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17926A - 이중음 다중주파수 및 고저음 발생회로 - Google Patents

이중음 다중주파수 및 고저음 발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17926A
KR890017926A KR1019880006252A KR880006252A KR890017926A KR 890017926 A KR890017926 A KR 890017926A KR 1019880006252 A KR1019880006252 A KR 1019880006252A KR 880006252 A KR880006252 A KR 880006252A KR 890017926 A KR890017926 A KR 890017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signal
low
circuit
c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6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1675B1 (ko
Inventor
강서원
Original Assignee
강진구
삼성반도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구, 삼성반도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진구
Priority to KR1019880006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1675B1/ko
Priority to US07/317,757 priority patent/US4939470A/en
Publication of KR890017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7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6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30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 H04M1/50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by generating or selecting currents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or combinations of frequencies
    • H04M1/505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by generating or selecting currents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or combinations of frequencies signals generated in digital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중음 다중주파수 및 고저음 발생회로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음 다중주파수 및 고저음 발생회로의 간단화된 블록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신호제어 논리회로의 구체회로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저주파그룹 분주회로의 구체회로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고주파그룹 분주회로의 구체회로도, 제 5 도는 제 1 도의 제1 및 제 2 클럭발생회로의 구체회로도.

Claims (6)

  1. 고음 또는 고주파수 그룹 주파수와 저음 또는 저주파수 그룹의 주파수를 지정하는 디지탈 데이터와 디지탈 제어신호로 부터 이중음 다중주파수 신호와 고저음 신호를 발생하는 회로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탈 데이터를 디코오딩하고 저주파수 그룹 또는 저음의 주파수를 선택하기 위한 저주파수 선택 디코오드신호(LG0-LG3)와 고주파수 그룹 또는 고음의 주파수를 선택하기 위한 고주파수 선택 디코오드신호(HG0-HG3)와 저주파수 그룹 인에이블신호(LGEN) 및 고주파수 그룹 인에이블신호(HGEN)를 발생하는 신호제어 논리회로(10)와, 소정의 클럭펄스를 발생하는 클럭 발생회로(8)와, 상기 클럭펄스를 카운트 및 디코오딩하여 상기 저주파수 선택 디코오드 신호(LG0-LG3)로 부터 선택된 특정 주파수의 소정 정수배되는 주파수를 가지는 제 1 클럭펄스(30XLG)를 발생하는 저주파수 그룹 분주회로(12)와, 상기 클럭펄스를 카운트 및 디코오딩하여 상기 고주파수 선택 디코오드신호(HG0-HG3)로 부터 선택된 특정주파수의 소정 정수배되는 주파수를 가지는 제 2 클럭펄스(30XHG)를 발생하는 고주파수 그룹 분주회로(14)와, 상기 저주파수 그룹 인에이블신호(LGEN)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되고 상기 제 1 클럭펄스를 분주하여 기수고조파의 주파수를 가지는 듀티싸이클 50%의 닫수의 기수고조파 클럭펄스(1FL-5FL)를 발생하는 제 1 클럭 발생회로와, 상기 고주파수 그룹 인에이블신호(HGEN)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되고 상기 제 2 클럭펄스를 분주하여 기수고조파의 주파수를 가지는 듀티싸이클 50%의 제 2 클럭 발생회로와, 상기 기수고조파 클럭펄스(1FL,3FL,5FL)및 (1FH,3FH,5FH)를 입력하여 고조파성분이 제거된 아나로그 정현파의 이중음 다중주파수신호 또는 고저음 신호를 합성하여 신호 합성회로(3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음 다중주파수 및 고저음신호 발생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클럭 발생회로(8)의 출력 클럭펄스는 마스터 클럭으로 부터 분주된 이중음 다중주파수 및 고저음신호의 공배수에 가까운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펄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음 다중주파수 및 고저음신호 발생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기수고조파 클럭펄스는 기본파 주파수의 클럭펄스, 제 3 고조파 주파수의 클럭펄스 및 제 5 고조파 주파수의 클럭펄스이며 정수배는 30배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음 다중주파수 및 고저음 신호 발생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디지탈 데이터는 제 5 고조파 발생데이터를 포함하며 제 5 고조파 발생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고저음의 음색을 조정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음 다중주파수 및 고저음신호 발생회로.
  5. 제 3 항에 있어서, 신호합성회로(30)는 기본파 주파수의 클럭펄스(1FL)(1FH),제 3 고조파 주파수의 클럭펄스(3FL)(3FH) 및 제 5 고조파 주파수의 클럭펄스(5FL)(5FH)의 각각의 입력단과 출력노오드(400)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저항(R1)(R2)(R3)과 상기 출력노오드(400)와 접지사이에 접속된 캐패시터(C1)로 구성된 로우패스 필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음 다중주파수 및 고저음신호 발생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패스 필터는 제 7 고조파 주파수 성분을 바이패스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음 다중주파수 및 고저음신호 발생회로.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80006252A 1988-05-27 1988-05-27 이중음 다중주파수 및 고저음 발생회로 KR910001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6252A KR910001675B1 (ko) 1988-05-27 1988-05-27 이중음 다중주파수 및 고저음 발생회로
US07/317,757 US4939470A (en) 1988-05-27 1989-03-02 Circuit for generating dual-tone multi-frequency signals and high/low-tone sign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6252A KR910001675B1 (ko) 1988-05-27 1988-05-27 이중음 다중주파수 및 고저음 발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926A true KR890017926A (ko) 1989-12-18
KR910001675B1 KR910001675B1 (ko) 1991-03-18

Family

ID=19274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6252A KR910001675B1 (ko) 1988-05-27 1988-05-27 이중음 다중주파수 및 고저음 발생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4939470A (ko)
KR (1) KR9100016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7597A (en) * 1994-08-05 1999-05-25 Smart Tone Authentication, Inc. Method and system for the secure communication of data
US5583933A (en) * 1994-08-05 1996-12-10 Mark; Andrew R.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ecure communication of data
US5706341A (en) * 1994-12-30 1998-01-06 Mitel, Inc. Active digit cancelling parallel dialer
KR100232897B1 (ko) * 1996-12-31 1999-12-01 김영환 클럭 인에이블 신호의 제어를 통한 디램 상태 자동설정장치 및 그 구현방법
KR20040019676A (ko) * 2002-08-29 2004-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의 일반전화기 톤 소거 장치 및 그 방법
EP1792410B1 (en) * 2004-09-06 2009-02-11 Freescale Semiconductors,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data interface
CN110097750A (zh) * 2019-05-14 2019-08-06 北京亦通海科技有限公司 一种音频接收端开关控制器、设备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0028A (en) * 1971-08-27 1974-06-25 J Thomas Digital tone signal generator
US3787836A (en) * 1972-06-15 1974-01-22 Bell Telephone Labor Inc Multitone telephone dialing circuit employing digital-to-analog tone synthesis
US4132871A (en) * 1977-06-22 1979-01-02 Fairchild Camera And Instrument Corporation Digitally synthesized multi-frequency signal generator
AU7223981A (en) * 1980-06-30 1982-02-02 Mostek Corp. Tone generator circuit
GB2117199A (en) * 1982-03-19 1983-10-05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Frequency synthesiser
US4558282A (en) * 1983-01-03 1985-12-10 Raytheon Company Digital frequency synthesizer
GB2177862B (en) * 1985-07-09 1989-07-19 Motorola Inc Waveform genera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675B1 (ko) 1991-03-18
US4939470A (en) 1990-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1717A (ko) 파형 발생기
KR890017926A (ko) 이중음 다중주파수 및 고저음 발생회로
US3995222A (en) Sinusoidal waveform generator
KR910008964A (ko) 분할비율이 변화될 수 있는 주파수 분할회로
US3870970A (en) Frequency dividing circuit
US4962527A (en) Series ringing signal generator
KR900019368A (ko) 주기적인 실질적으로 포물선의 신호를 공급하는 회로장치
US3735013A (en) System for producing an aperiodic vibrato signal
SU817745A1 (ru) Синтезатор музыкальной фразы
KR940000661Y1 (ko) 다주파음 발생회로
US3143712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including cascaded transistor oscillators
KR970013766A (ko) 동기식 디지탈 주파수 합성기
SU173235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интеза периодических сигналов произвольной формы
JPS59108432A (ja) 発振回路
US3146309A (en) Synthetic speech sound generator
KR0165052B1 (ko) 디지탈 링백톤 발생회로
GB2216739A (en) Generating sound waveform signals
SU55555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жати входного сигнала
SU1614095A2 (ru) Генератор сигналов инфранизких частот
JPS55150028A (en) Clock circuit for digital operation processor
KR940012090A (ko) 클럭분주회로
KR910004051B1 (ko) 주파수 단순 가변회로를 이용한 음 발생회로
JPH044482A (ja)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SU1241283A1 (ru) Генератор тональных сигналов дл электромузыкальн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KR930018860A (ko) Pll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2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