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543B1 - 컬러수상관용 전자층 - Google Patents

컬러수상관용 전자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543B1
KR890004543B1 KR1019840002541A KR840002541A KR890004543B1 KR 890004543 B1 KR890004543 B1 KR 890004543B1 KR 1019840002541 A KR1019840002541 A KR 1019840002541A KR 840002541 A KR840002541 A KR 840002541A KR 890004543 B1 KR890004543 B1 KR 890004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n beam
holes
electr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2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9369A (ko
Inventor
유끼히로 이즈미다
가즈오 마지마
히데마사 고모로
마사가쯔 호리우찌
마모리 이께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구쇼
미따 가즈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구쇼, 미따 가즈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구쇼
Publication of KR840009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9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50Electron guns two or more guns in a single vacuum space, e.g. for plural-ray tube
    • H01J29/503Three or more guns, the axes of which lay in a common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4844Electron guns characterised by beam passing apertures or combinations
    • H01J2229/4848Aperture shape as viewed along beam axis
    • H01J2229/4872Aperture shape as viewed along beam axis circ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4844Electron guns characterised by beam passing apertures or combinations
    • H01J2229/4848Aperture shape as viewed along beam axis
    • H01J2229/4875Aperture shape as viewed along beam axis oval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컬러수상관용 전자총
제1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인라인형 전자총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상부집속전극을 도시한 평면도.
제3(a)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총의 상부집속전극을 도시한 평면도.
제3(b)도는 제3(a)도의 전극의 ⅢB-ⅢB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3(c)도는 제3(a)도의 전극의 ⅢC-ⅢC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총에 있어서의 주렌즈를 형성하는 전극구조의 요부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양극 평면도.
제6(a)도, 제6(b)도. 제6(c)도는 제3도(b)에 도시한 바와같은 전극의 단면도로서 요부(凹部)형상의 여러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상부집속전극
50A,50B,50C,60A,60B,60C : 전자비임 통과구멍
50D,60D : 홈 51,61 : 보조전극
52,62 : 지지체 60 : 양극
본 발명은 컬러수상관용 전자총, 특히 포커스특성을 계량한 컬러수상관용 인라인형 전자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컬러수상관용 전자총의 주렌즈구경은. 포커스특성에 크게 영향을 주며, 호전한 포커스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주렌즈구경을 가능한한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제 1도는 종래의 바이퍼텐셜 집속방식의 인라인형 전자총의 일례를 도시한 요부단면 구성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lA)(lB)(lC)는 각각 3개의 전자비임을 정면(頂面 head surface)으로 부터 방사하는 음극, (2)는 전자비임량을 제어하는 제어전극, (3)은 전자비임을 가속시키는 가속전극, (4)는 전자비임을 접속시키는 하부집속전극이며, 각가(2A)(2B)(2C) (3A)(3B)(3C) 및 (4A)(4B)(4C)는 3개의 전자비임의 전자비임 통과구멍이다. (5)는 상부접속전극, (6)은 양극이며, 이 상부집속전극(5)과 양극(6)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3개의 드로오잉가공에 의한 구멍(5A)(5B)(5C)과 구멍(6A)(6B)(6C)을 인라인으로 배치하고 있다. 이 양극(6) 및 상부집속전극(5)에 각각 소정의 전위를 인가하므로써 상호 대향하고 있는 전자비임 통과구멍은 3개의 전자비임용의 3개의 주정전집속렌즈(주 렌즈라고 약칭한다)를 형성한다. 예를들면 상부집속전극(5)에는 약 7KV, 양극(6)에는 25KV의 전위가 인가된다. 이를 전자비임 통과구멍을 가진 장원형의 컵형상전극은 제 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박판을 드로오잉가공해서 형성되고 있다.
이와같은 전자총의 구성에 있어서, 3개의 음극(1A)(1B)(1C)에 인가되는 신호전위에 의해서 각각의 전자비임량이 제어된 3개의 전자비임(A)(B)(C)은, 가속전극(3)과 하부집속전극(4)과의 대항하는 각 구멍사이에 형성되는 프리포커스렌즈로 약간의 집속작용을 받은후, 상부집속전극(5)과 양극(6)으로 형성되는 각각의 주렌즈에 의해서, 도시하지 않은 수상관의 형관면에서 비임스폿이 되게 접속작용을 받는다. 동시에 양측의 전자비임 (A)(C)은 양극(6)의 전자비임 통과구멍(6A)(6C)을, 상부집속전극(5)의 전자비임 통과구멍 (5A) (5C)에 대해서 바깥쪽으로 미소하게 편심시키는 공지의 수단에 의해서, 각도(θ)의 경사를 부여하고 3개의 전자비임(A)(B)(C)을 한점에 수렴시킨다. 또한, (7)은 수렴전극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전자총에 있어서, 수상관의 형광면상에서의 비인스폿의 크기는 화상의 선예도를 좌우하기 때문에, 가능한 한 작게 하는것이 바람직하며, 그와같은 포커스특성의 향상에는 일반적으로 주렌즈의 구경을 크게하는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제2도는 상부집속전극(5)의 양극(6)쪽에서 본 요부평면도이다. 양극(6)와 상부집속전극(5)에 대향하는 면도 같은 형상이다. 동도면에 있어서, 직경이 D인 3개의 전자비임통과(5A)(5B)(5C)은 각각 간격 S로 일직선상에 인라인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그지고, 포커스특성을 향상시키는 수단으로서 주렌즈구경을 확대시키기 위하여 전자비임 통과구멍(5A)(5B)(5C)의 직경(D)을 크게할 괼요가 있다. 그러나, 두께가 약 0.3mm의 비자성금속, 예를들면 스테인레스강판을 프레스가공해서 형성하는 상부집속전극(5)의 전자비임 통과구멍 (5A)(5B)(5C)은 제 1도에 도시한 양극(6)과의 사이의 내전압특성개량 때문에, 드로오잉구멍 구조로 할 필요가 있다.
즉 드로오잉가공으로 하므로서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동그스름한 모양을 갖게하여 방전되기 어렵게 한다. 또한 장원형 (타원형) 컴형상전극의 내부의 비대칭성에 기인하는 주렌즈전계의 회전대칭성의 열화방지에는 드로오잉 깊이(1)를 구멍직경(D)의 1/2이상 필요하나, 박판의 드로오잉가공한게 때문에 직경(D)은 구멍간격(S)보다도 0 8∼1.0mm작은 치수로 제약된다. 따라서, 직경(D)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구멍간격(S)를 넓힐 필요가 있으나, 이 구멍간격(S)을 크게하는 것은 수상관 동작시의 형광면 각점에서의 수렴오차가 커진다는 것과 주렌즈를 형성하는 상부집속전극(5)과 양극(6)이 관측과 직교하는 전자비임 통과구멍의 배열방향의 치수가 커져서 전자총이 수용되는 밸브네크의 내벽에 전극이 근접해서 내전압특성이 열화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양호한 포거스특성을 얻기위해서는 전자비임 통과구멍(5A)(5B)(5C)등의 진원도(
Figure kpo00001
) 오차(장축-단축)는 구멍직경(D)의 약 0.5%이하가 바람직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자총의 조립은 각각의 전자비임 통과구멍을 관통하는 3개의 철심을 갖춘 도시하지 않는 지그위에 각 전극부품을 지지하고, 가열된 멀티포옴유리(8)(bead blase)를 지지체(9)에 압착해서 행하여 진다. 이경우, 3개의 철심은 각 전극부품의 구멍피치(S) 및 구멍직경(D)의 제조오차 허용량을 고려해서 구멍직경(D) 보다도 0.02∼0.03mm정도 가늘게 설정된다. 따라서, 각 전극부품 제작시의 오차 및 멀티포옴유리(8)의 압착시의 용력에 의해서 컵형상을 한 전극본체의 변형 이 드로오잉가공으로 형성된 전자비임 통과구멍(5A)(5B)(5C)에 파급되어, 지그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 측정한 진원도 오차는 극단적인 경우에는 약0.05mm, 즉 예를들면 구멍직경(D) =3.9mm의 경우 약 1.3%에 달하는 일도 있다. 이아같이 진원도가 나쁜 드로오잉구멍에서는 주렌즈의 전계가 찌그러지므로서 전자비잉에 비점수차(非點收差)가 생겨, 포커스특성이 손상된다는 중대한 문제점이 생긴다.
주렌즈구경을 확대하기 위해서 본원 발명의 발명자외 한사람인 "이즈미다 유끼히로"는 1983.12.5에 출원한 미국출원번호558,277의 "컬러수상관용 전자층"에 있어서, 제한된 전극치수의 범위에서 가능한한 주렌즈의 구경을 확대하기 위하여, 렌즈를 형성하는 전자비임 통과구멍의 형상을 전자비임 통과구멍의 배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장축을 가진 장원형상으로 하고, 장원형상에 의한 전계의 관측에 대한 비대칭성을 서로 대향하는 양극과 상부 집속전극간의 간격을 변화시킴으로서 보정을 하여 첸즈의 유효직경을 장축의 길이로 하는 것을, 박판의 드로오잉가공에 의해서 실현한다고 하는 제안을 했다.
그러나, 박판의 드로오잉가공에 의한 ㄱ전극은 전자총의 조립시에 생기는 전자비임 통과구멍의 변형에 대해서는 해결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앞에서 제안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내전압특성을 열화시키지 않고 주렌즈구경을 확대함파 동시에 전자총의 조립정밀도를 향상시키고, 포커스특성을 향상시킨 컬러수상관응 전자총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컬러수상관용의 전자총에 있어서, 3개의 전자비임이 수상관의 관축을 따라서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관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인라인으로 배치한 3개의 전자비임 통과구멍을 가진 제 1전극과, 제 1전극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고, 제 1 전극의 전자비임 통과구멍에 대향하는 3개의 전자비임 통과 구멍을 가진 제 2전극과, 제1, 제 2 전극에 각각 소정의 전위를 인가하였을때,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의 각각 대향하는 전자비임 통과구멍사이에서 주정전집속렌즈가 형성되어 있는 컬러수상관용 전자총에 있어서, 제 1 전극 및 제 2전극은 장원형 후판재로 제작되고 인라인으로 배치된 전자비임 통과구멍은 상기 관측방향에서 봤을때 바깥쪽의 2개의 전자비임 통과구멍은 각각 바깥쪽 절반을 반원, 나머지 절반은 이 반원의 직경을 그 자체의 장축으로 공용하는 반타원형이며, 중앙의 전자비임 통과구멍은 이 반원의 직결과 같은 길이의 장축을 가지고, 그 장축방향이 전자비임 통과구멍의 배열방향과 직교하도록 형성된 타원형이며,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전극의 서로 상대하는 면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바깥쪽의 2개의 전자비임 통과구멍의 중심사이에 걸쳐서 전극표면의 주연부를 남겨두고 소정의 깊이를 가진 오독부를 형성함으로써 각 건자비임 통과구멍의 타원부주위의 장축정점으로부터 단축정점으로 감에 따라서, 제 1전극과 제 2 건극과의 간격이 넓어지게 한것을 특징으로 한 컬러수상관용 전자총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 3(a)도는 본 발명에 의한 컬러수상관용 전자총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상부집속전극(50)의 요부평면도이다. 동도면에 있어서. 종래예와 같이 박판을 드로오잉가공하지 앉고 상부집속전극(50)은 두께 약 2mm의 장원형의 후판형상체로 형성되고, 중앙의 전자비임 통과구멍(50B)(이하 구멍이라 약칭함)은 장축(DI), 단축(DS)의 타원구멍과, 그 양쪽의 전자비임 통과구멍(50A)(50C)(이하 구멍이라 약칭함)은 각각 구멍의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이 반경(DI)의 반원, 양쪽이 중앙구멍(50B)과 같은 크기의 반타원을 연접한 구멍으로서, 각의 구멍중심이 간격 S를 두고 인라인 배치되어 있다.
제 2도에 도시한 종래의 구멍형상에서는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같이 직경(D)은 구멍간격(S)보다도 0.8∼1.0mm작은 치수로 제한되어 있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구멍직경의 확대를 구멍의 배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제 3(a)도에서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하므로서, 장축(Dl)은 구멍간격(S)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또, 종래의 박판의 드로오잉가공구멍과는 달리 본 발명의 전극은 장원형후판을 프레스가공해서 제작된다. 따라서 보다 정밀한 가공이 가능하게 되어 전자비임 통과구멍(50A)(50B)(50C)상호간의 브리지부의 간격 및 양쪽의 구멍(50A)(50C)과 외부가장자리부와의 간격도 약 0.5mm로 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구멍직경의 확대를 위해서 수평방향외 치수(L)를 크게 할 필요는 없다. 그런데, 주렌즈를 형성하는 전자비임 통과구멍(50A)(50B)(50C)을 타원형 및 반원과 반타원을 연접한 직경이 다른구멍으로 하므로서, 각각의 전자비임은 단측방향의 집속작용을 강하게 받는 비점수차가 생긴다. 즉 구멍이 원형이 아니기 때문에, 회전대칭이 아닌 렌즈전계가 된다. 이 비대칭전계의 보정을 위해서 제 3(b)도 및 제 3(c)도에 제 3(a)도의 단면도를 도시한 바와같이 중앙의 전자비임 통과구멍(50B)의 중심으로부터 양쪽의 전자비임 통과구멍 (50A)(50C)중심의 범위에 걸쳐서 제 3(b)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장축(Dl), 단축(h)의 타원형의 오목부(50D)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50D)를 형성하므로서, 상대하는 전극, 즉 양극과 상부집속전극과의 간격은 오목부의 바닥부분에서는 넓고, 전극표면에서는 좁아져서, 전자비임 통과구멍의 타원형의 주위를 따라서 점점 전극간격을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전극간격을 변화시키므로서 전계에 의한 집속작용을 구멍의 주위전체에 걸쳐서 균일하게 보정할 수 있다.
제4도는 상부집속전극(50)과 같은 구성에 의한 양극(60)을 대향배치시킨 전자총의 요부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제 3(b)의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단면이 타원형의 오목부를 전극(50) (60)의 상대하는 면에 각각 형성하므로서 각 전자비임 통과구멍(50A∼50C)과 전자비임 통과구멍 (60A∼60C)과의 간격은 구멍의 타원형 단축정점에 있어서의 간격(g1)이, 장축의 정점에 있어서의 간격(g2)보다도 넓어진다.
이 단면이 타원형을 이룬 오목부의 깊이(h) (타원형의 단축길이)를 적당한 값으로 선정하는 것에 의해서 중앙의 타원구멍 및 양쪽의 반원과 반타원을 연접한 형상이다른 구멍에 의한 전계외 비대칭을 바르게 보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전자비임이 통과하는 범위의 주렌즈의 전계는 회전대칭이 되어, 그 렌즈의 등가구경(等價口徑)은 장측(Dl)과 같아진다.
즉, 구멍간격(S)을 확대하지 않고 종래기술에 의한 구멍의 직경 (D)보다도 큰 유효직경, 즉 장축(Dl)을 가진 전자비임 통과구멍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상부집속전극(50) 및 양극(60)을 제작하는 장원형후판에 전자비임 통과구멍(50A∼50C) 및 전자비임 통과구멍(60A∼60C)을 정밀하게 타발할 경우, 실제의 제조시에는 후판을 2mm이상으로 하는 것은 양산성으로봐서 어럽고, 현재의 프레스기술로서는 약2mm가 가공상의 한계이다. 따라서 비임통과구멍외 구경을 예를들면 4mm이상으로 하고 싶을경우, 후판을 2mm로 하면 상기한 구멍의 깊이와 구멍의 구경과의 비율이 1/2이상이 되지 않아, 전극지지부재의 비대칭이 될 우려가 많다. 그래서, 제 4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부집속전극(50) 및 양극(60)과 같은 평면형상의 장원형후판에 상부집속전극(50)의 구멍(50A∼60C) 및 양극(60)의 구멍(60A∼60C)과 등등한 구멍만(오독부는 형성하지 않음)을 타발한 보조전극(50) (61)을 고착하고, 또한 보조전극(51)(61)의 배면에 지지체(52)(62)를 포개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주렌즈구성전극의 기계적 강도가 강화되기 때문에, 전자총 조립시의 멀티포옴 유리의 압착으로 인한 응력에 의해서도 구멍형상이 변형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구성에 의해서 주렌즈구경이 실질적으로 확대됨과 동시에, 조립정밀도가 향상되므로. 포커스특성이 향상된 전자총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양쪽의 전자비임의 수렴(콘버젼스)은 예를들면 제5도에 양극(60)의 평면도를 도시한 바와같이 구멍(60A)(60B)(60C)의 간격(S')를 상부집속전극(50)의 구멍의 간격(S)보다도 예를들면 0.1∼0.l5mm의 범위에서 크게 설정하므로서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양쪽의 주렌즈 전계가 찌그러지므로서, 중앙전자비임(B)과 비교해서 양쪽 전자비임(A)(C)이다. 소 세로 길쭉한 경향이 된다. 이 비임형상을 등굴게 보정할려면 중앙타원구멍(60B)의 단축(DS')을 상부 집속전극(50)의 중앙타원구멍(50B)와 단축(Ds)보다도 약간 크게 함으로써, 즉 타원을(장측/단축)을 작게 하므로서, 중앙전자비임 (B)을 양쪽 전자비임(A)(C)과 같은 정도로 세로로 길쭉하게 맞추고, 또한 상부 집속전극(50) 및 양극(60)의 타원흠(50D)(60D)의 길이(h)를 다소 길게 설정하므로서, 3개의 전자비임형상을 둥굴게 조정할 수 있다.
제 6(a)도∼제 6(c)도에는 제 3(b)도에서 도시한 전극의 오목부형상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즉, 제 3(b)도에 있어서, 단면이 타원형인 오목부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부 집속전극(50) 혹은 양극(60)의 타원오목부(50D)(60D)의 타원형은 직선에 유사하거나 흑은 직선과 곡선의 조합에 유사하거나 할지라도 본 발명에 의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물론 여기에 도시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이면 본 발명의 주지에 따 라서 여러가지의 변형예를 고려할 수 있음은 말할것도 없다.
근년, 컬러수상관은 편향전력의 저감을 목적으로 네크관의 직경이 가늘어지는 동향에 있으며, 그 내부에 수용되는 전자총의 축소화로, 주렌즈구경이 작아져서 포커스특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그 개량에 대한 요구도가 극히 높다. 이 때문에, 예를들면 현재 생산되고 있는 네크직경이 약 22.5mm의 전자총의 주렌즈치수는 구멍간(S)=4.75mm 구멍직경(D)=3.9mm로 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들면 상부집속전극(50)은 구멍간격(S)=4.75mm, 장축(Dl)=5.0mm, 단측(Ds')=4.10mm 양극(60)은 구멍간격(S')4.85mm, 장축(Dl)=5.00mm, 단축(Ds')=4.10mm 이며 각 홈의 깊이(h)=1.2mm의 주렌즈치수로 등가 주렌즈구경이 5.0mm로 종래 전자총의 약 1.3배로 확대되므르. 네크직경이 약 29mm인 큰 컬러수상관과 거의 동등한 포커스 특성으로 개량할 수 있었다.
또한, 상부 집속전극(50) 및 양극(60)은 프레스 가공법에 의한 제작으로서는,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같이 후판이 제약을 받아. 구멍 직경이 클 결우는 필요로 하는 구멍직경이 약 1/2이 이상의 두께를 일체적으로 성형하는 것이 곤란했었으나, 금속분말을 압축성한후 소결하는 분말 야금법에 의하면, 용이하게 두께가 두꺼운 부품을 얻을 수 있다. 이 분말야금법에 의한 상기 각 전극(50)(60)의 형성은 비자성재로서 예를들면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분말에 아크릴수지 등의 바인더를 첨가해서 소정의 금형으로 가압성형하여, 진공중 또는 환원성 분위기중에서 600∼700℃로 임시소결한 후, 다시 1200∼1300℃의 진공중 또는 환원성 분위기중에서 소결하여, 소결에 의한 미소치수변화를 완성금형에 의해서 형상을 다시 정헝하기 위하여 재가압하므로서, 종래의 박판 프래스부품을 상회하는 고정밀도의 부품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도, 본원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의 전극형상을 실현할 수 있어, 본원 발명의 목적을 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바이포텐셜집속형 전자총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유니퍼텐셜형 및 다단집속형 전자총 등의 다른 전자총의 주렌즈 형성전극에 적용해도 상기한 것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컬러수상관용 전자총에 의하던 전극 가공상의 문제점, 내전압특성등의 제한을 극복해서, 주렌즈구경을 확대할 수 있으므로, 포커스특성이 향상되고, 선예도가 높은 화상이 얻어진다는 뛰어난 효과를 가진다.

Claims (5)

  1. 컬러수상관용의 전자총에 있어서, 3개의 전자비임(A)(B)(C)을 상기 수상관의 관축을 따라서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관측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인라인으로 배치한 3개의 전자비임 통과구멍(50A)(50B)(50C)을 가진 제 1전극(50)과, 상기 제 1전극(50)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고 상기 제 1 전극(50)의 전자비임 통과구멍(50A)(50B)(50C)이 대향하는 3개의 전자비임통과구멍(60A)(60B)(60C)을 가진 제2전극 (60)과, 상기 제1, 제 2 전극(50) (60)에 각각 소정의 전위를 인가하였을때, 상기 제 1 전극(50)과 제 2 전극(60)의 각각 대향하는 전자비임 통과구멍사이에서 주정전집속렌즈가 형성되어 있는 컬러수상관용 전자총에 있어서. 상기 제 1전극(50) 및 제 2 전극(60)은 장원형 후판재로 제작되고, 상기 인라인으로 배치된 전자비임 통과구멍(50A)(50B)(50C)(60A)(60B)(60C)은 상기 관측방향에서 봤을 때 바깥쪽의 2개의 전자비임 통과구멍(50A)(50C)(60A)(60C)은 각각 바깥쪽 절반을 반원, 나머지 절반은 이 반원의 직경(Dl)을 그 자체의 장축으로 공용하는 반타원형이며, 중앙의 전자비임 통과구멍(50B)(60C)은 상기 반원의 직경(Dl)과 같은 길이의 장축을 가지고, 그 장축 방향이 상기 전자비임 통과구멍의 배열방향과 직교하도록 형성된 타원형이며, 상기 제 1 전극(50) 및 제 2전극(60)의 서로 상대하는 면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바깥쪽의 2개의 전자비임 통과구멍의 중심사이에 걸쳐서 상기 전극표면의 주연부를 남겨두고 소정의 깊이(h)를 가진 오목부(50D)(60D)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각 전자비임 통과구멍의 타원부주위의 장축정점으로부터 단축정점으로 향함에 따라 상기 제 1전극과 제 2전극과의 간격(gl)(g2)이 넓어지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수관용 전자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 2전극(50)(60)이는 이들 각 대향하는 전극면의 반대면에 상기 전자비임 통과구멍(50A∼50C),(60A∼60C)과 같은 형상의 복수의 구멍을 형성한 소정의 두께를 가진 지지부재(51)(61)가 각각 고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수상관용 전자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의 전자비임 통과구멍(50B)(60B)의 타원율(장축/단축)을 상기 제 1전극(50)및 제 2전극(60)중 고전위측 전극쪽이 저전위측 전극보다도 작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수상관용 전자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비임 통과구멍의 장축방향과 평행인면에서 취한 상기 전극 오목부(50D) (60D)는 그 단면형상이 상기 전자비임 통과구멍의 타원의 장측과 동등한 장축(Dl)파 상기 오목부(50D)(60D)의 상기 소정의 길이(h)과 같은 단측을 가진 반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수상관용 전자총.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원형 후판으로 제작된 제 1전극(50) 및 제2전극(60)중 적어도 한쪽은, 금속 분말의 성형소결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수상관용 전자총.
KR1019840002541A 1983-05-18 1984-05-11 컬러수상관용 전자층 KR8900045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85709 1983-05-18
JP58085709A JPS59211945A (ja) 1983-05-18 1983-05-18 カラ−受像管用電子銃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9369A KR840009369A (ko) 1984-12-26
KR890004543B1 true KR890004543B1 (ko) 1989-11-13

Family

ID=13866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2541A KR890004543B1 (ko) 1983-05-18 1984-05-11 컬러수상관용 전자층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622491A (ko)
JP (1) JPS59211945A (ko)
KR (1) KR890004543B1 (ko)
GB (1) GB2142184B (ko)
IT (1) IT11796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3024A (en) * 1984-02-21 1986-04-15 Rca Corporation Color picture tube having an inline electron gun with built-in stigmator
US4833364A (en) * 1984-04-04 1989-05-23 Hitachi, Ltd. Electron gun for color picture tubes having uniquely formed lens apertures
JPS6199249A (ja) * 1984-10-18 1986-05-17 Matsushita Electronics Corp 受像管装置
KR910007654Y1 (ko) * 1988-11-02 1991-09-30 삼성전관 주식회사 다단집속형 음극선관용 전자총
US5038073A (en) * 1988-12-23 1991-08-06 Samsung Electron Devices Co., Ltd. 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
US5196762A (en) * 1988-12-30 1993-03-23 Goldstar Co., Ltd. Electron gun for color picture cathode-ray tube with hexagonal cross-section
US5027043A (en) * 1989-08-11 1991-06-25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on gun system with dynamic convergence control
JPH0675378B2 (ja) * 1989-11-08 1994-09-21 松下電子工業株式会社 カラー受像管用電子銃
US5202604A (en) * 1990-05-08 1993-04-13 Samsung Electron Devices Co., Ltd. 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
US5708322A (en) * 1993-04-21 1998-01-13 Hitachi, Ltd. Color cathode ray tube with in-line electron gun
US5731657A (en) 1992-04-21 1998-03-24 Hitachi, Ltd. Electron gun with cylindrical electrodes arrangement
US6411026B2 (en) 1993-04-21 2002-06-25 Hitachi, Ltd. Color cathode ray tube
JPH08190877A (ja) 1995-01-09 1996-07-23 Hitachi Ltd 陰極線管
KR100447659B1 (ko) * 2002-10-24 2004-09-07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1649106B1 (ko) * 2008-10-01 2016-08-19 마퍼 리쏘그라피 아이피 비.브이. 정전기 렌즈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2548A (en) * 1979-12-07 1981-07-06 Toshiba Corp Electron gun
JPS5868848A (ja) * 1981-10-20 1983-04-23 Toshiba Corp カラー受像管用電子銃構体
US4535266A (en) * 1983-05-02 1985-08-13 North American Philips Consumer Electronics Corp. In-line electron gun structure for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tapered walls and elongated apertures for beam spot-shap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8412288D0 (en) 1984-06-20
IT8467507A1 (it) 1985-11-18
GB2142184A (en) 1985-01-09
US4622491A (en) 1986-11-11
JPS59211945A (ja) 1984-11-30
IT1179682B (it) 1987-09-16
JPH0465487B2 (ko) 1992-10-20
IT8467507A0 (it) 1984-05-18
KR840009369A (ko) 1984-12-26
GB2142184B (en) 198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4543B1 (ko) 컬러수상관용 전자층
KR890003825B1 (ko) 컬러수상관용 전자총
US4581560A (en) Electron gun for color picture tube
JPH0675378B2 (ja) カラー受像管用電子銃
CN1048630A (zh) 彩色阴极射线管用的电子枪
JPH0429178B2 (ko)
EP0489432B1 (en) 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ray tube
US5451834A (en) In-line type 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
JPH1074467A (ja) カラー陰極線管用インライン電子銃
KR100485099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제조방법
JP2666723B2 (ja) カラー受像管
US4498026A (en) Electron gun for color picture tube
KR900001499B1 (ko) 컬러 수상관용 전자총
KR900001500B1 (ko) 컬러수상관용 전자총
US6670744B2 (en) 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 with main lens having composite electron beam passing apertures
KR900000761B1 (ko) 컬러수상관용 전자총의 제조방법
JPH021338B2 (ko)
JPH0337941A (ja) カラー受像管用電子銃
CN1255725A (zh) 彩色阴极射线管电子枪电极
KR200147990Y1 (ko) 인라인형 칼라전자총의 전극
CN85104126A (zh) 彩色显像管的一字排列式电子枪
JPS60253128A (ja) 電子銃用電極の製造方法
JPH0474821B2 (ko)
JPH09330670A (ja) カラー陰極線管と電子銃および電極構造
JPS63168938A (ja) インライン形カラ−受像管用電子銃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12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