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14701A - 전도성 니스 조성물 - Google Patents

전도성 니스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14701A
KR890014701A KR1019890003280A KR890003280A KR890014701A KR 890014701 A KR890014701 A KR 890014701A KR 1019890003280 A KR1019890003280 A KR 1019890003280A KR 890003280 A KR890003280 A KR 890003280A KR 890014701 A KR890014701 A KR 890014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mplex salt
component
varnish composition
conductive varn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3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2996B1 (ko
Inventor
도미오 나까무라
시게루 시미즈
기꾸꼬 다께우찌
Original Assignee
이또오 다이죠
닛또 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43998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2593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25086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47700B2/ja
Application filed by 이또오 다이죠, 닛또 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또오 다이죠
Publication of KR890014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9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4Electrically-conducting pa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01B1/121Charge-transfer complex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도성 니스 조성물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관계하는 조성물로부터, 수득한(실시예 1) 전도성 필름중 필름이 얇은 경우(두께 0.5㎛)의 결정 구조를 나타내는 편광 현미경사진이고,
제2도는 수득한(실시예 6) 전도성 필름이 두꺼운 경우(두께 12㎛)의 결정구조를 나타내는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Claims (20)

  1. (A) 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 착염 (B) 고분자 화합물 (C)(I) 아세탈, 오르소포름산 에스테르, 오르소아세트산 에스테르, 오르소탄산 에스테르, 실옥산, 실릴 에테르 및 오르소실릴산 에스테르 ; 또는 (ii) 계면활성제 또는 실리콘유, 또는 (iii)(i) 및 (ii)의 혼합물, 및 (d) 용매로 본질적으로 구성되는 전도성 니스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c) 성분이 (c)(i) 성분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니스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c) 성분이 (c)(iii) 성분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니스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c) 성분이 (c)(ii) 성분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니스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 착염이 하기식에 의해 표시되는 유기 양이온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식중, R1은 H, 탄소수가 1~30인 알킬기, 벤질기 또는 페닐에틸기를 나타내고, R2, R3및 R4각각은 H 또는 탄소수가 1~12인 알킬기를 나타낸다.)
  6. 제1항에 있어서, 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 착염이 4가 질소-함유 양이온기를 함유하는 고분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니스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 착염은 N-부틸이소퀴놀리늄 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 착염, N-부틸퀴놀리늄 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 착염, N-프로필 이소퀴놀리늄 테트라시아노 퀴노디메탄 착염, N-아밀 이소퀴놀리늄 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 착염, N-헥신 퀴놀리늄 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 착염, N-헥실 이소퀴놀리늄 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 착염, N-옥틸 이소퀴놀리늄 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 착염, N-옥틸 퀴놀리늄 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 착염, N-데실 퀴놀리늄 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 착염, N-도데실이소퀴놀리늄 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 착염, N-도데실 퀴놀리늄 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 착염, N-벤질 퀴놀리늄 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 착염, N-헥실-α-피롤리늄 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 착염, N-헥실-β-피콜리늄 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 착염, N-부틸-α-피콜리늄 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 착염, N-부틸-β-피콜리늄 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 착염, N-메틴-N-에틸 모르폴리늄 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 착염, N,N -디에틸 모르폴리늄 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 착염, N-부틸-N-메틸모르폴리늄 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 착염 및 N-벤질피리디늄 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 착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니스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고분자 화합물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비닐부티랄, As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술폰,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n-부틸 아크릴레이트와의 공중합체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스티렌과의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니스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c)(i) 성분이 하기식의 아세탈 :
    (식중 R1′및 R2′는 각각 H, 탄소수가 1~6인 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R3′및 R4′는 각각 탄소수가 1~6인 탄소원자,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를 나타낸다.) 하기식의 오르소포름산 에스테르 :
    (식중 R은 탄소수가 1~6인 알킬기를 나타낸다.) 하기식의 오르소아세트산 에스테르 :
    (식중 R은 탄소수가 1~6인 알킬기를 나타낸다.) 하기식의 오르소탄산 에스테르 :
    (식중 R은 탄소수가 1~6인 알킬기를 나타낸다.) 실옥산, 실릴에테르 및 오르소실릭산 에스테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니스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c)(i) 성분이 (CH3)2C(OCH3)2, (CH3)2C(OCH3)(OC2H5), PhCH(OC4H9)2, Ph2C(OC2H5)2, CH(OCH3)3, CH(OC2H5)3, CH(OC3H7)3, CH2C(OCH3)3, CH3C(OC2H5)3, CH3C(OC3H7)3, C(OCH3)4, C(OC2H5)4, ((CH3)3Si)2O, ((C2H5)3Si)2O, (CH3)3Si(OCH3), (C2H5)3Si(OC2H5), Si(OCH3)4, Si(OC2H5)4및 Si(OC3H7)4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한 1종 이상의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니스 조성물.
  11. 제2항에 있어서, (c)(i) 성분이 디메틸아세탈, 디에틸아세탈, 메틸오르소포르메이트, 에틸오르소포르메이트, 에틸오르소카르보네이트, 헥사메틸디옥산 및 트리에틸에톡시실란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한 1종 이상의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니스 조성물.
  12. 제3항에 있어서, (c)(i) 성분이 디메틸아세탈, 디에틸아세탈, 메틸오르소포르메이트, 에틸오르소포르메이트, 에틸오르소카르보네이트, 헥사메틸디옥산 및 트리에틸에톡시실란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니스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c)(ii) 성분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amphoteric)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불소계 계면활성제 및 실리콘류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니스 조성물.
  14. 제3항에 있어서, (c)(ii) 성분은 불소계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 에테르, 실리콘유,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sorbitan monolaurate) 및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니스 조성물.
  15. 제4항에 있어서, (c)(ii) 성분은 불소계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실리콘유,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니스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용매가 아미드류, 니트릴류, 알코올류, 케톤류, 에스테르류, 방향족 탄화수소류 및 할로겐화 탄화수소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니스 조성물.
  17. 제1항에 있어서, 용매가 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 피롤리돈, γ-부티로락톤, 아세토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시클로헥사논, 메틸에틸케톤, 디옥산, 부틸아세테이트, 아밀아세테이트,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톨루엔, 크실렌, 디클로로메탄 및 테트라클로로에탄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니스 조성물.
  18. 제2항에 있어서, 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 착염, 고분자 화합물 및 (c)(i) 성분의 분율이 용매의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05~30%, 0.05~100% 및 0.01~10%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니스 조성물.
  19. 제3항에 있어서, 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 착염, 고분자 화합물 (c)(i) 성분 및 (c)(ii) 성분의 분율이 용매의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05~30%, 0.05~100%, 0.01~10% 및 1%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20. 제4항에 있어서, 테트라시아노퀸디메탄 착염, 고분자 화합물 및 (c)(ii) 성분이 용매의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05~30%, 0.05~100% 및 0.001~20%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니스 조성물.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90003280A 1988-03-16 1989-03-16 전도성 니스 조성물 KR9200029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64399 1988-03-16
JP6439988A JPH0725930B2 (ja) 1988-03-16 1988-03-16 有機電導性組成物
JP63-250860 1988-10-06
JP63250860A JPH0747700B2 (ja) 1988-10-06 1988-10-06 導電性ワニス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701A true KR890014701A (ko) 1989-10-25
KR920002996B1 KR920002996B1 (ko) 1992-04-13

Family

ID=26405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3280A KR920002996B1 (ko) 1988-03-16 1989-03-16 전도성 니스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009811A (ko)
EP (1) EP0340421B1 (ko)
KR (1) KR920002996B1 (ko)
DE (1) DE6891057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95426B1 (en) * 1989-04-28 1995-07-26 Fujitsu Limited Method of forming pattern by using an electroconductive composition
US5356744A (en) * 1989-12-27 1994-10-18 Xerox Corporation Conductive layers using charge transfer complexes
ATE145420T1 (de) * 1992-07-15 1996-12-15 Ciba Geigy Ag Beschichtetes material, dess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19642563C1 (de) * 1996-10-15 1998-02-26 Siemens Ag Chipkarte mit einer Kontaktzon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Chipkarte
US6384119B1 (en) 2000-06-22 2002-05-07 Basf Corporation Coating compositions comprising volatile linear siloxane fluids
EP2940079B1 (en) * 2014-04-30 2017-08-23 Agfa-Gevaert Non-aqueous dispersions of a conductive polyme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316614A1 (es) * 1964-08-24 1966-07-01 Gen Electric Un procedimiento para preparar una composicion electronicamente conductora.
JPS50123750A (ko) * 1974-02-13 1975-09-29
JPS54130651A (en) * 1978-03-31 1979-10-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composition
JPS55142050A (en) * 1979-04-23 1980-11-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acquer composition for highly dielectric film
DE3005849A1 (de) * 1980-02-16 1981-09-03 Bayer Ag, 5090 Leverkusen Elektrisch leitende und antistatische formmassen
US4359411A (en) * 1980-10-03 1982-11-1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Flexible semiconductive polymers
US4374048A (en) * 1981-08-07 1983-02-1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ic compositions
DE3131251A1 (de) * 1981-08-07 1983-04-28 Bayer Ag, 5090 Leverkusen Polystyrol mit hoher elektrischer leitfaehigkeit
FR2564231B1 (fr) * 1984-05-10 1986-09-05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Films conducteurs de l'electricite comprenant au moins une couche monomoleculaire d'un complexe organique a transfert de charge et leur procede de fabrication
US4622355A (en) * 1984-07-16 1986-11-1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Radiation-hardened polymeric films
DE3607668A1 (de) * 1986-03-08 1987-09-10 Bayer Ag Schmelzbare, elektrisch leitfaehige mischungen
DE3617268A1 (de) * 1986-05-23 1987-11-26 Bayer Ag Ueberzugsmitt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8910573D1 (de) 1993-12-16
EP0340421A3 (en) 1991-05-22
DE68910573T2 (de) 1994-04-28
EP0340421A2 (en) 1989-11-08
US5009811A (en) 1991-04-23
EP0340421B1 (en) 1993-11-10
KR920002996B1 (ko) 199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rdi et al. Can the QCD running coupling have a causal analyticity structure?
Däubler et al. Charge carrier photogeneration, trapping, and space-charge field formation in PVK-based photorefractive materials
KR830005305A (ko) 실리콘 수지피복 조성물
KR830001353A (ko) 규소수지 코팅(Coating) 화합물
SE7411424L (sv) Beleggningskomposition.
KR890014701A (ko) 전도성 니스 조성물
KR920016520A (ko) 광, 산소 및 열에 대해 안정화된 중합체 조성물
ATE38390T1 (de) Stabilisierung von organischen polymeren.
KR860007330A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930010622A (ko) 네가티브형 레지스터 조성물
KR840003070A (ko) 감광성(感光性)의 수지조성물(樹脂組成物)과 이것을 사용하여 미세한 패터언(Pattern)을 형성하는 방법
KR890005222A (ko) 열가소성 폴리메타크릴이미드 수지 조성물
KR970049040A (ko) 감광성 내식막 조성물
KR910011870A (ko) 헤테로사이클릭 유기금속 화합물
KR900701757A (ko) 2-알킬 이미다졸린의 톨루엔 설포네이트염
KR880005470A (ko) 내열성 플라스틱 광섬유 및 그 제조방법
EP0316027A3 (en)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KR890016050A (ko) 유기규소화합물, 그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기광학재료 및 장치
KR930020185A (ko) 콘택트렌즈
JPH03501895A (ja) 有機光学的導波管
Kuroda et al. Correlation between electron spin resonance and optical anisotropy in Langmuir-Blodgett films of a merocyanine dye
KR980002184A (ko) 규소 함유 코팅막 형성을 위한 액체 코팅 조성물
Wu et al. Preparation of a type of water evaporation inhibiting monolayer based on epoxy resin
KR960025362A (ko) 비디오 테이프용 자기기록매체
KR940009315A (ko) 액정/고분자 수지 복합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4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