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106Y1 - 클로우즈드 페이스형 리일의 드랙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클로우즈드 페이스형 리일의 드랙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106Y1
KR900000106Y1 KR2019860021034U KR860021034U KR900000106Y1 KR 900000106 Y1 KR900000106 Y1 KR 900000106Y1 KR 2019860021034 U KR2019860021034 U KR 2019860021034U KR 860021034 U KR860021034 U KR 860021034U KR 900000106 Y1 KR900000106 Y1 KR 9000001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g
knob
actuator
leve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210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9248U (ko
Inventor
히데오 노다
Original Assignee
시마노 고오교오 기부시기 가이샤
시마노 쇼우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마노 고오교오 기부시기 가이샤, 시마노 쇼우조우 filed Critical 시마노 고오교오 기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92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92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1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1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27Brake devices for reels with pick-up, i.e. for reels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275Brake devices for reels with pick-up, i.e. for reels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with closed fa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클로우즈드 페이스형 리일의 드랙 조정장치
제1도는 본 고안 리일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종단측면도.
제2도는 제 1도 Ⅱ-Ⅱ 선 단면도.
제3도는 제 1도 Ⅲ-Ⅲ 선 단면도.
제4도는 핸들축의 위치를 종단하여 부호로 부터 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일 보디 2 : 스푸울
3 : 회전축 4 : 회전체
5 : 낚싯줄 걸림체 6 : 피니언 기어
7 : 리턴 스프링 8 : 마스터 기어
9 : 핸들 축 10 : 조작레버
11 : 설치각 12 : 스푸울 커버
13 : 통축 15 : 캠
16 : 지지통 20 : 드랙 제동부재
21 : 소경 제동판 30 : 드랙 노브
31 : 지지축 22 : 대경 제동판
40 : 드랙 레버 41 : 작동체
32 : 이동체 33 : 전동축
34 : 스프링 40a : 보스부
41a : 통부 40b : 레버부
41b : 암부 42 : 회전 저지판
본 고안은 콜로우즈드 페이스형 리일에 있어서의 드랙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대상인 클로우즈드 페이스형 리일은 리일 보디에 핸들축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축을 접동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그 회전축에 아암형 회전체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리일 보디의 전부에 스푸울을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그리고 상기 리일 보디의 전부에 상기 회전체 및 스푸울을 덮는 커버를 설치한 것으로, 드랙 조정장치는 상기 스푸울의 회전에 제동력을 가하는 것이다.
종래 클로우즈드 페이스형 리일은 이미 알려져 있으며 이 리일에는 상기 스푸울과 상기 리일보디와의 사이에 드랙 제동부재를 설치하고, 이 드랙제동부재가 스푸울의 압접에 의하여 상기 스푸울의 회전에 제동력을 가하도록한 드랙 조정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 드랙 조정장치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소 58-15287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리일 보디에, 상기 드랙 제동부재의 조작 레버를 나착(螺着)함과 동시에 상기 리일 보디의 후부에 외부 조작 가능한 드랙 노브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이 드랙 노브를 상기 조작체에 연동시킨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드랙 조정장치는 상기 드랙 노브를 잡고 회전 조작함으로써 상기 조작레버를 나진(螺進) 또는 나퇴(螺退)시켜 상기 드랙 재동부재에 의한 제동력을 조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낚시 바늘에 걸린 고기의 인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동력을 조정할때에 있어서 조작성이 대단히 나빠, 신속한 조정을 할 수가 없었다.
그 결과, 제동력의 조정이 늦어져 상기 낚시바늘에 걸린 고기가 낚시 바늘로 부터 빠져 도망치거나, 혹은 낚싯줄이 끊어지거나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스푸울의 회전에 미리 소정의 제동력을 가할수가 있고 제동력이 너무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제동력은 고기를 낚을때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정할수가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클로우즈드 페이스형 리일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드랙 조정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a) 상기 스푸울의 회전에 제동력을 가하는 드랙 제동부재와, b) 상기 리일 보디의 후부에 나착되어 상기드랙 제동부재의 초기하중을 설정하는 드랙 노브와 c) 이 드랙 노브의 동작을 상기 드랙 제동부재에 전달하는 전동수단과, 이 전동수단을 상기 드랙 노브에 대하여 일정 범위를 이동하는 이동체를 구비하고 있고, d) 상기드랙 노브로 설정하는 초기 하중을 조정하는 드랙레버, e) 이 드랙레버의 동작을 상기 이동체에 전달하여 상기이동체를 상기 동작노브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작동체.
그러므로 본 고안에 의하면 고기를 낚을때, 미리 드랙노브를 회전 조작하여, 드랙 제동부재의 초기 하중을 설정하여 스푸울의 회전에 상기 초기 하중에 대응하는 제동력을 가하는 것으로서 이 상태에서 고기가 낚싯밥을 물어 낚시바늘에 걸렸을 경우 드랙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낚시바늘에 걸린 고기의 인력에 따라 상기 초기하중, 즉 제동력을 신속하게 조정할 수가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드랙 레버는 리일 보디의, 후부에서 손가락을 걸어 용이하게 작동시킬수 있는 구조로 할수 있으므로 상기 제동력의 조정을 신속하게 할수 있고, 그러므로, 스푸울(2)의 제동력이 너무 작아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고기의 인력에 따른 조정이 용이하여, 고기를 놓치는 일이 없이 신속하게 또한 원활하게 낚아올린수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대상이 되는 클로우즈드 페이스형 리일은, 제1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에 설치각(脚)(11)을 가지고, 또 전부에 아암형의 스푸울 커버(12)를 구비하고, 내부를 중공(中空)으로 한 리일보디(1)의 전면에, 통축(13)을 설치하고, 이 통축(13)의 의주에 스푸울(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 동축(13)의 중심 구멍에 회전축(13)을 회전 및 접동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그 회천축(3)의 선단에 환상단연(環상端椽)을 가진 아암형 회전체(4)를 설치하여 이 회전체(4)에 상기 스푸울(2)로 부터 인출한 낚싯줄을 걸어 상기 스푸울(2)에 감기위한 낚싯줄 걸림체(5)를 반경 방향으로 진퇴(進退)가 자유롭게 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의 리일보디(1)내로의 돌입축부에는 피니언 기어(6)를 접동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이 피니언 기어(6)와 상기 회전축(3)과의 사이에는 상기 회전축(3)을 리일 보디(1)의 후방측으로 부세(付勢)하는 리턴 스프링(7)이 장착되어 있다.
또, 상기 리일보디(1)의 측부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6)와 맞물리는 마스터기어(8)를 가진 핸들축(9)을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고, 다시 상기 설치각(11)의 목부분에는 상기 리일 보디(1)내에 개구하는 레버 삽통구멍(14)을 설치하고 이 레버 삽통구멍(14)내에 일단측에 상기 리일보디(1)의 전방을 향하여 뻗는 손가락 걸림부를 가진 조작레버(10)를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 레버(10)의 타단측은 상기 리일보디(1)내에 돌입시켜 상기 회전축(3)의 축단부에 당접시키고, 상기 조작레버(10)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회전축(3) 및 아암형 회전체(4)를 상기 리턴 스프링(7)에 대항하여 리일 보디(1)의 전방측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낚싯줄 걸림체(5)를 아암형 회전체(4)내로 후퇴 이동시켜 이 낚시줄 걸림체(5)에 의한 낚싯줄의 록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핸 들축(9)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회전축(3) 및 아암형 회전체(4)가 회전하고, 이 회전에 의하여 상기 낚싯줄 걸림체(5)가 아암형 회전체(4)의 외측으로 돌출하여 이 낚싯줄 걸림체(5)에 의하여, 인출된 낚싯줄을 걸어 상기 스푸울(2)에 감겨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통축(13)의 선단 외주면에는 축심에 대하여 편위(扁位)된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원형 외면을 가지고, 상기 축심에 대하여 가장 먼 위치의 고위부(高位部)가 상기 통축(13)외주면과 동일 평면에 위치하고, 이 고위부와 대칭위치가 상기 축심에 대하여 가장 가까운 저위부가 되도록 한 캠(15)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4)의 리일 보디(1)전방측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낚싯줄 걸림체(5)가 상기 캠(15)의 저위부에 빠져들어가 상기 회전체(4)내로 후퇴하고, 또, 이 상태에서 상기 회전체(4)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낚싯줄 걸림체(5)가 상기 캠(15)의 고위부로 들어 올려져 회전체(4)의 외측으로 진출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1도 내지 제4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클로우즈드 페이스형 리일에 있어서, 드랙 조정장치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고 있다. 즉 상기 스푸울(2)의 후면과 상기 리일보디(1)의 전면과의 사이에 드랙 제동부재(20)를 상기 스푸울(2)의 축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하는 한편, 상기 리일보디(1)의후벽에, 그 후벽을 관통하는 관통구멍 주위로 부터 후방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지지통(16)을 설치하고, 이 지지통(16)의 선단측 외주에 상기 드랙 제동부재(20)의 초기 하중을 설정하는 드랙 노브(30)를 나착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통(16)의 기단측(基壇側)외주에 상기 드랙노브(30)로 설정한 초기 하중을 조정하는 드랙레버(40)를 작동체(4)를 거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드랙 제동부재(20)는 두개의 소경(小俓) 제동판(21)과, 축방향으로 만곡되는 하나의 대경(大俓)제동판(22)으로 이루어지고, 소경제동판(21)은 상기 통축(13)의 일단 외주에 접동만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또, 대경제동판(22)은 탄성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외주부 일측에 각편(脚片)(22a)을 설치하고, 이 각편(22a)을 상기 리일보디(1)의 전면에 설치한 홈형상 지지부에 지지함과 동시에 타측에 감합구멍(22b)를 설치하고 있다.
또, 상기 드랙 노브(30)는 나사구멍을 가진 아암형으로 형성하여, 그 나사 구멍을 상기 지지통(16)에 나합하게 된다.
이 드랙 노브(30)에는, 그 내면 중앙부에 지지축(31)을 일체로 돌출 형성하여 그 지지축(31)을 상기 지지통(16)내에 삽통하고, 이 지지축(31)의 리일보디(1)의 내실(內室)로의 돌입부에 이동체(32)를 일정 범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이 이동체(32)의 편심부위에, 상기 리일보디(1)의 전면을 관통하여 상기 드랙 제동부재(20)에 있어서의 대경 제동판(22)의 감합구멍(22b)에 감합되는 전동축(33)을 설치하여 상기 드랙노브(30)의 움직임을 상기 지지축(31)으로부터, 이동체(32) 및 전동축(33)을 거쳐 상기 드랙 제동부재(20)에 전달하는 전동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드랙레버(40)는 나사구멍과 상기 드랙노브(30)의 단면에 대접하는 접촉면을 가진 보스부(40a)와, 그 보스부(40a)의 외주로 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뻗는 레버부(40)로 이루어져 상기 보스부(40a)를 상기 작동체(41)의 외주에 나착시키고 있다.
이 작동체(41)는, 중심부에 감합구멍을 가지고, 또, 외주에 나사를 가진 통부(41a)와, 그 통부(41a)의 일단면으로 부터 그 축방향으로 뻗는 복수개의 아암부(41b)를 구비하고, 상기 통부(41a)를 상기 지지통(16)의 기단부 외주에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아암부(41b)를, 상기 리일보디(1)의 후벽에 설치된 삽통구멍(17)을 관통하고, 그 선단을 상기 이동체(32)의 측면에 당접시켜, 상기 드랙 레버(40)의 움직임을 작동체(4I)로 부터 이동체(32) 및 전동축(33)을 거쳐 상기 드랙 제동부재(20)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드랙노브(30)와 드랙 레버(40)와의 사이에는, 회전 저지부(42)를 끼워 상기 드랙노브(30)와 드랙레버(40)가 함께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저지판(42)은, 상기 지지통(16)에 대하여 회전 불능이고, 또한 축 방향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통(16)외주의 나사부에는 축방향으로 뻗는 흠줄을 설치하고, 또 상기 회전 저지판(42)의 내주에는, 상기 홈줄에 계합되는 돌기가 설치되어있다.
또, 상기 이동체(32)는 지지축(31)에 대하여 회전 및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이 이동체(32)와 상기 지지축(31)의 축단부와의 사이에는 상기 이동체(32)를 상기 드랙 제동부재(20)의 재동력 해제 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34)이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리일에 의하여 스푸울(2)에 감겨진 낚싯줄을 상기 스푸울(2)로 부터 인출하여 고기를 낚는 경우, 미리 드랙 노브(30)를 회전 조작하여 드랙 제동부재(20)의 초기 하중을 설정하게 된다. 즉, 드랙노브(30)의 나진(螺進)에 의하여 이동체(32) 및 전동축(33)이 전진 이동하여, 드랙 제동부재(20)를 스푸울(2)에 압접시켜 스푸울(2)의 회전에 소정의 제동력을 가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작동체(41) 및 드랙 레버(40)도 상기 드랙 노브(30)에 추종하고, 상기 아암부(41b)가 이동체(32)에 당접한체로 이동한다. 또 이상태로 부터, 상기 드랙노브(30)를 나퇴(螺退)시키면, 상기 이동체(32) 및 전동축(33)은 스프링(34)을 거쳐 후퇴이동하여 상기 제동력을 감소된다.
이 경우, 상기 스프링(34)은 설치하지 않고, 상기 제동판(22)의 복원력으로 상기 이동체(32) 및 작동축(33)을 후퇴 이동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이상과 같이 초기 하중을 설정한 후, 고기가 낚시바늘에 걸려 낚싯줄에 인력이 작용했을 경우, 그 인력에 따라 드랙 레버(40)를 조작하게 되며, 이 레버(40)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드랙노브(30)로 설정한 드랙 제동부재(20)의 초기하중이 조정될수 가 있다. 즉, 드랙레버(4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도의 실선 화살표방향으로 나선시킴으로써, 작동체(41)가 점선 화살표 방향으로 상대이동함과 동시에, 이동체(32) 및 전동축(33)이 전진 이동하여, 상기 드랙 제동부재(20)의 스푸울(2)에의 압접력을 증대시키고, 제동력을 상기 드랙노브(30)으로 설정한 제동력으로 증대시킨다.
또 상기 작동체(41)가 상기한 바와 같이 전진 이동하여, 작동체(44)와 드랙노브(30)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긴 상태에서 상기 드랙레버(40)를 역 방향으로 조작하면, 상기 작동체(41)가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후퇴이동하여 제동력을 감쇄시킬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고기를 낚을때, 스푸울(2)의 회전에는, 드랙노브(30)에 의하여 설정한 초기 하중에 대응하는 제동력이 항상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낚싯 바늘에 걸린 고기의 인력에 따라 스푸울(2)의 제동력을 드랙레버(40)로 조정할때, 이 제동력이 너무 작아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고, 또, 상기 드랙레버(40)는, 손가락을 걸어 조작하는 것만의 간단한 조작으로 용이하게 작동시킬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드랙노브(30)의 조작력을 드랙 제동부재(20)에 전달하는 수단으로 전동축(33)을 사용하고, 또 드랙레버(40) 의 조작력을 드랙 제동부재(20)에 전달하는 수단으로 작동체(41)와 이동체(32)를 사용하였으나, 기타의 전달 수단으로 전동시켜도 된다.
또, 상기 작동체(41)에 나사를 설치하여 드랙레버(40)를 나합(螺合)하고, 나사의 추력(推力)으로 상기 작동체(41)를 이동시켰으나, 기타 캠을 사용해도 좋다.

Claims (6)

  1. 리일보디와, 이 리일보디의 전부에 스푸울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클로우즈드 페이스형 리일에 있어서, 상기 스푸울의 회전에 제동력을 가하는 드랙 제동부재와, 상기 리일 보디의 후부에 나착되고, 상기 드랙 제동부재의 초기 하중을 설정하는 드랙 느브와, 상기 드랙 노브의 동작을 상기 드랙 제동부재에 전달하는 전동수단과, 상기 전동수단은 드랙 노브에 대하여 일정 범위를 이동하는 이동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드랙 노브로 설정되는 초기하중을 조정하는 드랙 레버와, 상기 드랙레버의 동작을 상기 이동체에 전달하여 이동체를 상기동작 노브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작동체로 이루어진 클로우즈드 페이스형 리일의 드랙 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랙 노브는, 지지축을 구비하고, 그 지지축에 상기 이동체가 일정 범위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이동체를 상기 드랙 제동부재의 제동력 해제 방향으로 부세하는 수단을 구비한 클로우즈드 페이스형 리일의 조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일 보디는 후벽과 그 후벽으로 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지지통을 구비하고, 이 지지통의 외주에는 상기 드랙노브가 나착되고, 상기 드랙 노브의 지지축이, 상기 지지통의 중심부에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넣고 또한 상기 후벽을 관통하여 상기 리일 보디의 내실에 돌출되어 있고, 이 돌출부에 상기 이동체가 일정범위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된 클로우즈드 페이스형 리일의 드랙 조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는 상기 리일보디의 후벽과 상기 드랙 노브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지지통의 외주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또 상기 작동체는 상기 후벽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체에 접촉되고, 또한 상기 작동체의 회전을 불가능하게 하는 아암부를 가지고 있는 클로우즈드 페이스형 리일의 드랙 조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그 외주에 나사를 가지며, 그 나사에 상기 드랙 레버가 나착되어 있는 클로우즈드 페이스형 리일의 드랙 조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랙 레버와 노브와의 사이에 상기 레버의 회전 조작시, 그 조작력이 상기 드랙노브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회전 저지판이 개재되어 있는 클로우즈드 페이스형 리일의 드랙 조정장치.
KR2019860021034U 1985-12-27 1986-12-24 클로우즈드 페이스형 리일의 드랙 조정장치 KR90000010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5203562U JPH0425972Y2 (ko) 1985-12-27 1985-12-27
JP?60-203562 1985-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248U KR870009248U (ko) 1987-07-07
KR900000106Y1 true KR900000106Y1 (ko) 1990-01-30

Family

ID=16476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21034U KR900000106Y1 (ko) 1985-12-27 1986-12-24 클로우즈드 페이스형 리일의 드랙 조정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749285A (ko)
JP (1) JPH0425972Y2 (ko)
KR (1) KR90000010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04244C2 (de) * 1990-02-12 1994-06-09 Kuntze Angelgeraete Dam Angelrolle mit Spule und einstellbarer Bremse
US5040743A (en) * 1990-04-16 1991-08-20 Zebco Corporation Spinning reel with rear-actuated front drag
US5289991A (en) * 1990-07-04 1994-03-01 Shimano Inc. Spinning reel
JPH0430867U (ko) * 1990-07-04 1992-03-12
JP2557651Y2 (ja) * 1990-11-07 1997-12-10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ドラグ構造
JPH0751900Y2 (ja) * 1991-04-11 1995-11-29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覆面型リール
JPH06245674A (ja) * 1993-02-26 1994-09-06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US5697566A (en) * 1996-03-13 1997-12-16 Charles C. Worth Corporation Closed faced spinning reel with multiple function trigger
US5692691A (en) * 1996-03-21 1997-12-02 Charles C. Worth Corporation Double trigger actuated reel
JP4395341B2 (ja) * 2003-07-30 2010-01-06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アドラグ操作構造
US9560840B2 (en) * 2013-05-07 2017-02-07 Ams, Llc Fishing line reel with rapid line payou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04281A (en) * 1954-01-25 1959-09-15 Aldrich L Jackson Spinning type fishing reel
US2988298A (en) * 1957-05-21 1961-06-13 Lionel Corp Fishing reel
US4323203A (en) * 1980-12-22 1982-04-06 Brunswick Corporation Selective anti-reverse mechanism
US4591108A (en) * 1983-09-30 1986-05-27 Shimano Industrial Company Limited Dragging device for a spinning reel
FR2561497B1 (fr) * 1984-03-26 1987-01-23 Mitchell Sports Frein pour moulinet de peche au lanc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749285A (en) 1988-06-07
JPH0425972Y2 (ko) 1992-06-23
KR870009248U (ko) 1987-07-07
JPS62111373U (ko) 1987-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0106Y1 (ko) 클로우즈드 페이스형 리일의 드랙 조정장치
KR910000194B1 (ko) 스피닝 낚시리일의 드래그
JPH0425977Y2 (ko)
JP3151762B2 (ja) 魚釣用リール
USRE47184E1 (en) Fishing reel with improved line management and control system and clicker mechanism
KR850002770A (ko) 스피닝 리일의 제동장치
US4352474A (en) Drag control for fishing reels
KR20020015643A (ko) 양 베어링릴의 스풀 록킹기구
US4378914A (en) Uniform drag system for spin cast reels
KR19990030157A (ko)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릴의 스풀 제동장치
JPH0937687A (ja) 釣糸スプール組立体
US4850548A (en) Fishing reel trigger
JP2002084938A (ja) フィシングリール用のブレーキ装置
KR100505270B1 (ko) 낚시용 스피닝 릴
US4386743A (en) Line brake for spin cast reels
KR100671948B1 (ko)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
US6446894B1 (en) Planetary gear assembly for fishing reel
JP4324268B2 (ja)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US2656992A (en) Casting reel
KR100336275B1 (ko) 낚시용스피닝릴
US5918827A (en) Line spool retainer for a spin cast fishing reel
US3900167A (en) Closed face spinning reel
US3175781A (en) Clutch for fishing reel
US4431143A (en) Sliding drag system
JPH041981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26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