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661Y1 - 다주파음 발생회로 - Google Patents

다주파음 발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661Y1
KR940000661Y1 KR2019880016179U KR880016179U KR940000661Y1 KR 940000661 Y1 KR940000661 Y1 KR 940000661Y1 KR 2019880016179 U KR2019880016179 U KR 2019880016179U KR 880016179 U KR880016179 U KR 880016179U KR 940000661 Y1 KR940000661 Y1 KR 9400006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output
signal
circuit
frequency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61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7261U (ko
Inventor
조태경
Original Assignee
금성정보통신 주식회사
이만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정보통신 주식회사, 이만용 filed Critical 금성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61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0661Y1/ko
Publication of KR9000072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2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6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6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30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 H04Q1/44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using alternate current
    • H04Q1/444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using alternate current with voice-band signalling frequencies
    • H04Q1/45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using alternate current with voice-band signalling frequencies using multi-frequency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14Clock signal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주파음 발생회로
제1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다주파음(Muliti-frequency Tone) 발생회로를 설명한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CTC(Counter Timer Circuit)를 이용한 다주파를 발생회로를 설명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CTC 200 : 플립플롭회로
300 : 제1저역통과 필터 2 : 저역통과 필터
500 : 신호합성기
본 고안은 원격 자동 검침시스템의교환기 정합장치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NO. 1A ESS교환기에 적합하도록 한 CTC(Counter Timer Circuit ; 이하 CTC라 함)를 이용한 다주파음(Muliti-frequency Tone) 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다주파음 발생회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클럭을 입력신호로 하여 병렬로 접속된 저항(R1)과 콘덴서(C1)를 통해 인버터(10)에 입력되어 그 출력이 2분기 되고, 각 분기에 직렬로 연결된 IC(20,30) 및 (40,50)에서는 다주파음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보다 2배 큰 주
파수의 펄스를 생성시키고, 각 생성된 펄스는 분주회로(60)를 통해 2분주하여 듀티비(duty rstio)가 50 : 50인 클럭을 출력한다. 이들 각 출력은 저역통과 필터(LPF)회로(70)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다시 합성기(80)에서 합성되어 다주파음을 생성하게 된다. 즉, 1개의 고정된 다주파음을 생성시키기 위해 1개의 출력이 필요하게 되므로 사용되어지는 다주파음의 객수만큼의 출력채널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종래의 다주파음 발생회로는 다주파음에서 사용되는 모든 주파수를 하드웨어적으로 생성하기 때문에 소자의 수가 많이 필요해야 될 뿐만 아니라 이들 생성된 개개의 음들 중에서 2개씩을 조합한 회로를 구성해야 하므로 1개의 다주파음에 대하여 1개의 생성 채널이 할당되어져 소자의 수가 많이 필요하게 되며, 또한 기준에 설계 되어진 다주파음 이외의 옴을 발생시킬려면 하드웨어를 변경해야 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모든 다주파음을 생성시킬 뿐만 아니라 간단한 소프트웨어의 변경으로서 임의의 다주파음을 하드웨어적 변경없이도 생성할 수 있는 다주파음 발생회로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제2도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겠다.
본 고안은 CPU(도시생략)의 클럭(CK1)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다주파음에 사용되는 2개의 음을 발생하는 수단(100)과, 상기 음발생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두 신호(CK2,CK3)를 입력으로 하여 구형파로 2분주하는 플립플롭(300)과, 상기 플립플롭(200)의 두 출력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각각 변화시키는 제1및 제2저역통과필터(300,400)와,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합성하여 다주파음을 생성하는 신호합성기(500)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는 상시 음발생수단으로 CTC(Counter Timer Circuit)을 채용하고 있다. 이 CTC는 내부의 카운터 값이 설정되서 있어 출력클럭신호를 CPU의 제어하에 서로 다른 주파수로 가변시킬 수 있는 칩이다. 즉 CTC는 CPR의 프로그램 제어로 CTC의두개의 출력채널에 서로 다른 주파수를 출력함으로써 모든 다주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CTC의 이용으로, 본 고안의 소정 목적인 모든 다주파음 발생과 본원의 다주파음 발생회로에 필요한 소자의 갯수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제2도를 참조하여 본원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CTC(100)에서 출력된 두개의 두 구형파신호 CK2,CK3은 실제의 주파수 보다 2개의 큰 주파수 출력채널로부터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CK2,CK3를 출력한다. 이 CK2,CK3은 입력으로 받아 2개의 큰 주파수 특성을 갖는 구형파이다.
CTC(100)에서 출력된 두 구형파신호 CK2,CK3을 입력으로 하는 플립플롭(200)은 이 신호를 2분주하여 실제 출력으로 사용되는 음의 주파수로 변환시킨다. 이는 듀티브가 50 : 50인 클럭 CK2' 와 CK3'를 출력시키기 위한 것이다.
구형파인 상기 CK3' 와 CK2'는 각각 OP Amp(OP1)와 저항(R3,R4) 및 커패시터(C1)으로 구성된 제1저역통과 필터(300)와 OP Amp(OP2), 저항(R5,R6) 및 커패시터(C2)로 구성된 제2저역통과 필터(400)에 입력되어 아날로그 신호 형태로 변환된다.
다음에, 제1저역통과 필터(300)와 제2저역통과 필터(400)에서 각각 출력된 두 아날로그 신호는 신호합성기(500)에서 하나의 신호로 합성되어 출력된다. 이 신호합성기(500)는Amp(OP1)와 가변저항(R11) 및 저항(R9,R10)으로 구성되어, 2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 특성을 1개의 신호로 합성하는 주파수 합성기이다. 여기에서 가변 저항(R11)은 신호합성기(500)의 출력신호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신호합성기(500)의 출력신호는 원하는 모든 다주파음으로 발생되어 변압기를 통해 전화선으로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1개의 다주파움에 대하여 고정된 1개의 채널을 필요로 하였으나, 본 고안은 1개의 출력채널에서도 모든 다주파음을 발생시킬 수가 있으므로 이에 따라 필요로 하는 소자의 수가 현격히 감소되므로 인하여 경제성, 양산성 및 유지 보수성이 향상되었으며, 또한 소프트웨어의 변경만으로 임의의 원하는 다주파음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원격자동 검침 시스템 이외의 다른 용도에도 널리 사용되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CPU의 클럭(CK1)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다주파음에 사용되는 2개의 음을 발생하는 수단(100)과, 상기 음발생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두 신호(CK2,CK3)를 입력으로 하여 구형파로 2분주하는 플립플롭(200)과, 상기 플립플롭(200)의 두 출력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각각 변화시키는 제1및 제2저역통과 필터(300,400)와,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합성하여 다주파음을 생성하는 신호합성기(500)로 이루어진 다주파음 발생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발생수단이 CTC(Counter Timer Circui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주파음 발생회로.
KR2019880016179U 1988-09-30 1988-09-30 다주파음 발생회로 KR9400006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6179U KR940000661Y1 (ko) 1988-09-30 1988-09-30 다주파음 발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6179U KR940000661Y1 (ko) 1988-09-30 1988-09-30 다주파음 발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261U KR900007261U (ko) 1990-04-04
KR940000661Y1 true KR940000661Y1 (ko) 1994-02-07

Family

ID=19279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6179U KR940000661Y1 (ko) 1988-09-30 1988-09-30 다주파음 발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066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261U (ko) 1990-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1098300A (en) Improvements in d.c. to a.c. conversion
JPS6224791A (ja) 波形発生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多周波電話ダイヤル回路
US4077010A (en) Digital pulse doubler with 50 percent duty cycle
US3995222A (en) Sinusoidal waveform generator
US3743756A (en) Method of producing tones of a preferably substantially equal-tempered scale
KR940000661Y1 (ko) 다주파음 발생회로
US3870970A (en) Frequency dividing circuit
US3838348A (en) Digital multifrequency signal generator
US3532799A (en) Electronic musical apparatus improved in a musical tone generating circuit
US4803437A (en) Digital transmission system
US3710276A (en) Digital variable quadrature sine wav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KR910001675B1 (ko) 이중음 다중주파수 및 고저음 발생회로
US5422584A (en) Variable phase sine wave generator for active phased arrays
KR0165052B1 (ko) 디지탈 링백톤 발생회로
US3808347A (en) Electronic music tone generator with pulse generator and frequency dividers
JPS60194807A (ja) 正弦波発生回路
GB2062990A (en) Digital waveform generator
JPS6340930Y2 (ko)
JPS5482225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2921214B2 (ja) Pcm端局装置の課金信号発生装置
SU1022312A1 (ru) Синтезатор частот
JPH02149035A (ja) Fsk−am変調回路
JPS638959Y2 (ko)
GB2247792A (en) Sinewave generators
GB2066005A (en) A tone generator for producing a tone signal from a digital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