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760B1 - 다수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제어용 수신기 - Google Patents

다수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제어용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760B1
KR890003760B1 KR1019860006331A KR860006331A KR890003760B1 KR 890003760 B1 KR890003760 B1 KR 890003760B1 KR 1019860006331 A KR1019860006331 A KR 1019860006331A KR 860006331 A KR860006331 A KR 860006331A KR 890003760 B1 KR890003760 B1 KR 890003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output
signal
input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6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2330A (ko
Inventor
이방원
황경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60006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3760B1/ko
Publication of KR880002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26Circuits for superheterodyn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수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제어용 수신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제어 장치의 블럭도.
제2도는 제1도를 미리 설명하기 위한 가부의 전압파형도.
제3도는 제1도의 리플 분주회로 및 복호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제4도는 제3도를 설명하기 위한 각부의 전압 파형도.
제5도는 제3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한 실시예의 회로도.
제6도는 제5도를 설명하기 위한 각부의 전압파형도.
제7도는 지5도를 이용하여 장난감자동차를 제어하기 위한 실시예도.
제8도는 제7도으 모터위치 조절회로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증폭기 20 : 슈미터트리거회로
30 : 비교기회로 40 : 방형파발진회로
50 : 복호회로 60 : 출력구동회로
70 : 정전압회로 80, 90, 100, 110, 120, 130, 140, : 핀번호
150 : 초재생검파회로 160 : 리플분주회로
본 발명은 무선으로 원격조정되는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신기로 부터 송출된 단일주파수이면서 펄스폭이 각각 다른 신호에 의해 변조된 무선신호를 수신검출하여 여러가지의 수신기의 출력상태를 결정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여러가지의 출력상태를 가지는 무선제어 방식의 회로 송신기에서 각각의 기능에 해당하는 주파수로 변조된 신호를 송출하면 상기 송신신호를 수신기에서 수신한다.
이때 이들 신호를 수신기에 검파하여 증폭기로 증폭한 후 이 신호를 대역통과여파기를 통하여 피크검파시킨다.
따라서 송신기에서 송출된 각각의 기능에 해당하는 주파수의 신호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검파기의 출력이 주어지는데 이 출력의 크기를 검출하므로써 수신기의 출력상태가 결정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방식은 송·수신회로가 복잡하게 되고 수신감도가 일반적으로 무선 조종방식에 사용되는 초재생 방식에 의한 것보다 크게 떨어지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 다른 폭으로 변조된 송신신호의 변조폭을 검출하여 송신신호의 변조폭에 따라 여러 상태의 출력상태를 가지는 무선제어방식의 반도체 집적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탈 방식으로 검출하여 출력상태를 결정하므로 무선제어장치에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무선제어방식의 반도체 직접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초재생 신호의 검파된 잡음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외부잡음이나 입력신호의 강약게 의해 오동작을 방지하기 이한 슈미터트리거 회로와, 기준신호와 상기 슈미터트리거회로의 출력신호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기회로와, 시정수에 의해 발진주파수가 결정되어 출력되며 후술하는 리플분주회로의 기준 주파수를 공급하는 방형파 발진회로와, 상기 비교기회로의 각 출력을 입력하여 연결되는 부하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출력구동회로와, 각부에 인정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정전압 회로와, 상기 비교기 출력에 의해 세트/리세트되어 상기 방형파 발진회로의 출력을 분주하는 리플분주회로와, 반송파 신호가 없을시에 켄칭신호와 잡음신호를 출력하며 반송파 신호가 있을시에는 반송주파수에 공진하므로 켄칭신호만 출력하는 초재생 검파 회로로 구성함으로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두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블럭도로서, 초재생신호의 검파된 잡음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10)와, 외부 잡음이나 입력신호의 강약에 의해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슈미터트리거회로(20)와, 기준신호와 상기 슈미터트리거회로의 출력신호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기회로(30)와, 시정수에의해 발진주파수가 결정되어 출력되며 후술하는 리플리분주회로(160)의 기준주파수를 공급하는 방형파 발진회로(40)와, 상기 비교기회로(30)의 펄스폭 및 상기 리플리분주회로(160)의 각 출력을 검출하여 출력상태를 결정하는 복호회로(50)의 각 출력을 입력하여 연결되는 부하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출력구동회로(60)와, 상기 비교기회로(30) 출력에 의해 세트/리세트 되어 상기 방형파 발진회로(40)의 출력을 분주하는 리플분주회로(160)와, 반송파 신호가 없을시에는 켄칭신호와잡음신호를 출력하며 반송파 신호가 있을시에는 반송주파수에 공진하므로 켄칭신호만 출력하는 조재생검파회로(150)로 구성하며 상술하지 않은 부호 80, 90, 110,, 100, 120, 130, 140은 핀번호이고, C1, C2, C3은 캐패시터이며, R2는 저항, VCC는 전원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도의 각부분의 전압 파형도로 상기 제1도의 상술한 구성에 따른 실시예를 기술하면 제2도의 (A), (D), (G) 파형은 수신회로의 각 출력에 해당하는 송신출력들으로서 제1도의 초재생 검파회로(150)에 입력된다.
초재생검파회로(150)는 반송파 신호가 없을시에는 켄칭신호와 잡음신호를 출력하며 반송파 신호가 있을시에는 반송주파수에 공진하므로 켄칭신호만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초재생 검파회로(150)의 출력이 캐패시터(C1))를 통하여 증폭기(10)에 입력하며 증폭된 후 핀(90)에 연결된 캐패시터(C2)에 의해 피크검파되어 제2도의 (B), (E), (H)와 같은 신호를 제1도의 슈미터트리거회로(20)에 입력한다.
제1도의 슈미터트리거회로(20)의 각 출력은 비교기회로(30)에 의해 비교되어 제2도의 (C), (F), (I)파형과 같이 송신출력에 따라 펄스폭이 각가가 다른 신호를 출력한다. 제1도의 방형파발진회로(40)는 리플리분주회로(160)에 기준 주파수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로 제2도의 (J)와 같은 파형을 출력한다. 상기 방파형파발진회로(40)의 출력이 제1도의 리플 분주회로(160)에 의해 분주된 후 복호회로(50)에 입력 되어 복호회로(50)는 제2도의 (K), (L), (M) 파형과 같은 신호를 각각 만들게 된다.
제2도의 (K), (L), (M) 파형과 같은 신호는 (C), (F), (I)파형과 같은 신호에 의해 TW의 시간 동안에 각각 T1, T2, Tn중 어느 한순간에 트리거되어 제1도의 복호회로(50)의 출력을 결정한다.
상기 복호회로(50)의 각 출력이 출력구동회로(60)에 입력되어 출력구동회로(60)의 각 출력이 핀(110-130)에 연결된 부하를 구동하게 된다.
제3도는 제1도의 리플분주회로(160) 및 복호회로(50)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제4도는 제3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전압파형도이다.
이하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면서 제1도의 리플분주회로(160) 및 복회회로(50)의 동작을 순서적으로 설명한다.
제3도증 X1은 오아(OR)케이트이고, X2는 노아(NOR)게이트, X3-X5, X7은 앤드(AND)게이트이며, X6은 반전게이트 DF/F1, DF/F2, DF/F3, DF/F5는 디플립플롭이고, 상술하지 않은 부호 30, 40, 50, 160은 제1도의 명칭과 같다.
우선 송신가가 특정 기능의 송신신호를 송출하다가 송신신호를 송출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 순서적으로 설명한다.
비교기의 출력은 "하이"를 유지하며 반전게이트(X6)을 통해 디플립플롭(DF/F1)의 리세트 입력을 "로우"로 유지시키므로 디플립플롭(DF/F1)은 세트되며 동시에 출력단(OUT1-OUTn)중 어느 하나는 "하이"상태이므로 앤드게이트(X)의 출력은 "로우"가 되고, 동시에 앤드게이트(X5)의 출력도 "로우"가 되어 디플립프롭(DF/FDF/F5)의 각 클럭 입력에 인가되며 동시에 오아게이트(X1)는 "로우"를 출력하여 방형파 발진회로(40)와 리플분주회로(160)를 세트시키며 복호회(50)의 리세트 입력에는 "로우"가 입력되어 복호회로(50)를 리스트시킨다.
방형발진회로(40)는 발진을 시작하여 제4도의 (a)와 같은 파형을 출력하여 리풀리분주회로(160)에 입력하여 리플리분주회로(160)의 각 출력에는 분주된 신호를 출력한다. 리플 분주회로(160)의 각 출력을 입력으로 하여 앤드 게이트(X3)의 출력에는 제4도의 (h)에 나타낸것과 같이 시간 TR의 순간에 "하이"가 되어 디플립플롭(DF/F1)의 클럭입력에 인가되므로 디플립플롭(DF/F1)의 Q출력은 제4도의 (i)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이"가 되어 방형파발진회로(40)와 리플분주회로(160)를 리세트하며 동시에 앤드게이트(X3)의 출력이 앤드게이트(X4)에 인가되어 앤드게이트(X4)는 제4도의 (h)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시간 TR의 순간에 "하이"를 출력하여 디플립플롭(DF/F2-DF/F5)를 모두 리세트하여 출력단(OUT1-OUTn)을 모드 "로우"로 되게 한다.
디플립플롭(DF/F2-DF/F5)의 "하이"의 T-1출력이 앤드케이트(X7)에 입력되어 앤드게이트(X7)는 "하이"를 출력하여 복호회로(50)를 세트시켜 다음신호를 받을 수 있게하며 동시에 앤드게이트(X5)의 한쪽입력에 인가 되어 디플립플롭(DF/F2-DF/F5)의 클럭 입력이 다음에 들어올 비교기회로 (30)의 출력을 받을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송신기에서 송신신호가 송출되지 않으면 비교전기회로(30)의 출력이 "하이"가 유지되므로 출력단(OUT1-OUTn)은 "로우"를 출력한다.
그러면 송신기에 임의의 기능에 해당하는 송신신호를 송출하므로 제3도의 비교기회로(30)에서 제4도의 (c)와 같은 파형이 출력되었을 경우에는 순서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비교기회로(30)의 출력이 제4도의 (c)에서와 같이 T1시간동안 "로우"가 되므로 디플립플롭(DF/F1)의 리세트 입력은 "하이"가 되어 리세트되므로 디플릅플릅(DF/F1)의 Q출력은 "로우"가 된다. 동시에 앤드게이트(X7)의 출력은 "하이"이므로 노아게이트(X2)의 출력은 "로우"가 되므로 T1시간동안 오아게이트(X1)은 "로우"를 출력한다.
방형파발진회로(40)와 리플리분주회로(160)는 "세트"되어 방형파 발진회로(40)의 출력이 리플리분주회로(160)를 통해 분주되어 리플리분주회로(160)의 각 출력이 복호회로(50)의 각 입력에 입력되어 제4도의 (b)와 같이 시간 TW1동안 "하이"인 신호가 디플립플롭(DF/F2)의 D립력에 입력력되며 나머지 디플립플롭인 디플립플롭(DF/F3-DF/F5)의 D입력에는 "로우"인 신호가 입력된다.
제4도의 (c)에서와 같이 시간 T1의 순간에 앤드게이트(X5)의 출력이 "하이"로 상승되므로 디플립플롭(DF/F2-DF/F4)은 제4도의 (c)에서와 같이 시간 T1의 순간에 트러기된다.
따라서 디플립플롭(DF/F2)의 Q출력은 "하이"가 되며 나머지 디플립프롭인 디플립플롭(DF/F3-DF/F4)은 "로우"를 출력한다.
앤드게이트(X7)의 출력은 "로우"가 되어 복호회로(50)를 리세트시키며 동시에 노아게이트(X2)의 한쪽 입력에 입력되어 제4도의 (c)에 나타난 것과 같이 시간T1의 순간에 방형파발진회로(40)와 리플분주회로(460)를 계속 리세트 시키며 동시에 앤드게이트(X7)의 "로우"출력이 앤드게이트(X5)의 한쪽 입력에 입력되므로 앤드게이트(X5)는 "로우"를 출력하여 디플립플롭(DF/F2-DF/F4)의 클럭에 입력에 입력되므로 디플립플롭(DF/F2-DF/F4)은 모두 현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상기 동작에 의해 출력단(OUT1)은 "하이"가 되며, 제4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각 디플립플롭의 트리거신호(c), (e), (g)의 시간 T1, T2, Tn은 각 디플립플롭의 D입력에 입력되는 신호Tw1, Tw2, Twn의 범위 내에만 있으면 된다.
제4도의 (e)는 비교기회로(30)의 출력이 시간 T2순간에 "하이"로 상승하는 경우 제4도의 (d)의 신호가 D입력에 입력되는 디플립플롭의 출력이 "하이"가 되는 경우의 예이다.
제4도의 (g)는 시간 Tn의 순간에 비교기회로(30)의 출력이 "하이"로 상승하는 경우에도 제4도의 (f)의 신호가 D입력에 입력되는 디플립플롭의 출력이 "하이"가 되는 경우의 예이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송신기의 송신 출력 즉 제4도의 (c), (e), (g)와 같이 비교기회로(30)의 펄스폭을 변화시켜 제4도의 (b), (d), (f)와 같은 각각의 펄스폭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3도에 나나낸 것같이 디플립플롭(DF/F2-DF/F5)의 D입력에 입력하여 제4도의 (c), (e), (g)와 같은 신호로 트리거하므로 여러가지의 출력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제5도는 4가지 출력을 가지는 무선 수신기의 리플리분주회로(160)와 복호회로(50)의 한 예시도로서, 제5도중 X11은 오아게이트, X12는 노아게이트, X13-X22, X24는 앤드게이트, X23은 반전게이트이고, TF/F1-TF/F5는 디플립플롭, DF/F11-DF/F15는 디플립플롭이며, OUT1-OUT4는 출력단이고, 설명하지 않는 부호 30, 40은 제1도의 명칭과 같다.
제6도는 제5도의 각부의 전압파형도이다. 제6도에서 (1A)는 제5동의 방형파발진기(40)의 발진 출력(1B)는 디플립플롭(TF/F1)의 Q출력, (1C)는 티플립플롭(TF/F2)의 Q출력, (1D)는 티플립플롭(TF/F3)의 Q출력, (1E)는 티플립플롭(TF/F4)의 Q출력, (1F)는 티플립플롭(TF/F5)의 Q출력, (1G)는 앤드게이트(X16)의 출력, (1H)는 디플립플롭(DF/F11)의 Q출력 (1I)는 앤드게이트(X17)의 출력, (1K)는 앤드게이트(X18)의 출력, (1M)은 앤드게이트(X19)의 출력, (10)는 앤드게이트(20)의 출력을 나타내며, (1J)는 OUT1, (1L)은 OUT2, (1N)은 OUT3, (1P)는 OUT4에 각각 해당하는 비교기회로(30)의 출력이다.
이하제5도의 동작을 제6도의 파형을 참조하여 순서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송신기에서 특정기능의 송신신호가 송출되다 송출도지 않은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앤드 게이트(X24)의 출력은 "로우"가 되어 노아게이트(X12), 앤드게이트(X13, X14, X15), (X22)에 입력된다. 비교기회로(30)는 "하이"를 출력하여 디플립플롭(DF/F11)을 세트하며 동시에 노아게이트(X12), 앤드게이트(X21), (X22) 및 디플립플롭(DF/F11)의 D입력에 입력된다.
방형파 발전기(40) 및 티플립플롭(TF/F1-TF/F5)은 세트되어 제6도의 (1A)-(1F)와 같은 파형을 각각 출력한다.
이들 신호를 앤드게이트(X13, X14, X15) 및 앤드게이트(X16)에 입력되며 앤드게이트(X13, X14, X15)는 "로우"를 출력하므로 앤드게이트(X17, X18, X19, X20)도 모두 "로우"를 출력하며 앤드게이트 (X16)은 제6도의 (1G)와 같이 TR의 순간 "하이"가 되어 디플립플롭(DF/F11)을 트리거하므로 Q출력은 "하이"가 되며 동시에 TR의 순간에 앤드게이트(X21)의 출력이 "하이"가 되어 디플립플롭(DF/F12-DF/F15)을 리세트 하므로 출력단(OUT1-OUT4)은 모두 "로우"가 된다. 그리고 "하이"상태의 티플립플롭(DF/F11)의 Q출력은 오아게이트(X11)를 통해 방형과 발wls회로(40)의 디플립플롭(TF/F1-TF/F5)을 리세트하며 동시에 앤드게이트(X24)는 "하이"를 출력하여 노아게이트(X12)에 인가되며 동시에 앤드게이트(X13, X14, X15)에 인가되어 티플립플롭이 출력을 입력할 준비를 하며 동시에 앤드게이트(X22)에 인가되어 다음 들어올 비교기회로(30)출력을 받아들일 준비를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비교기회로(30)가 계속 "하이"를 출력하면 출력단(OUT1-OUT4)은 모두 "로우"가 유지된다.
그러면 비교기회로(30)의 출력이 제6도의 (1J)와 같은 신호일 경우의 동작을 순서적으로 설명한다.
제6도의 (1J)와 같이 시간T1동안 비교기회로(30)의 출력이 "로우"가 되면 디플립플롭(DF/F11)은 리세트되어 디플립플롭(DF/F11)의 Q출력은 "로우"가 되며 노아게이트(X12)의 한쪽 입력에는 "하이"의 앤드게이트(X24) 출력과 함께 입력되어 노아게이트(X12)는 "로우"를 출력하므로 방형파발진회로(40)와 티플립플롭 (TF/F1-TF/F5)을 세트하므로 제6도의 (1A)-(1F)와 같은 파형을 각각 출력한다. 앤드게이트(X17)의 출력은 제6도의 (1I)와 같이 시간T1+TW동안 "하이"가 되어 디플립플롭(DF/F12)의 D입력에 입력되며 이 기간동안 디플립플롭(DF/F13-DF/F15)의 입력에는 "로우"가 입력된다.
시간 T1의 순간에 앤드게이트(X22)의 출력은 "하이"로 상승하며 디플립플롭(DF/F12-DF/F15)의 클럭 입력에 입력되어 디플립플롭(DF/F129-DF/F15)를 트리거하므로 OUT1은 "하이"가 되고 OUT2-OUT4는 "로우"가 된다.
앤드게이트(X24)의 출력은 "로우"를 출력하여 노아게이트(X12)에 입력되어 방형과 발진회로(40)와 티플립플롭(TF/F1/TF/F5)를 제6도의 (1J)와 같이 시간T1의 기간동안 주기적으로 리세트하며 동시에 앤드게이트(X13, X14, X15)의 출력을 "로우"로 유지시키며 동시에 앤드게이트(X22)는 "로우"를 출력하여 디플립플롭(DF/F12-DF/F15)의 출력을 "로우"로 유지하므로 출력단 (OUT1)은 계속 "하이"를 유지한다.
비교기회로(30)가 제6도의 (1L), (1N), (1P)와 같은 신호를 출력할 경우도 상기와 같이 동작하게 된다.
비교기회로(30)의 출력이 제6도의 (1L)과 같을 경우는 제5도의 디플립플롭(DF/F13)의 D입력에 제6도의 (1K)와 같이 T1+TW의 시간동안 "하이"가 입력되면 반면에 디플립프롭(DF/F12, DF/F14, DF/F15)의 D입력은 "로우"가 되어 제6도의 (1L)와 같이 시간T2의 순간에 트리거되므로 출력단 (OUT2)은 "하이"가 되고 나머지는 "로우"가 된다.
비교기회로(30)의 출력이 제6도의 (1N)과 같을 경우 제5도의 디플립프롭(DF/F14)의 D입력에 제6도의 (1M)과 같이 T1+TW의 시간동안 "하이"가 입력되며 디플립플롭(DF/F12), (DF/F13), (DF/F15)의 D입력은 "로우"가 되어 제6도의 (1N)과 같이 시간T3의 순간에 트리거되므로 OUT3은 "하이"가 되고 나머지 "로우"가 된다.
비교기회로 (30)의 출력이 제6도의 (1P)와 같을 경우 제5도의 디플립플롭(DF/F15)의 D입력에는 제6도의 (10)와 같이 T1+TW의 시간동안 "하이"가 입력되며 디플립플롭(DF/F12-DF/F14)의 D입력은 "로우"가 되어 제6도의 (1P)와 같이 시간 T4의 순간에 트리거되므로 OUT4는 "하이"가 되고 나머지는 "로우"가 된다.
제7도는 제5도를 이용하여 장난감자동차를 제어하기 위한 실시예 회로도로서, 제7도중 X31, X32, X36, X37은 오아게이트 X34, X35는 앤드게이트, X33, X38, X39, X40은 완충증폭기 Q1-Q8은 트랜지스터, 200은 깜박이회로, 300은 모타위치조절회로, 1amp1-1amp2는 램프, Out-Out4는 제5도의 출력단이며, RE1-RE2는 저항 VR1은 가변저항이고 M1은 구동모타이며, M2는 방향조절모타이다.
깜박이회로(200)는 발진회로로 구성되며 장난감자동차기 좌회전이나 우회전시에 방향을 지시하는 램프(1amp1, 1amp2)를 깜박거리게 하기 위한 회로이며, 모타위치 조절회로(300)는 자동차가 전진 또는 후진 구동시 방향조정모타(M2)를 일직선방향으로 하게 하기 위한 회로로 제8도와 같이 구성된다.
재8도중 Q11-Q18는 트랜지스터, R1-R2는 저항, VR11은 가변저항이고 I1, I0, IL은 전류원이다.
따라서, 제8도에서 리세트 입력에 "하이"가 갓해지면 트랜지스터(Q13, Q14)는 포화되어 OutA와 OutB는 "로우"가 된다.
만약 리세트 입력이 "로우"이면서 방향조절모타(M2)가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다면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 전압이 VCC/2가 될때까지 OutA나 OutB중 하나는 "하이", 다른하나는 "로우"가 된다. 만약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 전압이 VCC/2가 되면 저항(R1) 양단의 전압은 I1/2×R1이 되어 OutA와 OutB는"로우"가 된다. 저항(R1)과 전류원(I1)은 I1×R1=VBE(Sat)이 되게 설정해야한다.
제7도에서 먼저 Out1이 "하이"인 경우는 트랜지스터(Q1)과 (Q2)이 포화되어 구동모타(M1)가 B방향으로 회전하여 동시에 노아게이트(X12)의 출력이 "로우"가 되어 방향조절모타(M2)가 일직선이 될때까지 C나D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Out2가 "하이"인 경우에는 오아게이트(X31)가 "하이"를 출력하여 트랜지스터 (Q1, Q2)을 포화시켜 구동모타(M1)을 B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동시에 오아게이트(X36)가 "하이를 출력하여 (Q3), (Q4)를 포화시키므로 방향조절모타(M2)는 D방향으로 회전하며, 동시에 램프(lamp1)는 깜박이 회로(200)의 시정수에 따라 깜박거리게 되며 동시에 모터위치조절회로(300)는 리세트된다.
만약 Out3이 "하이"인 경우에는 오아게이트(X31)가 "하이"를 출력하여 트랜지스터 (Q1, Q2)을 포화시켜 구동모타(M1)을 B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동시에 오아게이트(X37)가 "하이를 출력하여 트래ㅈ지스터(Q5)를 도통시켜 트랜지스터(Q6)를 포화시키므로 방향 조절모타(M2)는 C방향으로 회전하며, 동시에 램프(lamp2)는 깜박이 회로(200)의 시정수에 따라 깜박거리게 되며 동시에 모터위치조절회로(300)는 리세트된다.
만약 Out4가 "하이"인 경우에는 트랜시스터(Q7)가 도통되고 트랜지스터(Q8)이 포화되어 구동모타(M1)는 A방향으로 회전하게되며 동시에 모타위치 조절회로(300)는 세트되어 방향조절모타(M2)는 일직선이 될때까지 C나 D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송신기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변조하는 변조주파수의 펄스폭을 디지탈 방식으로 검출하여 출력상태를 결정하므로 여러가지의 출력상태를 요구하는 무선 제어장치에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정확성이 증가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반송파 신호가 없을시에는 켄칭신호와 잡음신호를 출력하며 반송파 신호가 있을시에는 방송주파수에 공진하므로 켄칭신호만 출력하는 초재생검파회로(150)와, 각부에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정전압 회로(70)를 구비하여 무선으로 원격조정하는 수신기에 있어서, 외부잡음이나 입력신호의 강약에 의해 오동작을 방지하게 위한 슈미터트리거회로(20)와, 기준신호와 상기 슈미터트리거회로(20)의 출력신호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기 회로(30)와. 시정수에 의해 발신주파수가 졀정되어 출력되며 분주를 위한 기준주파수를 공급하는 방형파 발진회로(40)와, 상기 비교기로(30)의 펄스폭 및 분주된 신호의 각 출력을 검출하여 출력상태를 결정하는 복호회로(50)와, 상기 복호회로(50)의 각 출력을 입력하여 연결하는 부하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출력 구동회로(60)와, 상기 비교기회로(30) 출력에 의해 세트/리세트되어 상기 방형파발진회로(40)의 출력을 분주하는 리플분주회로(16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다수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제어용 수신기.
KR1019860006331A 1986-07-31 1986-07-31 다수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제어용 수신기 KR890003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6331A KR890003760B1 (ko) 1986-07-31 1986-07-31 다수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제어용 수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6331A KR890003760B1 (ko) 1986-07-31 1986-07-31 다수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제어용 수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330A KR880002330A (ko) 1988-04-30
KR890003760B1 true KR890003760B1 (ko) 1989-10-04

Family

ID=19251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6331A KR890003760B1 (ko) 1986-07-31 1986-07-31 다수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제어용 수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37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2622B1 (ko) * 1997-12-31 2001-06-15 박종섭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신호 코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330A (ko) 198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1241B1 (ko) 직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
US4121120A (en) Clock driven voltage comparator employing master-slave configuration
JPS62279758A (ja) 位相変調器のバ−ストタイミング駆動方式
KR890003760B1 (ko) 다수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제어용 수신기
JP4824651B2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および受信回路のオフセット調整方法
US4590618A (en) Receiver having reference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ry
US3339140A (en) Solid-state two-way radio switching system application
JPH0339956Y2 (ko)
US20240097945A1 (en) Signal transmission device
JPH0416554Y2 (ko)
JPS587747Y2 (ja) カラ−テレビジヨン受像機
KR900006361Y1 (ko) 테이프 레코딩 주파수 보상회로
JPH0113494Y2 (ko)
JPH0563052B2 (ko)
JP2752103B2 (ja) 受信表示回路
US5684420A (en) Small signal amplifier for independent p-channel and n-channel drives
KR960002671B1 (ko) 위성수신기의 저잡음 블럭변환기용 제어신호발생회로
JPS6124307Y2 (ko)
JPS6237573B2 (ko)
JPS5832284A (ja) ラジオ受信機付テ−プレコ−ダ
JP3566177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機
JPS5936048Y2 (ja) 受信器
JPH0360213A (ja) 高周波信号切替え方式2
JPH01307320A (ja) 受信機
JPS632944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06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