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7006Y1 - 승객 컨베이어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승객 컨베이어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7006Y1
KR890007006Y1 KR2019860003922U KR860003922U KR890007006Y1 KR 890007006 Y1 KR890007006 Y1 KR 890007006Y1 KR 2019860003922 U KR2019860003922 U KR 2019860003922U KR 860003922 U KR860003922 U KR 860003922U KR 890007006 Y1 KR890007006 Y1 KR 8900070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pulleys
passenger conveyor
speed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39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3341U (ko
Inventor
시게하루 기다무라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시끼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905148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48889A/ja
Priority claimed from JP905158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48890A/ja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시끼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133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33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70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0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B66B23/026Driving gear with a drive or carrying sprocket wheel located at end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승객 컨베이어의 구동장치
제1도는 본원 고안에 의한 승객 컨베이어 구동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제2도는 제1도 Ⅱ-Ⅱ선에 의한 측면도.
제3도는 본원 고안에 의한 구동장치를 구비한 승객 컨베이어의 전체를 나타낸 개략측면도.
제4도는 본원 고안에 의한 승객 컨베이어의 구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제5도는 제4도 Ⅱ-Ⅱ선에 의한 측면도.
제6도는 본원 고안에 있어서의 변속제어수단의 블록도.
제7도는 승객 컨베이어속도와 펄스수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제8도는 승객 컨베이어 가속도와 펄스주파수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제9도는 종래에 있어서의 승객 컨베이어의 개략측면도.
제10도는 종래에 있어서의 승객 컨베이어의 구동장치의 평면도.
본원 고안은 승객컨베이어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승객 컨베이어의 운전속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승객 컨베이어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승객 컨베이어의 구동장치응 주로 전동기 및 그 회전속도를 승객수송에 적합한 속도로 감속하는 감속기와, 이 감속기에 위해 회전되어, 계단체인을 주행시키는 체인기어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이 구동장치에는 승객 컨베이어의 설치시 및 보수시의 각종 조정을 위해 승객 컨베이어를 저속 운전시키는 기능수단이 부가되어 있다.
종래 이와같은 저속운전기능을 구비한 승객 컨베이어에는 일본국 특개소 55-101581호 공보 등에 나타낸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종류의 승객 컨베이어 구동장치는 승객 컨베이어를 통상 속도(30m/분, 40m/분)로 운전하는 주구동기 외에 저속(6m/분)운전용의 구동기를 설치하고, 이 저속운전용 구동기를 이용하여 설치시 및 보수시의 운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승객 컨베이어에서는 주구동기 외에 저속 운전용의 구동기가 별도로 필요하에 되는 외에, 이 구동기와 감속기간을 단속(斷續) 가능하게 하는 전자클래치 등의 전송장치도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원가도로 되며, 더구나 기계실의 설치스페이스도 확대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이 종류의 저속운전용 구동기는 설치, 보수에 편의성이 있고, 또한 안전성이 있는 속도 6m/분으로 고정되어 속도제어를 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승객 컨베이어의 설치, 보수시의 작업에 따라 여러가지 속도로 조종할 수 없다. 이와 같은 설치, 보수작업에 지장을 초래하여 작업성을 나쁘게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종래의 승객 컨베이어의 구동장치에는 일본국 특개소 58-47786호 공보 등에 나타낸 것이 알려져 있다.
제9도 및 제10도는 이 종류의 종래의 승객 컨베이어의 구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1)은 승객 컨베이어의 주틀, (2)는 주틀(1)의 상단에 설치된 기계실, (3)은 기계실(2)에 근접해서 주틀(1)에 장착된 상부 체인기어장치, (4)는 주틀(1)의 하단부에 장착된 하부체인기어장치, (5)는 상,하부체인 기어장치(3)(4)간에 무단상(無端狀)으로 감긴 계단체인이며, 이 계단체인(5)에는 다수의 계단(6)이 연속해서 장칙되어 있다. (7)은 기계실(2)내에 설치된 구동장치이며, 전동기(8) 및 감속기(9)로 구성되고, 전동기(8)의 회전축(8a)과 감속기의 입력축(9a)간은 전달기구(10)에 위해 연계되어 있는 동시에, 감속기(9)의 출력축(9b)에 고착된 구동스크로켓(11)과 상기 상부체인기어장치(3)에 전달하는 것으로 계단체인(5)을 포함한 계단(6)을 주행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장치의 속도는 일반적으로 고정적이며, 그 중감속도는 전동기의 기동토크 및 시스템의 관성으로 결정된다.
또, 근래에는 지하철, 그밖의 교통기관용으로서 2단속도로 전환할 수 있는 승객 컨베이어가 출현하고 있다.
이 종류의 승객 컨베이어용 구동장치의 속도변경은 전동기의 극수(極數)를 전환함으로써 행해진다. 예를 들면 40m/분 운전사는 6극으로 30m/분 운전시는 8극으로 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객 컨베이어의 속도가 1단으로 고정되는 구동장치에서는 승객 컨베이어를 느리게 증속시키거나 느리게 감속시킬 경우, 대형 플라이휠 등을 설치함으로써 대처할 수 있지만, 이래서는 브레이크, 기타의 기기가 대형화되며, 또 자유로운 가감속 변환이 곤란했었다.
또, 2단속도를 갖는 승객 컨베이어에 있어서는 이것을 변속할 경우 일단 승객 컨베이어를 정지시켜, 전동기의 극수전환을 한 다음 재기동할 필요가 있으며, 이 때문에 승객의 흐름을 중지시킬 뿐만 아니라, 기동시의 전력소비도 크다. 더구나, 극수가 증대하기 때문에 전동기의 사이즈가 커져, 통상 주틀내에 수용 할 수 없는 경우도 있었다.
본원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승객 컨베이어의 운전속도를 임의로 설정가능하게 하고, 또한 그 조절설정수단을 저렴한 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도록 한 승객 컨베이어의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 고안에 의한 승객 컨베이어의 구동장치는 전동기의 회전축과 계단체인을 구동하는 감속기의 입력축에 벨트식 무단변속장치의 유효경가변(有效俓可變)의 풀리를 각기 장착하고, 이 양풀리간에 벨트를 감는 동시에, 상기 양 풀리의 유효경을 상대적으로 증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분원 고안에 있어서는 전동기 및 감속기측 풀리의 유효경을 상대적으로 변화시키면, 그 양 유효경의 비에 따라 전동기에서 변속기에 전달되는 회전속도가 변화됨으로써, 승객 컨베이어의 운전속도를 필요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원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승객 컨베이어의 느린 기동, 느린 정지 및 느린 변속의 제어를 벨트식 무단변속수단에 의해 가능하게 하고, 설치스페이스가 작은 경재적인 승객 컨베이어의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 고안에 의한 승객 컨베이어의 구동장치는 전동기의 회전축과, 계단체인을 구동하는 감속기의 입력축간을 벨트식 무단면속장치에 의해 연계하고, 이 벨트식 무단변속장치를 구성하는 V풀리의 유효경을 승객 컨베이어의 느린 기동, 느린 정지 및 느린 변속에 따라 증감하는 제어수단을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원 고안에 있어서는 조작수단에 느린 기동, 느린 정지 또는 느린 변속에 따른 지령을 주면, 풀리의 직경이 상기 지령에 따라 증대하거나 감소되며, 이것에 의해 전동기에서 감속기에 전달되는 회전속도를 무단으로, 또한 언활하게 변화시켜 승객 컨베이어의 느린 변속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다음에, 본원 고안의 일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3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이 제1도 내지 제3도에 있어서, (101)은 승객 컨베이어의 주틀, (102)는 주틀(101)의 상단에 설치된 기계실, (103)은 기계실(102)에 근접해서 주틀(101)에 장착된 상부체인기어장치, (104)는 주틀(101)의 하단부에 장착된 하부체인기어장치, (105)는 상부 및 하부체인기어장치(103)(104)간에 무단상으로감긴 계단체인이며, 이 계단체인에는 다수의 계단(106)이 연속해서 장착되어 있다. (107)은 기계실(102)내에 설치한 구동장치이며, 전동기(108) 및 감속기(109)를 구비하고, 이 전동기(108)의 회전축(108a)과 감속기(109)의 입력측(109a)간은 풀리식 무단변속장치(11)에 의해 연계되며, 이것에 위해 전동기(108)의 회전을 변속해서 감속기(109)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감속기(109)의 출력축(109b)에 고착된 구동스프로켓(111)과 상기 상부체인기어장치(103)의 종동스프로켓(103a)간에는 체인(112)이 감겨, 감속기(109)의 출력측 회전을 상기 체인기어장치(103)에 전달하는 것으로 계단(106)을 포함한 계단체인(105)을 주행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벨트식 무단변속장치(110)는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기(108)의 회전축(108a) 및 감속기(109)의 입력축(109a)에 각기 장착된 유효경이 가변가능한 제1 및 제2의 V풀리(113),(114)를 가지며, 이 각V풀리(113) 및 (114)는 각각의 회전축(108a) 또는 입력축(109a)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한 각 한쌍의 원추풀리(113a)(113b) 및(114a))114b)로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V풀리(113)(114)간에는 엔드레스의 V벨트(115)가 감겨 있다. 그리고, 상기 양 풀리의 유효경을 상대적으로 증감하는 조정기구로서, 상기 V풀리(113)(114)의 서로 대향하는 한쪽의 원추풀리(113a)와 (114a)의 보스부간 및 다른쪽 원추풀리(113b)와 (114b)의 보스부간은 가기 중간부를 피보트축(116)(117)에 의해 수평회동가능하게 원추형 접합된 제1및 제2의 링크(118)(119)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각 링크(118)(119)의 각 보스부와의 연결단은 보스부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져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의 링크(118)(119)는 감속기입력축(109a)에 있어서 서로 대양하는 요동 가능한 볼너트(120)(121)를 구비하여, 이 볼너트(120)(121)에는 양단을 브래키트(122)(122)로 지지한 볼나사(123)가 나사맞춤되어 있는 동시에 각 볼너트(1220)(121)가 나사맞춤되는 볼나사(123)의 나사부는 서로 역리드로 되어 있으며, 그리고 볼나사(123)의 한쪽 끝에는 V풀리(113)(114)의 유효경을 상대적으로 증감조각하는 핸들(124)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1도에 있어서 (125)는 감속기(109)의 입력측(109a)의 다른쪽에 설치한 전자브레이크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승객 컨베이어 구동장치에 있어서 핸들(124)을 제2도에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면, 볼나사(123)도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키기 때문에, 이것에 나사맞춤되어 있는 볼너트(120)(121)는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각 링크(118)(119)를 그 피보트축(116)(117)을 중심으로 하여 제1도의 화살표 B,C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것에 따라 전동기(108)측 제1의 V풀리(113)의 유효경은 증대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감속기(109)측 제2의 V풀리(114)의 휴효경은 감소되는 방향으로 변화한다. 즉, 제1도에 나타낸 V풀리의 상태와 반대로 되기 때문에,V풀리(113)의 유효경과 V풀리(114)의 유효경과의 비로 설정되는 변속비에 따라 전동기(108)에서 감속기(109)에 전달되는 회전속도는 무단으로 변화, 즉 증속하는 방향으로 무단으로 변속되게 된다.
또, 핸들(124)을 제2도의 화살표 A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조작하여 볼너트(120)(121)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각 링크(118)(119)는 제1도의 화살표 B,C와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며, 이것에 의해 V풀리(113)의 유효경은 감소방향으로, 또 V풀리(114)의 유효경은 증대방향으로 각기 변화하여 제1도에 나타낸 상태로 되어, 전동기(108)에서 감속기(109)에서 회전속도는 감속되게 된다.
따라서, 승객 컨베이어의 설치 또는 보수시의 조정을 할때, 승객 컨베이어를 저속운전할 경우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기측 V풀리(113)의 유효경을 작게 하고, 감속기축 V풀리(114)의 유효경을 크게 하도록 변속비를 설정하면, 설치, 보수작업에 적합합 속도, 예를 들면 6m/분 또는 그 이하나 이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것은 설치, 보수시의 조정의 작업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종래와 같이 주구동기 외에 저속운전용의 구동기가 불필요하게 되어 구동장치의 저원가화가 가능해진다.
또, 승객 컨베이어를 통상의 운전속도(30m/분 또는 40m/분)로 설정할 경우는 상술한 경우와 반대로 전동기 축 V풀리(113)의 유효경을 크게하고, 감속기축 V풀리(114)의 유효경을 작게 하여, 그 유효경비를 통상 운전속도가 얻어지도록 설정하면 된다.
또, 무단변속장치(11)에 있어서의 V풀리(113)(114)의 구조는 실시예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원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전동기의 회전축과 감속기의 입력출간을 벨트식 무단변속기에 의해 연계하고, 전동기 및 감속기축의 V폴리의 유효경을 상대적으로 증감해서 변속하도록 한 것이므로 승객 컨베이어의 운전속도를 필요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동시에, 설치, 보수시의 저속 운전속도로 그작업에 다른 여러가지 속도로 조정할 수 있다.
다음에, 본원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제4도 내지 제8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4도 및 제5도는 본원 고안에 의한 승객 컨베이어 구동장치의 상세를 나타낸 것으로서, 주틀(201)의 기계실(202)내에 설치된 구동장치(207)는 전동기(208) 및 감속기(209)를 구비하여, 이 전동기(208)의 회전축(208a)과 감속기(209)의 입력축(209a)간은 벨트식 무단변속장치(213)에 의해 연계되며, 이것에 의해 전동기(208)의 회전을 변속하여 감속기(209)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감속기(209)의 출력측(209b)에 고착된 구동 스프로켓(211)과 상기 상부체인기어장치(203)의 종동스프로켓(203a)간에는 체인(212)이 감기며, 감속기(209)의 출력측 회전을 상기 체인기어장치(203)에 전달하는 것으로 계단(206)을 포함한 계단체인(205)을 주행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벨트식 무단변속장치(110)는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기(108)의 회전축(108a) 및 감속기(109)의 입력축(109a)에 각기 장착된 유효경이 가변가능한 제1 및 제2의 V풀리(113),(114)를 가지며, 이 각V풀리(113) 및 (114)는 각각의 회전축(108a) 또는 입력축(109a)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한 각 한쌍의 원추풀리(113a)(113b) 및(114a))114b)로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V풀리(113)(114)간에는 엔드레스의 V벨트(115)가 감겨 있다. 그리고, 상기 양 풀리의 유효경을 상대적으로 증감하는 조정기구로서, 상기 V풀리(113)(114)의 서로 대향하는 한쪽의 원추풀리(113a)와 (114a)의 보스부간 및 다른쪽 원추풀리(113b)와 (114b)의 보스부간은 가기 중간부를 피보트축(116)(117)에 의해 수평회동가능하게 원추형 접합된 제1및 제2의 링크(118)(119)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각 링크(118)(119)의 각 보스부와의 연결단은 보스부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져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의 링크(118)(119)는 감속기입력축(109a)에 있어서 서로 대양하는 요동 가능한 볼너트(120)(121)를 구비하여, 이 볼너트(120)(121)에는 양단을 브래키트(122)(122)로 지지한 볼나사(123)가 나사맞춤되어 있는 동시에 각 볼너트(1220)(121)가 나사맞춤되는 볼나사(123)의 나사부는 서로 역리드로 되어 있으며, 그리고 볼나사(123)의 한쪽 끝에는 V풀리(113)(114)의 유효경을 상대적으로 증감조각하는 핸들(124)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1도에 있어서 (125)는 감속기(109)의 입력측(109a)의 다른쪽에 설치한 전자브레이크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승객 컨베이어 구동장치에 있어서 핸들(124)을 제2도에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면, 볼나사(123)도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키기 때문에, 이것에 나사맞춤되어 있는 볼너트(120)(121)는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각 링크(118)(119)를 그 피보트축(116)(117)을 중심으로 하여 제1도의 화살표 B,C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것에 따라 전동기(108)측 제1의 V풀리(113)의 유효경은 증대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감속기(109)측 제2의 V풀리(114)의 휴효경은 감소되는 방향으로 변화한다. 즉, 제1도에 나타낸 V풀리의 상태와 반대로 되기 때문에,V풀리(113)의 유효경과 V풀리(114)의 유효경과의 비로 설정되는 변속비에 따라 전동기(108)에서 감속기(109)에 전달되는 회전속도는 무단으로 변화, 즉 증속하는 방향으로 무단으로 변속되게 된다.
또, 핸들(124)을 제2도의 화살표 A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조작하여 볼너트(120)(121)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각 링크(118)(119)는 제1도의 화살표 B,C와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며, 이것에 의해 V풀리(113)의 유효경은 감소방향으로, 또 V풀리(114)의 유효경은 증대방향으로 각기 변화하여 제1도에 나타낸 상태로 되어, 전동기(108)에서 감속기(109)에서 회전속도는 감속되게 된다.
따라서, 승객 컨베이어의 설치 또는 보수시의 조정을 할때, 승객 컨베이어를 저속운전할 경우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기측 V풀리(113)의 유효경을 작게 하고, 감속기축 V풀리(114)의 유효경을 크게 하도록 변속비를 설정하면, 설치, 보수작업에 적합합 속도, 예를 들면 6m/분 또는 그 이하나 이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것은 설치, 보수시의 조정의 작업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종래와 같이 주구동기 외에 저속운전용의 구동기가 불필요하게 되어 구동장치의 저원가화가 가능해진다.
또, 승객 컨베이어를 통상의 운전속도(30m/분 또는 40m/분)로 설정할 경우는 상술한 경우와 반대로 전동기 축 V풀리(113)의 유효경을 크게하고, 감속기축 V풀리(114)의 유효경을 작게 하여, 그 유효경비를 통상 운전속도가 얻어지도록 설정하면 된다.
또, 무단변속장치(11)에 있어서의 V풀리(113)(114)의 구조는 실시예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원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전동기의 회전축과 감속기의 입력출간을 벨트식 무단변속기에 의해 연계하고, 전동기 및 감속기축의 V폴리의 유효경을 상대적으로 증감해서 변속하도록 한 것이므로 승객 컨베이어의 운전속도를 필요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동시에, 설치, 보수시의 저속 운전속도로 그작업에 다른 여러가지 속도로 조정할 수 있다.
다음에, 본원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제4도 내지 제8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4도 및 제5도는 본원 고안에 의한 승객 컨베이어 구동장치의 상세를 나타낸 것으로서, 주틀(201)의 기계실(202)내에 설치된 구동장치(207)는 전동기(208) 및 감속기(209)를 구비하여, 이 전동기(208)의 회전축(208a)과 감속기(209)의 입력축(209a)간은 벨트식 무단변속장치(213)에 의해 연계되며, 이것에 의해 전동기(208)의 회전을 변속하여 감속기(209)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감속기(209)의 출력측(209b)에 고착된 구동 스프로켓(211)과 상기 상부체인기어장치(203)의 종동스프로켓(203a)간에는 체인(212)이 감기며, 감속기(209)의 출력측 회전을 상기 체인기어장치(203)에 전달하는 것으로 계단(206)을 포함한 계단체인(205)을 주행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벨트식 무단변속장치(213)는 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전동기(208)의 회전축(208a)및 감속기(209)의 입력축(209a)에 각기 장착된 유효경이 가변가능한 V풀리(214)(215)를 가지며, 이 각 V풀리(214)및 (215)는 각각의 회전축(208a)또는 입력축(209a)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한 각 한쌍의 원추풀리(214a)(214b)및 (215a)(215b)로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V풀리(214)(215)간에는 엔드레스의 V벨트(216)가 감겨 있다. 또 상기 V풀리(214)(215)의 서로 대향하는 한쪽의 원추풀리(214a)와 (215a)의 보그부간 및 다른쪽 원추풀리(214b)와 (215b)의 보스부간은 각기 중간부를 피보트축(217)(218)에 의해 수평회동가능하게 원추형 접합된 제1 및 제2의 링크(219)(220)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각 링트(219)(220)의 각 보스부와의 연결 끝부분은 보스부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걸어 맞추어져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의 링크(219)(220)은 감속기입력축(209a)축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요동가능한 볼너트(221)(222)를 구비하며, 이 볼터느(221)(222)에는 볼나사(223)가 나사맞춤되어 있는 동시에 각 볼너트(221)(222)에는 볼나사(223)가 나사맞춤되어 있는 동시에 각 볼너트(221)(222)가 나사맞춤되는 볼나사(223)의 나사부는 서로 역리드로 되어 있으며, 그리고 볼나사(23)의 일단은 변속용 서보모터(24)에 직결되고, 타단은 브래키트(225)에 지지되어 있다. 또, (225)는 감속기(209)의 입력측(209a)의 타측에 설치한 전자브레이크이다.
제6도는 상기 서보모터(224)의 제어수단의 블록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제어수단은 느린 기동, 느린 정지 또는 느린 변속을 위한 지령신호를 발생하는 지령신호발생부(226)와, 이 발생부(226)로 부터의 지령신호에 따라 서보모터(224)에 보내는 펄스수(볼나사 이송량) 및 펄스주파수(볼나사 이송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227)와, 제어부(227)로부터의 설정펄스수(이송량)와 서보모터(224)의 회전에 따르는 볼나사(223)의 이송량을 검출하는 펄스제네레이터(228)로 부터의 펄스와의 차를 연산하는 제1의 연산부(229)와 이 제1의 연산부(229)로부터의 차출력 즉 설정펄스주파수(이송속도)를 이것과 비례한 전압으로 변환하는 D-A변환부(230)와, 이 D-A변환부(230)으로부터의 출력전압, 즉 이송속도설정전압과 서보코너(224)의 회전속도에 비례한 전압을 검출하는 타고제네레이터(231)로부터의 출력전압과의 차를 연산하는 제2의 연산부(232)와, 이 제2의 연산(232)로부터의 차전압을 증폭하는 증폭기(23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의 연산부(229)는 제어부(227)로부터의 설정펄스수와 펄스제네레이터(228)로부터의 펄스와의 차를 구하여, 그것을 증폭하는 서보증폭기에 의해 구성되며, 또 제2의 연산부(232)는 이송속도설정전압과 타고제네레이터(231)으로부터의 출력전압과의 차를 구하여 그것을 증폭하는 서보증폭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제어에 대해서는 "기계공학편람"(1977년 일본 기계학회 발행)의 제21면 제4장 "4. 1 서보 기구"의 제21~35페이지의 제8표에 "소프트서보"로서 설명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는 생략한다.
또, 제7도는 본원 고안에 있어서의 펄스수(볼나사 이송량)와 승객 컨베이어 속도와의 관계를 나타낸 특성도이며, 제8도는 역시 본원 고안에 있어서의 펄스주파수(볼나사의 이송속도)와 승객 컨베이어의 가속도와의관계를 나타낸 특성도 이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승객 컨베이어를 느린 기동으로 하는 경우에는 먼저 저속으로 스타트할 수 있도록 전동기축 V풀리(214)의 유효경(ψ1)을 예를 들면ψ1=100㎜로, 감속기축 V풀리(215)의 유효경(ψ2)을 예를들면ψ2=720㎜로 각기 설정하고, 그 변속비를 1:7:2로 설정해 둔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동기(208)를 기동하면 전동기(208)의 회전은 상기 변속비에 따라 감속되어 감속기(209)에 전달되는 동시에, 계단체인(205), 즉 승객 컨베이어를 예를들면 7.5m/분의 저속으로 스타트시킨다.
한편, 승객 컨베이어의 기동에 수반해서 발생부(226)에서 느린 기동을 위한 느린 기동을 위한 지령신호가 제어부(227)에 송출되며, 제어부(227)로 부터는 승객 컨베이어를 그 기동시의 저속상태에서 통상 속도운전에 이르게 하기 위한 시간과 함께 주파수가 서서히 증가하는 변속용의 펄스가 출력된다. 이 펄스의 수 및 주파수는 제7도 및 제8도에 나타낸 특성도에 따라서 제어한다.
여기서 총 펄스수는 볼나사(223)의 이송량, 즉 슬객 컨베이어의 최대 운전속도를 설정하는 것이며, 또 펄스주파수는 이것을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콘트롤함으로써 볼나사(223)의 이송속도가 증가하는 방향, 즉 승객 컨베이어의 가속도를 일정하게 해서 직선형의 종속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느린 기동에 대응한 지령펄스가 제어부(227)에서 연산부(229), D-A변환부(230), 연산부(232)및 증폭기(233)를 통해 서보모터(224)는 지령치에 따라 회전되어, 볼나사(223)를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볼너트(221)(222)를 서로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각 링크(219)(990)를 퍼보트측(217)(218)를 중심으로 제4도의 화살표 A, B방향으로회동시킨다. 이 때문에 전동기(208)축 V풀리(214)으유효경은 증대되는 방향으로 변화하며, 감속기(209)축 V풀리(215)의 유효경은 감소되는 방향으로 변화한다. 이양 유효경 비의 변화에 따라 전동기(208)에서 감속기(209)에 전달하는 회전속도가 서서히 증가하며, 동시에 승객 컨베이어의 주행속도를 통상운전속도로 증가시켜간다. 그리고 컨베이어의 속도가 설정치, 예를들면 30m/분에 달하게 되면, 제어부(227)로부터의 펄스는 정지하며, 서보모터(224)도 정지하여, 볼나사(223)의 이량에 대해 V풀리 (214)(215)의 유효경 비로 설정되는 일정함 속도(30m/분)로 운전된다. 즉, 승객 컨베이어는 서보모터(224)에 의한 벨트식 무단변속장치(213)의 중속방향으로의 변속조작으로 7.5m/분의 기동속도에서 30m/분의 통상속도까지 느리게 기동된다.
도, 상시 느린 기동제어에 있어서, 펄스제네레이터(228)에서 볼나사(223)의 이송량에 비례해서 발생하는 펄스를 연산부(229)에 귀환시킴으로써, 총 펄스수에서 순차 감산되어, 볼나사(223)의 이송량이 설정치가 되도록 제어된다. 또, 타고제네레이터(231)에 의해 검출된 볼나사(223)의 이송속도에 비례하는 전압은 연산부(232)에 귀환되며, D-A변환부(230)로부터의 설정전압과의차가 0으로 되도록 서보모터(224)를 제어한다.
다음에, 운전중인 승객 컨베이어를 느린 정지로 할 경우에는, 발생부(226)에서 느린 정지용의 지령신호를 제어부(227)에 부여하고, 이것으로부터 느린 기동시의 반대로 시간과 함께 주파수가 서서히 감소되는 펄스를 출력한다. 이와같이 설정된 펄스가 이송량 제어용의 연산부(229), D-A변환부(230), 속도제어용 연산부(232) 및 증폭기(233)를 통해 서보모터(224)에 가해지면 서보모터(224)는 지령치에다라 쇠전되어, 볼나사(223)를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시에, 볼너트(221)(222)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각 링크(219)(220)을 피보트축(217)(218)을 중심으로 제4도의 화살표 A, B와 반대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때문에 전동기(208)측 V풀리(214)의 유효경은 감소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감속기(209)측 V풀리(215)의 유효경은 증가되는 방향으로 변화한다. 이 양 유효경 비의 변화에 따라 전동기(208)에서 감속기(209)에 전달되는 회전속도가 서서히 감소되며, 동시에 긍객 컨베이어의 주행속도를 통상운전속도에서 순차 점점 감소시켜간다. 그리고, 승객 컨베이어의 속도가 정지가능한 저속도 예를들면 7.5m/분에 달하게 되면, 제어부(227)로부터의 펄스는 정지하고, 서보모터(224)도 정지한다. 그후, 구동장치(207)에 정지지령이 주어지면, 전동기(208)는 정지하며 승객 컨베이어도 정지하게 된다. 즉, 승객 컨베이어는 느리게 정지하게 된다.
승객 컨베이어의 운전 도중에 그 주행속도를 변경할 셩우, 예를들면 30m/분에서 40m/분 또는 그 반대로 속도변환할 경우는 속도변환지령을 발생부(226)에서 제어부(227)에 부여하여, 이것에 의해 펄스수를 제어해서 속도변환할 경우는 속도변환지령을 발생부(226)에서 제어부(227)에 부여하여, 이것에 의해 펄스수를 제어해서 서보모터(224)를 구동하는 동시에, 펄스주파수를 증가 또는 감소방향으로 제어하여 전동기 빛 감속기측의 V풀리(214)(215)의 유효경 비를 변화시켜, 이것에 의해 변환증감속도를 제어해서 승객 컨베이어를 지정속도로 원활하게 느리게 변속시킨다.
이와같은 것은 승객 컨베이어의 운전속도 30m/분에서 40m/분 또는 그 반대로 전환할때, 종래와 같은 속도전환시의 쇼크가 없으며, 승객반송시에도 속도전환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본원 고안에 있어서의 벨트식 무단변속장치(213)는 상기 실시예에 나타낸 구조방식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풀리(214)(215) 및 그 조작링크기구를 다른 구조의 것으로 해도 되는 외에, 서보모터를 펄스모터로 바꾸어도 좋다. 또, V풀리(214)(215)의 유효경은 그 어느 한쪽을 변화시키는 것이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원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전동기 및 회전축과 감속기의 입력측간을 벨트식 무단변속장치에 의해 연계하고, 그리고, 이 벨트식 무단변속장치의 전동기 및 감속기축 V풀리의 최소한 한쪽의 유효경을 가변으로 하고, 이 유효경을 제어수단에 의해 증감해서 승객 컨베이어를 느린 기동, 느린 정지 또는 느린 변속이 가능하게한것이므로, 승객 컨베이어의 느린 기동, 느린 정지 및 느린 변속제어를 저렴한 비용으로 실현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그 가감속제어도 간편하고 원활하게 할 수 있고, 구동장치를 설치페이스가 작은 것으로할 수 있다.

Claims (8)

  1. 전동기(108.208)와, 이것에 의해 구동되는 감속기(109,209)와 이 감속기(109,209)에 의해 구동되어 계단체인(105,205)을 주행시키는 체인기어장치(103,203)와, 상기 전동기(108, 208)의 회전축(108a,208a)과 상기 감속기(109,209)의 입력축(109a,209a)간을 연계하는 벨트식 무단변속장치(110,213)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의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벨트식 무단변속장치(110)를 전동기 회전축(108a)에 장착된 유효경이 가변가능한 제1의 풀리(113)와, 감속기입력축(109a)에 장착된 유효경이 가변가능한 제2의 풀리(114)와, 이 양 풀리가너에감겨진벨트(115)와 상기 양 풀리의 유효경을 상대적으로 증감하는 조정기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의 구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1의 풀리(113) 및 제2회 풀리(114)는 모두 한쌍의 원추풀리(113a,113b,114a,114b)를 V홈이 형성되도록 대향시켜 전동기회전축(108a) 및 감속기입력축(109a)에 장착하여 구성되며, 또한 이들 한쌍의 원추풀리(113a,113b,114a,114b)는 각각의 회전축에 대해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그 축방향 이동에 의해 벨트(115)가 걸어 맞추어지는 유효경을 변화시키고, 조정기구는 상기 제1의 풀리(113) 및 제2의 풀리(114)가 대응하는 원추풀리끼리를 연결하는 한쌍의 피보트축(116,117)을 가지고 있으며, 이 한쌍의 축(116,117)은 제1의 풀리(113) 및 제2의 풀리(114) 사이의 위치에서 축지지 되어있고, 상기 한쌍의 축(116,117)을 축지지부분을 중심으로 하여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의 풀리(113)의 한쌍의 원추풀리(113a,113b)를 서로 접근시키는(또는 떨어지게 하는) 동시에, 상기 제2의 풀리(114)의 한쌍의 원추풀리(114a,114b)를 서로 떨어지게 하여(또는 접근시켜) 각각의 풀리의 유효경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의 구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조정기구는 다시 한쌍의 피보트측(116,117)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한쌍의 축(116,117)의 각각에 고정된 볼너트(120,121)와, 이들 볼너트(120,121)에 나사맞춤되는 볼나사(123)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볼나사(123)의 한쪽으로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각각의 볼너트(120,121)를 서로 접근시키며, 또 다른쪽으로의 회전에 의해 양 볼너트(120,121)를 서로 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의 구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조정기구는 다시 볼나사(123)를 회선시키기 위해 볼나사에 연결되는 핸들(12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의 구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식 무단변속장티(213)는 상기 전동기(208)의 회전축(208a)과 상기 감속기(209)의 입력축(209a)간을 연계하여, 전동기 및 감속기측 풀리(214,215)의 최소한 한쪽의 유효경이 가변으로 되어 있으며, 이 벨트식 무단변속장치(213)의 풀리(214,215)의 유효경을 승객 컨베이어의 느린 기동, 느린 정지 및 느린 변속 중의 최소한 하나의 지령에 따라 증감조작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의 구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벨트식 무단변속장치(213)를 전동기회전축(208a) 및 감속기입력축(209a)에 장착된 유효경이 가변가능한 풀리(214,215)와, 이 양 풀리간에 감겨진 벨트(216)와, 상기 양 풀리(214,215)의 유효경을 상대적으로 증감하는 링크(219,220) 및 이 링크를 회동조작하는 볼나사(223)와, 이 볼나사를 느린 기동, 느린 정지 또는 느린 변속지령에 따라 구동하는 서보모터(224)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의 구동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느린 기동, 느린 정지 또는 변속을 위한 지령신호를 발생하는 지령신호 발생부(226)와, 이 발생부(226)로부터의 지령신호에 따라 서보모터(224)에 보내는 이송량 및 이송속도지령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부(227)와, 이 제어부(227)로부터의 이송량지령과 서보모터의 회전에 따르는 볼나사(223)의 이송량을 검출하는 펄스제네레이터(228)로부터의 검출출력과의 차를 연산하는 제1의 연산부(229)와, 이 제1의 연산부(229)로부터의 출력에 의한 지령치와 서보모터(224)의 회전석도를 검출하는 타고제네레이터(231)로부터의 검출출력과의 차를 연산하는 제2의 연산부(232)를 가지고 있으며, 제2의 연산부(232)의 출력에 의하여 서보모터(224)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의 구동장치.
KR2019860003922U 1985-04-26 1986-03-29 승객 컨베이어의 구동장치 KR89000700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51485A JPS61248889A (ja) 1985-04-26 1985-04-26 乗客コンベアの駆動装置
JP60-90515 1985-04-26
JP60-90514 1985-04-26
JP9051585A JPS61248890A (ja) 1985-04-26 1985-04-26 乗客コンベアの駆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3341U KR860013341U (ko) 1986-11-12
KR890007006Y1 true KR890007006Y1 (ko) 1989-10-14

Family

ID=26431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3922U KR890007006Y1 (ko) 1985-04-26 1986-03-29 승객 컨베이어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4809841A (ko)
KR (1) KR89000700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31854A1 (en) * 1996-02-29 1997-09-04 Kone Oy People mover and drive apparatus
US5950797A (en) * 1996-02-29 1999-09-14 Kone Oy People mover and drive apparatus
US6049189A (en) * 1996-10-29 2000-04-11 Otis Elevator Company Variable speed passenger conveyor and method of operation
KR100581774B1 (ko) * 2003-10-23 2006-05-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난방 성능 개선을 위한 워터펌프 속도 가변장치
MX2007010437A (es) * 2006-09-19 2009-02-10 Inventio Ag Escalera mecanica o anden rodante con accionamiento.
US8403130B1 (en) 2012-03-29 2013-03-26 Conveyor Technologies, Inc. Conveyor systems having intermediate rollers
CN102795531A (zh) * 2012-08-15 2012-11-28 柳州凯迪电梯设备有限责任公司 扶梯用动力传动装置
CN104944268B (zh) * 2015-06-12 2017-02-01 黄民英 自动扶梯车桥驱动装置
JP6946242B2 (ja) * 2018-07-12 2021-10-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67A (en) * 1933-07-10 1935-06-18 Otis Elevator Co Moving stairway
US2198179A (en) * 1937-10-07 1940-04-23 Lamson Co Conveyer
US2395599A (en) * 1943-01-11 1946-02-26 Webb Co Jervis B Multiple drive conveyer and the like
US2476353A (en) * 1944-04-01 1949-07-19 Fred Horace Coles Infinitely variable speed gear
US2949178A (en) * 1958-10-24 1960-08-16 Otis Elevator Co Slow speed inspection device for moving stairway
US3035453A (en) * 1960-10-17 1962-05-22 Reliance Electric & Eng Co Variable belt-tensioning device for speed-varying transmission
DE1650803B1 (de) * 1967-07-25 1971-07-08 Piv Antrieb Reimers Kg Werner Stufenlos einstellbares kegelscheiben umschlingungs getriebe
GB1339779A (en) * 1970-06-19 1973-12-05 Jagenberg Werke Ag Steplessly adjustable regulating gear
GB1353456A (en) * 1973-01-19 1974-05-15 Platt International Ltd Variable speed transmission gear boxes
DE2539094C2 (de) * 1975-09-03 1977-09-08 PIV Antrieb Werner Reimers KG, 6380 Bad Homburg Stufenlos einstellbares Kegelscheibengetriebe
SU1030290A1 (ru) * 1982-03-22 1983-07-23 Специализирован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Эскалаторостроения Прив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эскалатора
SU1089029A1 (ru) * 1982-06-24 1984-04-30 Специализирован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Эскалаторостроения Прив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эскалатора
US4631467A (en) * 1985-05-28 1986-12-23 Otis Elevator Company Escalator passenger flow control
JPH101581A (ja) * 1996-06-14 1998-01-06 Toray Ind Inc ブロー成形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ブロー成形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3341U (ko) 1986-11-12
US4809841A (en) 1989-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7006Y1 (ko) 승객 컨베이어의 구동장치
US5830094A (en) Transmission for converting rotary motion into linear motion
JP2006312452A (ja) 2つのけん引ケーブルを包含する索道装置のための可動装置
WO1993012999A2 (en) Control system for an accumulating conveyor
CN1592713A (zh) 自动扶梯驱动机构
CN2923637Y (zh) 单主机驱动的双向自动扶梯
US3764050A (en) Differential drive for tension rollers
CN109368467B (zh) 一种螺旋式自动扶梯的扶手带驱动装置
KR940005394B1 (ko) 수동제어식 선반
CN109466999B (zh) 螺旋式自动扶梯的扶手带驱动装置
EP1178598B1 (en) A method for synchronizing several brushless motors in an elevating device
US4474321A (en) Control unit for driving plural loopers
JP4644702B2 (ja) ゲート用開閉装置
JPH11165229A (ja) 工作機械
JPS61248890A (ja) 乗客コンベアの駆動装置
JPH07195114A (ja) 自己調整多段式線引機
JP3900113B2 (ja) 複数の駆動装置により駆動されるコンベア装置
JPS621176Y2 (ko)
JPS61248889A (ja) 乗客コンベアの駆動装置
US4628823A (en) Vehicle speed control transition module and method
SU100871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гулировани температуры жилы кабельного издели
JP2001220083A (ja) 乗客コンベアのハンドレール駆動装置
JPS627425B2 (ko)
SU162041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гулировани нат жени рул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SU91334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линейной скорости 1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10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