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122B1 - 선명한 각인을 가진 정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선명한 각인을 가진 정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122B1
KR890004122B1 KR1019830000876A KR830000876A KR890004122B1 KR 890004122 B1 KR890004122 B1 KR 890004122B1 KR 1019830000876 A KR1019830000876 A KR 1019830000876A KR 830000876 A KR830000876 A KR 830000876A KR 890004122 B1 KR890004122 B1 KR 890004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coating
parts
powder
tabl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0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3994A (ko
Inventor
가즈도시 도야
노부오 우지야마
세이꼬 마우라
다까요시 미쓰나기
히사오 도비끼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니시끼다 도모즈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니시끼다 도모즈미 filed Critical 스미도모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3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3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1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72Pills, tablets, discs, rod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size; Tablets with holes, special break lines or identification marks; Partially coated tablets; Disintegrating flat shaped fo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선명한 각인을 가진 정제 제조방법
본 발명은 선명한 각인을 가진 정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각인 부분이외의 부분과는 색조가 상이한 재료에 각인 부분을 형성한 정제에 관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서는 이들 정제에 코오팅을 할 수 있게 되어있다. 일반적으로 정제의 성분의 종류와 함량 및 제조자 명칭등의 어떤 경우에 있어서는 각인이 선명하게 되어있는 정제위에 코오팅한 막 표면에 나타나는 각인의 식별을 위해 정제에 각인을 선명히 하고 있다. 이러한 식별은 막을 표면에 형성할때 각인의 요입부분에 코오팅제가 충전되므로 해서 코오팅을 다량으로 할수 없고 글자나 각인을 형성할때 생기게 되는 정제표면을 불규칙성으로 인해 자체나 각인이 흐려진다는 이유로해서 여러가지 난점을 가진다는 결점이 있다.
식별표시를 위한 다른 방법으로서는 막을 형성시킨 정제표면에다 글자나 각인을 인쇄하는 것이다. 또한 이 방법은 취급도중 정제자체의 마찰로 인해 인쇄 잉크가 벗겨져서 선명하지 못한 글자와 각인이 생기게 되며 더우기 다른 정제 표면을 얼룩지게하거, 또한 정체표면의 코오팅면과 인쇄잉크사이의 박리성이 크기 때문에 정제자체가 오프셋로울에 접착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말한 문제점이 하나도 없는 선명한 각인, 글자등을 가진 정제 제조방법을 제시함에 있다. 위에 나온 목적은 각인되는 요입부분에 정체의 표시부분 이외의 부분과는 색조가 상이한 재료를 부착시킨 후 필요에 따라 정제표면에 코오팅을 시킴으로써 달성된다.
각인되는 요입부분에 부착되며 요입부분 이외의 부분과 색조가 상이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재료는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코오팅이나 정제등에 사용되는 첨가제이면 아무런 제한이 없다. 이러한 재료를 다음 부터는 "부착물질"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부착 물직을 단독으로 사용하던지 두가지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보통 착색물질을 첨가하여 다른 부분 이외의 요입부분의 색조를 구분이 되게하는 첨가제를 부착물질로 사용한다. 요약하자면 각인 부분 이외의 부분의 색조와 부착물질의 색조는 틀리게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부착물질의 예로서는 옥수수전분, 밀전분, 감자전분등과 같은 전분물질, 락토오스, 수크로오스, 만니톨등과 같은 당류, 황산칼슘, 인산칼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규산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수산화 알루미늄, 산화티탄, 활석, 고령토, 벤토나이트등과 같은 무기질 착색물질,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결정질 셀룰로오스등과 같은 셀룰로오스류, 식용색소, 식용 레이크색소등과 같은 착색제, 왁스류, 아라비아고무등 또는 그 자체가 분말이거나 분말로 될 수 있는 이들의 혼합물등 여러가지 분말물질 또는 분말풀이 있다. 적합한 것으로는 활석, 탄산 마그네슘, 규산 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수산화 알루미늄 등과 같은 무기질 착색물질과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스 또는 전분류이다.
각인되는 요입부분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이면 다른것도 사용할 수 있다. 각인이 된 정제(다음부터는 각인정제"로 부르기로함)는 형상, 크기등에 있어서 하등의 특별할 제한이 없고 표면에 각인이된 것이면 어느것이나 코오팅이 안된 정제나 코오팅된 정제일 수도 있다.
그러나 코오팅된 정제의 각인된 요입부분에 대한 부착 물질의 접착은 코오팅되지 않은 정제의 경우보다 훨씬 양호하다. 따라서 선명한 각인을 하자면 각인된 요입부분에 코오팅물질이 채워지지 않도록 코오팅을 한 정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의한 정제는 각이된 요입부분에 부착물질을 부착물질을 부착시켜 제조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우선 각인된 정제와 부착물질을 적당한 용기에서 거의 건조한 상태에서 상호간에 혼합하고 접촉시킨다. 부착물질과 정제를 혼합하고 접촉시키는 한가지 방법은 각인된 정제와 부착물질을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코일팅팬이나 통류 건조식팬에 부착물질을 도입하여 각인된 요입부분에 부착물질이 균일하게 부착될때까지 팬을 가동시키는 것이다. 혼합접촉시의 정제에 대한 부착물질의 첨가량은 정체 표면의 성질과 부착물질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데 대개 5% 이하이다. 물론 5% 이상 첨가해도 하등의 문제는 없다.
이와같이 각인된 요입부분에 부착물질을 균일하게 부착시킨 다음 각인된 요입부분에 부착된 것 이외의 과잉의 부착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자면 보통 사용하는 체로 정제로부터 과잉의 부착물질을 제거하던지 솔로 정제표면을 문질러주던지 정제층의 속에다 코오팅팬의 배기관을 삽입하고 배기관의 배기구 끝은 가아제나 그물로 덮어씌워 흡입공기를 이용하여 과잉의 부착물질을 제거하는 이른바 통류법을 이용하여 과잉의 부착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통류식 팬이나 장치를 이용하여 공기를 동시에 공급하고 배기시킴으로써 과잉의 부착물질을 쉽사리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즉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다음에 나오는 예에서 분명히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정제 제조법은 각인 정제와 부착물질을 거의 건조한 상태에서 혼합접촉시켬 정제의 각인된 요입부분에 부착물질을 균일하게 부착시킨 후 각인된 요입부분에 부착된 것 이외의 과잉의 부착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이렇게하여 제조된 부착물질이 부착된 각인된 요입부분을 가진 정체는 충분히 선명한 각인을 가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수용성, 위용성 또는 장용성 등의 필요로 하는 코오팅을 다시 더 실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선명한 각인을 나타내는 색조차이에 손실을 가져오지 않는한 코오팅량은 하등의 특별한 제한을 받지 않는다. 정체 코오팅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이면 어느 것이나 코오팅 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코오팅제에 대한 예를 들자면 수크로오스, 메틸셀롤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즈,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아세탈 디에틸아미노 아세테이트, 카르복시메틸에틸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세룰로오스 프탈레이트, 메탈크릴산 및 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등이 있다. 가소제로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트리아세틴, 피마자유, 마이바세트, 쉘락등이 있고 착색제로서는 식용색소, 식용 레이크 색소, 산화티탄, 활석, 고령토 등이 있다. 물, 에탄올, 아세톤, 염화메틸렌, 이소프로필 알코올등과 같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코오팅용 용매이면 어느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코오팅 방법으로 코오팅 액의 주입, 공기분무기 또는 무공기 분무기에 의하 분무법등이 있다.
종래의 소위 코오팅 팬외에 통류식 코오팅 팬이나 유통형 코오팅기 같은 근래의 코오팅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장치이면 어느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코오팅 조건은 말할 필요도 없이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것들과 동일하다.
왁스와 분말물질 또는 분말과의 혼합물을 본 발명에서 부착물질로 사용할 경우 요입부분에 부착시킨 후 40-90℃로 왁스 혼합물을 가열하여 왁스를 용융시킴으로써 각인된 요입부분에서의 정제 각인과 부착물질의 부착을 한층더 실시할 수 있다. 이 방법에 대한적절한 예로서는 각인된 부분에 왁스 혼합물을 부착시킨뒤 40-90℃로 가열하기 전에 위에 나온 방법에 따라 각인된 요입부분에 부착된 것 이외의 과잉의 부착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정제를 필요에 따라 코오팅한다. 더욱 공기를 통과시켜 주는 통상적인 정제 건조방법, 가온실내에 정제를 방치하는 방법등에 의해 40-90℃까지 가열한다. 이러한 목적에 사용되는 왁스류는 실온에서는 고체이고 용융점이 90℃이하인 것들이 있다.
이러한 왁스류의 예로서는 경화유(Lubri Wax
Figure kpo00001
등과 같은 유지류, 파라핀과 같은 탄화수소류, 세틸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등과 같은 고급 알코올류 스테아르산, 팔미트산등과 같은 고급 지방산류, 폴리에틸렌글리콜과 같은 다가 알코올류, 수그로로스 모노팔미레이트, 수크로오스 모노스테아레이트, 수크로로스 트리팔미레이트, 수크로오스 트리스테아레이트등과 같은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인 다가 알코올류의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노팔미레이트,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등과 같은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등이 있다. 왁스류의 사용량은 기타 분말물질 또는 분발에 대해 70% 이하인데 5-50%로 하는 것이 좋다.
분말물질 또는 분말의 적합한 예는 무기질 착색제, 전분류, 셀룰로오스류 또는 이것과 착색제와의 혼합물이 좋다. 이들을 위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부착시킨다. 이렇게 하여 제조한 정제는 종래의 정제보다 식별을 하기에 선명한 각인을 가지며 연마등의 처리를 하여 광택을 내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실시에에 따라 설명한다.
실시예에 나오는 부는 모두가 중량부이다.
[실시예 1]
각인을 실시한 정제 제조
락토오스 70부
옥수수전분 25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칼슘 5부
위의 성분을 혼합하고 이 혼합물에다 5%옥수수 전분풀 20부를 가하여 이들을 이들을 혼련한 다음 건조시켜 과립을 얻었다. 이 과립에다 스테아르산 마스네슘 0.5부를 첨가한 후 혼합했다. 타정기를 사용하여 로타리식이 혼합물로부터 직경 8mm, 중량(정제 1개당)190mg, 정제표면의 숫자 "50"(폭 0.3mm, 깊이 0.5mm, 각도 60°)의 각인을 형성시킨 정제를 만들었다.
(코오팅액 제조)
폴리비닐 아세탈 디에틸아니노아세테이트 6부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0 1부
산화티탄 0.2부
메탄올 93부
위의 성분을 균일하게 분산 또는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여 코오팅액을 만들었다.
조작
정제 1.5kg과 미리 활석 100부와 FD &C 황색 5호 알루미늄 레이크 색소 1부를 혼합한 물질 70g을 직경이 약 30cm되는 코오팅팬에 넣고 10분간 코오팅팬을 운전하여 각인된 요입부분에 물지을 균일하게 부착시킨 다음 이 정제를 코오팅팬으로 부터 끄집어내어 12호체(No. 12sieve)를 사용하여 과잉의 물질을 체질하여 제거한 후, 이 정제를 다시 코오팅팬에 넣고 종래의 방법에 의해 코오팅을 실시하고 코오팅액 600g을 분무함으로써 정제 1개당 코오팅량이 약 4.1mg이며, 각인부분이 적황색으로 착색된 정제를 만들었다.
[실시예 2]
코오팅액의 제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세롤로오스 7부
산환티탄 1부
물 92부
위의 성분을 균일하게 분산 또는 용해할때까지 교반하여 코오팅액을 만들었다.
조작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정제 10kg을 하이코우더(High-Coater
Figure kpo00002
: 통류건조식 코오팅장치, HCT-60형 Freand Sabfyo K.K 회사제)에 넣고 종래의 방법에 따라 코오팅을 하는데 위의 코오팅액 5kg을 분무했을 경우 1정제당 약 5.1mg의 코오팅량을 가진 정제를 제조했다. 다음에는 공기의 공급과 배기를 중단한 후 정제에다 고령토 100부, FD &C 제2호, 알루미늄 레이트 색소 3부 및 옥수수전분 10부를 혼합하여 만든 부착물질 200g을 첨가하고 팬을 5분간 작동시켜 각인된 요입부분에 부착물질을 균일하게 부착시킨 후 공기 공급과 배기에 의해 팬속으로 약 10분간 공기를 통과시켜주어 팬을 작동시켜 줌으로써 과잉의 부착물질을 제거하여 각인 부분이 청색으로 착색된 정제를 얻었다.
[실시예 3]
코오팅액 제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롤로오스프탈레이트 5부
산화티탄 0.3부
염화 메틸렌 45부
에탄올 45부
위의 성분을 균일하게 분산 또는 용해할 때까지 교반하여 코오팅액을 만들었다.
조작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정제 10kg을 하이 코우터(High-Coater
Figure kpo00003
: HCT-60형)에 넣고 종래의 방법에 따라 종래의 방법에 따라 코오팅을 하여 실시예2에서 사용한 코오팅액 2kg을 분무했을때의 시점에서 1개 정제당 코오팅량이 2.2mg인 정제를 얻었다.
다음에 공기공급과 배기를 중단한 후 미리 고령토 100부, FD &C 황색 5호 알루미늄 레이크 색소 3부, 락토오스 20부를 혼합한 물질을 200g 가하여 팬을 5분간 작동시켜 각인된 요입부분에 부착물질을 균일히 부착시킨 후 공기공급과 배기에 의한 통풍을 하면서 10분간 작동시켜 과잉의 부착물질을 제거한 다음 위의 코오팅액 32kg을 사용하여 종래의 방법에 따라 코오팅을 함으로써 정제 1개당 코오팅량이 약 23.0mg이고 각인된 부분이 적황색으로 착색된 정제를 만들었다. 이 정제는 일본 약전에 상술된 장용성제제 시험규격에 적합하였다.
[실시예 4]
코오팅액 제조
코오팅액-1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롤로오스 6부
산화티탄 0.3부
적색 103호 색소(일본식품 첨가제 규격) 1.5부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1.5부
물 90부
코오팅액 -2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롤로오스 7부
물 93부
위의 성분을 균일하게 분산 또는 용해될때까지 교반하여 코오팅액 -1과 코오팅액 -2를 만들었다.
조작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정제 15kg을 하이 코우터(High-Coater
Figure kpo00004
: HCT-60형)에 넣고 종래의 방법에 따라 코오팅을 하고 위의 코오팅액 -1, 3kg을 분무했을때의 시점에서 정제 1개당 코오팅량이 약 2.1mg인 정제를 만들었다. 다음에 공기 공급과 배기를 중단한 후 활석 300g을 첨가하고 팬을 5분간 작동시켜 각인된 요입부분에 활석을 균일하게 부착시킨 후 공기공급과 배기에 의한 통풍을 하면서 2분간 작동시켜 과잉의 활석을 제기한 다음 위의 코오팅액 -2, 1kg을 사용하여 종래의 방법에 따라 코오팅을 함으로써 정제 1개당 코오팅량이 약 2.7mg이며, 각인부분이 백색인 적갈색의 정제를 만들었다. 또한, 활석 대신에 규산 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또는 수산화 알루미늄 각각 300g을 사용하여 위의 방법을 반복함으로써 각 경우에 있어서 각인부분이 백색인 적갈색 정제를 만들었다.
[실시예 5]
코오팅액 제조
히드록시 셀롤로오스 8부
FD &C 황색 5호 알루미늄 레이크 색소 1부
글리세린 0.5부
물 90부
위의 성분을 균일하게 분산 또는 용해될때까지 교반하여 코오팅액을 만들었다.
조작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정제 10kg을 하이 코우터(High-Coater
Figure kpo00005
: HCT-60형)에 넣고 종래의 방법에 따라 코오팅을 하고 위의 코오팅액 4kg을 분무했을때의 시점에서 정제 1개당 코오팅량이 약 4.2mg인 정제를 만들었다. 다음에 공기 공급과 배기를 중단한 후 미리 활석 100부와 FD &C 청색 1호 알루미늄 레이크 색소 4부를 혼합하여 만든 부착물질 300g을 정제에 가하고, 팬을 5분간 작동시켜 각인된 요입부분에 부착물질을 균일하게 부착시킨 다음 공기공급과 배기에 의한 통풍을 하면서 10분간 작동시켜 과잉의 부착물질을 제거함으로써 각인부분이 청색인 적황색의 정제를 만들었다.
[실시예6]
각인이 된 정제 제조
락토오스 70부
옥수수전분 30부
FD &C 청색 1호 알루미늄 레이크 색소 0.5부
위의 성분을 혼합하고 5% 옥수수 전분풀 20부를 가하여 혼련한 후 건조하여 과립을 얻었다. 여기에다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0.5부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로타리식 타정기를 사용하여 직경 8mm 정제 1개당 중량 200mg, 정제표면에 숫자 "246"이 각인(폭 0.32mm, 깊이 0.6mm, 각도 60°)된 청색의 정제를 만들었다.
코오팅액 제조
메틸 셀롤로오스 4부
물 96부
위의 성분을 용해할 때까지 교반하여 코오팅액을 만들었다.
조작
정제 4kg과 중질 탄산마그네슘 170g을 직경 약 40cm인 코오팅 팬에 넣고 10분간 코오핑팬을 작동시켜 각인된 요입부분에 중질탄산마그네슘을 균일하게 부착시킨 후 앞쪽 끝부분을 가아제로 덮어씌운 배기관을 정제내에 삽입하여 과잉의 중질 탄산마그네슘을 흡인제거한 다음 종래의 방법에 따라 위의 코오팅액 600g을 분무하여 코오팅을 함으로써 각인부분이 백색인 청색 정제를 만들었다.
[실시예 7]
코오팅액 제조
히드록시프로필메탈 셀롤로오스 6부
산화티탄 0.2부
황색 산화철 1.5부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0 3부
물 90부
위의 성분을 균일하게 분산 또는 용해할 때까지 교반하여 코오팅액을 만들었다.
조작
실시예 1에서 만든 타정용 과립을 사용하여 로타리식 타정기를 이용하여 제조한 직경 8.5mm, 정제 1개의 중량 210mg, 정제표면에 등분선의 각인(폭0.5mm, 깊이0.25mm, 각도90°)을 한 정제 10kg을 하이 코오터
Figure kpo00006
(HCT-60형)에 넣고 종래의 방법에 따라 코오팅을 하고 위의 코오팅액 3kg을 분무했을 시점에서 정제 1개당 코오팅량이 약 5mg인 정제를 만들었다. 다음에 공기 공급과 배기를 중단한 후 탄산칼슘 400g을 가하고 팬을 10분간 작동시켜 각인된 유입부분에 탄산칼슘을 균일하게 부착시킨 다음 공기공급과 배기에 의한 통풍을 하면서 2분간 작동시켜 과잉의 탄산칼슘을 제거했다. 이어서 실시예 6에서 사용한 코오팅액 1kg을 사용하여 종래의 방법에 따라 코오팅을 함으로써 정제 1개당 코오팅량이 약 6mg이고 각인부분이 백색인 황갈색 정제를 만들었다.
[실시예 8]
코오팅액 제조
코오팅액 -1
히드록시프로필메탈 셀롤로오스 7부
세스퀴 산화철 2부
91부
코오팅액 -2
메타크릴산과 아크릴산 에틸에스테르와의
공중합물의 수성분산체(Dudragit L 30 d 55
Figure kpo00007
)
(Rohm Pharma GMBH : 회사제) 50부
위의 성분을 균일하게 분산 또는 용해할 때가지 교반하여 코오팅액 -1 및 코오팅액 -2을 만들었다.
조직
실시예6에서 만든 타정용 과립을 사용하고 로타리식 타정기를 이용하여 제조한 직경 9mm, 정제 1개당 중량 280mg 정제 표면에 숫자 "510"을 각인(폭 0.2mm, 깊이 0.1mm, 각도 50°)을 한 정제 12kg을 하이 코우터(HCT-60형)에 넣고 종래의 방법에 따라 코오팅을 하고 위의 코오팅액 -1.3kg을 분무했을때의 시점에서 정제 1개당 코오팅량이 약 4mg인 정제를 만들었다. 다음에 공기 공급과 배기를 중단한후 락토오스 600g을 가하여 팬을 2분간 작동시킨 후 공기공급과 배기에 의한 통풍을 하면서 과잉의 락토오스를 제거한 다음 위의 코오팅액 -2.7kg을 사용하여 종래의 방법에 따라 코오팅을 하여 정제 1개당 코오팅의 약 2.1mg이며 각인 부분이 백색인 적갈색 정제를 만들었다. 또한, 락토오스 대신에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信義化學(株)회사제품 L-HPC)600g을 사용하고 위의 방법을 반복함으로써 각인 부분이 백색인 적갈색 정제를 만들었다. 이들 정제는 일본 약전에 상술된 장용성 제제의 시험규격에 적합했다.
[실시예 9]
코오팅액 제조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5부
스테아르산 0.5부
에틸알코올 40부
염화 메틸렌 60부
위의 성분을 균일하게 용해할 때까지 교반하여 코오팅액을 만들었다.
조작
실시예 1에서 만든 타정용 과립을 사용하여 로타리식 타정기를 이용하여 만든 직경 10mm, 정제 1개 중량 360mg, 정제 표면에 숫자 "135"의 각인(폭 0.43mm, 깊이 0.23mm, 각도 60°)을 한 정제 15kg을 하이코우더(HCT-60형)에 넣고 종래의 방법에 따라 코오팅을 하고 위의 코오팅액 2.5kg을 분무한 시점에서 정제 1개당 코오팅량이 약 2mg인 정제를 만들었다. 다음에 공기공급과 배기를 중단한 후 미리 만니틀 100부 FD &C 황색 5호 색소 5부에 물 약 10부를 가하여 혼합 건조하고 분쇄한 물질 500g을 가하고 팬을 2분간 작동시켜 각인된 요입부분에 이 물질을 균일하게 부착시킨 다음 공기 공급과 배기에 의한 통풍을 하면서 1분간 작동시켜 과잉의 물질을 제거했다.
다음에 위의 코오팅액 1kg을 사용하여 종래의 방법에 따라 코오팅을 함으로써 정제 1개당 코오팅량이 약 3mg이며 각인 부분이 적황색인 정제를 만들었다.
[실시예 10]
코오팅액 제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5부
세스퀴 산화철 1부
활석 0.5부
물 90부
위의 성분을 균일하게 분산 또는 용해할때까지 교반하여 코오팅액을 만들었다.
조작
실시예 1에서 만든 타정용 과립을 사용하고 로타리식 타정기를 이용하여 직경 8mm, 정제 1개의 중량 200mg, 정제 표면에 숫자"124"의 각인(폭 0.36mm, 깊이 0.18mm, 각도 60°)을 한 정제 12kg을 하이코우더
Figure kpo00008
(HCT-60형)에 넣고 종래의 방법에 따라 코오팅을 하고 위의 코오팅액 1.5kg을 분무했을 시점에서 정제 1개당 코오팅량이 약 1mg인 정제를 만들었다. 다음 공기 공급과 배기를 중단한후 미리 10부와 수크로오스지방산에스테르(日本第-工業製藥(株)회사제, DKF-50)1부를 혼합한 혼합물 200kg을 가하고 팬을 3분간 작동시켜 각인된 요입부분에 혼합물을 균일하게 부착시킨 다음 공기 공급과 배기에 의한 통풍을 하면서 1분간 작동시켜 과잉의 혼합물을 제거하고 계속해서 90℃의 열풍를 15분간 통풍 시킴으로써 각인 부분이 배색인 적갈색 정제를 만들었다. 또한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 대신에 경화유(Freund 産業(株)회사제품, Lubri Wax 101
Figure kpo00009
을 사용하여 위의 방법을 반복함으로써 각인 부분이 백색인 적갈색 정제를 만들었다.
[실시예11]
코오팅액 제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6부
황색 산화철 1.5부
글리세린 0.5부
물 90부
위의 성분을 균일하게 분산 또는 용해할 때까지 교반하여 코오팅액을 만들었다.
조작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정제 15kg을 하이코우더
Figure kpo00010
(HCT-60형)에 넣고 종래의 방법에 따라 코우팅을 하고 위의 코오팅액 2.5kg을 분무했을 시점에서 정제 1개당 코오팅량이 약 2mg인 정제를 만들었다. 다음에 공기 공급과 배기를 중단한 후 탄산마그네슘 5부와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0의 1부와의 혼합 분쇄물 600g을 가하고 팬을 2분간 작동시켜 각인된 요입부분에 혼합 분쇄물을 균일하게 부착시킨 후 공기 공급과 배기에 통풍을 하면서 1분간 작동시켜 과잉의 혼합분쇄물을 제거하고 계속하여 80℃의 열풍을 15분간 통풍시켜 각인 부분이 백색인 황갈색 정제를 만들었다.
[실시예 12]
코오팅액 제조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7부
FD &C 황색 5호 알루미늄 레이크색소 0.5부
글리세린 0.5부
물 90부
위의 성분을 균일하게 분산 또는 용해할 때까지 교반하여 코오팅액을 만들었다.
조작
실시예 1에서 만든 과립을 사용하고 로로타식 타정기를 이용하여 직경 9mm, 정제 1개의 중량 280mg, 정제 표면에 숫자 "510"의 각인(폭 0.2mm, 깊이 0.1mm, 각도 5℃)을 한 정제 4kg을 직경 약 40cm인 코우팅팬에 넣고 종래의 방법에 따라 위의 코우팅액 1.2kg을 이용하여 코우팅한 후 스테아트산 1부와 산화마그네슘 1부로된 혼합물 180g을 정제에 첨가하고 팬을 5분간 작동시켜 각인된 요입부분에 혼합물을 균일하게 부착시켰다.
이어서 앞쪽 끝부분에 가아제로 덮어 씌운 배기관을 정제속으로 삽입하여 공기 흡인에 의해 과잉의 혼합물을 제거한 다음 80℃로 5분간 가열해서 각인 부분이 백색인 적황색 정제를 만들었다.

Claims (15)

  1. 각인부분에 각인 부분이외와 색조가 상이한 분말성 물질 또는 분말을 부착시키고 그위에 코오팅을 하여 선명한 각인을 가진 정제.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부착물질을 부착시키기 전에 정제에 코오팅을 하여서된 정제.
  3.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분말성 물질 또는 분말로서는 무기질 색소,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또는 전분을 사용한 정제.
  4. 청구범위 제3항에 있어서 무기질 색소로서는 활성 탄산마그네슘, 규산 마그네슘, 산화 마그네슘 또는 수산화 알루미늄을 사용한 정제.
  5.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분말성 물질 또는 분말로서는 실온에서 고체이며 용융점이 90℃ 이하인 왁스와 분말성 물질 또는 분말과의 혼합물을 사용한 정제.
  6. 청구범위 제5항에 있어서 왁스의 사용량을 기타 분말성 물질 또는 분말에 대해 5-50%로 하여서된 정제.
  7. 각인부분에 각인부분 이외와 색조가 상이한 분말성 또는 분말을 부착시키고 그위에 코오팅을 하여 선명한 각인을 가진 정제의 제조방법.
  8. 청구범위 제7항에 있어서 정제에 다시더 코오팅 처리를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제조방법.
  9. 청구범위 제7항에 있어서 정제와 부착물질을 거의 건조한 상태에서 혼합 접촉시킨 후 각인된 요입부분에 부착된 물질이외의 과잉의 물질을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제조방법.
  10. 청구범위 제9항에 있어서 팬을 이용하여 물질을 부착시키는 정제 제조방법.
  11. 청구범위 제10항에 있어서 팬으로서는 통류식 팬을 사용하는 정제 제조방법.
  12. 청구범위 제9항에 있어서 정제층 속으로 공기를 통과시켜 과잉의 물질을 제거하는 정제 제조방법.
  13. 청구범위 제12항에 있어서 통류건조형 팬속으로 동시에 공기를 공급하고 배기함으로써 공기를 통과시키는 정제 제조방법.
  14. 실온에서 고체이며 용융점이 90℃ 이하인 왁스와 분말성 물질 또는 분말과의 혼합물을 각인된 요입부분에 부착시킨 뒤 40-90℃로 가열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명한 각인을 가진 정제 제조방법.
  15. 청구범위 제14항에 있어서 정제에 다시 더 코오팅 처리를 하는 정제 제조방법.
KR1019830000876A 1982-03-08 1983-03-04 선명한 각인을 가진 정제 제조방법 KR8900041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37046 1982-03-08
JP57037046A JPS58152813A (ja) 1982-03-08 1982-03-08 鮮明な刻印を有する錠剤およびその製法
JP37046 1982-03-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994A KR840003994A (ko) 1984-10-06
KR890004122B1 true KR890004122B1 (ko) 1989-10-21

Family

ID=12486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0876A KR890004122B1 (ko) 1982-03-08 1983-03-04 선명한 각인을 가진 정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002775A (ko)
EP (1) EP0088556B1 (ko)
JP (1) JPS58152813A (ko)
KR (1) KR890004122B1 (ko)
CA (1) CA1222696A (ko)
DE (1) DE3380591D1 (ko)
DK (1) DK160228C (ko)
ES (1) ES84041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2813A (ja) * 1982-03-08 1983-09-10 Sumitomo Chem Co Ltd 鮮明な刻印を有する錠剤およびその製法
KR840000624A (ko) * 1982-06-02 1984-02-25 원본미기재 부식억제 페인트 조성물
DE69005768T2 (de) * 1989-04-18 1994-04-28 Taisho Pharmaceutical Co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geschmacksmaskiertenzubereitung.
NZ241613A (en) * 1991-02-27 1993-06-25 Janssen Pharmaceutica Nv Highlighting intagliations in tablets
US5256440A (en) * 1992-06-22 1993-10-26 Merck & Co., Inc. Process for producing a tablet core aperture
US5683718A (en) * 1995-04-04 1997-11-04 Time-Cap Labs, Inc. Enteric coated tablet with raised identification characte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827535A (en) * 1996-06-21 1998-10-27 Banner Pharmacaps, Inc. Graphically impressed softgel and method for making same
EP1413296A1 (en) * 1998-05-07 2004-04-28 ALZA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ng a banded prolonged release active agent dosage form
US6365183B1 (en) 1998-05-07 2002-04-02 Alza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ng a banded prolonged release active agent dosage form
HN2000000165A (es) * 1999-08-05 2001-07-09 Dimensional Foods Corp Productos holograficos comestibles, particularmente farmaceuticos, y metodos y aparatos para producirlos.
JP4700833B2 (ja) * 2000-04-26 2011-06-15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フィルムコーティング層で被覆された固形製剤の製造方法及び固形製剤処理装置
KR100367730B1 (ko) * 2000-05-08 2003-01-14 주식회사 지에프 입체형 그림스틱캔디 제조용 대칭형 형틀과 그를 이용한입체형 그림스틱캔디의 제조방법
KR100450735B1 (ko) * 2001-02-15 2004-10-01 주식회사 지에프 패드 인쇄를 이용하여 입체형 사진을 갖는 캔디를제조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캔디
US7838026B2 (en) 2001-09-28 2010-11-23 Mcneil-Ppc, Inc. Burst-release polymer composition and dosage forms comprising the same
US7122143B2 (en) 2001-09-28 2006-10-17 Mcneil-Ppc, Inc. Methods for manufacturing dosage forms
US6837696B2 (en) 2001-09-28 2005-01-04 Mcneil-Ppc, Inc.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osage forms
EP1429746B1 (en) * 2001-09-28 2008-08-13 McNEIL-PPC, INC. Dosage forms having an inner core and outer shell
US7217381B2 (en) 2001-09-28 2007-05-15 Mcneil-Ppc, In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anufacturing dosage forms
US7807197B2 (en) 2002-09-28 2010-10-05 Mcneil-Ppc, Inc. Composite dosage forms having an inlaid portion
US20040185093A1 (en) * 2003-03-18 2004-09-23 Szymczak Christopher E. Compositions containing sucralose
EP1700591A4 (en) 2003-12-01 2011-08-03 Takeda Pharmaceutical PROCESS FOR TREATING SOLID PHARMACEUTICAL PREPARATION PRIOR TO PRINTING AND SOLID PHARMACEUTICAL PREPARATION SUBJECT TO PROCESSING BEFORE PRINTING
US7780985B2 (en) * 2005-07-12 2010-08-24 Accu-Break Technologies, Inc. Tablets having a printed separation mark to guide breaking
US20060062811A1 (en) * 2004-09-21 2006-03-23 Szymczak Christopher E Medicinal cooling emulsions
US8383159B2 (en) 2004-10-27 2013-02-26 Mcneil-Ppc, Inc. Dosage forms having a microreliefed surface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ir production
US8069782B2 (en) * 2004-12-20 2011-12-06 Nanoink, Inc. Stamps with micrometer- and nanometer-scale features and methods of fabrication thereof
WO2007035926A2 (en) * 2005-09-22 2007-03-29 Bpsi Holdings, Inc. Method for printing on tablets and etched printing plate used therein
WO2007121356A2 (en) * 2006-04-13 2007-10-25 Accu-Break Technologies Method of treatment with predictably breakable pharmaceutical tablets
US20100297228A1 (en) * 2007-10-29 2010-11-25 Nanolnk, Inc. Universal coating for imprinting identification features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5490A (en) * 1964-03-17 Tablet with contrasting indicia and method
US2161990A (en) * 1937-07-12 1939-06-13 Dennison Mfg Co Decorative method and product
US2539303A (en) * 1947-10-24 1951-01-23 Us Rubber Co Method of marking golf balls
US2687367A (en) * 1952-05-05 1954-08-24 Lilly Co Eli Medicinal tablet containing identification fragments
US2996431A (en) * 1953-12-16 1961-08-15 Barry Richard Henry Friable tablet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US2865810A (en) * 1955-10-07 1958-12-23 Jr Roy Y Sanders Marked pharmaceutical tablet and method of marking the same
US3015610A (en) * 1957-11-04 1962-01-02 Jr Roy Y Sanders Marked pharmaceutical tablet
US2925365A (en) * 1957-11-27 1960-02-16 Smith Kline French Lab Coloring solid pharmaceutical forms and compositions therefor
FR1214530A (fr) * 1959-01-19 1960-04-08 Procédé de décoration en série de plaquettes comestibles
US3054724A (en) * 1960-05-12 1962-09-18 Smith Kline French Lab Coloring discrete solids and compositions therefor
US3015609A (en) * 1960-07-29 1962-01-02 Jr Roy Y Sanders Marked pharmaceutical tablet and method of marking the same
US3159544A (en) * 1963-02-11 1964-12-01 Smith Kline French Lab Method of printing pharmaceutical forms and product thereof
US3438797A (en) * 1965-10-21 1969-04-15 Jerry Allen Biddle Sr Method of preparing pharmaceutical tablets
US3443515A (en) * 1966-08-03 1969-05-13 Intern Corp Apparatus for flat plate powder gravure printing
US3533804A (en) * 1968-02-02 1970-10-13 Miles Lab Tablet branding process and tablet
US3981984A (en) * 1968-04-01 1976-09-21 Colorcon Incorporated Color film coating of tablets and the like
US3633502A (en) * 1969-03-13 1972-01-11 Minnesota Mining & Mfg Intaglio printing block with reservoir for powdered ink
US3759176A (en) * 1969-03-13 1973-09-18 Minnesota Mining & Mfg Method of intaglio printing on tacky sheet material
US3631798A (en) * 1970-04-23 1972-01-04 Owens Illinois Inc Pneumatic doctoring of solid ink particles from intaglio plate
US4112189A (en) * 1974-10-10 1978-09-05 Gaf Corporation Process for multi-color valley printing and embossing of flooring material and the like and flooring material made by said process
US4139613A (en) * 1975-07-23 1979-02-13 Kufner Textilwerke Kg Process for the patterned deposition of powdered thermoplastic adhesive materials on the outer surface of a surface form
DE2534845A1 (de) * 1975-08-05 1977-02-10 Schering Ag Druckverfahren und dafuer geeignete schmelzdruckfarben
JPS53149080U (ko) * 1977-04-27 1978-11-24
DE2820981C2 (de) * 1977-09-27 1995-07-06 Colorcon Pharmazeutische Tablette und Verfahren zum Färben einer pharmazeutischen Tablette
US4212899A (en) * 1979-04-12 1980-07-15 Union Carbide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a colorant containing highlighted coated substrate
US4353887A (en) * 1979-08-16 1982-10-12 Ciba-Geigy Corporation Divisible tablet having controlled and delayed release of the active substance
US4543370A (en) * 1979-11-29 1985-09-24 Colorcon, Inc. Dry edible film coating composition, method and coating form
IE53157B1 (en) * 1981-03-09 1988-08-03 Ici Plc Coated coloured intagliated articles
ZA82604B (en) * 1981-03-09 1982-12-29 Ici Plc Coated coloured intagliated articles
JPS58152813A (ja) * 1982-03-08 1983-09-10 Sumitomo Chem Co Ltd 鮮明な刻印を有する錠剤およびその製法
KR840000624A (ko) * 1982-06-02 1984-02-25 원본미기재 부식억제 페인트 조성물
EP0096982B1 (en) * 1982-06-10 1987-09-16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Manufacture of highlighted intagliated art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160228B (da) 1991-02-18
US5002775A (en) 1991-03-26
DK111783A (da) 1983-09-09
DE3380591D1 (en) 1989-10-26
ES520369A0 (es) 1984-04-16
DK111783D0 (da) 1983-03-07
DK160228C (da) 1991-07-22
EP0088556A2 (en) 1983-09-14
CA1222696A (en) 1987-06-09
EP0088556A3 (en) 1984-09-05
ES8404181A1 (es) 1984-04-16
KR840003994A (ko) 1984-10-06
JPS58152813A (ja) 1983-09-10
EP0088556B1 (en) 1989-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4122B1 (ko) 선명한 각인을 가진 정제 제조방법
US5006362A (en) Branding pharmaceutical dosage forms, food and confectionery products with aqueous ingestible inks
US7166153B2 (en) Printing process with edible inks
US3694237A (en) Edible ink
EP0060023B1 (en) Coated coloured intagliated articles
JPH06504935A (ja) 錠剤における陰刻を目だたせる方法
US3576663A (en) Coated tablet
US20030097949A1 (en) Transfer printing process with edible inks
WO2005053599A1 (ja) 固形製剤の印刷前処理方法及び印刷前処理方法が施された固形製剤
US3395202A (en) Pigment composition for marking gelating capsules
KR100721088B1 (ko) 필름 코팅층으로 피복된 고형제제 및 필름 코팅제
JPS58192819A (ja) 鮮明な刻印を有する錠剤の製法
JPS59144716A (ja) 鮮明な刻印を有する錠剤の製造法
EP0536260B1 (en) Gelatin coated medicament and process for making same
JPS6351109B2 (ko)
JP2000042089A (ja) 経口投与製品の印刷方法及び印刷用インク
JP3832547B2 (ja) 経口投与製品の印刷インク
US207543A (en) Improvement in methods of marking and ornamenting glazed ware
JPS625403B2 (ko)
EP0362893A2 (en) Printing paste, method for printing textile products using the paste, and textile products obtained thereby
GB2237243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fer
GB2023502A (en) Temporary supports for transfer printing
JP2000229847A (ja) 経口投与製品の印刷方法
JPS5953814B2 (ja) 可食性の印刷インク
GB2191117A (en) The production of coated intagliated 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