상태일때는 스텝 S9~S11을 경유하지 않고 종료하므로 키이스위치 OFF전에 엔진정지가 되어 있을 경우에는 고온소각을 실행하지 않는다.
그리고 고온소각 실행에 관하여는 제2도에 의하여 설명한대로 이다.
이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기관정지후 예열량에 대략 정지하고서부터 연료공급부에서 잔류 가소린이 기화소상하여 올때까지의 사이에 고온소각을 실행하도록 하였으므로 가소린에 착화시키는 결합은 없으며 또 프로그램의 약간의 추가로 상기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우수한 특징이 있다.
또 엔진 정지가 발생하였을때 혹은 키이스위치를 OFF하였을때 가소린은 쓸데없이 분사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운전중에 엔진정지가 발생할때 엔진정지표식을 세트하도록 하며 또한 키이스위치를 OFF한후 엔진정지표식이 리세트 상태에 있을때(즉 운전중에 엔진스톱이 없었을때)에만 고온소각을 실행하도록 하였으므로 인젝터를 비롯하여 연료계통 각 부품의 고장으로 엔진스톱이 발생하여 가소린이 과잉으로 흡기관에 잔류하고 있을때에는 고온 소각하지 않으며 가소린의 착화 염려는 없다.

Claims (2)

  1. 연료제어밸브의 작동에 따라 내연기관에 연료를 공급하는 수단, 상기 내연기관의 흡기통로내에 설치되어 흡입공기량을 검출하는 열선식 흡기량 센서, 상기 내연기관 정지의 경우에는 상기 흡기량센서의 출력에서 내연기관이 흡기정지를 판정한 시점에서 또는 그 시점에서 소정의 시한내에 열선을 통상 동작온도를 상회하는 온도까지 가열하여 열선의 표면부착물을 소각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여서된 연료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전원스위치의 폐로 상태일때 회전수가 소정치를 하회하면은 엔진정지표식을 세트하는 동시에 상기 연료제어 밸브의 제어를 정지하여 상기 전원스위치가 개로 되었을때 상기 연료 제어밸브의 제어를 정지하는 동시에 상기 엔진정지표식이 리세트상태일때에는 상기 흡기량 센서의 출력이 소정치이하로 된 시점에서 소정시한 후에 열선을 통상 동작온도를 상회하는 온도까지 가열하여 열선의 표면부착물을 소각시키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제어장치.
KR1019870003707A 1986-04-22 1987-04-17 연료 제어장치 KR9000016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132 1985-05-02
JP61095132A JPS62248838A (ja) 1986-04-22 1986-04-22 燃料制御装置
JP61-95132 1986-04-22
JP61100053A JPS62255547A (ja) 1986-04-29 1986-04-29 燃料制御装置
JP61-100053 1986-04-29
JP100053 1986-04-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295A KR870010295A (ko) 1987-11-30
KR900001626B1 true KR900001626B1 (ko) 1990-03-17

Family

ID=26436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3707A KR900001626B1 (ko) 1986-04-22 1987-04-17 연료 제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759333A (ko)
EP (1) EP0242822B1 (ko)
KR (1) KR900001626B1 (ko)
DE (1) DE3760822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35235A1 (de) * 1988-10-15 1990-04-19 Bosch Gmbh Robert Einrichtung zur temperatursteuerung eines widerstands
DE4237198A1 (de) * 1992-11-04 1994-05-05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Überprüfung einer Überwachungseinheit
US7550103B2 (en) * 2001-10-09 2009-06-23 International Automotive Components Group North America, Inc. Plastic skin forming process
CA2431054C (en) * 2001-10-09 2010-12-14 Collins & Aikman Corporation Plastic skin forming process
JP3828794B2 (ja) * 2001-12-05 2006-10-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流量測定装置
KR101619609B1 (ko) * 2014-09-05 2016-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의 공기유량센서 칩 히팅 제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50050C2 (de) * 1977-11-09 1983-12-08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Einrichtung zur Luftmengenmessung
DE2927378A1 (de) * 1979-07-06 1981-01-29 Bosch Gmbh Robert Einrichtung zum freibrennen eines zu messzwecken dienenden widerstandes
DE3207394A1 (de) * 1982-03-02 1983-09-08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Steuereinrichtung in verbindung mit einem luftmassensensor einer brennkraftmaschine
JPS5927222A (ja) * 1982-08-09 1984-02-13 Nissan Motor Co Ltd 熱線形空気流量計の制御回路
JPS603521A (ja) * 1983-06-21 1985-01-09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熱線式空気流量計の制御装置
JPS6053638A (ja) * 1983-09-02 1985-03-27 Nissan Motor Co Ltd 熱線式空気流量計を備えたエンジンの制御装置
US4565091A (en) * 1984-04-20 1986-01-21 Nippondenso Co., Lt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quantity of airflow passing through an intake passage of an eng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295A (ko) 1987-11-30
US4759333A (en) 1988-07-26
EP0242822A2 (en) 1987-10-28
DE3760822D1 (en) 1989-11-23
EP0242822B1 (en) 1989-10-18
EP0242822A3 (en) 1987-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0224B1 (ko) 연료제어장치
KR900001626B1 (ko) 연료 제어장치
KR900001426B1 (ko) 연료제어장치
KR900001427B1 (ko) 연료 제어장치
KR920005851B1 (ko) 연료 제어 장치
KR970044857A (ko)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KR900001430B1 (ko) 연료제어장치
JPS611841A (ja) 内燃エンジンの燃料噴射装置
JP2584299B2 (ja) 内燃機関の電子制御燃料噴射装置
JPS62248838A (ja) 燃料制御装置
JPS62233446A (ja) 燃料制御装置
JPS62248836A (ja) 燃料制御装置
JPS62233444A (ja) 燃料制御装置
JPS62248850A (ja) 燃料制御装置
JPS62233445A (ja) 燃料制御装置
JPS62248837A (ja) 燃料制御装置
JPS61223239A (ja) 内燃機関の始動時燃料噴射制御装置
JP2020084838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S61123743A (ja) 電子制御燃料噴射装置
JPS6032963A (ja) 電子制御式燃料噴射装置
JPS63219854A (ja) 燃料制御装置
JPS62253935A (ja) 燃料制御装置
JPS6460740A (en) Fuel supply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63154830A (ja) 内燃機関の電子制御燃料噴射装置
JPS6232234A (ja) エンジンの燃料噴射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0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