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6275B1 - 낚시용스피닝릴 - Google Patents

낚시용스피닝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6275B1
KR100336275B1 KR1019940037230A KR19940037230A KR100336275B1 KR 100336275 B1 KR100336275 B1 KR 100336275B1 KR 1019940037230 A KR1019940037230 A KR 1019940037230A KR 19940037230 A KR19940037230 A KR 19940037230A KR 100336275 B1 KR100336275 B1 KR 100336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stopper
fishing line
fishing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7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6505A (ko
Inventor
다께우찌신지
시노하라에이지
가와시로마사유끼
Original Assignee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335494A external-priority patent/JP295966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086708A external-priority patent/JP3036620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50016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6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2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21Frame details
    • A01K89/011221Frame details with line or water 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8Pick-up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1Spool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우터와, 스풀 축의 축방향으로 병진 운동할 수 있고 수동 핸들에 의해 로우터가 회전될 때 낚시줄이 권취될 수 있도록 스풀 축을 통해서 릴 본체에 지지된 스풀을 포함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낚시용 스피닝 릴은 낚시줄이 스풀 축에 권취되는 것을 방지하는 낚시줄 침입 저지체를 포함한다. 낚시줄 침입 저지제는 스풀 내에 배치된 로우터의 원통부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진다. 스풀이 전방으로 이동될 때 낚시줄 침입 저지체를 동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추종 기구가 마련된다.

Description

낚시용 스피닝 릴
본 발명은 낚시줄이 로우터와 스풀 사이의 틈새에 걸림을 방지할 수 있는 낚시용 스피닝 릴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낚시용 스피닝 릴은 제2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환형의 베일(5)이 베일 지지 부재 즉 라인 롤러(7)를 갖는 베일 아암(9)과 (도시하지 않은) 베일 홀더를 통해 로우터(1)의 양측에 각각 마련된 베일 지지 아암(3)의 선단에 낚시줄 권취 위치(제25도중 A쪽)와 낚시줄 풀림 위치(제25도중 B쪽)중 어느 한 쪽으로 역전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먼저, 베일(5)은 제2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시줄 권취 위치까지 내려지고, 그후 릴 본체(11)에 마련된 수동 핸들(13)을 회전시킴으로써 로우터(1)가 권취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로우터(1)의 회전과 연동해서 종방향 왕복 운동을 하는 스풀(15)에 낚시줄이 권취된다.
전술한 종류의 낚시용 스피닝 릴에 있어서, 낚시줄이 권취될 때 장력 변동이나 낚시줄의 꼬임 등으로 인해 낚시줄이 스풀(15)과 로우터(1) 사이의 틈새로 침입해서 스풀(15)의 (도시하지 않은) 스풀 축에 걸려 들어가는 소위 바람직하지 못한 낚시줄 걸림이 야기될 수 있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기 위해 일본 실용신안공고 공보 평3-9656호에는 낚시줄 침입 저지체가 마련된 낚시용 스피닝 릴이 개시된다. 제26도 및 제27도는 낚시줄 침입 저지체(25)가 로우터(29)와 함께 회전하면서 베일 지지 아암(21)을 따라 스풀(23)과 더불어 종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낚시줄 침입 저지체(25)가 스풀(23) 내의 스풀 축(27)에 끼워맞춤되는 스피닝 릴을 도시하고 있다. 제26도 및 제27도에서, 참조부호 29는 낚시줄 침입 저지체의 저지부를 나타내며, 이 저지부에는 그 선단에 각각의 베일 지지 아암(21)과 맞물리는 결합부(31)가 마련된다.
낚시줄을 스풀(23)에 권취하도록 수동 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낚시용 스피닝 릴의 로우터(19)가 회전될 때 로우터(19)의 회전 토오크는 베일 지지 아암(21)로부터 결합부(31)를 거쳐서 로우터(19)의 종방향 이동력도 낚시줄 침입 저지체(25)까지 전달되어 스풀(23)과 결합한 낚시줄 침입 저지체(25)가 베일 지지 아암(21)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따라서, 장력 변동과 낚시줄의 꼬임으로 인해 낚시줄이 스풀(23)과로우터(19) 사이의 틈새로 침입하려는 경우에도 낚시줄 침입 저지체(25)의 저지부는 낚시줄의 침입을 방지한다.
또한, 이런 형식의 스피닝 릴은 다음과 같은 결점을 가지고 있다. 물고기가 물림과 동시에 낚시줄이 권취될 때 낚시줄에 큰 부하가 인가되는 경우에 베일 지지아암이 내측으로 변형되는 사실은 공지된다. 따라서, 스풀(23)과 결합한 낚시줄 침입 저지체(25)가 베일 지지 아암(21)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는 배치에 있어서, 베일 지지 아암(21)의 변형은 낚시줄 침입 저지체(25)가 매끄럽게 이동하는 것을 방해한다. 예컨대, 릴이 우연히 떨어진 경우에 있어서 베일 지지 아암이 소성 변형되거나 해수, 모래, 먼지 등이 베일 지지 아암(21)에 부착되게 되면 낚시줄 침입 저지체(25)는 매끄럽게 이동하지 않는다. 결국, 낚시줄 침입 저지체(25)와 합체한 스풀(23)의 종방향 이동과 로우터(19)의 회전은 손상되며 낚시줄은 매끄럽게 권취되거나 풀려질 수 없다.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해서 본 발명이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시줄의 권취 또는 풀림 조작에 어떠한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바람직하지 못한 낚시줄 걸림을 방지할 수 있는 낚시용 스피닝 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과 기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로우터와, 스풀 축의 축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고 수동 핸들에 의해 로우터가 회전될 때 낚시줄이 권취되는 방식으로 스풀 축을 통해 릴 본체에 지지된 스풀을 포함하는 낚시용 스프링 릴에 있어서, 낚시줄이 스풀 축에 권취되는 것을 방지하는 낚시줄 침입 저지체가 스풀 내에 배치된 로우터의 원통부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되고 스풀이 전방 이동될 때 낚시줄 침입 저지체를 전방 이동시키는 추종 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낚시용 스피닝 릴에 있어서, 낚시줄의 권취 또는 풀림에 의해 스풀은 왕복운동하게 되며, 스풀이 전방 이동될 때 추종 수단은 낚시줄 침입 저지체를 동일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낚시줄 침입 저지체는 로우터의 원통부와 스풀 축의 스풀 사이의 틈새를 가로질러 연장되어서 낚시줄이 스풀 축에 걸림을 방지한다.
낚시용 스피닝 릴에 있어서, 추종 수단은 스풀과 스풀 축 중의 한쪽에 마련되어 낚시줄 침입 저지체를 스풀과 스풀 축 중의 어느 하나와 연동해서 이동시키기 위해 낚시줄 침입 저지체와 맞물릴 수 있는 리테이닝부일 수 있다. 이런 경우의 낚시용 스피닝 릴에 있어서, 리테이닝부는 낚시줄 침입 저지체와 맞물려서 스풀이 전방 이동될 때 낚시줄 침입 저지체를 전방 이동시킬 수 있다.
낚시용 스피닝 릴에 있어서, 추종 수단은 낚시줄 침입 저지체를 전방으로 가압하도록 로우터와 낚시줄 침입 저지체 사이에 유지되는 스프링 부재일 수 있다. 이런 경우의 낚시용 스피닝 릴에 있어서, 스프링 부재는 스풀이 전방 이동될 때 낚시줄 침입 저지체를 동일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 본 발명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로우터와, 스풀 축의 축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고 수동 핸들에 의해 로우터가 회전될 때 낚시줄이 권취되는 방식으로 스풀 축을 통해 릴 본체에 지지되는 스풀을 포함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에 있어서, 낚시줄 침입 저지체가 로우터의 원통부에 마련되고, 이 원통부는 스풀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낚시줄 침입 저지체는 로우터의 원통부에정지 고정되는 저지체 기부와 이 저지체 기부에 마련되어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성 저지체 부재로 구성된다. 또, 스피닝 릴은 스풀이 이동될 때 낚시줄 침입 저지체를 전방 이동시키는 추종 수단을 포함한다.
낚시용 스피닝 릴에 있어서, 낚시줄의 권취 또는 풀림에 의해 스풀은 왕복운동하게 되며, 스풀이 전방 이동될 때 추종 수단은 낚시줄 침입 저지체의 가동성 저지체 부재를 동일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가동성 저지체 부재가 전방 이동되기 때문에 낚시줄 침입 저지체는 로우터의 원통부와 스풀 또는 스풀 축의 사이의 틈새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낚시줄이 스풀 축에 걸림을 방지한다.
낚시용 스피닝 릴에 있어서, 추종 수단은 스풀과 스풀 축 중의 어느 한쪽에 마련되어 스풀과 연동해서 동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가동성 저지체 부재와 맞물릴 수 있는 리테이닝부일 수 있다. 이런 경우의 낚시용 스피닝 릴에 있어서, 리테이닝부는 스풀이 전방 이동될 때 낚시줄 침입 저지체를 전방 이동시키도록 가동성 저지체 부재와 맞물릴 수 있다.
이런 경우의 낚시용 스피닝 릴에 있어서, 추종 수단은 가동성 침입 저지체를 전방으로 가입하도록 로우터와 가동성 저지체 부재 사이에 유지되는 스프링 부재일 수 있다. 이런 경우의 낚시용 스피닝 릴에 있어서, 스프링 부재는 가동성 저지체 부재를 동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다.
또, 본 발명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로우터와, 스풀 축의 축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고 수동 핸들에 의해 로우터가 회전될 때 낚시줄이 권취되는 방식으로 스풀 축을 통해 릴 본체에 지지되는 스풀을 포함하는 낚시용 스피닝릴에 있어서, 낚시줄이 스풀 축에 권취되는 것을 방지하는 낚시줄 침입 저지체가 스풀의 스풀 축 중의 내부면의 한 쪽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되고, 스풀이 전방이동될 때 낚시줄 침입 저지체를 전방 이동시키는 추종 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낚시용 스피닝 릴에 있어서, 낚시줄은 낚시줄의 풀림 또는 조작중에 로우터의 회전과 연동해서 종방향 횡단 운동을 하는 스풀 권취되며, 스풀이 전방 이동될 때 추종 수단은 낚시줄 침입 저지체를 동일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후, 이렇게 이동된 낚시줄 침입 저지체는 로우터와 스풀 축 사이의 틈새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낚시줄이 스풀 축에 걸림을 방지한다.
낚시용 스피닝 릴에 있어서, 추종 수단은 스풀과 스풀 축의 어느 한쪽에 마련되어 스풀의 전방 이동과 연동해서 낚시줄 침입 저지체를 이동시키도록 낚시줄 침입 저지체 부재와 맞물릴 수 있는 리테이닝부일 수 있다. 이런 경우의 낚시용 스피닝 릴에 있어서, 리테이닝부는 낚시줄 침입 저지체와 맞물려서 스풀이 전방 이동될 때 낚시줄 침입, 저지체를 전방 이동시킬 수 있다.
낚시용 스피닝 릴에 있어서, 낚시줄 침입 저지체를 스풀 축을 따라 후방 가압하기 위해서 스풀과 낚시줄 침입 저지체 사이에 유지되는 스프링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런 경우의 낚시용 스프링 릴에 있어서, 낚시줄 침입 저지체가 이동될 때 스프링 부재는 낚시줄 침입 저지체를 후방 가압해서 낚시줄 침입 저지체가 덜걱거림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1도에 있어서, 참조부호 33은 릴 본체(35)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로우터를 나타낸다. 한 쌍의 베일 지지 아암(37)이 로우터(33) 각각의 후방 양측에서 로우터(33)와 일체로 성형되고, 반 환형 베일(39)이 라인 롤러(40)가 장착된 베일 아암(41)과 베일 홀더(43)를 통해서 베일 지지 아암(37)의 전단에 마련되어 있으며, 반 환형 베일(39)은 낚시줄 권취 위치로부터 낚시줄 풀림 위치로 반전 가능하고 그 역도 또한 성립하도록 부착된다.
또, 제1도에서, 참조부호 45는 로우터(33)에 대해 동심으로 배치된 스풀을 나타내며, 이 스풀(45)은 그 축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릴 본체(35)에 부착되어 있는 스풀 축(47)에 지지된다. 공지된 방법으로 베일(39)이 낚시줄 권취 위치에 내려지고 릴 본체(35)에 장착된 수동 핸들(49)을 선회시킴으로써 로우터(33)가 회전될 때 로우터(33)의 회전과 연동해서 왕복 운동을 하는 스풀(45)에 낚시줄이 권취된다.
본 실시예는 낚시줄이 스풀 축(47)으로 걸림을 저지하는 낚시줄 침입 저지체(53, 이하 저지체)가 스풀(45)과 스풀(45)내에 일반적으로 위치되는 로우터(33)의 원통부 사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지체(53)에는 C자형의 수지 성형 환형부재(55)와, 환형 부재(55)의 외주연으로부터 후방 연장된 일체식의 네 개의 스테이(57)가 마련된다. 각각의 인접한 쌍의 스테이(57)는 90°의 각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환형 부재(55)는 스풀 축(47)과 동심원으로 스풀(45) 내측에 위치된 원통부(59)의 외주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된다. O링이 로우터측 단부를 둘러싸는 리테이닝부(61)를 형성하도록 원통부(59)의 로우터측 단부의 외주에 마련된다. 수동 해들(49)을 회전시킴으로써 스풀(45)이 전방 이동될 때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테이닝부(61)는 환형 부재(55)의 내주연부(55a)와 맞물려서 저지체(53)를 전방 이동하는 스풀에 추종시키게 하는 추종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한편, 로우터(33)의 원통부(51)에는 스풀 축(47)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안내 슬롯(65)이 마련된다. 스테이(57)의 각 선단은 상응하는 안내 슬롯(65)과 이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결합부(63)를 형성하도록 L자형으로 내향 절곡된다. 수동 핸들(49)이 회전됨에 따라 전방 이동되는 스풀(45)이 저지체(53)를 동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 저지체(53)는 로우터(33)와 함께 회전하면서 안내 슬롯(65)을 따라 이동한다. 스풀(45)이 최선단측까지 이동될 때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이(57)는 원통부(51)와 원통부(59) 사이의 틈새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낚시줄이 스풀 축(47)에 감기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다. 그리고,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 축(45)이 후방 이동됨에 따라서 지지체(53)는 원위치로 후퇴된다.
본실시예의 상기와 같은 배치 때문에, 베일(39)이 낚시줄 권취 위치 쪽으로 내려진 후에 로우터(39)를 회전시키도록 수동 핸들(49)이 회전될 때 로우터(33)의 회전과 연동해서 왕복 운동하는 스풀(45)에 낚시줄이 권취된다. 이런 낚시줄 권취조작시에 스풀(45)의 전방 이동은 리테이닝부(61)를 환형부(55)와 맞물리게 해서 로우터(33)과 함께 회전하는 저지체(53)를 동일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스풀(45)이후방 이동될 때 로우터(33)와 함께 회전하는 저지체(53)는 제3도에 도시한 원위치로 후퇴된다.
장력 변동과 낚시줄의 꼬임으로 인해 스풀(45)과 로우터(33)의 베일 지지 아암(37) 사이의 틈새로 낚시줄이 침입하려는 경우에 있어서,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이(57)가 원통부(51)와 원통부(59) 사이의 틈새를 가로질러 연장됨으로써 스풀 축(47)에 의해 낚시줄이 걸림을 방지한다.
제26도를 참조로 한 종래 기술의 경우에 있어서, 저지체(25)는 변형되기 쉽고 해수나 모래 등이 부착하기 쉬운 베일 지지 아암(21)을 따라 이동되기 때문에, 베일 지지 아암(21)이 변형되거나 모래가 부착될 때 저지체(27)가 원활하게 이동하지 않게 되는 결점이 있다. 또, 저지체(25)가 원활하게 이동하지 않게 될 때 저지체(25)와 일체화되어 있는 스풀(23)과 로우터(19)의 이동은 지장을 받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불편함이 회피되어 스풀(45)과 로우터(33)의 이동에 어떠한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낚시줄이 바람직하지 못한 낚시줄의 걸림으로부터 확실히 해방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낚시줄이 스풀 축(47)에 권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스풀(45)이 최선단에 위치되었을 때 스테이(57)가 원통부(51)의 선단과 원통부(59)의 후단 사이의 틈새를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스테이(57)의 길이를 설정하는 것을 충분하다. 결국, 스피닝 릴의 스트로크가 길어진 경우에도 릴의 전체 중량의 증가를 회피할 수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제1 실시예에는, 스풀(45)이 전방 이동될 때 스풀(45)의 원통부(59)에 마련된 리테이닝부(61)가 환형부(55)의 내주연부(55a)와 맞물려서 저지체(53)를 동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된다. 이런 배치는 스테이(57)가 환형부(69)의 내주연부로부터 후방연장되는 제2 실시예와 같이 변형될 수 있다. 즉, 제2 실시예에는 C 형상의 수지 성형 환형부(69)와, 이 환형부(69)로부터 연장된 일체식의 네 개의 스테이(57)를 포함한다. 각 인접한 쌍의 네 개의 스테이(57)는 90°의 각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환형부(69)는 스풀(45)의 내주에 이동가능하게 끼워맞춤되어 있으며, O링이 스풀(45)의 내주를 둘러싸는 리테이닝부(71)를 형성하도록 스풀(45)의 내주에 마련된다. 스풀(45)이 전방 이동될 때 리테이닝부(71)는 환형부(69)의 외주연부(69a)와 맞물려져서 저지체(67)를 스풀(45)에 동일 방향으로 추종시킨다.
기타 구성 요소들은 제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요소들을 나타내며 이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도 소기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제7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저지체(53) 대신에 원통형의 저지체가 스풀과 로우터 사이에 끼워맞춤된다.
제6도를 참조해서 하기에 본 실시예를 설명하며, 본 실시예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요소들을 나타내며 이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6도에서, 참조부호 73은 릴 본체(75)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맞춤된 로우터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77은 스풀 축(47)에 지지된 스풀을 나타낸다.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로우터(73)가 회전됨으로써 낚시줄이 스풀(77)에 권취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스풀(77)은 제1 실시예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원통부를 갖고 있지 않다.
또, 제6도에 있어서, 참조부호 79는 스풀(77)의 내벽의 형상과 대체로 동일한 수지 성형된 원통형 저지체를 나타내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지체(79)는 스풀(77)의 내주를 따라서 스풀(77)의 내주와 로우터(73)의 원통형 기부(81) 사이에 배치된다. 저지체(79)의 후단은 베일 지지 아암(37)의 기부측까지 연장된다.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저지체(79)가 180°의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저지체(79)의 선단 개구 연부로부터 외향 돌출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테이닝부(83)와 맞물리는 환형 리테이닝부(85)는 수동 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스풀(77)이 전방 이동될 때 저지체(79)를 전방 이동시킨다.
한편,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우터(73)의 원통형 기부(81)에는 스풀 축(47)의 축방향으로 안내 홈(89)이 마련되어, 180°도의 간격을 두고 저지체(79)의 후단 개방 연부에 내향으로 마련된 결합부(87)가 각 안내 홈(89)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전방 이동하는 스풀(77)이 저지체(79)를 전방 이동시키도록 수동 핸들이 회전될 때 로우터(73)와 함께 회전하는 저지체(77)는 안내 홈(89)을 따라 전방 이동하며,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77)이 완전히 연장되었을 때 저지체(79)는 원통형 기부(81)와 스풀(77)의 내주 사이의 틈새로 가로질러 연장됨으로써 낚시줄이 스풀 축(47)에 걸리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스풀(77)이 후방 이동됨에 따라 저지체(79)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위치로 후퇴된다.
본 실시예의 이런 배치 때문에, 스풀(77)은 낚시줄이 그 위에 권취되고 있는동안 왕복 운동을 하며,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77)이 전방 이동할 때 스풀(77)축 상의 리테이닝부(85)가 로우터(73)와 함께 회전하는 저지체(79)의 리테이닝부(83)와 맞물리게 되어 저지체(79)를 동일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스풀(77)이 후방 이동될 때 로우터(73)와 함께 회전하는 지지체(79)는 제6도의 원래 위치로 후퇴된다.
장력 변동과 낚시줄의 꼬임으로 인해 스풀(77)과 로우터(73) 사이의 틈새로 낚시줄이 침입하려는 경우에 있어서, 제7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지체(79)가 스풀(77)의 내주와 로우터(73)의 원통형 기부(81) 사이의 틈새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낚시줄이 스풀 축(47)에 걸림을 방지한다.
따라서, 바람직하지 않은 낚시줄 걸림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제7도에 도시한 본실시예의 저지체(79)로 인해서 제4도에 도시한 저지체(63)와는 대조적으로 베일 지지 아암(37)의 기부측에 낚시줄이 침입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되며, 이로써 낚시줄이 스풀(77)에 침입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본실시예의 지지체(79)는 베일 지지 아암(37)의 변형이나 모래 등의 부착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스풀(77) 및 로우터(73)의 이동은 어떠한 지장도 받지 않게 된다.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77)이 최선단측까지 이동될 때 스풀(77)의 내주와 원통부(81)의 선단 사이의 틈새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방법으로 저지체(79)를 개조하면 되므로 스피닝 릴의 스트로크가 길어지는 경우에는 전체 릴의 중량이 증가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본 실시예는 제3 실시예의 변형예이다. 제3 실시예에서 안내 홈(89)이 로우터(73)의 원통형 기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저지체(79)의 결합부(87)가 안내 홈과 맞물려서 저지체(79)가 로우터(73)의 회전과 연동해서 회전하도록 한다. 그러나 기능상, 저지체(79)는 로우터와 함께 회전될 필요성은 없다.
따라서, 제3 실시예의 안내 홈(89)은 제4 실시예에서는 없어도 좋다. 즉 안내 홈(89)을 로우터(73)의 원통형 기부(81)의 외주에 마련하는 대신에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87)가 자유로이 가동성 원통형 기부(81)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지체(79)의 회전 토오크가 저지체(79)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낚시줄이 권취됨에 따라 스풀(77)이 전방 이동될 때 스풀(77) 축의 리테이닝부(85)가 저지체(79)의 리테이닝부(83)와 맞물려서 지지체(79)는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스풀(77)이 후방 이동될 때 저지체(79)는 원래 위치까지 후퇴된다.
장력 변동과 낚시줄의 꼬임으로 인해 스풀(77)과 로우터(73) 사이의 틈새로 낚시줄이 침입하려는 경우에 있어서, 제7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저지체(79)는 스풀(77)의 내주와 로우터(73)의 원통형 기부(81) 사이의 틈새를 가로질러 연장됨으로써 낚시줄이 스풀 축(47)에 걸림을 방지한다.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도 낚시줄의 권취 또는 풀림 조작에 어떠한 지장을 받지 않고 낚시줄이 스풀 축(47)에 걸리는 것이 방지된다. 더욱이, 스피닝 릴의 스트로크가 길어지는 경우에도 전체 릴의 중량이 증가할 가능성은 없다.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제5 실시예이다. 제3 실시예에서 저지체(79)를 이동시키는 리테이닝부(85)가 스풀(77)의 내주에 마련되었지마, 본 실시예에서는 스풀 대신에 저지체를 이동시키는 리테이닝부가 스풀 축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0도를 참조해서 제5 실시에를 하기에 설명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제3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부품을 나타내며, 이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10도에서, 참조부호 91은 스풀(77)의 내측과 대체로 동일한 형상으로 수지성형된 컵 형상의 폐쇄 단부 저지체를 나타내며, 이 저지체(91)는 스풀의 내주를 따라 스풀(77)과 로우터(73)의 원통형 기부(81) 사이에 배치된다. 더욱이, 저지체(91)의 후단은 베일 지지 아암(37)의 기부까지 연장되며, 저지체(91)의 후단 개방 연부에는 로우터(73)의 원통형 기부(81)의 외주에 마련된 각 안내 홈(89)과 맞물리는 결합부(87)가 형성된다. 결합부(87)는 180°의 각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결합부(87)와 안내 홈(89)과 안내 홈(89)에 의해 저지체(91)는 낚시줄이 권취될 때 로우터(73)와 함께 회전한다.
스풀(77)을 지지하는 스풀 축(93)은 저지체(91)의 중심을 통해 통과되며, 저지체(91)를 통과하는 소경부(93a)와 로우터(73)측 상의 대경부(93a)를 포함한다. 스풀이 전방 이동될 때 소경부(93a)가 대경부(93b)와 만나는 단차부는 저지체(91)를 동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리테이닝부(95)로서의 기능을 한다.
낚시줄이 권취됨에 따라 스풀(77)이 전방 이동될 때 리테이닝부(95)가 저지체(91)와 맞물림으로써 저지체(91)는 본 실시예에서도 동일 방향으로 이동한다. 스풀(77)이 후방 이동될 때 저지체(91)는 원래 위치까지 후퇴된다.
장력 변동과 낚시줄의 꼬임으로 인해 스풀(77)과 로우터(73) 사이의 틈새로 낚시줄이 침입하려는 경우에 있어서, 저지체(79)가 스풀 축(93)의 내주와 로우터(73)의 원통형 기부(81) 사이의 틈새를 가로질러 연장됨으로써 낚시줄이 스풀축(47)으로 걸림을 방지한다.
따라서,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도 소기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제11도 및 제12도는 본 발명의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참조부호 97은 스풀 축(47)에 의해 지지되는 스풀을 나타내며, 참조부호 99는 로우터를 나타낸다. 각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풀(97)의 종방향 왕복 운동은 로우터(99)의 회전과 연동해서 이루어진다. 또, 리테이닝부(101)가 스풀(97)의 주연부에서 방사상 외향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저지체(103)는 리테이닝부(105)에 의해 리테이닝부(101)에 보유된다.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지체(103)는 로우터(99)의 원통부(107)에 끼워맞춤된 판 형상의 플라스틱 부재이며, 원통부(107)의 외주에 180°의 각도 간격으로 마련된 각 안내 홈(109)과 맞물리는 결합부(111)가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지체(103)의 양측에 각각 위치된 리테이닝부(105)는 스풀(97)의 리테이닝부(101)와 항상 맞물려서 저지체(103)의 스풀(97)에 연결되어 스풀(97)과 함께 왕복 운동하도록 된다.
게다가, 저지체(103)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탄성 저지 돌기(113)는 각 베일 지지 아암(37)의 내벽(37a)과 접촉해서 낚시줄이 베일 지지 아암(37)과 스풀(97) 사이의 틈새로 침입하는 것을 저지한다.
본 실시예의 이런 배치 때문에, 낚시줄이 권취됨에 따라 스풀(97)이 종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때 저지체(103)는 로우터(99)와 함께 왕복 운동될 수 있다.
저지체(103)의 저지 돌기(113)는 장력 변동과 낚시줄의 꼬임으로 인해 낚시줄이 베일 지지 아암(37)과 스풀(97) 사이의 틈새로 침입하려는 것을 지지해서 스풀 축(47)에 걸리려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낚시줄의 권취 또는 풀림 조작에 어떠한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바람직하지 못한 낚시줄 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스피닝 릴의 스트로크가 길어지는 경우에도 전체 릴의 중량이 증가할 가능성이 없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저지체(103)는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보다 경량일뿐 아니라 보다 바람직한 위치에서 낚시줄을 저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 저지체(103) 상에 탄성 저지 돌기(113)를 마련함으로써 조작에 어떠한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지지 아암(37)을 변형시킬 수 있다. 즉, 스풀(97)에 낚시줄을 권취할 때의 부하로 인해 지지 아암(37)이 변형되더라도 지지 아암(37)과 접촉하는 탄성지지 돌기(113)는 이런 지지 아암(37)의 변형을 흡수해서 이런 변형이 없어 저지체(103)를 조작한다.
제13도 및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닝 릴의 제7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본 실시예는 스풀의 이동에 저지체를 추종시키는 수단으로서 제6도의 리테이닝부(85) 대신에 스프링 부재가 이용되고 있다.
제13도 및 제14도를 참조해서 이하에 본 실시예를 설명하며, 본 실시예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부품을 나타내며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도에서, 참조부호 115는 제6도의 저지체(79)와 유사하고, 스풀(117)의 내측과 대체로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된 저지체를 나타낸다. 저지체(115)는 스풀(117)의 내주를 따라 스풀(117)과 로우터(73)의 원통형 기부(81) 사이에 배치되며, 저지체(115)의 후단은 베일 지지 아암(37)의 기부까지 연장된다. 또, 로우터(73)의 각 안내 홈(89)과 맞물리는 결합부(119)가 저지체(115)의 후단 개방 연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이 결합부(119)가 저지체(115)의 후단 개방 연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이 결합부(119)는 180°간격으로 배치되어 방사상 내측으로 돌출된다. 한편, 스풀 축(47)을 중심으로 하는 환형 스프링 유지부(121)가 저지체(115)의 선단 개방연부에서 축방향 내측으로[즉, 로우터(73) 쪽으로] 돌출된다.
저지체(115)를 항상 로우터(73)로부터 이격되게 가압해서 스풀(117)과 접촉시키는 코일 스프링(123)은 스풀 축(47)을 따라 연장되며 스프링 유지부(121)와 로우터(73) 사이에 개재된다. 수동 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스풀(117)이 전방 이동될 때 저지체(115)는 로우터(73)와 함께 회전하면서 코일 스프링력에 의해 동일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117)이 최선단까지 이동될 때 저지체(115)는 원통형 기부(81)와 스풀(117)의 내주 사이의 틈새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낚시줄이 스풀 축(47)에 걸림을 방지한다. 스풀(117)이 후방 이동될 때 저지체(115)는 코일 스프링(123)의 가압력에 대향해서 원래 위치까지 후퇴된다.
본 실시예의 배치로 인해, 베일(39)이 낚시줄 권취 위치 쪽으로 내려진 후에 수동 핸들(49)을 회전시킴으로써 로우터(73)의 회전과 연동해서 왕복 운동하는 스풀(117)에 낚시줄에 권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로우터(73)가 전방 이동될 때 저지체(115)는 로우터(73)와 함께 회전하면서 코일 스프링(123)의 힘 때문에 스풀(117)의 이동에 추종해서 동일 방향으로 이동한다. 스풀(117)이 후방 이동될 때 저지체(115)는 코일 스프링(123) 힘에 대향해서 원래 위치까지 후퇴된다.
장력 변동과 낚시줄의 꼬임으로 인해 낚시줄이 스풀(117)과 로우터(73) 베일지지 아암(37) 사이로 틈새로 침입하려는 경우에도 저지체(115)가 원통형 기부(81)와 스풀(117)의 내주 사이의 틈새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낚시줄이 스풀 축(47)에 걸림을 방지하고 있다. 더욱이, 코일 스프링(123)이 지지체(115)를 항상 스풀(117)에 접촉하게 함으로써 낚시중에 저지체(115)가 덜걱거림을 확실히 방지한다.
상기 실시예들 중 어느 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도 낚시줄의 권취 또는 풀림 조작에 어떠한 조작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낚시줄이 스풀 축(47)에 걸리는 것이 방지된다. 더욱이, 스피닝 릴의 스트로크가 길어지는 경우에도 전체 릴의 중량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효과에 부가해서, 저지체(115)의 덜걱거림에 의해 발생된 소음이 제거될 수 있는 다른 잇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의 제8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는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테이닝 돌기(124)가 그 주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체식 또는 별도로, 또는 그 전체 둘레에 걸쳐서 환상으로 형성되는 방식으로 스풀의 원통부(117a)의 후단 외주에 리테이닝 돌기(124)를 마련하는 수용할 만한 배치가 있다.
이런 배치로 인해, 리테이닝 돌기(124)를 마련함으로써 낚시줄이 스풀(117)의 후미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기대될 수 있는 효과는 제13도의 실시예에서 달성 가능한 것보다 우수하다.
제16도 내지 제18도는 제10도의 리테이닝부(95) 대신에 스프링 부재가 저지체를 스풀의 이동에 추종하게 하는 수단으로서 사용되며 저지체 및 스풀의 외형이 본 실시예에서 약간 변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닝 릴의 제9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16도 내지 제18도를 참조하여, 이하에 본 실시예를 설명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제10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 부품과 동일하고 그 설명은 생략된다.
제16도에서, 참조부호 125는 스풀 축(127)에 의해 로우터(129)에 동심원으로 지지되는 스풀을 나타내며, 참조부호 131은 대체로 스풀(125)의 내측과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되고 스풀(125)의 내주를 따라 스플(125)과 로우터(129)의 원통형 기부(133)를 따라 배치된 폐쇄 단부 저지체를 나타낸다. 또, 로우터(129)의 원통형 기부(133)에 배치된 각 안내 홈(135)과 맞물리는 결합부(137)는 베일 지지 아암(37)의 기부까지 연장된 저지체(131)의 후단 개방 연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이 결합 부재(137)는 180°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방사상 내측으로 돌출된다.
또, 스풀 축(127)은 저지체(131)의 선단측을 중심을 통해 통과되고, 스풀 축(127)을 중심으로 하는 환형 스프링 유지부(139, 141)가 저지체(131)의 선단측 내부면과 이것에 대향되어 위치된 로우터(129)에 각각 형성된다. 저지체(131)를 항상 가압해서 스풀(125)과 접촉시키는 코일 스프링(123)은 스프링 유지 부재(131,141)들 사이에 신장된다. 수동 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스풀(125)이 전방 이동될 때 저지체(131)는 로우터(129)와 함께 회전하면서 동일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125)이 최선단측까지 이동될 때 저지체(131)는 로우터(129)의 원통형 기부(133)와 스풀(125)의 내주 사이의 틈새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낚시줄이 스풀 축(127)에 걸림을 방지한다. 그리고, 저지체(131)는 스풀(125)이 후방 이동됨에 따라 코일 스프링(123)의 힘에 대항해서 원위치로 복귀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이런 배치는 낚시줄의 침입을 저지하도록 저지체(131)의 외주에 마련된 다수의 돌기(143)를 포함한다.
제18도는 제17도의 선 18-18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참조부호 145는 스풀(125)의 후단 외주연부(125a)에 형성된 절개부 또는 노치를 나타내며, 노치는 각각 돌기(143)에 상당한다. 저지체(131)는 돌기(143)가 각 절개부(145) 내로 삽입되도록 스풀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125)의 후단 외주연(125a)은 내측으로 경사지며, 결국 후단 외주연(125a)의 이런 내측으로 경사진 형상은 낚시꾼이 후단 외주연(125a)에 배치된 낚시줄을 스풀(125)의 낚시줄 권취 위치(125b)까지 끌어올릴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의 이런 배치 때문에 저지체(131)가 스풀(125)에 추종된다. 즉, 스풀(125)이 전방 이동될 때 저지체(131)는 로우터(129)와 함께 회전하면서 코일 스프링(123)의 힘 때문에 동일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스풀(125)이 후방 이동될때 저지체(131)는 코일 스프링(123)의 힘에 대항해서 원위치까지 복귀된다.
장력 변동이나 낚시줄의 꼬임으로 인해 낚시줄이 스풀(125)과 로우터(129)의 베일 지지 아암(37) 사이의 틈새로 침입하려는 경우에는 저지체(131)는 원통부(133)와 스풀(125)의 내주 사이의 틈새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낚시줄이 스풀 축(127)에 걸림을 방지한다. 또한, 저지체(131)의 외주 상의 각 돌기(143)도 낚시줄이 스풀 축(127) 쪽으로 전진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코일 스프링(123)이 저지체(131)를 스풀(125)에 항상 접촉하게 함으로써 낙시중에 저지체(131)가 덜걱거림을 방지한다.
제13도에 도시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도 낚시줄의 권취 또는 풀림 조작에 어떠한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낚시줄이 스풀 축(127)에 걸리는 것이 방지되며, 마찬가지로 저지체(131)의 덜걱거림으로 인해 발생된 소음도 방지될 수 있다.
또, 본실시예에는 스풀(125)의 후단 외주연(125a)이 내측으로 경사지기 때문에 후단 외주연(125a)으로 떨어진 낚시줄은 그 형상을 이용해서 스풀(125)의 낚시줄 권취부(125b)까지 용이하게 끌어 올려질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 제9 실시예의 돌기(143) 대신, 제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시줄을 저지하기 위한 환영 오목부(147)가 저지체(131)의 외주에 형성되어 환형 오목부(147)와 함께 저지체(131)가 스풀 축(127) 쪽으로의 낚시줄의 침입을 저지시킨다.
제16도에 도시한 제9 실시예에 대한 이들 변경예에 있어서도 소기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으며, 이들 변경예는 스풀(125)의 후단 외주연(125a)에 절개부(145)를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런 저지체(131)를 스풀(125)에 부착하는 효율은 제16도의 제9 실시예와 비교해서 더욱 용이해진다.
제2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제10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제16도한 도시한 저지체(131)는 분리 가능한 두 개의 요소, 즉 로우터의 원통형 기부로 끼워 맞추어진 저지체 기부와 이 저지체 기부로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가동서 저지체 부재로 구성된다.
이하에서 제22도를 참조해서 본실시예를 설명하며, 본 실시예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제16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 부품을 나타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22도에서, 참조부호 151은 스풀(125)의 내주를 따라 스풀(125)과 로우터(153)의 원통형 기부(155) 사이에 배치된 저지체를 나타낸다. 저지체(151)는 기계나사로 로우터(153)의 원통형 기부(155)에 고정된 저지체 기부(151a)와 코일 스프링(123)에 의해 스풀(125)로 가압된 사발형 가동성 저지체 부재(151b)를 포함한다.
저지체 기부(151a)에는 스풀 축(127)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안내 슬롯(159)이 형성되며, 가동성 저지체 부재(151b)에는 가동성 저지체 부재(151b)의 후단 주연부에서 90°의 각도 간격으로 결합부(157)가 마련되며, 결합부(157)는 각 안내 홈(159)과 이동 가능하게 맞물린다. 수동 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스풀(125)이 전방이동될 때 저지체(151)가 로우터(153)와 함께 회전하는 동안 가동성 저지체 부재(151b)는 스프링 (123)의 힘 때문에 동일 방향으로 이동한다.
스풀(125)이 최선단까지 이동될 때 저지체(151)의 저지체 기부(151a)와 가동성 저지체 부재(151b)는 로우터(153)와 스풀(125)의 내주 사이의 틈새를 가로질러 연장해서 낚시줄이 스풀 축(127)에 걸림을 방지한다. 스물(125)이 후방 이동될 때 가동성 저지체 부재(151b)는 코일 스프링(123)의 힘에 대항해서 원래 위치까지 후퇴된다.
본 실시예의 이런 배치 때문에, 장력 변동 및 낚시줄의 꼬임으로 인해 낚시줄이 스풀(125)과 로우터(153)의 베일 지지 아암(37) 사이의 틈새로 침입하려는 경우에도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저지체(151)는 낚시줄이 스풀 축(127)에 걸림을 방지한다. 더욱이, 코일 스프링(123)이 가동성 저지체 부채(151b)를 스풀(125)과 항상 접촉하게 함으로써 낙시중에 저지체(151)가 덜걱거림을 방지한다.
제16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서도 낚시줄의 권취 또는 풀림 조작에 어떠한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낚시줄이 스풀 축(127)에 걸리는 것이 방지되며, 마찬가지로 저지체(131)의 덜걱거림으로 인해 발생된 소음도 제거될 수 있다. 또, 후단 외주연(125a)으로 떨어진 낚시줄은 그 형상을 이용해서 스풀(125)의 낚시줄 권취부(125a)까지 용이하게 끌어올려질 수 있다.
제23도 및 제24도는 제22도에 도시한 제10 실시예의 변형예인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11 실시예에서, 기계 나사로 저지체 기부(151a)를 로우터(153)에 고정하는 대신에 환형 결합부(161)가 로우터(153)의 원통형 기부(155)의 외주에 마련되며, 결합부(163)와 맞물리는 결합 돌기(163)가 저지체 기부(151a)에 마련되어 저지체 기부(151a)가 간단한 조작으로 즉시 로우터(153)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기타 배치는 제22도에 도시한 것과 유사하기 때문에 제22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지체(151)도 낚시줄이 스풀 축(127)에 걸림을 방지하며, 코일 스프링(123)이 가동성 저지체 부재(151b)를 스풀(125)과 항상 접촉하게 함으로써 제22도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소기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제22도 내지 제24도의 실시예에서, 코일 스프링(123)이 가동성 저지체 부재(151b)를 스풀(125)의 이동에 추종시키는 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있지만, 실시예로서는 코일 스프링(123) 대신에 제7도의 리테이닝부(85)와 같은 수단도 이용될 수 있다.
제28도, 제29도 및 제30도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스피닝 릴을 도시하고 있다. 제12 실시예에서, 낚시줄이 스풀 축(247)에 걸림을 방지하는 낚시줄 침입 저지체(251)는 스풀(204)과 로우터(233)의 원통부(249) 사이로 끼워맞춤된다.
제2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지체(251)는 스풀(245)의 스커트부(245a)의 내측 형상과 대체로 유사한 폐쇄 단부형 플라스틱 원통체이며, 그 후단은 베일지지 아암(237)의 기부까지 연장된다. 스풀 축(247)은 저지체(251)의 중심을 통해 통과된다. 스풀 축(247)에는 저지체(251)를 통해 통과되는 소경부(247a)와 로우터(233)의 측면에 대경부(247b)가 형성되어, 소경부(247a)와 대경부(247b)가 만나는 단차부가 저지체(251)를 전방 이동되는 스풀(245)에 추종시키는 리테이닝부(253)로서의 기능을 한다.
제2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지체(251)가 이동될 때 스풀 축(247)을 따라 저지체(251)를 안내하는 안내 홈(255)이 스풀(245)의 스커트부(245a)의 내주에 180°각도 간격으로 마련된다. 저지체(251)의 외주에 마련된 결합부(257)는 각 안내 홈(255)과 활주 가능하게 맞물린다.
제3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245)이 최선단까지 이동될 때 저지체(251)는 로우터(233)의 원통부(249)와 스풀(245)의 스커트부(245a)의 내주 사이의 틈새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낚시줄이 스풀 축(247)에 걸림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배치에 부가해서, 본 실시예에서의 낚시용 스피닝 릴에는 스풀(245)과 저지체(251) 사이에 코일 스프링(259)이 제공되어 낙시중에 저지체(251)가 덜걱거림을 방지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모두 스풀 축(247)을 중심으로 하는 환형 스프링 유지부(261, 263)가 스풀(245)의 선단 내부면과 저지체(251)의 선단면에 각각 형성된다. 저지체(251)를 후방쪽, 로우터(233)쪽 방향으로 향상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259)이 코일 스프링 유지 부재(261, 263)들 사이에서 신장된다. 스풀(245)이 전방 이동될 때 저지체(251)는 코일 스프링(259)의 힘에 대항해서 동일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저지체(251)는 코일 스프링(259)의 힘 때문에 리테이닝부(253)와 접촉되어 리테이닝부가 덜걱거림을 방지한다. 스풀(245)이 후방 이동될 때 저지체(251)는 코일 스프링(259)을 압축하면서 제28도에 도시한 원래 위치까지 복귀된다.
제28도에서, 참조부호 265는 로우터(233)의 원통형 기부(249)의 외주에 마련된 리테이닝 돌기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267은 스풀 축(247)의 칼라축(collar shaft)을 나타낸다. 리테이닝 돌리(265)는 낚시줄이 스풀(245)의 내측으로 침입해서 스풀 축(247)에 걸림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의 이런 배치 때문에, 베일(239)이 낚시줄 권취 위치 쪽으로 내려진 상태에서 수동 핸들이 로우터(233)를 회전시키도록 작동될 때 로우터(233)의 회전과 연동해서 왕복 운동을 하는 스풀(245)에 낚시줄이 권취된다.
제3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245)이 (실선으로 표시된) 전방 이동될 때 스풀 축(247)에 마련된 리테이닝부(253)는 코일 스프링(259)의 힘에 저항하여 저지체(251)를 동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스풀(245)이 후방 이동할 때 저지체(251)는 코일 스프링(259)을 압축하면서 제28도의 원래 위치까지 후퇴된다.
장력 변동과 낚시줄의 꼬임으로 인해 낚시줄이 스풀(204)의 스커트부(245a)와 로우터(233)의 베일 지지 아암(233) 사이의 틈새로 침입하려는 경우에도 제3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251)가 로우터(233)의 원통부(249)와 스커트부(245a)의 내주 사이의 틈새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낚시줄이 스풀 축(247)으로 걸림을 방지한다. 마찬가지로, 리테이닝 돌기(265)도 낚시줄이 스풀 축(247)에 걸림을 방지한다. 저지체(251)가 후방 이동될 때 코일 스프링(259)이 저지체(251)를 리테이닝부(253) 및 칼라축(267)과 접촉시켜서 저지체의 덜걱거림을 방지한다.
제26도에 도시한 종래 기술의 저지체(25)는 변형되기 쉽고 해수나 모래 등이 부착하기 쉬운 베일 지지 아암(21)을 따라 이동되기 때문에 베일 지지 아암(21)의 변형과 모래의 부착으로 인해 저지체(27)의 원활한 이동을 방해하는 결점이 있기때문에 저지체(25)가 원활하게 이동하지 않을 때 저지체(25)와 일체화된 로우터(19)와 스풀(23)의 이동은 나쁜 영향을 받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라 스풀(245)의 내부면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된 저지체(251)는 이런 불일치성이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스풀(245)과 로우터(233)의 이동에 어떠한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바람직하지 못한 낚시줄 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3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245)이 스풀(245)의 전방 단부까지 이동될 때 저지체(251)는 스풀(245)의 스커트부(245a)와 로우터(233)의 원통부(249)의 최선단을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성형되어 낚시줄이 스풀축(247)에 걸림을 방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스피닝 릴의 스트로크가 길어지는 경우에도 전체 릴의 중량 증가를 극복할 수 있다. 또, 낙시중에 저지체(251)의 백래쉬 또는 덜걱거림으로 인한 소음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배치에 부가해서, 제3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테이닝 돌기(268)가 그 주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체식 또는 별도로, 또는 그 전체 둘레에 걸쳐서 환상으로 형성되도록 스커트부(245a)의 후단 외주에 다수의 계지 돌기(268)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런 배치 때문에, 리테이닝 돌기(268)를 마련함으로써 낚시줄이 스풀(117)의 후단 측을 지나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기대될 수 있는 효과는 제28도의 실시예에서 달성가능한 것보다 우수하다.
제32도 및 제3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제13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28도에 도시한 제12 실시예에서, 저지체(251)의 결합부(257)와 맞물리는 안내 홈(255)은 스풀(245)의 스커트부(245a)에 마련된다. 그러나, 기능상 저지체(251)는 안내 홈(255)을 따라 안내될 필요성은 없다.
스풀(245')의 스커트부(245a)의 내주와 저지체(251')의 외주에 안내 홈과 결합부를 각각 마련하는 대신에, 제32도 및 제3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스커트부(245a')와 저지체(251')가 서로 맞물린 상태가 아니다. 이런 경우에, 저지체(251')은 스풀 축(247)으로 끼워맞춤된다. 나머지 배치는 제12 실시예에서 언급된 것과 유사하기 때문에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도 낚시줄의 권취 또는 풀림의 조작에 어떠한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낚시줄이 스풀축(247)에 걸리는 것이 방지된다. 더욱이, 스피닝 릴의 스트로크가 길어지는 경우에도 전체 릴의 중량이 증가할 가능성은 없다. 낙시중에 저지체(251')의 백래쉬로 기인한 소음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제34도는 제12 실시예에서의 리테이닝부(53) 대신에 저지체를 이동시키는 리테이닝 부재가 스풀에 마련된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제14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34도를 참조하여 이하에 본 실시예를 설명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 부품을 나타내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34도에서, 참조부호 269는 릴 본체의 최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맞춤된 로우터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271은 스풀 축(273)을 통해 로우터(269)와 동심원으로 마련된 스풀을 나타낸다. 제12 실시예에서와 같이, 수동 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로우터(269)가 회전됨에 따라 낚시줄이 스풀(271)에 권취된다.
또, 제34도에서, 참조부호 275는 저지체(251)의 외형과 대체로 유사한 외형으로 성형된 저지체를 나타낸다. 이 저지체(275)도 스풀(271)의 스커트부(271a)와 로우터(269)의 원통부(277) 사이에 배치되며, 그 후단은 베일 지지 아암(237)의 기부까지 연장된다.
스풀(271)의 스커트부(271a)의 내주에는 스풀 축(273)을 따라 연장된 안내홈(281)과 180°의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저지체(275)의 선단 외주에 돌출된 결합부(279)가 각 안내 홈(281)과 이동 가능하게 맞물린다. 더욱이, 수동 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스풀(271)이 전방 이동될 때 저지체(275)를 이동시키기 위해 각 결합부(279)를 보유한 리테이닝부(83)는 스커트부(271a)의 선단으로부터 내향 돌출된다.
제12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풀 축(273)을 중심으로 하는 환형 스프링 유지부(285, 287)가 스풀(271)의 최선단 내부면과 이것에 대향해서 위치된 저지체(275)의 최선단면에 각각 형성된다. 더욱이, 저지체(251)를 향상 후방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259)은 코일 스프링 유지부(285, 287) 사이에서 신장된다.
또, 참조부호 289는 로우터(269)의 원통부(277)의 외주에 끼워맞춤된 환형 고무링을 나타낸다. 이때, 고무링(289)은 저지체(275)의 내주와 가압 접촉되어 리테이닝 돌기(265)와 같이 낚시줄이 스풀(271)의 내측 또는 저지체(275)의 내측에 침입해서 스풀 축(273)으로 걸림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이런 배치 때문에 낚시줄이 권취됨에 따라 스풀(271)이 왕복 운동을 하며, 제3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271) 전방 이동될 때 스풀(271)측 상의 리테이닝부(83)는 저지체(275)의 각 결합부(279)와 맞물려서 저지체(275)를 동일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후, 스풀(271)이 후방 이동됨에 따라 저지체(275)는 코일 스프링(259)가 저지체(275)를 로우터(269) 쪽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원래 위치까지 후퇴된다.
장력 변동과 낚시줄의 꼬임으로 인해 낚시줄이 스풀(271)과 로우터(269) 사이의 틈새로 침입하려는 경우에도, 저지체(275)가 로우터(269)의 원통부(277)와 스풀(271)의 스커트부(271a)의 내주 사이의 틈새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낚시줄이 스풀축(273)으로 감기는 것을 방지한다. 마찬가지로, 로우터(269)의 외주 상에 있는 환형 고무링(289)도 낚시줄이 스풀 축(273)에 감기는 것을 방지한다. 저지체(275)가 전후로 이동될 때 코일 스프링(259)은 지지체를 리테이닝 부재(283)와 칼라축(267)과 접촉시켜서 저지체(275)의 백래쉬 또는 덜걱거림을 방지한다.
저지체(275)는 스풀(271)의 내부면으로 끼워 맞춤되기 때문에 제28도에 도시한 제12 실시예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도 스풀(271)과 로우터(269)의 이동에 어떠한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낚시줄이 스풀(271)과 로우터(269) 사이의 틈새로 침입해서 스풀 축(273)으로 걸리는 것이 방지된다. 더욱이, 스피닝 릴의 스트로크가 길어지는 경우에도 전체 릴의 중량이 증가할 가능성이 없고, 게다가 낙시중에 저지체(275)의 백래쉬로 인한 소음도 방지될 수 있다.
제35도 및 제3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제15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참조부호 291은 로우터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293로 로우터(291)에 대해 동심원으로 배치된 스풀을 나타낸다. 스풀(293)은 스풀 축(247)에 의해 지지되며, 수동 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로우터(291)가 회전될 때 낚시줄은 로우터(291)의 회전과 연동해서 왕복 운동하는 스풀(293)에 권취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스풀(293)의 스커트부는 제3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호형인 네 개의 혀 형상의 스커트체(293a)를 포함한다. 이들 스커트체(293a)는 제 12 실시예에서의 스커트부(245a)와 대체로 유사한 원통 형상을 형성한다. 혀 형상의 스커트체의 각 인접한 쌍에 대해 갭(295)이 마련되며 이 갭은 대체로 90°의 각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더욱이, 제35도에서, 참조부호 297은 낚시줄이 스풀 축(247)에 걸림을 방지하기 위해 프랜지부(299)를 갖는 폐쇄 단부식 플라스틱 저지체를 나타낸다. 플랜지부(299)는 저지체(297)의 후단에 형성되어 로우터(291)의 원통부(301)쪽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된다. 또, 제36도에서와 같이 저지체(297)에는 각각의 혀 형상의 스커트체(293a)가 끼워맞춤된 네 개의 호형 오목부(303)가 형성된다.
그리고, 스풀 축(247)은 저지체(297)가 스풀 축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춤되도록 저지체(297)의 중심을 거쳐 통과된다. 스풀(293)이 전방 이동될 때 리테이닝부(253)는 저지체(293)를 동일 방향으로 추종시키게 한다. 제3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293)이 최선단까지 이동될 때 저지체(297)는 로우터(291)의 원통부(301)와 스풀(293)의 각각의 혀 형상의 스커트부(293a) 사이의 틈새를 가로질러 연장해서 낚시줄이 스풀 축(247)에 걸림을 방지한다.
선생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낚시용 스피닝 릴의 본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스프링(259)이 스풀(293)의 최선단 내부면과 이것에 대향해서 위치된 저지체(297)의 최선단면 상의 스프링 유지부(305, 307)를 통해 신장된다. 따라서, 코일 스프 링(259)은 저지체(297)가 덜걱거림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낚시용 스피닝 릴이 구성된다. 스풀(293)이 낚시줄을 권취하면서 전방 이동될 때 리테이닝부(253)는 저지체(297)와 맞물려서 저지체(297)를 동일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스풀(293)이 후방 이동됨에 따라 저지체(297)는 코일 스프링(59)이 저지체(297)를 로우터(291) 쪽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원래 위치까지 후퇴된다. 이런 경우에 저지체(297)의 종방향 이동은 혀 형상의 스커트체(293a)들 사이에 마련된 각각의 갭(295)을 통해 안내된다.
장력 변동과 낚시줄의 꼬임으로 인해 스풀(293)의 로우터(291) 사이의 틈새로 낚시줄이 침입하려는 경우에도 저지체(275)가 로우터(291)의 원통부(301)와 각각의 혀 형상의 스커트체(293a)들 사이의 틈새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낚시줄이 스풀축(247)에 걸림을 방지한다. 마찬가지로, 플랜지 부재(299)도 낚시줄이 스풀 축(273)으로 걸림을 방지한다. 저지체(297)가 전후로 이동될 때 코일 스프링(259)은 저지체(297)를 리테이닝부(253)와 칼라측(267)과 접촉시켜서 저지체(297)의 덜걱거림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들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도 스풀(293)과 로우터(291)의 이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부적절한 낚시줄 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스피닝 릴의 스트로크가 길어지는 경우에도 전체 릴의 중량의 증가가 감소될 수 있으며, 낚시중에 저지체(297)의 덜걱거림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도 제거될 수 있다.
제3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제16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제28도의 실시예의 코일 스프링(259)은 생략되고, 로우터(233)에 마련된 리테이닝 돌기(309) 대신에 로우터(233')의 원통부(249') 쪽으로 돌출된 계지 돌기(309)가 저지체(251")의 후단에 마련되어 낚시줄이 스풀 축(247) 쪽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나머지는 제12도 실시예에서 언급된 것과 유사하기 때문에 동일 부품에는 동일 참조부호를 부여하며 이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28도의 낚시용 스피닝 릴과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서도, 낚시줄의 권취 또는 풀림 조작에 어떠한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낚시줄이 스풀축(247)에 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스피닝 릴의 스트로크가 길어지는 경우에도 전체 릴의 중량이 증가할 가능성은 없다.
본 실시예는 저지체(251")의 백래쉬 또는 덜걱거림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코일 스프링에 대해서 생략하고 있지만 저지체(251")의 백래쉬는 저지체(251")를 통해 통과되는 스풀 축(247) 표면에 오일막을 형성시킴으로써 어느 정도까지는 제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선행 기술에 비해 스풀 또는 로우터의 이동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낚시줄이 스풀 축의 내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스피닝의 스트로크가 길어지는 경우에도 전체 릴이 더 무거워질 염려는 거의 없다.
코일 스프링이 마련되는 낚시용 스피닝 릴의 경우에 있어서, 낚시중에 저지체의 덜걱거림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이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제1 실시예의 부분 절개도.
제2도는 제1도의 낚시용 스피닝 릴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낚시용 스피닝 릴의 주요부의 절개 정면도.
제4도는 제1도의 낚시용 스피닝 릴의 주요부의 절개 정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제2 실시예의 주요부의 절개 정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제3 실시예의 부분 절개 정면도.
제7도는 제6도의 낚시용 스피닝 릴의 주요부의 부분 절개 정면도.
제8도는 제7도의 선 8-8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제4 실시예의 주요부의 절개 정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제5 실시예의 주요부의 절개 정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제6 실시예의 주요부의 절개 정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선 12-12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제7 실시예의 부분 절개 정면도.
제14도는 제13도의 낚시용 스피닝 릴의 주요부의 절개 정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에 따라 도시한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제8 실시예의 주요부의 절개 정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제9 실시예의 부분 절개 정면도.
제17도는 제16도의 낚시용 스피닝 릴의 주요부의 절개 정면도.
제18도는 제17도의 선 18-18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19도는 제16도의 낚시용 스피닝 릴의 변형예의 주요부의 단면도.
제20도는 제16도의 낚시용 스피닝 릴의 다른 변형예의 주요부의 단면도.
제21도는 제20도의 선 21-21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2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제10 실시예의 주요부의 절개도.
제2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제11 실시예에 끼워맞춤된 저지체의 정면도.
제24도는 제23도의 저지체에 끼워맞춤된 낚시용 스피닝 릴의 주요부의 단면도.
제25도는 종래의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정면도.
제26도는 다른 종래의 낚시용 스피닝 릴의 주요부의 절개 정면도.
제27도는 제26도의 선 27-27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2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제12 실시예의 부분 절개 정면도.
제29도는 제28도의 선 29-29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30도는 제28도의 낚시용 스피닝 릴의 주요부의 절개 정면도.
제31도는 제28도의 낚시용 스피닝 릴의 변형예의 주요부의 절개 정면도.
제3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제13 실시예의 부분 절개 정면도.
제33도는 제32도의 선 33-33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3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제14 실시예의 주요부의 절개 정면도.
제3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제15 실시예의 주요부의 절개 정면도.
제36도는 제35도의 36-36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3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제16 실시예의 부분 절개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3, 73, 99, 129, 153: 로우터 35, 75: 릴 본체
45, 77, 97, 117, 125: 스풀 47, 93, 127: 스풀 축
51, 5, 81, 107, 133, 155: 원통부 55, 69: 환형부
53, 103, 115, 131, 151: 저지체 57: 스테이
61, 71, 83, 95, 101: 리테이닝부 63, 119, 137, 157: 결합부
65, 159: 안내 슬롯 89, 109, 135: 안내 홈
113: 저지 돌기 121: 스프링 유지부
123: 코일 스프링 124: 리테이닝 돌기
143, 149a: 돌기 147: 환형 오목부
149: 고무 링 151a: 저지체 기부
151b: 가동성 저지체 부재 161: 환형 결합부

Claims (21)

  1.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우터와, 스풀 축의 축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고 수동 핸들에 의해 로우터가 회전될 때 낚시줄이 권취되도록 스풀 축을 통해 릴 본체에 지지되는 스풀을 구비한 낚시용 스피닝 릴에 있어서,
    스풀 내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로우터의 원통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낚시줄이 스풀 축에 권취되는 것을 방지하는 낚시줄 침입 저지체와,
    스풀이 전방으로 이동될 때 낚시줄 침입 저지체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추종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2. 제1항에 있어서, 추종 수단은 스풀과 스풀 축 중의 어느 한 쪽에 마련되어 낚시줄 침입 저지체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낚시줄 침입 저지체와 맞물릴 수 있는 리테이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3. 제1항에 있어서, 추종 수단은 낚시줄 침입 지지체를 전방으로 가압하기 위해 로우터와 낚시줄 침입 저지체 사이에 유지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4.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우터와, 스풀 축의 축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고 수동 핸들에 의해 로우터가 회전될 때 낚시줄이 권취되도록 스풀 축을통해 본체에 지지되는 스풀을 구비한 낚시용 스피닝 릴에 있어서,
    스풀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로우터의 원통부에 장착되고, 로우터의 원통부에 정지 고정되는 저지체 기부와 저지체 기부에 마련되어 저지체 기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성 저지체 부재를 구비한 낚시줄 침입 저지체와,
    스풀이 전방으로 이동될 때 가동성 저지체 부재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추종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5. 제4항에 있어서, 추종 수단은 스풀과 스풀 축 중의 어느 한 쪽에 마련되어 낚시줄 침입 저지체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낚시줄 침입 저지체와 맞물릴 수 있는 리테이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6. 제4항에 있어서, 추종 수단은 가동성 저지체 부재를 전방으로 가압하기 위해 로우터와 가동성 저지체 부재 사이에 유지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7.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우터와, 스풀 축의 축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고 수동 핸들에 의해 로우터가 회전될 때 낚시줄이 권취되도록 스풀 축을 통해 릴 본체에 지지되는 스풀을 구비한 낚시용 스피닝 릴에 있어서,
    스풀과 스풀 축의 어느 한 내부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낚시줄이 스풀축에 권취되는 것을 방지하는 낚시줄 침입 저지체와,
    스풀이 전방으로 이동될 때 낚시줄 침입 저지체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추종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8. 제7항에 있어서, 추종 수단은 스풀과 스풀 축 중의 어느 한 쪽에 마련되어 낚시줄 침입 저지체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낚시줄 침입 저지체와 맞물릴 수 있는 리테이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9. 제7항에 있어서, 낚시줄 침입 저지체를 축방향 후방으로 가압하기 위해서 스풀과 낚시줄 침입 저지체 사이에 유지되는 스프링 부재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10.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우터와,
    로우터의 회전과 연동해서 스풀 축의 축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스풀에 낚시줄이 권취될 수 있도록 스풀 축을 통해 릴 본체에 지지된 스풀과,
    스풀이 로우터에 대해 스풀 축의 축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때 스풀과 로우터사이에 생긴 축방향 틈새를 따라 연장 가능하고 낚시줄이 스풀과 로우터 사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낚시줄 침입 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11. 제10항에 있어서, 저지체는 스풀과 로우터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이동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12. 제10항에 있어서, 저지체는 스풀 축에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13. 제10항에 있어서, 저지체는 로우터에 정지 고정된 저지체 기부와, 저지체 기부에 지지되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성 저지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14. 제10항에 있어서, 스풀이 전방으로 이동될 때 저지체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추종 수단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15. 제14항에 있어서, 추종 수단은 스풀과 스풀 축 중의 어느 한 쪽에 형성되어 스풀이 전방으로 이동될 때 저지체와 맞물릴 수 있는 리테이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16. 제15항에 있어서, 저지체를 후방으로 가압하기 위해서 스풀과 저지체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 부재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17. 제14항에 있어서, 추종 수단은 저지체를 후방으로 가압하기 위해서 로우터와저지체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18. 제10항에 있어서, 저지체를 후방으로 가압하기 위해 스풀과 저지체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19.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한 쌍의 지지 아암을 갖는 로우터와,
    로우터의 회전과 연동해서 스풀 축의 축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스풀에 낚시줄이 권취될 수 있도록 스풀 축을 통해 릴 본체에 지지된 스풀과,
    낚시줄이 스풀의 외주와 각각의 지지 아암 사이에 형성된 방사상 틈새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로우터 상에 지지되고 스풀의 외주를 지나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탄성 돌기를 구비하며 각 지지 아암의 내부면과 방사상으로 항상 접촉되는 낚시줄 침입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20. 제19항에 있어서, 지지체는 스풀의 외주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21. 제19항에 있어서, 지지체는 로우터에 대해서 왕복 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KR1019940037230A 1993-12-28 1994-12-27 낚시용스피닝릴 KR1003362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338620 1993-12-28
JP33862093 1993-12-28
JP8335494A JP2959662B2 (ja) 1993-12-28 1994-04-21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94-83354 1994-04-21
JP94-86708 1994-04-25
JP6086708A JP3036620B2 (ja) 1994-04-25 1994-04-25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505A KR950016505A (ko) 1995-07-20
KR100336275B1 true KR100336275B1 (ko) 2002-09-19

Family

ID=27304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7230A KR100336275B1 (ko) 1993-12-28 1994-12-27 낚시용스피닝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615843A (ko)
EP (1) EP0660998B1 (ko)
KR (1) KR100336275B1 (ko)
CN (1) CN1082788C (ko)
DE (1) DE69421791T2 (ko)
GB (1) GB228537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5662A (ko) * 2017-01-19 2018-07-27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낚시용 스피닝 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0976A (en) * 1994-09-21 1998-04-21 Zebco Division Of Brunswick Corporation One-piece fishing reel subassembly
USD428106S (en) * 1996-06-06 2000-07-11 Daiwa Seiko, Inc. Spool for a fishing spinning reel
US9724737B2 (en) * 2013-03-15 2017-08-08 Thomas Engineering Solutions & Consulting, Llc Multi-lance reel for internal cleaning and inspection of tubulars
JP6831194B2 (ja) * 2016-09-01 2021-02-17 株式会社シマノ ロータ駆動部防水構造およびスピニングリール
JP6871141B2 (ja) * 2017-12-12 2021-05-12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7166095B2 (ja) * 2018-07-19 2022-11-07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スピニング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988893A (fr) * 1944-01-27 1951-09-03 Perfectionnement apporté dans l'établissement des moulinets pour la peche
US4106718A (en) * 1970-10-30 1978-08-15 The Garcia Corporation Spinning reel spool and adapter therefor
US4561604A (en) * 1983-07-18 1985-12-31 Shimano Industrial Company Limited Spinning reel
JPH0415016Y2 (ko) * 1986-09-30 1992-04-03
US4834311A (en) * 1987-10-15 1989-05-30 Daiwa Seiko, Inc. Fishline slip-off prevention device for a spinning reel
JPH039656A (ja) * 1989-06-06 1991-01-17 Ricoh Co Ltd イメージセンサ
US5356091A (en) * 1990-05-09 1994-10-18 Shimano Inc. Spinning reel
JP2532864Y2 (ja) * 1990-06-22 1997-04-16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5662A (ko) * 2017-01-19 2018-07-27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낚시용 스피닝 릴
KR102449061B1 (ko) * 2017-01-19 2022-09-30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낚시용 스피닝 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421791T2 (de) 2000-04-20
CN1082788C (zh) 2002-04-17
US5615843A (en) 1997-04-01
CN1108877A (zh) 1995-09-27
KR950016505A (ko) 1995-07-20
GB9425689D0 (en) 1995-02-22
EP0660998A1 (en) 1995-07-05
DE69421791D1 (de) 1999-12-30
GB2285379B (en) 1998-07-08
GB2285379A (en) 1995-07-12
EP0660998B1 (en) 1999-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0194B1 (ko) 스피닝 낚시리일의 드래그
US5839682A (en) Fishing reel with removable side cover assembly
US10010061B2 (en) Spinning reel
KR101293174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US10631529B2 (en) Torque limiting device for fishing reel and spinning reel
KR100336275B1 (ko) 낚시용스피닝릴
EP0783833B1 (en) Spinning reel for fishing
KR100310968B1 (ko) 커버를낚시용릴에부착하기위한장치
JP3582687B2 (ja) 魚釣用リ−ルの釣糸案内装置
EP0768030A1 (en) Spinning reel for fishing
US2879954A (en) Fishing reel
US5199682A (en) Fishing reel with annual ratchet clutch external the spool
US6467712B1 (en) Fishing reel
US2776803A (en) Spinning type fishing reel
US5890668A (en) Spinning reel having a roller-type one-way clutch
US3259333A (en) Line pick-up means for closed face spinning reel
US4760974A (en) Fishing reel with flipping control
KR20030055176A (ko)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 장치
US5564639A (en) Slide mechanism for spinning reels used in fishing
KR100462947B1 (ko) 낚시용 스피닝 릴
US5368246A (en) Open-face spin casting fishing reel
GB2317802A (en) Fishing line retaining device for spinning reels
JP3999699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US4492347A (en) Anti-reverse mechanism
JPH09107852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