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5102B1 - 자동차용 전기 퓨즈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전기 퓨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102B1
KR890005102B1 KR1019860006952A KR860006952A KR890005102B1 KR 890005102 B1 KR890005102 B1 KR 890005102B1 KR 1019860006952 A KR1019860006952 A KR 1019860006952A KR 860006952 A KR860006952 A KR 860006952A KR 890005102 B1 KR890005102 B1 KR 890005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housing
blade
blades
parall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6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1012A (ko
Inventor
오 세이방
Original Assignee
리틀휴우즈 인코포테이팃드
데이빗드 크루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틀휴우즈 인코포테이팃드, 데이빗드 크루거 filed Critical 리틀휴우즈 인코포테이팃드
Publication of KR880001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5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2Intermediate or auxiliary parts for carrying, holding, or retaining fuse, co-operating with base or fixed holder, and removable therefrom for renewing the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11Miniature fuses
    • H01H85/0415Miniature fuses cartridge type
    • H01H85/0417Miniature fuses cartridge type with parallel sid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4Means for preventing insertion of incorrect fuse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전기 퓨즈
제1도는 이 발명에 따른 가장 바람직한 형태의 퓨즈의 주요부분에 대한 조립전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조립된 퓨즈의 정면도.
제3도는 조립된 퓨즈의 측면도.
제4도는 조립된 퓨즈의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5-5선에 따른, 조립된 퓨즈의 전단면도.
제6도는 제2도의 6-6선에 따른, 조립된 퓨즈의 윗부분에 대한 단편적 횡단면도.
제7도는 하우징 몸체 외판들의 초음파용접에 앞서, 제2도의 7-7선에 따른, 이 발명의 퓨즈에 대한 단면도.
제8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한가지의 자동 퓨즈날의 사시도.
제9도는 제8도의 종래 기술에 따른 퓨즈의 횡단면도.
제10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퓨즈의 횡단면도.
제11도는 조립시에 정렬리브들의 맞물림을 나타내는, 제7도에 보인 퓨즈 부분의 확대도.
제12도는 제 2도의 12-12선에 따른 단편 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퓨즈 11, 13 : 리브(rib)
12 : 본체 12' : 하우징부재
13A : 전방벽 13B : 후방벽
14, 14' : 플랜지 15, 17 : 하우징외판
16, 18 : 끝면 19, 21 : 채널
20, 22 : 끝면 23 : 고정지주
24 : 전방벽 25 : 홈
26 : 후방벽 28, 30 : 걸림어깨
29 : 정렬리브 31 : 삽입채널
32 : 상부벽 34 : 공동
36, 38 : 단자날 54 : 고정구멍
54' : 퓨즈날 구멍 60, 62 : 날연장부
64, 64' : 퓨즈링크 65 : 구멍
72, 74 : 하우징어깨 76, 78 : 절취부
이 발명은 전기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응용범위가 넓은 기술이 포함된 자동차용 전기퓨즈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설비에 채용되는 전기회로가 점점 복잡해지고 그 숫자도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설비를 보호하기 위한 소형 퓨즈가 절실히 요청되어 왔다. 퓨즈는 여럿이고 이것들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퓨즈 및 이들에 공통되는 퓨즈 고정구 블록의 소형화가 주요 쟁점이 되어왔다.
특히, 현재 선호되고 있는 칼날형 자동퓨즈는 대체로 좁은 하우징 몸체를 가진 소형 퓨즈로서, 그 바닥에서 동일 평면상의 평행한 두개의 단자날들이 연장하여 있다. 이들 퓨즈는 관련 시험조건을 지정한 미합중국의 자동차 기술자협회(SAE) 및 원로 장비생산 업자협회(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s) (OEM)의 일정한 표준 시험규정에 따르도록 되어있다.
퓨즈는 여러 시험조건하에서 일정한 최소 및 최대 제한시간내에서 용단되어야 한다. 따라서, 어떤 퓨즈가 곤련 시험조건에서 주어진 최소 제한시간 보다 먼저 용단된다면, 이러한 퓨즈는 조기용단되어 시험에 불합격되기 쉽다. 하지만, 이러한 퓨즈가 SAE의 각종 시험을 통과하였더라도, 어떤 자동차에서는 SAE의 시험항목에는 들어있지 않은 특유한 부하조건하에서 조기용단되는 현상이 때때로 나타난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이와같이 특유한 시험조건하에서 나타나는 조기용단의 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 발명의 독특한 "저속용단"퓨즈가 개발되었다.
퓨즈의 용단시간은 부분적으로 퓨즈의 크기에 의해 지배된다. 주어진 저항값에 대한 크기가 클수록 퓨즈의 용단시간은 길어진다. 퓨즈링크의 저항은 길이에 따라 증가하고 횡단면적에 따라 감소한다. 따라서, 저항값이 주어진 퓨즈링크는 그 길이와 두께가 최대일때 크기가 최대로 된다.
퓨즈 기술자들이 이러한 사실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칼날형 퓨즈의 설계자들은 퓨즈의 설계를 전술한 특유의 부하조건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조기용단의 난점을 최소화하는 소요 최대시간지연을 제공하도록 실시하지 않았다.
비교적 큰 퓨즈링크를 수용하는 역할뿐 아니라, 바람직하게는 퓨즈는 회수할 경우 단자날이 풀러 나가서 퓨즈블록안에 남아 있을 염려가 거의 없게 충분히 단단하게 된 절연하우징 안에 퓨즈링크를 단단히 내장하여야 한다. 이러한 상태에 있는 끊어진 단자날을 제거하는 것이 극히 신경쓰이는 일이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퓨즈가 퓨즈고정구 블록에 그대로 들어있는 채로 퓨즈링크 자체가 투시될 수 있게 되어, 용단된 퓨즈의 판별이 전체 퓨즈 조립체에 대한 신속한 시각검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게 된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성을 전부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종래의 두가지 특허에 자동차용으로 적합한 칼날형 퓨즈들이 예시되어 있다. 그중 한가지는 미합중국 특허 제3,909,767호, 특허권자 윌리암슨(Williamson)와, 등록일자 1975년 9월 10일자로서 현재 시판되는 자동차용 칼날형 퓨즈를 설명한 것이다. 그 구조는 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욱 자세히 기술된다. 상기 특허에 도시된 퓨즈 설계는 지금까지 대부분의 자동차 전기회로에 쓰이는 가장 바람직한 퓨즈 설계이다.
이러한 유형의 구조에서, 바람직하게는 퓨즈의 금속부 전체는 단일체로 형성된다. 이 단일체는 단자날들의 노출된 끝부분들을 남기고 절연 퓨즈하우징 몸체로 포장되는데, 하우징 몸체에는, 바람직하게 퓨즈를 퓨즈 블록에서 쉽게 빼낼수 있도록 아래로 향하는 걸림어깨가 마련된 헤드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걸림어깨는 플랜지가 붙은 헤드에서 마련된다. 단자날들 사이에 연장하는 퓨즈링크는 대개 하우징 몸체의 플랜지 아래쪽에서 하우징 몸체부분안에서 중심에 있도록 배치된다. 하우징 몸체는 처음에 단자날들의 스테이킹(staking) 구멍들 안으로 냉간 스테이킹 가동되고 다음에 가공부분들이 초음파에 의하여 용접되므로, 하우징의 스테이킹 가공부가 금속부와 하우징부분을 한층 단단하게 결합한다.
SAE 규격에는 퓨즈하우징과 단자날의 치수에 대한 상한선을 표시한 치수규격도 포함하고 있어, 자동차 생산자들은 퓨즈를 수용할 수 있는 퓨즈수용 구멍을 갖춘 퓨즈 구정구 블록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퓨즈의 조기용단을 줄이는 보다 큰 퓨즈링크를 갖춘 전술한 자동차용 퓨즈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퓨즈 설계자들로서는 퓨즈하우징의 제한된 공간 때문에 퓨즈의 크기를 바라는 만큼 이상적으로 증가시킬 수 없었다.
퓨즈링크의 크기가 문제되는 것은 특히 약전에 이용되는 퓨즈보다 큰 부피로 되고 더 많은 열을 방출하여야 하는 강전에 이용되는 퓨즈이다. 또한 더욱 중요한 것을 보다 고온의 강전에 이용되는 퓨즈에서는 하우징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퓨즈링크와 이에 인접한 하우징벽들 사이에 유효공간을 마련하도록 되어 있다는 점이다. 종래의 퓨즈설계에 있어서 하우징의 공간이 제약되어 있어 소정의 크기(즉, 소정의 길이 및 횡단면적)의 퓨즈링크를 이용함으로써 전술한 특유의 조건들하에서 조기용단의 난점을 극복하고 퓨즈링크와 하우징벽들 사이에 적절한 간격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공간이 제공되어 있지 않다.
전기 및 치수에 관한 SAE 규격에 따르지는 않지만 이전에 제조된 바 있는 다른 자동차용 칼날형 퓨즈가 특허일자 1979년 8월 14일, 특허권자 웨이브(weibe)인 미합중국 특허 제4,164,726호에 나타나 있다. 여기에 설명된 퓨즈에서, 퓨즈날들의 상단이 그 전체 폭으로 하우징의 헤드부분안으로 상향 연장하고 이 부분에 퓨즈링크가 부착되어 날연장부들의 더욱 근접된 대향 가장자리들 사이에 연장하여 있다. 퓨즈링크의 전기에 대한 유효길이 및 크기는 근접한 날 사이간격에 의해 퓨즈링크와 퓨즈날의 연결지점에서 결정되므로 이 퓨즈링크는 상술한 조기용단의 난점을 해결할만한 크기를 가지고 있지않다.
더우기, 이 퓨즈링크는 사출성형에 의해 플라스틱재의 퓨즈하우징에 물리적으로 박혀 있으므로 퓨즈와 하우징 재료 사이에 소요 격리간격을 가지고 있지도 않다. 한편, 하우징은 투명하게 되어 있어, 용단된 퓨즈부품은 퓨즈의 헤드부분에서 즉시 투시된다.
이상 두가지 퓨즈는 첨부한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고, 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이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서, 이 발명의 목적은 독특한 퓨즈하우징 몸체의 바닥에서 연장하는 한쌍의 단자날의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퓨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른 퓨즈에 의하면, 퓨즈하우징 몸체에는 SAE 치수규격의 치수규정내에 부합되는 얇은 하측 본체가 있다. 하우징의 플랜지부분이 이 본체의 윗부분에서 본체의 앞쪽 및 뒷쪽 방향중에 한쪽, 바람직하게는 양쪽으로 돌출하여 실질적으로 퓨즈의 본체에는 수용될 수 없는 길이 및 횡단면적을 가진 부품을 수용할 수 있는 비교적 큰 방 또는 공동을 둘러싸고 있다. 이 플랜지는 종래의 구조로 된 퓨즈블록에 장착되었을 때, 퓨즈블록의 퓨즈수용 공동에 퓨즈하우징의 좁은 몸체부분이 수용된 채로 퓨즈수용 공동에 퓨즈하우징의 좁은 몸체부분이 수용된 채로 퓨즈수용 공동 윗쪽에 위치된다. 퓨즈하우징의 플랜지의 공동은 실질적으로 퓨즈하우징의 전장에 걸쳐 통해있다. 퓨즈날들의 상단에서 안쪽 가장자리들이 절취되어 있어 비교적 좁고 크게 이격되어 이 공동의 양쪽 끝에 위치된 상향 돌출 퓨즈지지 연장부를 제공한다. 길이가 하우징의 본체에 들어있는 단자날의 날 사이 간격보다 실질적으로 긴 퓨즈링크가 단자날의 이러한 크게 이격된 퓨즈지지 연장부들에 부착되어 있다. 퓨즈부품을 퓨즈하우징의 상단 부분에서 즉시 투시할 수 있게 하려면 하우징 전체를 투명체로 만든다.
이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과거에 설계된 칼날형 퓨즈의 퓨즈하우징들과는 다른 구조를 갖는 퓨즈하우징이 제공된다. 하우징을 구성하는 몸체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한쌍의 외판들로서 단자날들의 둘레로는 근접하여 놓이고 단자날에 부착된 퓨즈링크로부터는 이격된 상태로 퓨즈날들의 평면과 나란한 평면에 있거나 같은 공간에 걸치는 한쌍의 대향 표면에 따라 접합된다.
이러한 반쪽 외판들은 각기 단자날들이 수용되는 안치 체널들과 퓨즈의 금속부 둘레로 조립되고 있는 외판들을 바른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리브(rib)와 상보형(相補形)홈을 가지고 있다. 외판에는 단자날의 구멍을 통해 연장하는 핀들로 포함되어 있다. 하우징의 외각 부분에서 대향하는 표면과 외판의 관련 홈들에 끼워진 핀들이 바람직하게는 초음파에 의해 용접되어 퓨즈의 금속부들과 퓨즈하우징의 단단한 조립체를 형성한다.
따라서, 이 발명에 따른 조립이 간편한 소형 퓨즈는 조기용단의 난점을 극소화하는 비교적 큰 퓨즈링크를 내장하면서도 SAE 치수 규정에 부합됨과 동시에 퓨즈링크와 하우징벽들 사이의 소요 간격을 제공하는 하우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퓨즈는 퓨즈날들을 하우징안에 단단히 보존함과 동시에 퓨즈의 사용중에 퓨즈링크의 투시를 양호하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앞으로 설명되고 특허청구될 퓨즈는, 단자날들이 퓨즈하우징의 밑부분에서 아래로 연장하는 수직방향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사용에 있어서, 퓨즈는 다른 방향을 취할 수 있다.
제1도-제7도는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형태의 퓨즈를 나타낸다. 퓨즈(10)는 대체로 직사각형의 플랜지(flange)(14)로 돋우어진 대체로 좁은 본체(12)를 갖춘 퓨즈하우징으로 이루어진다. 본체(12)에는 한쌍의 하우징외판(15) 및 (17)에 의해 형성되는 근접되어 대향하는 전방 및 후방벽(13A), (13B)이 배설되어 었다. 넓은 리브(rib)(11), (13)이 전방 및 후방벽(13A), (13B)의 중심부들로부터 돌출하여 있다. 리브(11), (13)은 자동차 생산자들이 사용하는 자동차용 퓨즈의 삽입장치 내에서 퓨즈의 방향설정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플랜지(14)는 하우징의 본체(12)의 전방벽(13A) 및 후방벽(13B)에 따라 각기 앞쪽 및 뒷쪽면에 위치되어 퓨즈를 퓨즈블록에서 제거하는데 보조하기 위한 걸림어깨(28), (30)를 형성하는 전방벽(24) 및 후방벽(26)을 갖추고 있다. 플랜지(14)의 끝면들(16), (18)은 본체(12)의 해당 끝면들(20), (22)(제2도)과 일렬로 되어있다.
이 발명의 바람직한 플랜지(14)가 본체(12)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이 발명의 넓은 개념에는 플랜지의 비대칭적 배열이 포함된다. 플랜지(14)는 전방벽(24)와 후방벽(26)에 걸쳐있는 상부벽(32)을 갖추고 있다. 플랜지(14)의 벽들은 밀폐된 직사각형의 공동(34)을 형성한다.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퓨즈하우징은 투명한 합성 열가소성 재료로 재조되어 공동(34)의 내부가 선명하게 투시될 수 있다. 한쌍의 띠모양으로 평평한 단자날들(36), (38)이 하우징 내부에서 날의 아래 끝부분은 하우징의 바닥에서 연장하고 날의 윗쪽 끝부분은 공동(34)의 양단으로 연장하는 상태로 동일 평면상에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이들 단자날(36), (38)에는 동일하게 중심조정되어 수직으로 이격된 한쌍의 고정구멍등(54-54)이 마련되어 있고, 하우징외판(15), (17)의 대향면들에는, 앞으로 설명된 조립과정에서 고정구멍들(54-54)안으로 연장하는 고정지주들(23)이 있다.
단자날(36), (38)의 윗쪽 끝부분들의 외측 끝머리 또는 가장자리에는 넓게 이격된 비교적 좁은 연장부들이 공동(34)의 끝부분들 안으로 돌출하여 하우징의 플랜지(14) 벽들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들 각 날연장부(60), (62)는 퓨즈링크(64)의 끝부분들을 수납한다. 특히 유리한 한가지 형태의 퓨즈링크는 알맞은 비열, 저항율 및 융점을 가진 한조각의 연납선으로 제조하여, 이것을 날연장부(60), (62)의 홈안에 고정시켜서 된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바람직하게는 단자날(36), (38)의 페룰(ferrule)형 연장부 덮개 형태를 한 날연장부들(60), (62)사이에 퓨즈링크(64)가 끝부분을 통해 잡아 고정된다. 퓨즈링크(64)의 끝부분들을 부분적으로 가열하면 즉시 퓨즈링크(64)가 날연장부(60), (62)로 자기납땜되는 작용이 나타난다.
퓨즈이 조립에 부차적으로, 이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앞서 지적한 바와같이, 퓨즈하우징은 열가소성 합성플라스틱 재료를 성형하여 만든 동일하게 제조된 2개의 하우징외판(15), (17)으로 되어 있다. 하우징외판(15), (17)은 각기 플랜지(14)의 절반과 본체(12)의 절반을 형성한다. 각 하우징외판(15), (17)에는 끝이 개방된 한쌍의 길이방향 연장 직사각형 채널(19), (21)이 단자날들(36), (38)을 채널의 양쪽 끝머리에서 눕혀넣음식으로 밀접히 수용하도록 치수조정되어 있다. 퓨즈몸체의 금속부들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퓨즈링크(64)가 단자날(36), (38)의 날연장부(60), (62) 각각에 납땜되어 난자날들(36), (38)이 동일 평면상에 배열된 상태로 미리 제조된 소조립부품을 이룬다.
각 하우징외판(15), (17)의 안쪽면에는 바깥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고정지주(23), (23)가 각기 단자날 포함 관련 채널(19), (21)의 다른 맞은편 끝부분에 위치된다. 단자날(36), (38)의 고정구멍(54), (54)의 조립과정에서 고정지주(23), (23)를 수용하도록 위치설정되어 있다. 각각의 하우징외판(15), (17)에서 마주 대하여 배치된 홈(25), (25)은, 조립시에 2개의 하우징외판(15), (17)이 함께 눌러져 초음파에 의해 용접될 때, 각 고정지주(23)가 관련된 홈(25)으로 들어가게 되어 있다.
또한, 각 하우징외판(15), (17)의 안쪽면에는 바깥으로 연장하는, 돋우어진 수직안내 정렬리브(29)가 고정지주(23)보다 더욱 바깥으로 돌출하여 있다. 각 정렬리브(29)의 인접부분에는 크기와 형태가 상대편 하우징외판의 정렬리브와 동일하여 정렬리브와 마찰끼움을 제공하는 삽입채널 또는 홈(31)이 있다. 인접한 삽입채널(제1도 및 제11도)에 면하는 각 정렬리브(29)의 종방향 측면(25')은 하우징외판의 삽입채널의 안쪽 측벽의 경사진 연장부이고, 연장부가 계속되어 바깥으로 테이퍼진 리브를 형성한다. 각 리브의 반대측면(25") 역시 경사져 있다.
각 정렬리브(29)의 양쪽 끝부분(29'), (29')이 경사져 각 정렬리브(29)의 종방향 측면이 테이퍼지게 하고 관련 삽입채널(31)의 끝부분(31'), (31')도 동일한 형상으로 된다. 따라서, 2개의 하우징외판(15), (17)이 조립되면서 함께 눌러질 때, 각 하우징외판의 정렬리브(29)는 상대편 정렬리브(29)의 상보형 측면(25')과 접촉하고 이들 측면(25')(25')과 정렬리브들(29)의 테이퍼진 끝부분들(29')과 정렬리브(29)용 삽입채널(31)의 상보형표면들이 하우징외판(15), (17)을 정렬이 되게 안내하여 고정지주(23)가 홈(25)으로 들어가 연장하게 된다.
하우징외판(15), (17)의 대향면들 사이, 고정지주들(23)과 이와 관련된 홈(25)의 벽들 사이 또한 선택적으로 정렬리브들(29)과 이와 관련된 삽입채널(31)의 벽들 사이를 고주파 용접하면 퓨즈의 모든 부분에 단단한 상호결합이 이루어진다.
더우기, 전술한 반쪽 외판들로 되는 하우징 조립체는 이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새로운 기술로서 퓨즈제품 뿐만 아니라 다른 평행리드선을 가진 전기부품들 즉, 캐패시터, 저항등에도 응용된다고 믿어진다. 특히, 정렬리브(29), (29)와 삽입채널(31), (31)을 사용하면 2개의 하우징외판(15), (17)의 정렬이 빠르고 편리해지므로 퓨즈몸체의 조립이 대단히 용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7도는 초음파 용접 직전에 제1도의 조립된 퓨즈몸체를 수평 횡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특히 2개의 단자날(36), (38)이 고정지주(23)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되게 하는 방법으로만이 아니라 해당 채널(19)의 끝부분에 걸려 고정되어 획실히 정렬되게 함으로써 전체 퓨즈몸체에 대단히 큰 강도를 부여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퓨즈하우징의 설계와 배열을 실시하면 비교적 길고 큰 퓨즈링크(64)가 수용될 수 있으므로 알 수 있다. 퓨즈링크(64)는 하우징의 플랜지(14)의 공동(34)의 실제 전장에 걸쳐 있다. 곧은(또는 굴록된) 퓨즈링크의 전기에 관한 유효길이 및 크기는 퓨즈하우징의 본체(12)에 들어있는 단자날(36), (38) 부분의 근접된 안쪽 가장자리 사이에 연장하는 퓨즈링크 보다 날연장부(60), (62)의 넓게 이격된 대향 표면들 사이에 있는 퓨즈링크 쪽이 훨씬 크다. 또한, 퓨즈링크(64)의 직경은 퓨즈본체(12)의 크기를 제한하는 SAE규격에 의해 두께가 제한되어 있는 얇은 본체(12)내에 형성될 수 있는 임의의 홈 안에 수용될 수 있는 퓨즈링크의 직경보다 실질적으로 크다.
플랜지(14)는 SAE 규격의 제한을 받지 않는데 그 이유는 플랜지(14)의 위치가 자동차용 퓨즈 고정구의 퓨즈수납 공동의 바깥에 있기 때문에 퓨즈 고정구는 제2도에 보인 오래되고 현재 이용되는 종류의 퓨즈를 수용하여 조기용단을 일으키기 않는 회로에 연결하도록 설계된 것이다.
따라서, 이 발명의 퓨즈는, 길이가 주요 상호 단자날 간격보다 길고 직경이 하우징의 좁은 본체(12)내에 설계될 수 있는 임의의 공동보다 큰 퓨즈링크를 수용할 수 있어서 느리되 안전한 저속용단 특성을 부여하는 큰 퓨즈링크를 제공한다. 또한, 퓨즈링크(64)는 퓨즈몸체의 윗끝에 있는 투명한 방안에 배치되어 퓨즈부품과 하우징벽들 사이의 소정의 격리 간격을 제공한다.
퓨즈의 윗끝에 있는 퓨즈링크(64)는 퓨즈가 퓨즈 블록에 끼워진채로 쉽게 투시된다. 퓨즈의 단자날(36), (38)은 단자날의 고정구멍(54)을 관통하는 하우징의 고정지수(23)에 의해서만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우징의 채널(19), (21)내에서 단자날 전체가 빈틈없이 고정되어 걸려 지지된다.
상술한 구조와 제8도-제10도에 보인 종래 기수에 따른 구조가 서로 대조를 이룬다. 구조에 대한 설명을 위해서, 적절한 부분에는 동일 부분의 부호가 이용된다.
제8도-제9도에는 미합중국 특허 제3,907,767호에 도시되고 상기 발명의 배경에 간단히 설명된 퓨즈의 다양한 모습을 나타내었다. 이 퓨즈가 생산가격이 비교적 낮고 금속부 전체가 한줄의 퓨즈금속을 스템핑(stamping)하여 단일조각으로 형성된다는 점에서는 이 발명의 퓨즈보다 낫다. 종래 퓨즈에서는, 퓨즈링크(64')가 퓨즈 날(26'), (38')과 일체로 되고 퓨즈날들 사이의 벽 공간을 차지하는 반전된 U 자 모양의 부분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퓨즈링크(64')는 단일 하우징조각(12')의 중심부에 위치되어 있어, 퓨즈가 표준의 길이 파인 퓨즈 고정구소켓 안에 끼워진 채로 그 용단상태를 눈으로 쉽게 판별할 수 없다. 분명히 퓨즈날(36'), (38') 사이에는 제1도-제7도에 보인 퓨즈링크(64)의 길이 또는 직경을 가진 퓨즈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공간은 없다. 하우징(12')에는 구멍(65')이 있어서 퓨즈날(36'), (38')에 겉으로 둘러쌓이고 끼워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9도에 나타낸 조립된 퓨즈의 횡단면을 보면, 퓨즈날(36'), (38')의 상단에 있는 절취부(76), (78)가 하우징 어깨(72), (74)에 걸려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퓨즈날(36'), (38')은 하우징을 퓨즈날 구멍(54')으로 스테이킹(staking) 및 초음파 용접하여 고정된다. 퓨즈링크(64')와 하우징(12')의 근접된 벽들사이에는 격리간격이 마련되어 있다. 퓨즈날들(36'), (38')의 근접 간극과 하우징의 두께를 고려할 때 제1도-제7도에 보인 퓨즈의 퓨즈링크(64)와 같은 큰 퓨즈링크가 들어갈 공간은 없다.
제10도에는 미합중국 특허 제4,164,726호에 설명되고 이 방명의 배경에도 간단히 설명된 퓨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퓨즈링크(64")는 클립(clip)식 구조로 퓨즈날(36"), (38")의 끝부분에 붙어 있다. 퓨즈날 및 링크 조립체(36"), (38"), (64")는 몸체(12")와 일체의 플랜지(14")로 된 하우징이 사출성형에 의해 이 조립체의 둘레로 성형되는 과정에서 제위치에 고정된다.
이 방명에서와 같이, 퓨즈링크(64")는 하우징 몸체(12")안에 배치된다. 또한, 하우징은 투명채로 되어 있어 용단된 퓨즈를 눈으로 쉽게 검사할 수 있다. 그러나, 이 하우징의 플랜지(14")가 퓨즈블록의 퓨즈블록 공동안에 들어가는 본체의 윗쪽에 위치되어 있지 않다. 그보다는 플랜지(14")는, 퓨즈블록 공동이 약간의 여유를 제공하도록 설계된 경우 이러한 공동안에 끼워지게끔 위치된 것인데, 그 이유는 플랜지의 칫수가 SAE의 칫수제한 규격을 초과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 퓨즈의 플랜지(14")는 이 발명의 상업용 퓨즈의 플랜지(14)보다 훨씬 작다.
더우기, 퓨즈링크(64")는 둘레로 성형되는 하우징 재료에 의해 빈틈없이 포장되어 있어, 단락에 의한 용단이 발생될 때 포장이 쉽게 파열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점은 퓨즈의 길이를 활용하는데 있어서 비능률적이라는 것인데, 이 이유는 퓨즈가 퓨즈날(36"), (38")의 밀접히 이격된 부분을 통해 전기접촉되어 있어, 퓨즈의 유효저항 및 크기가 퓨즈날(36"), (38")의 인접 가장자리들 사이에 놓인 퓨즈링크(64") 부분만으로 한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합중국 특허 제4,164,726호의 퓨즈는 이 발명의 여러 특징 가운데 퓨즈링크가 단자날(36), (38)의 바깥 끝부분에 있는 제1도-제7도의 날연장부(60), (62)와 같은 직립한 좁은 날연장부들 사이에 연장하는 한가지 특징을 포함하지 않는다.

Claims (21)

  1. 대체로 평행하게 근접되어 대향하는 주요 전방벽과 후방벽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위끝 가장자리에서 대체로 위로 연장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전기절연 퓨즈하우징으로서, 상기 플랜지가 주요 전당 빛 후방플랜지 벽들을 포함하고, 상기 주요전방 및 후방플랜지 벽들중 적어도 하나가 해당 전방벽 또는 후방벽에서 바깥으로 돌출 배치되고, 상기 플랜지가 상기 플랜지의 내벽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동을 내포하는 전기절연퓨즈하우징과, 대체로 띠모양 날의 형태로 된 한쌍의 도전 퓨즈단자들로서, 평행하고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어 평행하게 대향하는 중심부의 날끝머리들을 이루고 상기 날들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서 연장한 채로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전방벽과 후방벽에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날들의 상단 부분들에 위로 향한 비교적 좁은 연장부들이 날 상단의 바깥 가장자리들 쪽에만 있어서 좁은 연장부들이 상기 공동의 양쪽 끝부분들에 위치되어 있는 한쌍의 도전 퓨즈 단자들과, 상기 공동 내에서 상기 단자들의 상기 좁은 날연장부들 사이에 연장하여 고정되고 상기 내벽면들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용융가능한 가늘고 긴 퓨즈엘레멘트와 구성되고, 상기 전방 및 후방 플랜지 벽들의 안쪽 표면들간의 거리가 상기 전방벽과 후방벽의 바깥 표면들간의 최대거리보다 길고 상기 플랜지의 적어도 한부분이 실질적으로 투명하여 상기 퓨즈엘레멘트의 시각 검사가 가능하게 된 전기퓨즈.
  2. 대체로 평행하게 근접되어 대향하는 주요 전방벽과 후방벽을 가진 전기절연 퓨즈하우징과, 대체로 띠모양 날의 형태로 된 한쌍의 도전 퓨즈단자들로서, 평행하고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어 평행하게 대향하는 중심부의 날끝머리들을 이루고 상기 날들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서 연장한 채로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전방벽과 후방벽에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날들의 상단부분들에 위로 향한 비교적 좁은 연장부들이 날 상단의 바깥 가장자리들 쪽에만 있는 한쌍의 도전 퓨즈단자들과, 상기 단자날들의 상기 좁은 날연장부들 사이에 연장하여 고정되어 있는 용융가능한 가늘고 긴 퓨즈엘레멘트와로 구성되는 전기퓨즈.
  3. 대체로 평행하게 근접되어 대향하는 전방벽과 후방벽을 가진 전기절연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전방벽 및 후방벽에 평행하게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서 연장하는 하단 부분이 있고, 대체로 띠모양 날의 형태로 된 한쌍의 도전 퓨즈단자들로서, 평행하고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어 평행하게 대향하는 중심부의 날끝머리들과 말단부의 평행한 날끝머리들을 이루고, 상기 날들의 상기 상단부분들이 상기 말단부 날끝머리들로부터 연장하는 위로 향한 좁은 연장부들의 형태로 된 인접하여 평행한 한쌍의 도전 퓨즈단자들과, 끝부분이 둘이고, 각 끝부분이 상기 연장부들중 각기 다른 하나에 고정되는 가늘고 긴 퓨즈엘레멘트와의 구성되는 전기퓨즈.
  4. 하우징 및 날에 대한 일련의 치수규격이 최대 허용간격 범위 내에 맞는 치수를 가진 본체를 포함하는 전기절연 퓨즈하우징으로서, 상기 본체가 평행하게 근접되어 대향하는 주요 전방벽과 후방벽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위끝 부분에 있는 플랜지는 상기 최대 허용치수 규격을 가진 하우징 본체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을 넘어서 위치되고, 상기 플랜지가 주요 전방 및 후방플랜지 벽들을 포함하고, 상기 주요 전방 및 후방플랜지 벽들중 하나가 해당 전방벽 또는 후방벽의 바깥으로 돌출 배치되고, 상기 플랜지가 상기 플랜지의 내벽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동을 내포하는 전기절열 퓨즈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전방벽 및 후방벽에 평행하게 고정되고 하단 부분들이 상기 본체의 바닥에서 연장하고 상단 부분이 상기 공동안으로 연장하는 평행한 한쌍의 도전 퓨즈단자들과, 상기 퓨즈단자들의 상단 부분들 사이로 연장하여 상기 공동안에서 지지되고 상기 플랜지의 상기 내벽면들로부터 이격된 퓨즈엘레멘트와로 구성되는 전기퓨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단자들이, 대체로 띠모양날의 형태로 되고 평행하고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어 평행하게 대향하는 중심부의 날끝머리들과 말단부의 평행한 날끝머리들을 이루는 전기퓨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단자 날들의 상기 상단 부분들에 상기 말단부 날끝머리에서 위로 돌출하는 좁은 연장부들이 있고 상기 연장부들의 대향하는 가장자리들의 간격이 그 아래부분의 단자날들의 대향하는 가장자리들 사이의 간격보다 훨씬 넓고, 상기 퓨즈엘레멘트가 상기 좁은 연장부들 사이에 연장하여 있는 전기퓨즈.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및 후방 플랜지 벽들의 안쪽 표면들간의 거리가 상기 전방벽과 후방벽의 바깥 표면들간의 최대거리보다 긴 전기퓨즈.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전방 및 후방 플랜지 벽들이 각각 해당 전방벽 또는 후방벽으로부터 바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기퓨즈.
  9. 제1항,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퓨즈엘레멘트와 상기 퓨즈단자 둘레에 실질적으로 함께 고착되는 한쌍의 전방 및 후방 외판 절반부들이 미리 형성제조되는 전기퓨즈.
  10.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적어도 한부분이, 실질적으로 투명하여 상기 퓨즈엘레멘트에 대한 시각검사가 가능한 전기퓨즈.
  11. 동일 평면상에서 대향하는 평행하게 이격된 한쌍의 띠모양 단자날들의 대향하는 가장자리들 사이로 연장하는 전기회로 부품에 연결된 상기 단자날들과 상기 단자날들을 내장하는 단단한 절연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자날들을 내장하는 구조로 되고 상기 단자날들의 둘레로 함께, 눌러져서 결합하는, 대향하는 안쪽 표면들이 있고, 대향하는 안쪽 표면들이 대체로 상기 단자날들의 평면과 같은 공간에 걸치는 평면 또는 평행한 평면에 위치하도록 된 한쌍의 하우징 외판들과, 상기 외판들의 관련 부분들을 고정하는 외판연결 수단과, 상기 외판들의 상기 대항하는 안쪽 표면들이 접촉하여 있을때 상기 단자날들을 덮어싸는 평행한 한쌍의 날 수용 채널들을 제공하는, 상기 외판들의 또다른 대향하는 안쪽 표면들과, 상기 각 단자날이 관련 채널을 따라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각 단자날 부분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멍과, 적어도 하나의 상기 외판의 안쪽 표면에서 상기 고정구멍 안으로 돌출하는 날고정 돌기들을 포함하는 전기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외판들이 동일한 구조로 되고, 상기 고정수단이, 각 단자날에 형성된 동일하게 수직으로 이격된 여러조의 구멍들의 쌍과, 각 외판의 안쪽 표면에서 한쪽 날수용 채널과 상기 단자날 구멍들중 하나 안으로 돌출하는 위쪽 돌기와, 각 외판의 안쪽 표면에서 다른 날수용 채널과 상기 단자날 구멍들중 다른 하나 안으로 돌출하는 아래쪽 돌기와를 포함하는 전기장치.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외판들이 동일한 구조로 되로, 상기 외판 연결수단이, 날수용 채널들 사이의 지점에서 각 외판의 안쪽 표면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하는 리브와, 반대편 외판에서 돌출하는 리브를 수용하도록 된 상기 리브에 인접한 리브수용 홈과를 포함하는 전지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각 외판의 상기 돌기들이, 반대편 외판 재료에 용접되어 돌기들이 2개의 외판을 연결하는 전기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외판들이 동일한 구조로 되고, 상기 외판 연결수단이, 날 수용 채널들 사이의 지점에서 상기 날고정 돌기들이 각 외판의 안쪽 표면으로부터 연장하는 거리보다 훨씬 멀리 상기 안쪽 표면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하는 리브와, 반대편 외판에서 돌출하는 리브를 수용하도록 된 상기 리브에 인접한 리브수용 홈과를 포함하고, 상기 각 리브의 한쪽 측면이 이 측면에 인접한 리브수용 홈의 측벽의 동일 평면상 연장부로 되어 있어, 상기 외판들을 상기 단자날들 둘레로 조립하는 과정에서 상기 리브들이 측면을 통해 걸리게 되어 외판들이 접합될때 외판들의 상대위치를 정해주는 전기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판 연결수단이, 날 수용 채널들 사이의 지점에서 각 외판의 안쪽 표면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하는 리브와, 반대편 외판에서 돌출하는 리브를 수용하도록된 리브수용 홈과를 포함하고, 각 리브 및 이와 관련된 리브수용 홈에는 상기 외판들이 함께 눌러질때 상기외판들을 서로 정렬이 되게 안내하여 종횡으로 올바르게 배열하는 상보형으로 테이퍼진 종방향 측면들 및 끝면들이 있는 전기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들의 측면들이 바깥으로 모여있고, 상기 리브수용 홈들의 대향하는 벽들이 상보형으로 된 전기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들의 상기 끝면들이 바깥으로 모여있고, 상기 리브수용 홈들의 대향하는 각 면들이 상보형으로 된 전기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들이 측면과 끝면들이 상관적으로 바깥으로 모여있고, 상기 리브수용 홈들의 대향하는 각면들이 상보형으로 된 전기장치.
  21. 주어진 평면에 위치된 한쌍의 단자들 사이로 연장하는 전기회로 부품에 연결된 상기 단자들을 포함하는 전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회로 부품을 내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전기회로 부품의 둘레로 함께 눌러지면 결합하는 대향하는 안쪽 표면들이 있고, 대향하는 안쪽 표면들이 대체로 상기 주어진 평면과 같은 공간에 걸치는 평면 또는 나란한 평면에 위치하도록 된 한쌍의 하우징 외판들과, 상기 외판들의 관련 부분들을 고정하는 외판 연결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판 연결수단이, 각 외판의 안쪽 표면으로부터 안쪽으로 둘출하는 리브와 반대편 외판에서 돌출하는 리브를 수용하도록 된 리브수용 홈을 포함하고, 각 리브 및 이와 관련된 리브수용 홈에는 상기 외판들이 함께 눌러질때 상기 외판들을 서로 정렬이 되게 안내하여 종횡으로 올바르게 배열하는 상보형으로 테이퍼진 종방향 측면들 및 끝면들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치.
KR1019860006952A 1986-06-03 1986-08-22 자동차용 전기 퓨즈 KR8900051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868,421 US4670729A (en) 1986-06-03 1986-06-03 Electrical fuse
US868421 1986-06-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012A KR880001012A (ko) 1988-03-30
KR890005102B1 true KR890005102B1 (ko) 1989-12-11

Family

ID=25351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6952A KR890005102B1 (ko) 1986-06-03 1986-08-22 자동차용 전기 퓨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670729A (ko)
EP (1) EP0248493A3 (ko)
JP (1) JPS62287542A (ko)
KR (1) KR890005102B1 (ko)
CN (1) CN87100739A (ko)
AU (1) AU571381B2 (ko)
BR (1) BR8700353A (ko)
CA (1) CA1251499A (ko)
IL (1) IL80867A0 (ko)
MX (1) MX16514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896B1 (ko) * 2010-06-09 2012-02-24 박영규 가시형 블레이드 퓨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9739A (en) * 1992-02-21 1993-07-20 Littelfuse, Inc. Automotive high current fuse
JP3442159B2 (ja) * 1994-09-27 2003-09-02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
US5668521A (en) * 1995-03-22 1997-09-16 Littelfuse, Inc. Three piece female blade fuse assembly having fuse link terminal with a clip receiving portion
US5581225A (en) * 1995-04-20 1996-12-03 Littelfuse, Inc. One-piece female blade fuse with housing
DE19654374A1 (de) * 1996-12-24 1998-06-25 Wilhelm Pudenz Gmbh Elektrotec Automobilsicherung
DE19705242A1 (de) * 1997-02-12 1998-08-13 Wilhelm Pudenz Gmbh Elektrotec Fahrzeugsicherung und Verwendung eines komprimierbaren, teilchenförmigen Materials als Löschmittel für eine solche Sicherung
US5886612A (en) * 1997-10-20 1999-03-23 Littelfuse, Inc. Female fuse housing
US5929740A (en) * 1997-10-20 1999-07-27 Littelfuse, Inc. One-piece female blade fuse with housing and improvements thereof
US6075689A (en) * 1998-08-21 2000-06-13 Mitchell; Dennis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on of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control circuits from overcurrents
JP2000113803A (ja) * 1998-10-01 2000-04-21 Yazaki Corp 自動車用大電流ヒューズ
JP2001266733A (ja) * 2000-03-22 2001-09-28 Yazaki Corp ヒューズ
JP2001283710A (ja) * 2000-03-31 2001-10-12 Yazaki Corp ヒューズ
JP2001291464A (ja) * 2000-04-06 2001-10-19 Yazaki Corp ヒューズ
JP3242095B2 (ja) * 2000-05-16 2001-12-25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
US6522234B1 (en) 2000-08-14 2003-02-18 Edward G. Sturgill Plug-in fuse
JP4104817B2 (ja) * 2000-11-22 2008-06-18 太平洋精工株式会社 ブレード形ヒューズ
KR20020056569A (ko) * 2000-12-29 2002-07-10 이계안 퓨즈
US7516325B2 (en) * 2001-04-06 2009-04-07 Certicom Corp. Device authentication in a PKI
JP2003197085A (ja) * 2001-12-27 2003-07-11 Yazaki Corp 自動車用フューズ
US7031132B1 (en) 2002-06-14 2006-04-18 Mitchell Dennis A Short circuit diagnostic tool
JP2004253218A (ja) * 2003-02-19 2004-09-09 Nippon Seisen Kk 小型ヒューズ
DE20319350U1 (de) * 2003-12-13 2004-03-04 Wilhelm Pudenz Gmbh Sicherungseinsatz mit flachem Isolierkörper
DE112005000517T5 (de) 2004-03-05 2007-03-01 Littelfuse, Inc., Des Plaines Flachprofilsicherung für Kraftfahrzeuge
US20100060406A1 (en) * 2006-06-16 2010-03-11 Smart Electronics Inc. Small-sized surface-mounted fus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539001B2 (en) * 2007-05-31 2009-05-26 Ohara Takeyoshi Surge discharging device
US20090108980A1 (en) * 2007-10-09 2009-04-30 Littelfuse, Inc. Fuse providing overcurrent and thermal protection
US8077007B2 (en) * 2008-01-14 2011-12-13 Littlelfuse, Inc. Blade fuse
JP5187941B2 (ja) * 2008-01-23 2013-04-24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
US8339235B2 (en) * 2008-08-06 2012-12-25 Beckert James J Housing securing apparatus for electrical components, especially fuses
US8576041B2 (en) * 2008-12-17 2013-11-05 Cooper Technologies Company Radial fuse base and assembly
KR101900041B1 (ko) * 2009-02-27 2018-11-02 리텔퓨즈 인코포레이티드 튜닝 포크형 단자 저속 단절 퓨즈
WO2013089288A1 (ko) * 2011-12-13 2013-06-20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휴즈 오용에 따른 화재 방지 및 보호 시스템
US9702680B2 (en) 2013-07-18 2017-07-11 Dynaenergetics Gmbh & Co. Kg Perforation gun components and system
JP7002955B2 (ja) * 2017-02-28 2022-01-20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ヒューズ素子
US11021923B2 (en) 2018-04-27 2021-06-01 DynaEnergetics Europe GmbH Detonation activated wireline release tool
US10458213B1 (en) 2018-07-17 2019-10-29 Dynaenergetics Gmbh & Co. Kg Positioning device for shaped charges in a perforating gun module
US11808093B2 (en) 2018-07-17 2023-11-07 DynaEnergetics Europe GmbH Oriented perforating system
CZ2022303A3 (cs) 2019-12-10 2022-08-24 DynaEnergetics Europe GmbH Hlava rozněcovadla
US11480038B2 (en) 2019-12-17 2022-10-25 DynaEnergetics Europe GmbH Modular perforating gu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9767A (en) * 1974-01-14 1975-09-30 Littelfuse Inc Miniature plug-in fuse
US4164726A (en) * 1977-08-01 1979-08-14 Weibe Gerald L Encapsulated plug-in electrically conducting component
DE3115435A1 (de) * 1981-04-16 1982-11-11 Grote & Hartmann Gmbh & Co Kg, 5600 Wuppertal "flachsicherung sow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IT8220831V0 (it) * 1982-02-12 1982-02-12 Codognese Meccanotec Valvola fusibile, con contatti lamellari complanari e paralleli.
US4394638A (en) * 1982-07-21 1983-07-19 Essex Group, Inc. Miniature plug-in fuse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a fuse element therefor
CA1203826A (en) * 1982-08-05 1986-04-29 Kabushiki Kaisha T An T Compact fuse block assembly
DE3342144A1 (de) * 1983-11-22 1985-05-30 Ellenberger & Poensgen Gmbh, 8503 Altdorf Druckknopfbetaetigter ueberstromschutzschalter
US4604602A (en) * 1984-08-17 1986-08-05 Littelfuse, Inc. Plug-in fuse assembly with stackable housing
GB2178913A (en) * 1985-07-23 1987-02-18 Sydney Stanley Bosley Electrical fu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896B1 (ko) * 2010-06-09 2012-02-24 박영규 가시형 블레이드 퓨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48493A3 (en) 1989-12-13
EP0248493A2 (en) 1987-12-09
KR880001012A (ko) 1988-03-30
AU571381B2 (en) 1988-04-14
CN87100739A (zh) 1987-12-16
MX165142B (es) 1992-10-29
CA1251499A (en) 1989-03-21
BR8700353A (pt) 1988-02-09
IL80867A0 (en) 1987-03-31
JPS62287542A (ja) 1987-12-14
US4670729A (en) 1987-06-02
AU6669086A (en) 198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5102B1 (ko) 자동차용 전기 퓨즈
KR900004334B1 (ko) 퓨즈 및 그의 제조방법
US4391485A (en) In-line fuse holder for miniature plug-in fuse
US3909767A (en) Miniature plug-in fuse
US4544907A (en) Compact fuse block assembly
EP0171863B1 (en) Plug-in fuse assembly
KR970004310B1 (ko) 전기 블레이드 퓨즈
US5101187A (en) Subminiature fus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S61176026A (ja) 一体的指示器を備えた刃末端ヒユ−ズ
US4972170A (en) High speed fuse
JPS6138568B2 (ko)
KR19990007917A (ko) 하우징을 가진 일체로된 암블레이드퓨우즈 및 그 건조물
JP2008226743A (ja) 車両用多連型ヒューズ装置
WO2014017265A1 (ja) ヒューズユニット
US6046665A (en) Fusible link, and link and cable assembly
US5162773A (en) High breaking capacity micro-fuse
CA2186821C (en) Fuse element for slow-blow fuses
US4951026A (en) Weld projections on fuse terminals
EP3511971B1 (en) Multi-part symmetrical fuse assembly
US4949063A (en) End closure system for high speed fuse
US4040175A (en) Method of making a miniature plug-in fuse with fragile fuse link
US4935716A (en) Fuse having a ball plug
US20080272877A1 (en) Fuse Device
JPH0950868A (ja) コード付き電源プラグ
US20240013998A1 (en) Fuse and method of producing a f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