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6152Y1 - 정전압 회로 - Google Patents
정전압 회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90006152Y1 KR890006152Y1 KR2019860019826U KR860019826U KR890006152Y1 KR 890006152 Y1 KR890006152 Y1 KR 890006152Y1 KR 2019860019826 U KR2019860019826 U KR 2019860019826U KR 860019826 U KR860019826 U KR 860019826U KR 890006152 Y1 KR890006152 Y1 KR 89000615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ltage
- transistor
- input
- output
- voltage circuit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입력전압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1, P2: 비교기 TR1-TR4: 트랜지스터
ZD1: 제너다이오드 R1-R9: 저항
본 고안은 전압변동폭이 심한 DC입력 전압을 일정한 DC전압으로 출력시키면서 트랜지스터의 발열을 극소화시킨 정전압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정전압회로는 입력되는 DC전압폭이 제한된 좁은 영역에서만 안정된 동작을 하게되고, 그 이상의 높은 전압이 인가되면 정전압 트랜지스터가 발열로 인하여 파괴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개선책으로써 과전압 특성을 향상시키게되면 저잔압특성이 나빠지게 되고, 또한 그 반대의 경우로 저전압 특성을 개선시키면 과전압 특성이 나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변동폭이 큰 DC입력전압을 정전압화하여 출력시키기 위해서는 온도특성이 좋은 대용량의 트랜지스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같은 경우 제품의 원가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주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변동폭이 큰 입력전압에서도 트랜지스터의 발열이 극소인 상태에서 일정한 DC전압이 출력되는 것이므로, 정전압회로를 소용량의 트랜지스터로 구성할 수가 있어 원가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에는 DC입력단자(IN)에 접속된 저항(R4)과 각 트랜지스터(TR2, TR1)의 콜렉터에 각각 접촉된 저항(R6, R5)을 접속하고, 상기 각 트랜지스터(TR2, TR1)의 베이스에는 각각 저항(R8, R7)을 통하여 각 비교기(P1, P2)의 출력력단을 접속하며, 트랜지스터(TR4)의 베이스에는 트랜지스터(TR3)의 에미터 및 트랜지스터(TR4)의 콜렉터에 공접된 저항(R9)과 각 비교기(P1, P2)의 인버팅 단자(-)와 제너다이오드(ZD1)를 접속하고 비교기(P1)의 인버팅단자(+)에는 DC입력단(IN)에 접속된 저항(R1)과 비교기(P2)의 넌 인버팅단자(+) 및 저항(R3)에 접속된 저항(R2)을 접속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C입력단(IN)으로 입력되는 전합(V1)은 저항(R4)을 통하여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에 바이어스를 걸어 주게 되므로, 트랜지스터(TR3)의 에미터에는 전압(V4=V1-TR3VBE)이 출력된다.
이 전압(V4)은 저항(R9)과 제너다이오드(ZD1)에 의해 제너전압(VZ)으로 제한되어 트랜지스터(TR4)의 베이스에 바이어스를 걸어주게 되므로, 트랜지스터(TR4)의 에미터 출력전압(V5=VZ-TR4VBE)이 DC출력단(OUT)으로 출력된다.
또한 제너다이오드(ZD)에 의한 제너전압(VZ)은 각 저항(R1-R3)에 의해 분배되는 전압(V2, V3)과 비교기(P1, P2)에서 비교되므로, 비교기(P1)의 넌 인버팅 단자(+)의 전압()이 인버팅 단자(-)의 제너전압(VZ)보다 낮은 경우에는 DC입력전압(V1)의 거의 그대로가 DC출력전압(V5)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때의 출력전압(V5)은 V1-(TR3VBE-TR4VBE)로 출력된다.
한편, DC입력전압(V1)이 상승되므로써 높아진 트랜지스터(TR3)의 에미터 출력전압(V4)이 트랜지스터(TR4)의 콜렉터로 인가되어 상기 트랜지스터(TR4)에서는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이때에는 비교기(P1)의 넌 인버팅단자(+)로 입력되는 전압(V2)이 인버팅 단자(-)로 입력되는 제너전압(VZ)보다 높아지므로 비교기(P1)의 출력이 하이레벨로 되는 트랜지스터(TR2)를 턴온시킨다. 따라서 트랜지스터(TR3)의 에미터 출력전압(V4=V1 TR3VBE)을 감소시켜주게 되는데, 이때, 트랜지스터(TR3)에서는 약간의 발열이 나타나게 되지만, 트랜지스터(TR4)의콜렉터 전압이 낮아지게 되므로 트랜지스터(TR4)에서의 발열은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계속해서 DC입력전압(V1)이 상승되면, 비교기(P2)의 넌 인버팅 단자(+)의 전압(V3=V1 )도 인버팅다자(-) 제너전압(VZ)보다 높아져, 상기 비교기(P2)에서는 하이레벨을 출력하게 되며,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TR1)도 턴온된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TR3)의 에미터 출력전압(V4=V1 TR3VBE)은 더욱 낮아져, 트랜지스터(TR4)의 콜렉터 전압이 다시 낮아지게 된다.
즉,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각적으로 변화하는 DC전압이 입력되면, 시간(t0-t1)동안의 전압변동은 트랜지스터(TR4)에서 흡수되고, 시간(t1-t2)동안의 전압변동은 트랜지스터(TR1-TR3) 및 저항(R4, R6)에 의해 흡수되며, 시간(t2-t3) 동안의 전압변동은 트랜지스터(TR1-TR3) 및 저항(R4-R6)에 의해 단계적으로 흡수되는 것이므로, 전압변동폭이 큰 DC전압이 입력되더라도 이를 큰 발열없이 정전압화 하여 출력할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트랜지스터의 큰 발열없이 우수한 가감전압특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이므로, 트랜지스터의 용량을 소형화시킬 수 있어 원가 절감 효과를 얻게 되는 특징이 있다.
Claims (1)
- 바이어스 저항(R4)이 접속된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에는 각 트랜지스터(TR2, TR1)의 콜렉터에 각각 접속된 저항(R6, R5)을 접속하고, 바이어스 저항(R9)이 접혹된 트랜지스터(TR4)의 베이스에는 제너다이오드(ZD1)와 비교기(P1, P2)의 각 인버팅 단자(-)를 접속하며, 출력단이 각 트랜지스터(TR2, TR1)의 베이스에 접속된 비교기(P1, P2)의 각 넌 인버팅 단자(+)에는 저항(R1-R3)으로써 각각 분배된 DC입력전압이 인가되게 접속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압회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60019826U KR890006152Y1 (ko) | 1986-12-11 | 1986-12-11 | 정전압 회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60019826U KR890006152Y1 (ko) | 1986-12-11 | 1986-12-11 | 정전압 회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13023U KR880013023U (ko) | 1988-08-29 |
KR890006152Y1 true KR890006152Y1 (ko) | 1989-09-12 |
Family
ID=19257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60019826U KR890006152Y1 (ko) | 1986-12-11 | 1986-12-11 | 정전압 회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90006152Y1 (ko) |
-
1986
- 1986-12-11 KR KR2019860019826U patent/KR89000615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13023U (ko) | 1988-08-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685048A (en) | AC-DC transformation circuit | |
JPH03119812A (ja) | 電流検出回路 | |
US4321524A (en) | Transistorized voltage limiter | |
EP0092145B1 (en) | Transistor circuit | |
KR890006152Y1 (ko) | 정전압 회로 | |
KR940009398B1 (ko) | 액티브 필터회로 | |
EP0379092A1 (en) | Voltage generating circuit | |
KR870004555A (ko) | 전압 조절기 회로 | |
JPS5921549Y2 (ja) | 単安定マルチバイブレ−タ | |
SU694853A2 (ru) | Стабилизированный источник посто нного тока | |
JPH0642250Y2 (ja) | 負出力電圧安定化電源回路 | |
KR900000376Y1 (ko) | 윈도우 컴퍼레이터 회로 | |
JPH0338708Y2 (ko) | ||
SU650064A1 (ru) | Непрерывный стабилизатор напр жени посто нного тока | |
SU548852A1 (ru) | Опорный источник посто нного напр жени | |
KR800001233B1 (ko) | 베이스 클립회로 | |
JP2545374B2 (ja) | 定電流源回路を有する差動増幅回路 | |
RU2003216C1 (ru) | Полупроводниковый усилитель | |
SU1665352A1 (ru) | Стабилизатор посто нного напр жени | |
KR860001362Y1 (ko) | 전류원을 이용한 리세트 회로 | |
SU1460715A1 (ru) | Стабилизатор тока | |
KR890005519Y1 (ko) | 히스테리시스를 갖는 논리회로 | |
JPH0415716A (ja) | 定電圧源回路 | |
SU1146646A1 (ru) | Низковольтный опорный элемент | |
KR910003031Y1 (ko) | 리세트회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30329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