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241B1 - 직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 - Google Patents

직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241B1
KR860001241B1 KR1019840002520A KR840002520A KR860001241B1 KR 860001241 B1 KR860001241 B1 KR 860001241B1 KR 1019840002520 A KR1019840002520 A KR 1019840002520A KR 840002520 A KR840002520 A KR 840002520A KR 860001241 B1 KR860001241 B1 KR 860001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ircuit
signal
output
moto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2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8580A (ko
Inventor
이방원
홍성일
Original Assignee
삼성반도체통신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반도체통신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반도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40002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1241B1/ko
Priority to JP59158522A priority patent/JPS60237884A/ja
Priority to US06/649,280 priority patent/US4584504A/en
Publication of KR850008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8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16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18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dc motor
    • H02P1/22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dc motor in either direction of rot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7/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 H02P7/03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DC motors
    • H02P7/05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DC motors by means of electronic sw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 Motor And Converter Star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직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
제1도는 종래의 직류 모우터 구동회로의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의 구체 회로도.
제3도는 종래의 2기능을 갖는 직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의 블럭도.
제4도는 종래의 3기능을 갖는 직류 모우터 구동회로의 블럭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직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의 블럭도.
제6도는 제5도의 실시예에 따른 구체회로도.
제7도는 제5도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구체회로도.
제8도는 비교기의 특성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직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의 실제 응용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10(a)도 내지 제10(g)도는 제6도의 각부의 파형도.
제11(a)도 내지 제11(e)도는 제7도의 각부의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정전압회로 11 : 안테나
20 : 증폭기 22 : 비교기
23 : 방향조절회로 24, 25 : 모우터 구동회로
39 : T형 플립플롭
본 발명은 원격으로 조종되는 직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으로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직류 모우터의 동작상태를 조종할 수 있는 직류모우터 구동 집적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원격 조종에 의한 장난감 차량의 직류 모우터 구동방법은 제1도, 제3도 및 제4도의 블럭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가지가 있었다.
제1도는 개별소자만으로 구성되어 전진, 후진의 기능만을 갖도록 한 종래의 직류 모우터 구동장치의 블럭도이며, 제2도는 제1도의 구체 회로도이다. 전진, 후진의 기능을 갖는 장난감 차량의 원격조종에 사용되는 송신기는 통상 47-49MHz의 단순한 반송 주파수만을 갖는 무변조 송신기이다.
제1도 및 제2도의(1)은 초재생 수신회로, (2)는 증폭기, (3)은 검파기, (4)는 릴레이, (5)는 직류 모우터 구동회로이다. 제1도 및 제2도의 초재생수신회로(1)는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와 에미터사이에 캐패시터(C1)을 접속하여, 캐피시터(C1)와 코일(L1)에 의해 통상 100KHz-500KHz의 켄칭(Quenching) 주파수를 발진시킨다. 상기한 무변조 송신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송출되는 신호가 없을 시에는, 삼각파인 켄칭신호와 20KHz-10KHz의 잡음신호가 안테나(11)를 통해 수신되어 혼합된 후 저항(R5), (R6) 및 캐패시터(C4)로 구성되는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를 통해 증폭기(2)로 입력된다.
한편 송신로로부터 송출되는 신호가 있을 시에는, 코일(T1)과 캐패시터(C2)로 구성되는 공진회로에 의해 송신 기로부터 송출되는 무변조의 반송주파수가 공진함으로써, 트랜지스터(Q1), 캐패시터(C1) 및 코일(L1)에 의해 발생되는 켄칭신호와 함께 상기 저역필터에 입력되므로, 증폭기(2)의 입력신호는 켄칭신호가 된다.
트랜지스터(Q2) 및 (Q3)로 구성되는 증폭기(2)는 잡음신호만을 증폭하여 캐패시터(C13), 다이오우드(D2), (D3)로 구성되는 검파기(3)를 통해 전원(S3)과 함께 릴레이(RZ)를 작동시키므로써 모우터(M)의 구동방향을 설정하게 된다. 따라서, 송신기로부터 송출되는 신호의 유무에 따라 모우터(M)의 회전방향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결정된다.
상기와 같은 직류 모우터 구동회로는 개별 트랜지스터, 다이오우드, 저항, 릴레이 등을 사용하므로 제작공정의 증가 및 원가상승과 부피가 커지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제3도는 본원 출원인에 의해 특허출원 제82-4922호에 개시된, 상기 개별소자회로의 단점을 개선한 선형 집적회로이다.
제3도의 직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12)의 입력단자(P1)에 입력되는 신호는 제2도의 초재생 수신회로(1)로 부터 출력된 신호이다. 도시되지 않은 송신기로부터 신호송출이 없을 시에는, 상술한 바와같이, 직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12)의 입력단자(P1)에 잡음신호 및 켄칭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입력신호는 캐피시터(C21)를 통해 직류성분이 차단되고, 증폭기(6)(7)의 증폭특성에 의해 10KHz 미만의 저주파, 잡음신호만이 증폭된 후, 증폭기(7)와 캐패시터(C22)로 구성되는 피크검파기에 입력된다.
상기 피크검파기에 의해 검출된 직류전압에 따른 비교기(8)의 스위칭작용으로 직류모우터 구동회로(9)의 NPN 전력 트랜지스터가 구동되고, 이에 따라 모우터(M)가 회전된다. 한편 도시되지 않은 송신기로부터 무변조신호가 송출될 때, 직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12)의 입력단자(P1)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는 켄칭신호이다. 증폭기(6)(7)에 의해 상기 켄칭신호는 차단되고, 비교기(8)의 출력은 로우상태(논리적으로 0인 상태)로 되므로 직류 모우터 구동회로(9)의 PNP 전력 트랜지스터가 작동함으로써, 직류 모우터(M)가 역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도의 경우에 있어서 모우터에 인가되는 전압은 전원전압에서 릴레이 접속저항을 뺀 나머지 전압이 인가 되고, 제3도의 경우는 직류 모우터 구동회로의 전력 트랜지스터의 포화전압을 뺀 나머지 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므로 낮은 전압을 사용하는 용도에는 이에 의해 동작하는 모우터의 선택이 어려운 결점이 있게 된다. 또한 모우터의 회전방향을 변경시키는 경우에는 계속 송신기의 스위치를 압압해야 하는 결점이 있었다.
제4도는 본 발명과 같이 전진, 후진 정지의 3가지 기능을 갖는 직류 모우터 구동회로의 블럭도로서, 이는 송신기에서 각각의 3가지 기능에 해당되는 주파수로변조 된 신호를 수신기에서 수신하고, 이를 검파하여 제4도의 증폭기(13)로 증폭하며, 이 신호를 대역통과 필터(14)를 통하여 피크검사기(15)로 검파시킨다. 따라서 상기 3가지 지능에 해당되는 주파수신호에 따라 그에 해당되는 검파기의 출력이 주어진다. 이 출력크기는 비교기(16)에서 비교되는, 비교기(16)의 출력전압에 의해 직류 모우터 구동회로(17)가 작동하며 모우터의 동작장태가 결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송, 수 신회로가 복잡하게 되고 수신감도가 일반적으로 무선 조종방식에서 사용하는 초재생 방식에 의해 심하게 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개의 건전지를 사용하여 전진, 후진, 정지의 3가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간단한 직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래취기능이 추가된 전진, 후진의 2가지 기능을 갖는 직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변조 송신기의 신호의 유, 무로 작동할 수 있는 직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번의 송신기 작동으로 직류 모우터 동작을 가변할 수 있는 직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직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의 블럭도로서 증폭기(20), 검파기(21), 비교기(22), 방향조절회로(23), 모우터 구동회로(24), (25), 정전압회로(10) 및 핀(26) 내지 (34)으로 구성되고, (C24) 내지 (C26)은 캐패시터이다. 핀(34)에는 건전지가 접속되고, 정전압회로(10)를 통해 각 블럭에 전원이 공급된다. 핀(26)은 입력핀으로서 직류차단캐패시터(C24)를 통해 신호가 입력한다.
증폭기(20)는 AC증폭기로서 잡음신호만을 증폭하는 회로이다. 검파기(21)는 핀(26)에 접속되는 캐패시터(C26)와 함께 피크검파기를 구성하며, 증폭기(20)에서 증폭한 저주파 잡음신호를 직류로 변환시킨다. 비교기(22)는 히스테리시스현상을 가지는 슈미트 트리거회로이고, 방향조회로(23)는 스위칭작용을 함으로써 모우터의 동작을 결정하는 신호를 출력하며, 모우터 구동회로(24), (25)는 방향조절회로(23)의 출력을 받아 핀(30) 내지 (33)에 접속되는 모우터 회로의 모우터(M)를 정회전 또는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6도는 제5도의 구체화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정전압회로(10)는 공지의 회로로서, 모우터(M)의 시동시 발생하는 리플과 잡음으로부터 각 회로의 동작을 안정화시키는 정전압 공급회로이다. 증폭기(20)는 연산증폭기(36)와 저항(R15) 내지 (R17) 및 캐패시터(C25)로 구성된다. 증폭기(20)는 입력신호가 연산증폭기(36)의 비반전단자(+)에 입력되는 정극성증폭기이다. 증폭기(20)의 직류출력은 핀(27)에 캐패시터(C25)가 접속되므로 연산증폭 기(36)의 오프 세트 전압에 관계없이 영 전위이며, 교류전압 증폭률은
Figure kpo00001
이 된다.
검파기(21)는 연산증폭기(37)와 트랜지스터(Q4), 저항(R18) 및 캐패시터(C26)로 구성된다. 연산증폭기(37)의 비반전단자에는 증폭기(20)의 출력전압이 입력되며, 반전단자에는 캐패시터(C26)의 단자전압이 입력된다. 연산증폭기(37)의 비반전단자의 입력전압이 반전단자의 입력전압보다 클 때는 트랜지스터(Q4)가 도통이 되고, 연산증폭기(37)의 출력전압이 캐패시터(C26)에 충전된다. 그러나 반전단자의 입력전압이 비반전 단자의 입력전압보다 클 때는 트랜지스터(Q4)는 오프되고, 캐패시터(C26)에 충전되어 있던 전압은 저항(R18)을 통해 방전된다.
따라서 검파기(21)는 연산증폭기(37)의 비반전단자에 입력하는 저주파의 피크전압을 검출하는 피크전압 검출기가 된다. 비교기(22)는 연산증폭기(38), 저항(R19), (R20) 및 기존전압(Va)로 구성된다. 비교기(22)의 출력이 "1"(이하 Vr 이라 가정)이 되는 입력전압은
Figure kpo00002
이 되고 비교기(22)의 출력이 "0"(로우: 0 Vort라 가정)이 되는 입력전압은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가 되어 제8도와 같이 히스테리시스를 갖는 비교기가 된다.
이 히스테리시스특성은 검파기(21)의 리플, 모우터(M)의 잡음이나 입력신호의 강약에 의한 오동작을 막기 위한 것이다. 방향조절회로(23)는 T형 플립플롭(39)과 3상태 버퍼(40), (41)로 구성된다. T형 플립플롭(30)은 비교기(22)의 출력이 "0"에서 "1"로 될때 출력(Q)의 논리 출력이 바뀌고, 비교기(22)의 출력이 "1"에서 "0"으로 될 때는 출력(Q)이 그대로 유지되는 엎 에지(up edeg) 동 작을 한다. 출력(
Figure kpo00006
)는 출력(Q)의 논리출력과 반전된 상태로 출력한다.
비교기(22)의 출력이 3상태버퍼(40), (41)의 게이트신호가 되며, 게이트신호가 "1"일 때 3상태버퍼(40), (41)의 입력이 출력으로 전달되고, 게이트신호가 "0"일때는 3상태버퍼(40), (41)의 출력이 "0"이 된다.
모우터 구동회로(24), (25)는 버퍼(42) 내지 (45)와 저항(R21) 내지 (R26) 및 트랜지스터(Q5) 내지 (Q8)로 구성 된다. 버퍼(42) 내지 (45)는 트랜지스터(Q5) 내지 (Q8)를 구동하기 위한 완충기이며, 저항(R23), (R24)은 버퍼(43), (44)의 입력이 "1"일때 트랜지스터(Q7), (Q8)을 포화시키고, 저항(R25), (R26)은 트랜지스터(Q5), (Q6)을 정전류원으로 동작시키게 하는 저항이다. 따라서 모우터 구동회로(24), (25)의 출력은 항상 반대로 동작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35)의 핀(30) 내지 (34)에는 트랜지스터(Q9), (Q10), 모우터(M) 및 전원(V)으로 구성되는 모우터회로가 접속된다. 제1모우터 구동회로(24)의 입력이 "1"이고, 제2모우터 구동회로(25)의 입력이 "0"이면, 트랜지스터(Q5), (Q7)은 온이되고 트랜지스터(Q8), (Q6)는 오프되므로, 모우터 구동전류는 트랜지스터(Q9), 모우터(M), 트랜지스터(Q7)를 통해 흐른다. 한편 모우터 구동회로(24(, (25)의 입력이 상기의 경우와 반대로 되면, 트랜지스터(Q5), (Q7)는 오프되고 트랜지스터(Q8), (Q6)는 온이되며, 모우터 구동전류는 트랜지스터(Q10), 모우터(M), 트랜지스터(Q8)를 통해흐르므로 상기의 모우터 구동방향과 반대로 된다. 또한 T형 플립플롭(39)의 입력이 "0"일 때는 3상태버퍼(40)(41)의 출력은 "0"이 되고 트랜시스터(Q5) 내지 (Q8)는 오프가 되며 모우터의 회전이 중단된다.
제10(a)도 내지 제10(g)도는 제6도의 각 점의 동작파형도이다. 여기서는 켄칭신호는 생략하고 설명한다. 제10(a)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6도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35)의 입력핀(26)으로 입력되는 음성주파수의 잡음신호파형도이다. 상기 입력신호는 증폭기(20)에 의해 저주파증폭이 되고 검파기(21)의 캐패시터(C26)에 의해 피크검파된 제10(b)도의 파형이 비교기(22)를 구성하는 연산증폭기(38)의 반전단자로 입력하여 제10(b)도의 반전된 파형인 제10(c)도의 파형이 출력된다.
제10(c)도의 파형은 방향조절회로(23)를 구성하는 T형 플립플롭(39)으로 입력되고, T형 플립플롭(39)의 출력단자(Q)에는 제10(d)도의 파형이 출력하며 반전출력단자(
Figure kpo00007
)에는 제10(e)도의 파형이 출력된다. 제10(c)도의 파형은 3상태버퍼(40), (41)의 게이트신호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제10(d)도의 파형이 3상 태버퍼(40)에 입력되어 제10(f)도의 파형이 출력되고, 제10(e)도의 파형이 3상태버퍼(41)에 입력되어 제10(g)도의 파형이 출력한다. 제10(f)도 및 제10(g)도의 파형중 시간 T1중에는 모우터 구동회로(24), (25)의 입력신호가 모두 "0" 이므로 트랜지스터(Q5) 내지 (Q8)는 모두 오프되고, 모우터의 회전은 정지된다. 한편 시간 T2중에는 제1모우터 구동회로(24)의 입력은 "1"이되고 제2모우터 구동회로(25)의 입력은 "0"이 되므로, 트랜지스터(Q5) 및 (Q7)는 온이되고 트랜지스터(Q8) 및 (Q6)는 오프되어 모우터(M)는 정회전하게 된다.
한편 시간 T3중에는 제1모우터 구동회로(24)의 입력은 "0", 제2모우터 구동회로(25)의 입력은 "1"이 되므로, 트랜지스터(Q5) 및 (Q7)는 오프되고 트랜지스터(Q8) 및 (Q6)는 온이 되어 모우터(M)는 역회전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제6도의 구성을 가지는 모우터 구동집적회로(35)는 정회전, 정지, 역회전의 3가지 기능을 갖는 모우터 구동회로가 된다.
제7도는 제6도의 기능 중 정지 기능을 제외한 정회전, 역회전의 기능만을 갖는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의 구체회로도이다. 제7도는 제6도의 방향조절회로(23)를 구성하는 T형 플립플롭(39)만을 사용하고 ,3상태 버퍼(40), (41)를 제거한 경우의 실시예이다.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의 출력핀(31), (33)에 제7도와 같이 트랜지스터(Q11), 모우터(M), 전원(V1), (V2)로 구성되는 모우터회로를 접속하고 T형 플립플롭(39)의 출력단을 집적 모우터 구동회로(24), (25)의 입력단자에 접속한다.
제7도의 정전압회로(10), 증폭기(20), 검파기(21) 및 비교기(22)의 작동관계는 제6도의 경우롸 동일하다. 제11(a)도 내지 제11(e)도는 제7도의 각 부분의 파형도이다. 제11(a)도는 제7도의 입력핀(26)으로 입력되는 잡음 신호의 파형도이다. 제11(a)도의 잡음신호는 증폭기(20)를 통해증폭되고 검파기(21)로 피크검파되어 제11(b)도와 같은 파형으 대출력된다. 제11(b)도의 파형은 비교기(22)의 반전단자로 입력되어 제11(c)도와 같은 반전파형이 출력되고, T형 플립플롭(39)으로 구성되는 방향조절회로(23)에 입력된다. 제11(d)도 및 제11(e)도는 각각 T형 플립플롭(39)의 출력단자(Q), (
Figure kpo00008
)의 파형도이다.
시간 T1중에는 "1"이 제1모우터 구동회로(24)로 입력되고, "0"이 제2모우터 구동회로(25)로 입력되어, 트랜지스터(Q7)는 온, 트랜지스터(Q6)는 오프되므로 모우터 구동전류는 전원(V2), 모우터(M), 트랜지스터(Q7)를 통합흐른다. 한편 시간 T2중에는 "0"이 제1모우터 구동회로(24)로 입력되고, "1"이 제2모우터 구동회로(25)로 입력되어, 트랜지스터(Q7)는 오프, 트랜지스터(Q6)는 온이 되고, 트랜지스터(Q11)도 온이 되므로 모우터 구동전류는 전원(V1), 트랜지스터(Q11), 모우터(M)의 방향으로 흘러모우터 구동방향은 시간 T1중의 경우와 반대방향이 된다.
따라서 제7도는 모우터 구동이 정회전, 역회전의 2가지 기능을 가지는 모우터 구동회로가 된다. 그러나 제7도에 도시한 전원(V1) 및 (V2)와 트랜지스터(Q11) 및 모우터(M)로 구성되는 모우터회로 대신 제6도에 도시한 트랜지스터(Q9) 및 (Q10)과 모우터(M) 및 전원(V)으로 구성되는 저전압용의 모우 터회로가 제7도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35)의 출력핀(30) 내지 (34)에 제6도와 같이 접속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모우터 구동회로(24), (25) 중 어느 하나가 온되는 경우 다른쪽은 오프되므로 모우터는 정회전, 역회전의 6가지 기능을 갖게 된다.
한편 제6도의 트랜지스터(Q9) 및 (Q10)와 모우터(M) 및 전원(V)으로 구성되는 모우터회로가 제6도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35)의 출력핀(31), (33), (34)에 각각 제7도와 같이 접촉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Q7) 및 (Q6)가 서로 상반되는 온, 오프 동작을 하므로 모우터(M)는정회전, 역회전의 2가지 기능만 갖게 된다.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직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를 원격 무선 조종 직류 모우터 구동장치에 응용한 예이다.
도면 중(11)은 안테나, (1)은 초재생 검파회로, (35)는 본 발명에 따른 직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 (35)은 모우터회로이다. (C24) 내지 (C26)은 캐패시터이며, (26) 내지 (34)는 직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의 핀이다. 초재생 검파회로(1)는 제2도의 초재생 검파회로(1)와 같은 구성을 갖는 공지의 회로이다. 모우터회로(36)는 제6도 또는 제7도의 모우터 회로와 동일하다.
제9도에서 사용하는 초재생 송수신 방식은 적은 전력으로 먼 거리를 송수신할 수 있는 고감도의 송수신 방식이다. 한편 도시하지 않은 송신기는 변조하는 신호가 없이 반송주파수만을 갖는 무변조의 송신신호를 발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신호가 있을 때에는 제2도의 코일(T1)과 캐패시터(C2)로 구성되는 공진회로가 송신기의 반송 주파수로 공진되고 켄칭주파수와 함께 저항(R5), (R6) 및 캐패시터(C4)로 구성되는 저역필터를 통해 켄칭 신호만이 초재생 검파회로(1)의 출력으로 된다. 한편 송신신호가 없을 때에는 트랜지스터(Q1)와 캐패시터(C1) 및 코일(L1)에 의한 켄칭발진신호와 안테나(11)로 부터 입력되는 잡음신호가 저역필터를 통해 직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35)로 입력된다. 직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35)의 방향조절회로(23)가 제6도와 같이 구성된 경우에는, 제10도와 같이, 송신기의 스위치가 개방되면 잡음신호 및켄칭신호가 입력되어 모우터는 정지되며, 송신기의 스위치를 폐쇄시키면 직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35)에는 켄칭신호가 입력되어 모우터는 정지되며, 송신기의 스위치를 폐쇄시키면 직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35)에는 켄칭신호만 입력되어 모우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키게 된다.
한편, 직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35)의 방향조절회로(23)가 제7도와 같이 구성된 경우에는, 제11도와 같이, 송신기의 스위치를 폐쇄할 때마다 모우터의 회전 방향이 바뀐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6도와 같이 방향조절회로(23)를 T형 플립플롭(39)과 3상태버퍼(40), (41)로 구성한 경우, 원격 무선조종장치와 송신기와의 거리가 멀어서 수신감도가 좋지 못할때에는 송신신회가 없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작하여 모우터의 회전을 정지시키므로, 송수신기간의 거리가 멀어지더라도 모우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방향조절장치(23)를 제7도와 같이 구성한 경우, 종래의 방식에서는 모우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중 어느 한 방향의 동작시 송신기의 스위치를 계속 폐쇄해야 하는 결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송신기의 스위치를 한번 압압함으로써 모우터의 동작을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송신기의 전원 절약의 이점이 있게 된다.

Claims (6)

  1. 송신기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11)와, 상기 안테나(11)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저주파 증폭하는 증폭기(20)와, 상기 저주파 증폭된 신호를 직류로 변환하는 피크검파기(2)와, 상기 직류로 변환된 신호가 인가되는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갖는 반전신호를 출력시키는 비교기(22), 상기의 각 부분에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정전압회로(10)를 구비하고 있는 직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22)의 출력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비교기의 출력신호의 논리변환에 따라 직류 모우터(M)의 작동모드 선택신호를 출력시키는 방향조절회로(23)와, 상기 방향 조절회로(23)에 병렬로 결합되어, 상기 방향조절회로에서 출력되는 논리신호에 따라 직류 모우터(M)의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모우터 구동회로(24), (2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절회로(23)는, 상기 비교기(22)의 출력신로에 따라 엎 에지 또는 다운에지에서 동작하는 T형 플립플롭(39)과, 상기 T형 플립플롭(39)에 연결되고, 상기 비교기(22)의 출력신호를 게이트신호로 이용하는 3상태버퍼(40), (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모우터구동 집적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절회로(23)는, 상기 비교기(22)의 출력신호에 따라 엎 에지 또는 다운에지에서 동작하는 T형 플립플롭(3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우터 구동회로(24), (25)는, 상기 방향조절회로(23)의 출력신호에 따른 논리출력을 갖는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Q7), (Q8)와, 정전류원으로 작용하는 제3 및 제4 트랜지스터(Q5), (Q6)와, 상기 제1 내지 제4 트랜지스터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 트랜지스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3상태버퍼(42) 내지 (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
  5.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트래지스터(Q9), (Q10)와 전원(V) 및 직류모우터(M)로 구성된 모우터회로를 상기 모우터 구동회로(24), (25)로 구성된 모우터 구동장치(35)의 출력(30) 내지 (33)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
  6.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트랜지스터(Q11)와 2개의 전원(V1)(V2) 및 직류 모우터(M)로 구성된 모우터회로를 상기 모우터 구동회로(24), (25)로 구성된 모우터 구동장치(35)의 출력(31), (33)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
KR1019840002520A 1984-05-10 1984-05-10 직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 KR860001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2520A KR860001241B1 (ko) 1984-05-10 1984-05-10 직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
JP59158522A JPS60237884A (ja) 1984-05-10 1984-07-27 直流モ−タ駆動集積回路
US06/649,280 US4584504A (en) 1984-05-10 1984-09-11 Integrated circuit for driving a D.C. motor having operational mod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2520A KR860001241B1 (ko) 1984-05-10 1984-05-10 직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8580A KR850008580A (ko) 1985-12-18
KR860001241B1 true KR860001241B1 (ko) 1986-08-30

Family

ID=19233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2520A KR860001241B1 (ko) 1984-05-10 1984-05-10 직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584504A (ko)
JP (1) JPS60237884A (ko)
KR (1) KR8600012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4431A (en) * 1984-11-16 1990-04-03 Severson Frederick E Electronic control system for model railroads
US5448142A (en) 1987-04-13 1995-09-05 Severson; Frederick E. Signaling techniques for DC track powered model railroads
JPH0537675Y2 (ko) * 1985-08-27 1993-09-22
US4686380A (en) * 1986-02-07 1987-08-11 Angott Paul G Remote on/off switch circuit
JPH0787713B2 (ja) * 1988-04-04 1995-09-20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モータ正逆転装置
JPH0217197U (ko) * 1988-07-20 1990-02-05
US4896533A (en) * 1988-09-30 1990-01-3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Miniaturization of flight deflection measurement system
US5043640A (en) * 1990-03-09 1991-08-27 Orton Kevin R RC speed controller
US5103146A (en) * 1991-02-11 1992-04-07 Hoffman Ronald J Control for a remote, radio operated device
US5081402A (en) * 1991-02-22 1992-01-14 Comfortex Corporation Low power consumption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control system
JPH04347593A (ja) * 1991-05-23 1992-12-02 Rohm Co Ltd モータドライバおよびファンモータドライバ制御システム
US5216337A (en) * 1991-10-28 1993-06-01 Orton Kevin R Radio controlled speed controller with audible feedback signal
US5744920A (en) * 1997-02-12 1998-04-28 Orton; Kevin R. Speed controller with improved battery power transfer
USD406109S (en) * 1998-03-18 1999-02-23 Orton Kevin R Radio controlled model speed controller
USD406108S (en) * 1998-03-18 1999-02-23 Orton Kevin R Radio controlled model speed controller circuitboard, transistors, and cover assembly
GB9911880D0 (en) * 1999-05-22 1999-07-21 Marconi Electronic Syst Ltd Amplifier circuit
US6848968B2 (en) * 2001-02-08 2005-02-01 Mattel, Inc. Communication system for radio controlled toy vehicle
US7770847B1 (en) 2005-08-17 2010-08-10 Qs Industries, Inc. Signaling and remote control train operation
IT1399761B1 (it) * 2010-05-03 2013-05-03 Faac Spa Metodo e dispositivo per la trasmissione ottimizzata di segnali di controllo remoto particolarmente di cancelli porte e barrier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0260A (en) * 1978-03-29 1979-10-09 Shinei Yuugen Direction changer for radioocontrolled moving toy
JPS5547880U (ko) * 1978-09-26 1980-03-28
US4349986A (en) * 1978-12-15 1982-09-21 Tsukuda Co., Ltd. Radio-controlled toys
JPS5633707A (en) * 1979-08-25 1981-04-04 Yonezawa Gangu Kk Driving unit for radio control device
JPS58151892A (ja) * 1982-03-04 1983-09-09 Secoh Giken Inc トルク増幅装置
US4490655A (en) * 1982-09-27 1984-12-25 Sperry Corporation Bi-directional driver system for electrical load
KR840001067B1 (ko) * 1982-10-30 1984-07-30 강진구 무선조종용 모우터 구동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584504A (en) 1986-04-22
KR850008580A (ko) 1985-12-18
JPS60237884A (ja) 1985-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1241B1 (ko) 직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
JP3961291B2 (ja) 増加出力電圧をもつワイヤレス電力伝送システム
US4035732A (en) High dynamic range receiver front end mixer requiring low local oscillator injection power
US4853972A (en) Radio transceiver including an antenna switching circuit capable of changing reception sensitivity
GB2277620A (en) Transmitter control
US4866261A (en) Data limiter having current controlled response time
GB2037125A (en) Device for transferring measurement valves
US5396056A (en) Non-contact IC card having an active attenuation circuit
EP0486087B1 (en) Apparatus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RF signals
US6176432B1 (en) Modulating and demodulating device
US5444862A (en) Circuit for stopping data transmission responding to low level and rapid fall of received electric field
US6229995B1 (en) Power control device in radio transmitter
US20020070878A1 (en) Radio frequency transmitter having switched mode power supply
US3798600A (en) Method and system of remote control
US4307465A (en) Digital communications receiver
US4305154A (en) Transceiver
US4023178A (en) Radio-controlled vehicle with RF noise elimination feature and with ultrasonic anti-collision means insensitive to mechanical shocks
JPS6220740B2 (ko)
US3617888A (en) Encoder-decoder device for selective signalling
KR880001598B1 (ko) 음성수신용 원격조정 직류 모우터 구동회로
CN217063696U (zh) 一种模拟信号隔离实现装置
EP0339045B1 (en) Data limiter with current controlled response time
JPH052239Y2 (ko)
US3500152A (en) Remote control receiver for operating a motor with a superregenerative detector,bandpass amplifier and dc motor drive amplifier
KR890003760B1 (ko) 다수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제어용 수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7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