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601Y1 - 보행형 경운기 - Google Patents

보행형 경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601Y1
KR890004601Y1 KR2019890007658U KR890007658U KR890004601Y1 KR 890004601 Y1 KR890004601 Y1 KR 890004601Y1 KR 2019890007658 U KR2019890007658 U KR 2019890007658U KR 890007658 U KR890007658 U KR 890007658U KR 890004601 Y1 KR890004601 Y1 KR 8900046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lutch
tillage
elevating mechanism
incl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76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다까 가나이
노부히데 야나가와
Original Assignee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가이샤
미노 시계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402748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119107A/ja
Priority claimed from JP1453085U external-priority patent/JPS61131350U/ja
Priority claimed from JP422858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02603A/ja
Priority claimed from JP422868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02604A/ja
Application filed by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가이샤, 미노 시계가스 filed Critical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6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6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1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for controlling weight transfer between implements and tractor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2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 A01B33/028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of the walk-behind typ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16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special additional arrangement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보행형 경운기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보행형 경운기의 측면도.
제2도는 경운기에의 태양전지의 장착부를 표시하는 개략 평면도.
제3도는 태양전지 시스템의 전기회로도.
제4도는 경운기의 클럿치 조작기구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5도는 접지체(接地體)의 구동기구를 표시하는 일부 절결 측면도.
제6도는 제1실시예의 제어블럭도.
제7도는 경운로오타리 인양상태의 측면도.
제8도는 경운기가 이랑을 건너서 이동하는 상태의 측면도.
제9도는 제2실시예의 제어블럭도.
제10도는 제3실시예의 제어블럭도.
제11도는 기체경사 검출센서의 측면도.
제12도는 제1센서부를 표시하는 정면도.
제13도는 제2센서부를 표시하는 정면도.
제14도는 경작깊이의 설정상태를 표시하는 제1센서부의 정면도.
제15도는 센서기구의 별도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행용 차륜 2 : 엔진
5 : 뒷부분 차륜 6 : 승강기구
14 : 경운클럿치 19 : 경운로오타리
본 고안은 경작지깊이 설정을 접지체 및 이것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를 설치하고 경작깊이가 설정된 범위로 되도록 기체의 자세를 유지하는 보행형 경운기에 관한 것이다.
경작깊이 설정용 접지체를 설치한 보행형 경운기에 있어서 일정한 경작깊이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서 접지체의 부착높이를 일정하게 하여 놓으면 차바퀴가 지면돌출부를 타고 올라갔을때에, 자동주행기체가 설정된 자세보다도 앞이 올라간 자세로 되어서 경운 로오타리의 지면에 대한 진입되는 깊이가 설정된 값보다도 낮게 되고, 반대로 차바퀴가 지면의 요부로 떨어져서 들어갔을때에는 자동주행기체가 설정된 자세보다도 앞쪽이 하강된 자세로 되어서 경운 로오타리의 지면에 대한 진입한 깊이가 설정된 값보다 깊게 된다.
이와 같은 지상의 요철(凹凸)에 기인되는 기체자세의 변화, 결과로서 경운로오타리의 지면에 대한 진입된 깊이의 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 접지체를 자동주행기체에 대하여 인위적인 승강조작이 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보행형 경운기에 있어서는 조종핸들을 지지하여 놓을 필요가 있어서, 한손으로 조종핸들을 잡으면서 접지체 승강조작을 하는 것은 곤란함과 아울러, 작업자가 지면요철에 기인되는 자동주행기체 자세의 변화량을 정확하게 아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정확한 접지체의 승강량을 결정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므로, 실제로는 경작깊이의 조절이 적절하게 되지 않았다.
이때문에 주행하는 지면에 요철이 있으면 경작깊이의 량이 불균일하게 되는 것을 피할수가 없었다.
또, 기체의 전후경사를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하여서, 이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경작깊이의 설정용 접지체를 자동승강시키는 보행형 경운기를 채용하는 것에 의하여, 경작깊이 설정용 접지체가 지면 돌출부분을 타고 올라가거나 지면요부로 빠져 들어가는 것에도 불구하고 경작깊이를 대략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작업할 수 있다고 하는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다음과 같은 부수적인 결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즉 예컨대, 경운기를 운전하기 위하여 이것을 운반차의 짐을 적재하는 곳에 자동주행으로 짐을 적재하거나 하강시키는 것을 행하는 경우나 이랑을 넘어서 이동하는 경우에, 작업할때에 있어서 지면의 요부에 접지체가 빠져들어갔을 경우와 동일하게 전기한 제어기구에 의하여 유지되어야 할 자세보다도 뒷쪽으로 내려가는 자세로 기체가 되면, 경작깊이용 접지체의 하강제어가 행하여져서 조종핸들이 밀어올려지므로 기체의 조종이 곤란하게 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서는 접지체의 하강이 행하여지지 않도록 인위적으로 센서의 스위치를 단절하거나, 또는 승강장치의 스윗치를 단절하든가 어떠한 조작을 하지 않으면 안되었었다.
그뿐 아니라, 이랑을 넘게 된다든지 U자로 꺾어서 회전할때를 비롯하여 경운작업중에 의식적으로 기체를 경사시키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은 여러번 있게 되는 것이며, 그때마다 번잡한 스윗치조작을 하게 되면 무엇때문에 접지체를 자동승강시키고 있는지를 알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 기재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경사센서의 신호에 기초를 두고 있는 접지체의 승강의 자동제어를 경운기의 조작상황에 응하여 자동적으로 해제하는 수단을 설치한 보행형 경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경운기의 조작상황에 응하여 자동적으로 접지체의 자동승강을 해제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에 의하여 위에서 기재한 운반차하대(荷台)에의 자동주행으로서의 적재하고 하강시키는 것이나 이랑을 넘어서 이동하는 경우 그 경운기의 조작상황(예컨대 이들의 케이스에서는 경운 클럿치가 단절된다 혹은 일정한 범위를 초과하는 기체의 경사등의 특별한 경운기의 조작상황이 생긴다)에 응하여 자동승강이 해제됨으로 소망스럽지 아니한 접지체의 하강제어가 회피된다.
본 고안의 전기한 것 및 그 이외의 목적과 특징은 일예로서 도면 해설한 첨부도면과 대조하여 다음의 설명을 고려하는 것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판명될 것이다.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보행형 경운기는 좌우한쌍의 주행차륜(1) (1)의 뒷쪽에 경운로오타리(19) 기체앞 부분에 엔진(2) 및 밋숀케이스(13), 기체뒷쪽으로 향하여 조종핸들(4)을 연장 돌출시킨 자동주행기체의 뒷쪽끝에, 이 경운로오타리(19)에 의한 경운후에 작용하도록 배치한 접지체의 하나인 접지용 뒷부분차륜(5)을 연결설치하고 있다.
또한, 기체의 전후방향경사를 검출하는 경사검출센서(9)의 신호에 기초를 두고, 전기한 접지용 뒷부분차륜(5)을 자동승강하는 승강기구(6)가 설치되어 주행용차륜(1)에 대한 접지용 뒷부분차륜(5)의 승강작동에 의하여 경운로오타리(19)의 지면에 대한 진입깊이를 설정값으로 보전하고 있다.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접지용 뒷부분차륜(5)의 승강기구(6)를 상세하게 기재하면, 전기한 뒷부분차륜(5)의 지지축(61)을 기체쪽에 고정된 지지통(62)에 끼워 맞추어서 보전지지함과 아울러, 이 지지축(61)의 축심위치에 나선 진입시킨 나선축(63)을 전기한 지지통(62)내에 위치고정하고, 이것으로써 이 나선축(63)의 작동에 의하여 지지축(61)을 개재하여 전기한 뒷부분차륜(5)을 서서히 미끄럼작동 조작이 가능하며, 또한 전기한 나선축(63)을 그 윗쪽끝에 설치된 베벨기구(64)를 개재하여 감속기(65)가 부착된 모우터(66)에 연동연결하여 승강기구(6)를 구성하고 있다.
물론 이 기구는 모우터 나선식 대신으로 유압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는 차체 앞부분쪽에 엔진(2)을 덮도록 한 엔진본넷트(36)를 앞쪽끝의 횡축심(P) 둘레에 요동개폐가 자유자재롭게 설치함과 아울러, 주로 엔진시동장치(31)의 전원으로서 사용하는 밧데리(3)를 전기한 엔진(2)에 접속하도록 설치하고,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밧데리 충전용의 태양전지(35)를 전기한 엔진 본넷트(36)보다도 뒷편쪽의 차체상부면 즉 헨들지지프레임부(30)의 상부면에 부착하여 예컨대 옥외에 경운기를 방치할때에 밧데리(3)를 충전시킨다.
혹은 본넷트(36)를 개방상태로 하여서 엔진(2)의 수리작업을 행할때에 밧데리(3)를 충전시키는 등 차체를 엔진 정지상태에서 방치하여 놓을때에도 밧데리(3)의 충전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전기한 태양전지(35)는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전선(34)을 개재하여 발전기(32)와 밧데리(3)의 사이의 밧데리 충전용회로(33)에 접속하고 있다.
차체에 밧데리 충전용 태양전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즉 그 태양전지가 태양광선등의 광선의 빛을 받아서 밧데리를 충전하는 작용에 의해서 작업차를 엔진정지상태에서 방치할때에도 밧데리를 충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기한 태양전지를 엔진본넷트보다도 뒷편쪽의 차체상부면에 장착한 것에 의하여 예컨대, 엔진을 수리할때에 엔진본넷트를 개방상태로 하는등 엔진본넷트를 열려 있는 상태로서 작업차를 방치할때에도 태양전지를 빛을 받는 상태로 유지시켜서 밧데리의 충전을 행하는 것이다.
이 구조에서는 예컨대 태양전지를 엔진본넷트의 상부면에 장착하였을 경우와 같이 태양전지의 받는 빛이 엔진본넷트에 의하여 억지된다고 하는 불합리한 점이 없게 된다.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전기한 밋숀케이스(13)내에 설치된 경운로오타리(19)에의 전달동력을 단절접속하는 클럿치(14)의 요동식 조작아암(25)에 통전상태로서 단절작동하는 전자(電磁) 솔레노이드(15)를 연동연결함과 아울러 전기한 조작아암(25)에 융통(融通)용의 스프링(27)을 개재하여서 전기한 클럿치(14)를 인위적으로 조작가능한 앞쪽조작레버(16)를 연동연결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전기한 조작레버(16)의 태에 있어서도 전기한 스프링(27)의 융통력에 의하여 전자 솔레노이드(15)에 있어서의 클럿치(14)의 단절조작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도면중(26)은 전기한 조작아암(25)을 단절하거나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이다.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전기한 경사검출센서(9)는 기체의 전후 경사각을 검출하고, 이것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기체에 부설되어 있다.
경사검출센서(9)로부터의 신호는 제1제어장치(10)로 보내어져서 처리되고, 여기에서 전기한 모우터(66)를 위한 목표 구동신호가 생성된다. 그리고 제1제어장치(10)는 제어회로(11)와 모우터 구동회로(12)로서 이루어지며, 전기한 경사검출센서(9)에 의한 검출결과가 설정범위내로 되도록 제어회로(11)가 경사검출센서(9)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목표승강량에 따른 제어신호를 모우터 구동회로(12)에 보내고, 여기에서 신호는 모우터 구동신호로 변환되어 모우터(66)로 보내지며, 접지용 뒷부분차륜(5)의 지면돌기부를 타고 올라가는 것이나 지면요부로의 진입에도 불구하고 경운깊이를 설정범위내로 유지하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경운로오타리(19)를 구동 및 정지조작하도록 밋숀케이스(13)에 내장된 경운클럿치(14)를 전자 솔레노이드(15) 및 인위전 조작레버(16)의 어느것에 의하여서도 조작될 수 있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전기한 솔레노이드(15)의 구동회로(17)를 제2제어장치(18)를 개재하여 전기한 경사검출센서(9)에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경운로오타리(19)가 지면에 대하여 설정된 높이(H) 이하의 낮은 수준으로 되는바 기체경사의 제1검출대(帶)에 전기한 경사검출센서(9)의 검출값이 들어가 있으면 클럿치(14)를 입력으로 되도록 또한 경운로오타리(19)가 지면에 대하여 전기한 설정높이(H)보다 높은 수준으로 되는바 기체경사의 제2검출대에 전기한 경사센서(9)의 검출값이 들어가 있으면 클럿치(14)를 단절하도록 각각 전기한 제2제어장치(18)가 구동회로(17)를 개재하여 솔레노이드(15)에 신호를 주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경운로오타리(19)를 지면에 대하여 승강시키기 위해 기체의 경사조작을 하는 것으로서 자동적으로 경운로오타리(19)를 구동하거나 구동정지할 수 있다.
또한, 전기한 경운클럿치(14)가 단절조작되었는가 아닌가를 검출하는 스윗치(20)를 설치하고 이것을 제1제어장치(10)에 접속한다.
그리고, 이 스윗치(20)에 의하여 경운클럿치(14)가 단절조작된 비작동상태를 검출하면, 제1제어장치(10)는 접지용 뒷부분차륜(5)의 센서신호에 의한 자동제어를 해제하고, 경운클럿치(14)가 입력조작된 작동상태를 검출하면 자동제어를 행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 경운클럿치(14)의 작동상태 검출스윗치(20)는 접지용 뒷부분차륜(5)의 승강자동제어의 해제수단으로서 기능되는 까닭이다.
이것으로서 예컨대 제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랑을 넘어서 이동하기 위하여 전기한 제1제어장치(10)에 의하여 유지되는 자세보다 뒷편이 쳐져있는 자세로 기체가 되어도, 접지용 뒷부분차륜(5)의 하강제어에 의한 조종핸들(4)의 압압상승이 행하여지지 않도록 접지용 뒷부분차륜(5)의 자동승강제어를 단절로 하는 것이 전기한 메인스윗치(21)의 단절조작을 하지 않아도 경운클럿치(14)의 단절조작에 의하여서 될 수 있는 것이다.
전기한 경운클럿치(14)의 작동상태 검출스윗치(20)는 경운클럿치 조작레버(16)의 조작위치에 따라서 그 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하여도 좋으며, 혹은 경운클러치(14)를 구성하는 가동축 클러치 회전체나, 혹은 이 회전체와 전기한 조작레버(16)의 연동부재의 위치에 따라서 경운클럿치(14)가 단절조작된 것을 검출하는 기구로서 구성하여도 좋다. 전기한 실시예에서는 경운깊이 설정용 접지체 자동승강제어를 해제하기 위하여 경운클럿치를 트리거러 하여서 사용하고 있었으나 주행용 클럿치를 트리거로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로는 예컨대 작업개시에 즈음하여 작업률 이랑등의 작업대상 개소에 합치시키는 위치합치조작을 함에 있어서, 위치 합치가 되기 쉽도록 작업구를 지면에 접근시키면, 작업할때에 있어서 지면돌출부에 접지체가 타고 올라갔을 경우와 동일하게 전기한 제어기구에 의하여 유지되어야 할 자세보다도 뒷쪽이 올라간 자세로 기체가 되어서 경운깊이 설정용 접지체의 자동제어가 행하여져서 접지체가 발밑에서 움직인다고 하는 불합리한 것은 주행클럿치를 단절하는 것에 의하여 동시에 자동승강제어도 해제됨으로 해소된다.
이 자동제어시스템은 제9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대부분은 제6도와 동일하나(동일한 것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로서 기재하였다) 전기한 경운클럿(14)가 단절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스윗치 대신으로 차륜(1)을 구동 및 정지조작하도록 엔진(2)과 밋숀케이스(13)의 사이에 설치된 메인클럿치(24)가 단절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스윗치(22)를 설치하고 있다.
이 메인클럿치가 작업상태 검출스윗치(22)는 제1제어장치(10)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윗치에 의하여 메인클럿치(24)가 단절조작된 비작동상태를 검출하면, 제1제어장치(10)는 접지용 뒷부분차륜(5)의 센서신호에 기인하는 자동제어를 해제하고, 메인클럿치(24)가 입력조작된 작동상태를 검출하면 자동제어를 행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 메인클럿치 작동검출상태 검출스윗치(22)는 접지용 뒷부분차륜(5)의 승강자동제어의 해제수단으로서 기능되는 까닭인 것이다. 앞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경운로오타리(19)의 이랑에 대한 위치합치를 위하여, 전기한 제1제어장치(10)에 의하여 유지되는 자세보다 뒷편이 올라간 자세로 기체가 되더라도 접지용 뒷부분차륜(5)의 제어가 행하여지지 않도록 접지용 뒷부분차륜(5)의 자동승강제어를 단절로 하는 것이 전기한 메인스윗치(21)의 단절조작을 않해도 메인클럿치(24)의 단절조작에 의하여 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전기한 메인클럿치 작동상태 검출스윗치(22)는, 메인클럿치 조작레버(23)의 조작위치에 기인하여 그 작동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하여도 좋으며, 혹은 메인클럿치(24)를 구성하는 가동축 클럿치 회전체 혹은 이 회전체와 전기한 조작레버(23)의 연동부재의 위치에 기인하여 메인클럿치(24)가 단절 조작된 것을 검출하는 기구로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별개의 실시예로서 경운깊이 설정용 접지체 자동승강제어를 해제하기 위한 트리거로서 기체경사 검출센서의 신호를 사용할 수가 있다. 경사검출센서의 신호는 접지체 자동제어의 목표제어량을 정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으나 그 검출값에 승강제어 임계값(臨界値)을 설치하고, 그 임계값이하에서는 자동제어를 행하나 그것을 초과하면 자동제어가 해제되도록 한 것이다.
제11도-제1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경사센서(9)는 접지체 자동승강제어의 목표제어량을 생성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내보내는 제1경사검출센서(91)와, 접지체 자동승강제어를 해제하기 위한 트리거로서 기능하는 신호를 부여하는 제2경사검출센서(92)를 포함하고 있다. 전기한 제1경사검출센서(91)에 대하여 상세하게 기술하면, 기체프레임(93)에 설치하고 있는 옆쪽지지축(94)에 이 축심(P) 둘레에서 요동가능하게 무거운추(95)를 수직으로 하강함과 아울러 전기한 옆쪽지지축(94)에 부착된 원판(96)에 한쌍의 스윗치(97a) (97b)를 무거운추(95)에 대하여 좌우로 배분한 상태로 부착하고 전기한 무거운추(95)를 지지한 지지아암(98)에 설치한 전기스윗치(97a) (97b) 에 대한 작동부(98a) (98b)를 전기한 무거운추(95)의 기준설정범위(B)를 초과한 요동에 의하여 전기한 스윗치(97a) (97b)에 맞닿는 작용하도록 뻗어나가게 하고 있다.
즉 전기한 스윗치(97a) (97b)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전기한 무거운추(95)가 전기한 기준설정범위(B)내에 있다.
즉 무거운추(95)가 설정값 이상의 경사를 감지하지 않은 것으로 되어 농작물 재배장면에 다소의 요철이 있더라도 그것에 구애됨이 없이 경운깊이를 일정하게 하여 빈번한 뒷부분차륜(5)의 작동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은 작위적(作爲的)인 불감대(不感帶)로서의 범위이다. 또, 어느것인가 한편의 스윗치(97a) (97b)를 작동하였을 경우에는 스윗치의 부착방향으로 기체가 경사하고, 또한 그 경사가 설정된 값이상이므로 전기한 스윗치(97a) (97b)의 신호를 구동회로(12)를 개재하여 전기한 모우터(66)에 전달하고, 전기한 뒷부분차륜(5)을 승강작동시켜서 기체를 대략 수평자세로 복귀되도록 또한 로오타리(19)를 농작물지배장소 표면의 경사에 따르도록 하고 있다. 제1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전기한 스윗치부착원판(96)은 옆쪽지지축(94)에 대하여 마찰고정 및 이 마찰력에 저항하여 인위적으로 회동가능하며 이 원판에 설치된 경운깊이 표시눈금(99)에 대응하여 기체쪽에 수포식(水泡式) 수준기(100)를 설치하고, 작업개시전에 기체를 수평자세로 수준기(100)를 조정한 후, 전기한 원판(96)을 인위적으로 회동시켜서 설정된 경운깊이 표시눈금에 맞추어 놓고, 이 표시눈금에 맞추어 놓는 것에 의하여 뒷부분차륜(5)를 승강시켜서 로오타리(19)를 설정된 경운깊이로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 제2경사센서(92)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1도 및 제1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전기한 옆쪽지지축(94)에 대하여 이 축심(P) 둘레에서 요동가능하게 무거운추(101)를 수직으로 하강시킴과 아울러 이 무거운추용 지지아암(102)에 설치된 작동부(102a) (102b)를 제1경사검출센서(91)에 비하여 큰 기준설정범위(B')를 초과한 요동에 의하여서만 감지용 스윗치(103a) (103b)에 맞닿아서 작용되도록 뻗어나가고 있다.
즉 제1경사검출센서(91)에 비하여 제2경사검출센서(92)는 전기한 설정된 경사보다 크고 앞쪽이 하강된 설정 경사이상의 경사자세를 감지한 경우, 즉 승강제어 임계값을 초과하였을 경우에 작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제어시스템은 재6도 제9도와 본질적으로는 동일하며 동일한 것에는 동일참조번호를 기재하였다.
재10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전기한 제1경사검출센서(91) 및 제2경사검출센서(92)로부터의 신호를 제1제어장치(10)에 접속하고, 기체가 선회할때에 로오타리(19)를 부상시키기 위하여 기체를 크게 앞으로 하강된 경사자세로 하면 이 제2경사검출센서(92)가 감지하여 전기한 뒷부분차륜(5)의 자동승강제어를 해제하도록 또한 경운로오타리를 위한 전자 솔레노이드(15)를 작동시켜서 지면에 떠오른 로오타리(19)의 구동을 자동적으로 정지하여 안전을 도모하고 있다.
또 제2경사검출센서(92)의 작동이 없는 경우에는 제1경사검출센서(91)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접지용 뒷부분차륜의 승가기구(6)를 제어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전기한 경운로오타리(19)에 대한 단절접속용 클럿치(14)로서는 전자클럿치를 사용하여도 좋다.
경사검출센서(9)는 제15도에 표시와 같은 개량변경예로도 생각할 수가 있다.
이 경사센서(9)에서는 전기한 옆쪽지지축(94)에 이 축심둘레에서 요동가능한 무거운추(95)를 설치하고 이 무거운추(95)를 매달아 지지하는 지지아암(98)에 스윗치장치를 설치한다.
이 스윗치장치에 대한 작동부(98a) (98b)를 설치하고 전기한 스윗치장치는 이 무거운추(95)의 기체경사에 관한 요동에 의한 전기한 작동부(98a) (98b)와의 접촉에 의하여 경사감지작용을 행한다.
스윗치장치는 기체경사가 적은 범위에서 접촉하고 서서히 미끄러지는 작동에 의하여 감지가능한 압전(壓電)소자등으로서 이루어진 접촉식 스윗치(104)와 기체경사가 전기한 적은 범위를 초월한 어느 설정된 값이 이상으로 된 싯점에서 당접작동이 가능한 마이크로 스윗치(105)로부터 구성된 단일의 경사센서로 할 수가 있다.

Claims (6)

  1. 엔진(2), 주행용차륜(1), 엔진에서 주행클럿치를 개재하여 동력 전달되는 경운로오타리(19), 엔진에서 경운클럿치를 개재하여 동력전달되는 경운깊이 설정용 접지체인 뒷부분차륜(5), 전기한 경운깊이 설정용 접지체인 뒷부분차륜을 승강하는 승강기구(6)에 있어서, 전기한 승강기구를 자동제어하기 위하여 기체의 전후경사를 검출하는 센서수단과 경운기의 조작상황에 응하여 자동제어를 해제하는 자동제어 해제수단을 포함하는 제어수단이 설치되고, 그때 센서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인하여 제어수단은 승강기구를 자동제어하는 구성으로서 이루어진 보행형 경운기.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제어해제수단은, 경운클럿치(14)와 연동하고 있으며, 경운클럿치가 단절되면 제어수단에 의한 승강기구의 자동제어를 해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형 경운기.
  3.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제어해제수단은, 주행용클럿치와 연동하고 있으며, 주행용 클럿치가 단절되면 제어수단에 의한 승강기구의 자동제어를 해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형 경운기.
  4. 제3항에 있어서, 전기한 수행용 클럿치가 주(主) 클럿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형 경운기.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전기한 제어해제수단은, 센서수단과 접속되어 있으며, 기체의 앞쪽이 쳐져 있는 경사각이 설정각을 초과한 경우에 제어수단에 의한 승강기구의 자동제어를 해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형 경운기.
  6. 제1항에 있어서, 경운클럿치 제어수단, 센서수단에 의해서 검출되는 경사각이 이전에 설정된 경운클럿치를 위한 한개값 이하에서는 경운클럿치를 입력조작하고, 한개값은 초과하면 단절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형 경운기.
KR2019890007658U 1984-11-14 1985-10-25 보행형 경운기 KR89000460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240274? 1984-11-14
JP24027484A JPS61119107A (ja) 1984-11-14 1984-11-14 歩行型耕耘機
JP1453085U JPS61131350U (ko) 1985-02-04 1985-02-04
JP???60-?14530? 1985-02-04
JP???60-?42285? 1985-03-04
JP4228585A JPS61202603A (ja) 1985-03-04 1985-03-04 歩行型耕耘機
JP???60-?42286? 1985-03-04
JP4228685A JPS61202604A (ja) 1985-03-04 1985-03-04 歩行型耕耘機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7896A Division KR860003764A (ko) 1984-11-14 1985-10-25 보행형 경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601Y1 true KR890004601Y1 (ko) 1989-07-15

Family

ID=274562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7896A KR860003764A (ko) 1984-11-14 1985-10-25 보행형 경운기
KR2019890007658U KR890004601Y1 (ko) 1984-11-14 1985-10-25 보행형 경운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7896A KR860003764A (ko) 1984-11-14 1985-10-25 보행형 경운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719974A (ko)
KR (2) KR860003764A (ko)
FR (1) FR2572878B1 (ko)
IT (1) IT120078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170B1 (ko) * 2014-06-17 2015-05-04 권기원 농기계용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및 농기계용 배터리 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8357A (en) * 1986-04-04 1989-06-13 Mitsubishi Agricultural Machinery Co., Ltd. Soil tilling machine
US6176320B1 (en) * 1999-01-28 2001-01-23 Gilbert Lopez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ision planting, weeding, and cultivation of crops/ a metric walking tracto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9331A (en) * 1968-03-25 1972-02-01 Dart Ind Inc Glass fiber reinforced resins containing dispersion aid
GB1455240A (en) * 1972-11-09 1976-11-10 Sisis Equipment Macclesfield Machines for treating turf surfaces
US4263973A (en) * 1977-12-16 1981-04-28 Boulais Marcel J Laser beam level control with automatic override
JPS5717021A (en) * 1980-07-04 1982-01-28 Kubota Ltd Working machine with attitude controller
US4402366A (en) * 1980-08-15 1983-09-06 Roper Corporation Soil tilling machine
US4567949A (en) * 1983-02-14 1986-02-04 Roper Corporation Soil tilling machine with transmission having three drive trains
JPS60232011A (ja) * 1984-05-02 1985-11-18 株式会社クボタ 歩行型耕耘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170B1 (ko) * 2014-06-17 2015-05-04 권기원 농기계용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및 농기계용 배터리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8522460A0 (it) 1985-10-11
FR2572878A1 (fr) 1986-05-16
KR860003764A (ko) 1986-06-13
IT1200783B (it) 1989-01-27
US4719974A (en) 1988-01-19
FR2572878B1 (fr) 1991-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4601Y1 (ko) 보행형 경운기
WO2014111898A2 (en) Automated traction machine
US4515392A (en) Slope mower
GB2193174A (en) Self powered vehicle
JPS604681B2 (ja) 対地作業機における自動姿勢制御装置
JP3346814B2 (ja) 田植機
JPH0217124B2 (ko)
JP3632779B2 (ja) 移動農機
JPH0634431Y2 (ja) ブーム型作業機の作業具姿勢検出器
JPH0553443B2 (ko)
JPS5991806A (ja) 農作業機用角度制御装置
JPH06102905B2 (ja) ブーム型作業機の作業具姿勢検出装置
US4453739A (en) Tractor or other moving vehicle with limited angle of attack on slopes
JPS5834988Y2 (ja) 刈高制御装置付刈取機
JPH06237614A (ja) 対地作業機
JP2854494B2 (ja) 操作具の位置検出構造
JPH0340094Y2 (ko)
JP3171659B2 (ja) 田植機
JPH042442B2 (ko)
JPS61202603A (ja) 歩行型耕耘機
JPS631787Y2 (ko)
JPS61202604A (ja) 歩行型耕耘機
JP3356984B2 (ja) 農作業機
JPS6018018Y2 (ja) 植付部の横移動式田植機
JP2671048B2 (ja) 農用トラクタの自動耕深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6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