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917B1 - 인자기구 - Google Patents

인자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917B1
KR890003917B1 KR1019850000669A KR850000669A KR890003917B1 KR 890003917 B1 KR890003917 B1 KR 890003917B1 KR 1019850000669 A KR1019850000669 A KR 1019850000669A KR 850000669 A KR850000669 A KR 850000669A KR 890003917 B1 KR890003917 B1 KR 890003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magnetic member
core
printing mechanism
permanent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0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5974A (ko
Inventor
데쓰지 시모죠오
미네오 하라다
히데요 다나까
가나메 후루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50005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5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8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building-up characters or image elements applicable to two or more kinds of printing or marking processes
    • B41J2/5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building-up characters or image elements applicable to two or more kinds of printing or marking processes from an assembly of identical prin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2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impact or pressure on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2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impact or pressure on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print wires
    • B41J2/27Actuators for print wires
    • B41J2/28Actuators for print wires of spring charge type, i.e. with mechanical power under electro-magnetic control

Landscapes

  • Impact Printers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자기구
제1도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와이어매트릭스형 인자 헤드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아마츄어의 사시도.
제3도는 아마츄어, 코어 및 요크의 분해사시도.
제4도는 아마츄어의 변형 실시예의 측면도.
본원 발명은 인자기구(印字機構)에 관한 것이며, 특히 와이어매트릭스형 인자헤드에 있어서의 아마츄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와이어매트릭스형 인자헤드로서 캔슬형 인자헤드 또는 스프링차지식 인자헤드가 알려져 있으며, 그 예로서 미합중국 특허 제4,225,250호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러한 와이어매트릭스형의 인자헤드에 있어서, 탄성부재가 인자헤드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영구자석에 의하여 변형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인자기구의 구동에 있어서, 영구자석의 흡인력은 전자석에 의하여 발생되는 자속에 의하여 해제되며, 따라서 탄성부재에 축적된 변형에너지가 와이어를 구동하여 용지에 격돌하도록 한다. 이러한 종류의 인자헤드는 클래퍼(clapper)형 등의 인자헤드에 있어서 여러가지 점에서 우수한 것이다. 그러므로, 캔슬형의 와이어매트릭스 인자헤드는 최근에 흔히 사용되게 이르렀다.
본원 발명의 출원인은 이미 1983년 3월 31일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 480,788호에 개량된 인자헤드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 미합중국 특허 출원에 기재된 인자헤드에 있어서, 전자석을 구성하는 코어가 인자중의 발열에 의해서 열팽창하고, 이 때문에 코어의 흡인면인 자성면(제 1자성면)이 영구자석에 부착되어 있는 요크의 흡인면인 자성면(제 2자성면)보다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그 결과, 자성부재인 아마츄어가 영구자석에 의하여 흡인될때 아마츄어의 자성면이 전자석의 코어의 자성면 후단과 충돌하여 아마츄어의 자성면이 마모 또는 손상되어 동직불능이 되는 사태가 발생한다. 또, 아마츄어의 흡인력은 저하되며, 인자후의 아마츄어의 복귀시간이 늦어지는 것을 면할 수 없다.
본원 발명의 목적은 아마츄어가 전자석의 코어의 후단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인자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원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마츄어와 영구자석 사이의 흡인력을 감소시키지 않는 인자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아마츄어가 인자기구를 회동하도록 하는 하나의 소정 회동지점을 갖춘 인자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원 발명의 인자기구는 인자요소를 구동하기 위한 아마츄어로서의 자성부재와, 변형에너지를 축적하기 위해 자성부재의 일단에 고정된 판스프링으로서의 탄성부재와, 상기 자성부재를 흡인하는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 위에 부착된 요크와, 영구자석에 의한 흡인력을 해제하기 위해 감겨 있는 코일을 갖춘 코어를 포함한 전자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흡인력이 해제된 상기 자성부재는 회동지점을 축으로 탄성부재에 축적된 에너지에 의하여 회동가능하며, 예를들면 전자석에 의한 자속에 의해 흡인력이 해제될때 자성부재의 회전지점이 요크상의 제2자성면상에 형성된다.
이 자성부재는 제1면과 제2면으로 되어 있으며, 제1면은 자성부재가 동작하지 않을때 제1자성면에 계지되는 평평한 평면이다. 제2면은 제1자성면의 후단과 접촉되지 않도록 요부로 형성된다.
상기 코어의 제1자성면과 요크의 제2자성면이 동일면으로 되며, 자성부재는 요크의 제2자성면에 계지되는 제3면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코어에 대향하는 제3면은 통상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하여 동일면이 형성된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아마츄어는 최초위치로 복귀할때 아마츄어와 코어의 후단과의 충돌이 방지된다. 또, 상기 아마츄어의 제2면인 요부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코어와 아마츄어 사이의 마모 등 손상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와아이매트릭스형 인자헤드는 아마츄어의 각 일단에 방사형으로 배설된 복수개의 인자기구를 조립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아마츄어의 흡인력이 증가되고, 각 아마추어가 소정 위치로 복귀하기 위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와이어매트릭스형 인자헤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음에,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적용에는 와이어메트릭스형 인자헤드이며, 이 경우 인자요소는 복수개의 와이어이다. 7개 또는 9개의 와이어는 알파베트 및 수자를 인자하는데 충분하다. 그러나, 예를들면, 특수 문자인 한자를 인자할 경우에는 16개 또는 24개의 많은 와이어가 필요하다.
제1도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캔슬형 와이어매트릭스 인자헤드의 부분 측면도 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아마츄어로서의 자성부재(1)의 일단에는 경량화를 위해 레버(5)가 접합되고, 이 레버(5)의 선단에는 와이어(6)가 고정되며, 이 레버(5)의 재료는 예를들면 경량으로 하기 위해 스테인레스스틸로 되어 있다. 아마츄어(1)의 후단에는 판스프링으로서 탄성부재(10)이 접합되며, 이 판스프링(10)의 후단은 스크류(9)로 계합 되어 있다. 스크류(9)는 인자헤드의 하우징(8)에 회전할 수 있도록 끼워지며, 이 스크류(9)를 회전시킴으로써 판스프링(10)의 편의력을 조절할 수 있다. 편의력의 조절이 불필요하면 스크류(9)는 필요하지 않으며, 하우징(8)에 판스프링의 타단을 고정하면 된다.
아마츄어(1)에 대향하여, 이 아마츄어(1)를 회전시키는 수단으로서 자기회로가 형성된다. 즉, 코어(4)의 주위에는 코일(7)이 배설된다. 코어(4)의 타단측에는 영구자석(3)에 배설되고, 이 영구자석(3) 위에 요크(2)가 배설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통상 상태에 있어서 아마츄어(1)은 영구자석(3)에 의한 자력에 의하여 요크(2)의 상면에 흡입되고, 판스프링(10)에 탄성편의력이 부여되어 변형에너지가 축적된다. 이 편의력은 상기 스크류(9)의 삽입길이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인자시에는 코일(7)에 전류가 통전되어 이 코어(4)의 전자력에 의해서 영구자석(3)에 의한 흡인력이 해제된다. 그리고, 판스프링(10)의 변형에너지에 의해서 아마츄어(1)는 그 후단에너지(P)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와이어(6)가 화살표 A방향으로 구동되고, 용지에 격돌하여 문자의 구성부인 점을 인자한다. 와이어(6)의 선단이 격돌한 후 영구자석(3)에 의햐 흡인되어 원래로 상태로 복귀한다.
본원 발명의 특징적인 것은 아마츄어(1)의 구조 및 다른 구성요소와의 관계에 있다.
제2도 및 제3도와 같이, 아마츄어(1)가 코어(4)의 자성면(41)의 후단(42)에 대응하는 부분에 제2면인 요부(12)가 형성되며, 이 제2면은 코어(4)의 자성면(41)과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아마츄어(1)의 제1면으로서의 자성면(11)은 코어(4)의 자성면(41)에 대향하며, 제3면으로서의 자성면(13)은 요크(2)의 자성면(21)에 대향하여,각각 이와 계지한다.
와이어매트릭스형 인자헤드를 조립하는데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인자기구는 통상적으로 원형으로 배설되며, 각 와이어(6)는 각 아마츄어의 단부에서 방사형으로 돌출되어 있다. 각 코어(4)의 횡단면은 쐐기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요부(12)는 상기 쐐기형의 일단을 부분적으로 덮는다.
요부(12)는 요크(2)에 가장 가까운 코어의 후단(42)를 덮기 때문에, 요부(12)의 자성면은 아마츄어(1)가 영구자석(3)에 의한 흡인력에 의하여 흡인될때, 자성면(11)이 코어(4)의 자성면(41)에 접촉해도 코어(4)의 후단(42)에 접촉되지 않는다. 요부(12)의 깊이에 대해서는 임의의 수직단면적(Sa)이 아마츄어(1)의 자성면(11)에 대응한 선(43)에 의하여 규정되는 면적(Sc)보다 커지도록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부(12)의 어느 임의의 수직단면(Sa)에서나 이 조건이 성립되도록 하면 흡인력을 저하시키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인자중 코일(7)에 의한 발열로 인해 코어(4)가 열팽창하고, 이 때문에 코어(4)의 자성면(41)이 요크(2)의 자성면(21)보다 높아지더라도 아마츄어(1)는 인자중 회동지점(P)이 회전중심이 된다. 왜냐하면, 요부(12)는 코어(4)의 후단(42)에 접촉되지 않기 때문이다. 코일(7)에 의한 발열로 인해 코어(4)의 자성면(41)이 요크(2)의 자성면(21)보다 높아져도 아마츄어(1)가 회전하는 회동지점은 코어(4)의 후단(42)이 아닌 회동지점(P)라는 사실은 인자중 타이밍의 변화를 피함으로써 긴 서류에 있어서 문자 형성을 일정하게 해 준다. 또, 이러한 특징은 아마츄어 및 코어의 마모와 기능저하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 따라 본원 발명은 기술했으나, 본원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종 변형을 행할 수 있다. 예를들면, 아마츄어(1)의 형상은 제4도와 같이 변형할 수 있다. 요부의 하나의 측면(14)은 경사를 이루며, 바꾸어 말하면 요부(12)는 표면(14)에 의하여 자성면(11)에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코어(4)의 자성면(41)과 아마츄어(1)의 접촉이 에지 접촉이 되지 않고 경사면(14)에서 면접촉이 되어 양 자성면(11)과 (4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물론 이외에도 요부의 형상, 코어의 단면형상 및 아마츄어는 다른 실시예로서 여러가지로 변형할 수 있다.
다른 변형예로서, 아마츄어에는 레버를 통해서 와이어를 결합하지 않고, 아마츄어에 와이어를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아마츄어의 길이를 레버의 길이만큼 더욱 연장시키면 당연히 중량이 증가되는 것은 면할 수 없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원 발명에 의한 인자기구는 와이어매트릭스형 인자헤드에 한하지 않고, 공지의 다른 임팩트형 인자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들면 임팩트형 인자기를 인자햄머를 선택적으로 때리기 위해 라인 인자기에 문자드럼을 향하게 하고, 상기 복수개의 아마츄어 인자기구를 일련적으로 배설하여 구성할 수 있다.

Claims (17)

  1. 소정 회동지점을 축으로 회동가능한 자성부재와, 상기 자성부재를 흡인하는 영구자석과, 상기 자성부재와 대향하는 제1자성면과, 상기 자성부재를 회동시키기 위하여 영구자석수단에 의한 흡인력을 해제하기 위해 감겨 있는 코일을 갖춘 코어를 포함한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인자기구에 있어서, 상기 자성부재는 코어의 제1자성면에 계지되는 제1면과, 상기 회동지점을 축으로 자성부재가 회동할때 코어의 제1자성면에 대향하고 있으나 접촉되지 않는 제2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자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변형에너지를 축적하기 위하여 상기 자성부재의 후부에 고정된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자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자성부재에 대향하는 자성면을 가지며, 상기 자성부재는 영구자석의 자성면에 계지되는 제3면을 가지며, 상기 회동지점은 상기 자성부재와 자성면이 계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자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제1자성면과 상기 연구자석의 제2자성면은 동일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자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제1자성면은 쐐기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성부재의 제2면은 상기 회동지점에 가장 가까운 코어(4)의 제1자성면의 후단에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자기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부재의 제2면은 제1면과 제3면 사이에 위치하며, 제1면에서 안쪽으로 요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자기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부재의 제1면 및 제3면은 동일면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자성부재의 제2면은 상기 동일면상에서 안쪽으로 요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자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 위에 인접하여 부착된 요크로 이루어지며, 상기 요크는 상기 자성부재에 대향하는 제2자성면을 가지며, 상기 자성부3재는 제2자성면에 계지함으로써 회동지점을 형성하도록 제2자성면에 계지되는 제3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인자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제1자성면과 요크의 제2자성면은 전자석이 상당 시간동안 동작하지 않을때 동일면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자기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제1자성면은 쐐기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성부재의 제2면은 회동지점에 가장 가까운 코어의 제1자성면의 후단에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자기구.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부재의 제2면은 상기 제1면과 제3면 사이에 위치하며, 제1면에서 안쪽으로 요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자기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부재는 코어에 감겨져 있는 코일을 포함한 전자석에 대향하여 회동하는 아마츄어이며, 상기 코어에 계지되는 제1면과, 제1면에 인접하여 상기 코어 위에 부분적으로 걸쳐 있는 제2면으로 이루어지며, 이 제2면은 상기 코어에 계지되지 않도록 상기 제1면에서 안쪽을 요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자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부재의 제2면에 인접하며, 이 제2면에 의하여 제1면관 분리되어 있는 제3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자기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부재의 제1면의 단부에 고정된 인자요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자기구.
  15. 제12항에 있어서, 제2면에 대한 수직단면적은 상기 코어에 계지되는 자성부재의 제1면에 의하여 규정되는 코어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자기구.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부재의 제1면 및 제3면은 동일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자기구.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부재는 전자석의 코어에 계지되는 평평한 제1면과, 상기 제1면에 인접된 제2면과, 상기 제2면에 인접되어 제2면에 의하여 제1면에서 분리되며, 제1면과 동일면으로 이루며, 아마츄어의 회동을 위한 회동지점을 이루는 후단애지를 가지는 평평한 제3면으로 이루어지는 아마츄어이고, 상기 아마츄어의 제1면, 제2면 및 제3면은 연속된 일체의 면이여, 상기 제2면은 상기 동일면에서 안쪽으로 요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자기구.
KR1019850000669A 1984-02-22 1985-02-02 인자기구 KR8900039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218 1984-02-22
JP59030218A JPS60174659A (ja) 1984-02-22 1984-02-22 印字機構
JP84-30218 1984-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974A KR850005974A (ko) 1985-09-28
KR890003917B1 true KR890003917B1 (ko) 1989-10-12

Family

ID=12297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0669A KR890003917B1 (ko) 1984-02-22 1985-02-02 인자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822188A (ko)
JP (1) JPS60174659A (ko)
KR (1) KR8900039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756Y2 (ja) * 1988-09-01 1994-05-0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ワイヤドット印字ヘッドのアーマチュア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26306A1 (de) * 1971-05-27 1972-12-07 Elmeg Elektromagnetsystem mit gegen eine Polfläche bewegbarem Magnetanker
CA1037422A (en) * 1973-09-07 1978-08-29 Carl E. Koontz Pry-off closure cap
FR2287340A1 (fr) * 1974-10-08 1976-05-07 Sagem Perfectionnements apportes aux dispositifs ou tetes d'impression pour imprimantes ou analogues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e telle tete d'impression
GB2049557B (en) * 1979-05-11 1983-03-16 Oki Electric Ind Co Ltd Dor printer head
JPS5824351U (ja) * 1981-08-10 1983-02-1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ドット印字ヘッド
JPS58177374A (ja) * 1982-04-12 1983-10-18 Hitachi Ltd 印字ヘツド
JPS58177372A (ja) * 1982-04-12 1983-10-18 Hitachi Ltd 印字ヘツド
JPS58215364A (ja) * 1982-06-09 1983-12-14 Hitachi Ltd 印字ヘツド
DE3340596A1 (de) * 1982-11-16 1984-05-24 Tokyo Electric Co., Ltd., Tokyo Matrixdrucker
US4503768A (en) * 1983-07-11 1985-03-12 Mannesmann Tally Corporation Single piece hammer module
US4569605A (en) * 1984-02-02 1986-02-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Wire driving armature for dot pri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974A (ko) 1985-09-28
US4822188A (en) 1989-04-18
JPH054222B2 (ko) 1993-01-19
JPS60174659A (ja) 198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7031B2 (en) Impact printhead
US4674896A (en) Printing mechanism for an impact matrix printer
KR890003917B1 (ko) 인자기구
US4004505A (en) Electromagnetic striker mechanism for a printer
JPH0372467B2 (ko)
EP0028539A2 (en) Print hammer assembly
KR880001160B1 (ko) 인자헤드
EP0357057A2 (en) Armature of printing head for use in wire printer
JP2788867B2 (ja) 印字アクチュエータ
JPH078201Y2 (ja) ワイヤドット印字ヘッド
EP0113006B1 (en) Backstop for print lever actuator
JPH0455115B2 (ko)
US4498388A (en) Print hammer mechanism having intermediate pivot fulcrum
EP0576274B1 (en) Wire-dot printing heads
JP2716367B2 (ja) 印字ヘッド
JP4071398B2 (ja) ドットプリントヘッド
JPH0634109Y2 (ja) 印字ヘッド
US5186552A (en) Dot matrix print head
JP3021718B2 (ja) ドットラインプリンタ印刷機構
EP0189568A1 (en) Print hammer and drive for daisy wheel printer
JPH0742742Y2 (ja) ドット印字ヘッド
JPH0768798A (ja) 印字ヘッド
JPH0499648A (ja) ドット式印字ヘッド装置
JPS624238B2 (ko)
JPH034491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3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