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067B1 - 무선조종용 모우터 구동회로 - Google Patents

무선조종용 모우터 구동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067B1
KR840001067B1 KR8204922A KR820004922A KR840001067B1 KR 840001067 B1 KR840001067 B1 KR 840001067B1 KR 8204922 A KR8204922 A KR 8204922A KR 820004922 A KR820004922 A KR 820004922A KR 840001067 B1 KR840001067 B1 KR 840001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ircuit
transistor
comparato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4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2170A (ko
Inventor
최두환
이방원
민성기
Original Assignee
강진구
삼성반도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구, 삼성반도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진구
Priority to KR8204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067B1/ko
Priority to JP58023660A priority patent/JPS5983582A/ja
Priority to GB08305924A priority patent/GB2129632B/en
Priority to US06/482,411 priority patent/US4488094A/en
Publication of KR840002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067B1/ko
Priority to HK120/91A priority patent/HK12091A/xx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16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18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dc motor
    • H02P1/22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dc motor in either direction of rot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7/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 H02P7/03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DC motors
    • H02P7/05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DC motors by means of electronic sw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Generators And Motors (AREA)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 Amplifiers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Motor And Converter Star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선조종용 모우터 구동회로
제1도는 종래의 모우터 구동장치의 블럭도.
제2도는 종래의 모우터 구동장치의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블럭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단회로의 일실시예의 회로도.
제5도 및 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집적회로를 이용한 모우터 구동회로의 일실시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1 : 증폭기 B2,C14 : 검파기
B3 : 비교기 B4 : 구동단회로
B5 : 정전압회로 B6 : 열보호회로
본 발명은 무선으로 조종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모우터의 회전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는 원격무선조종용 모우터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무선조종용 모우터 구동회로는 제1도의 블럭도와 같이 송신기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이 입력신호를 증폭기에서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로 리레이를 작동시켜 모우터의 구동방향을 변경시키는 방식으로 되어 있었다.
제2도도 제1도를 구체화한 종래의 회로도이다.
제1도 또는 제2도의 입력단자 INPUT의 전단에는 도시하지 않은 통상 장난감 차랑의 모우터 구동에서 고감도로 사용될 수 있는 초재생 수신회로가 접속된다. 이에따른 송신기는 26~27MHz의 무변조 종신기가 사용되며 무변조송신기의 송출신호가 있게되면 상기 초재생 수신회로는 안테나로부터 상기 변조신호와 함께 초재생 수신회로의 퀘칭주파수(통상 150~500KHz)가 출력하지만 초재생 수신회로의 저주파 통과필터(Low Pass Filter)를 통해 여과되고 제2도의 입력단자 INPUT의 입력신호는 없게된다. 한편 초재생 수신회로의 안테나로부터 무신호 즉 송신기로부터 송출되는 신호가 없을시에는 상기 퀘칭신호와 안테나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주파수대의 잡음신호(10Kz~20KHz)가 발생되고 상기 필터에 의해 상기 퀘칭신호는 여과되고 잡음신호가 입력단자 INPUT으로 입력되게 된다.
제2도의 트랜지스터 Q1는 저항 R1,R2에 의해 바이어스 되있고 트랜지스터 Q2는 저항 R3,R4,R5에 의해 바이어스 되있으며 캐피시터 C1,C5는 직류차단용 캐패시터이다. 트랜지스터 Q1에 의한 증폭 또한 캐패시터 C4와 저항 R1에 의해 저주파 통과여과가 되며 트랜지스터 Q2도 캐패시터 C6에 의해 또한 저주파 통과 여과가 된다. 따라서 송신기로부터 송출되는 신호가 없을시에는 잡음신호가 트랜지스터 Q1및 Q2에서 증폭되고 송신기로부터 송출되는 신호가 있을시에는 트랜지스터 Q2의 출력신호가 없게된다. 한편 다이오우드 D1및 D2는 리레이동작시 생기는 임펄스를 어느정도 이하로하여 트랜지스터를 보호하는데 쓰인 것이다. 따라서 트랜지스터 Q2의 출력단의 신호 유. 무가 리레이를 개폐시키며 이는 모우터 M의 회전방향을 정하게 되는 종래의 모우터 구동회로이다.
따라서 종래의 구동회로는 개별소자인 트랜지스터, 리레이, 전원, 저항 및 캐패시터를 일일히 프린트 기판상에 접속해야 함으로써 모우터 구동장치를 극소형화할 수 없었고 또한 모우터 구동단과 회로의 전원이 별도로 분리되어야하며 리레이 접점의 불랑으로 인한 고장사고의 빈발과 리레이 가격이 비싸 전체가격이 상승하는 등 결점이 많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우터 구동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는 소형의 모우터 구동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적으로도 안정되게 작동할 수 있으며 한개의 외부전원으로 모우터의 구동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으며 가격이 저렴한 모우터 구동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송신기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이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이 증폭된 신호로 파이크 검파하는 검파기 및 이 검파기의 직류전압에 의해 트리거하는 비교기와 비교기의 출력전압에 의해 구동단 트랜지스터를 온 또는 오프함으로써 모우터의 구동방향을 변경시키는 구동단 트랜지스터 및 상기 구동단 트랜지스터를 열적으로 안정시키는 열 보호회로를 설치함으로써 극히 소형의 무선조종용 모우터 구동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집적회로의 블럭도이다. 도면중 B1은 증폭기, B2와 C14는 피크검파기, B3는 비교기, B4는 모우터 구동을 위한 구동단, B5는 정전압회로, B6은 열보호회로이며 C12~C15및 C13은 캐패시터, Q1',Q2'는 파워트랜지스터, M은 직류모우터, S1,S2는 전원이다.
제3도에 도시하지 아니한 수신부에 의해 수시된 잡음신호가 입력단에 입력하게 되면 이 입력신호는 캐패시터 C12에 의해 직류성분은 차단되게되며 고류 성분만이 증폭기 B1에 입력하여 증폭된 신호가 출력한다. 그러나 증폭기 B1의 입력신호는 불필요한 고주파의 잡음과 함께 증폭기 B1에 입력될 수 있어 증폭기 B1은 발진의 가능성을 가지기 때문에 캐패시터 C13로 귀환시켜 필요한 주파수 대역폭 이외의 잡음주파수 성분을 제거시켜 증폭작용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캐패시터 C13의 용량을 크게하면 주파수 대역폭은 좁아기제되며 필요한 주파수 성분의 신호만이 증폭되게 된다.
증폭기 B1에서 증폭된 신호는 직류성분 차단용 캐패시터C13을 통하여 차동증폭깅 B2와 캐패시터 C14로 구성되는 피이크 검파기에 입력한다. 증폭기 B1에서 증폭된 신호가 차동증폭기 B2에 입력하면 캐패시터 C14는 차동증폭기 B2의 양의 입력신호의 피이크 값이 될 때까지 충전하게되며 차동증폭기 B2의 양의 입력 신호가 상기 피이크 값 이하로 되면 상기 충전전압을 계속 유지시키고 다시 차동증폭기 B2의 입력신호가 상기 피이크 충전전압 이상이되면 캐패시터 C14는 차동증폭기 B2의 양의 입력신호의 피이크 값까지 충전되는 작동을 반복하는 피이크 검파를 하게된다. 이와같이 피이크 검파된 직류전압이 비교기 B3에 입력한다. 검파된 직류전압이 비교기 B3에 입력하게되면 비교기 B3는 트리거되어 비교기 B3의 출력을 반전시킨다. 즉 비교기 B3에 입력되어지는 상기 피이크 검파된 전압이 주어진 임계 전압보다 더 높으면 비교기 B3의 출력은 낮은 전압(거의 0 Volt)에서 높은 양의 전압으로 이동되어 후술하는 모우터를 정방향 회전시키고 다시 비교기 B3에 입력되는 검파된 직류전압이 상기 주어진 임계전압과 다른 임계전압보다 낮으면 비교기 B3의 출력은 상기 양의 전압에서 낮은전압(거의 0Volt)으로 이동되어 후술하는 모우터를 역방향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의 모우터를 정방향 회전시킬때 트리거하는 비교기 B3의 임계전압과 모우터를 역방향 회전시킬때 트리거하는 비교기 B3의 임계전압과의 차 즉 히스테리시스 전압차를 0.2 Volt 정도로 함으로써 피이크 검파된 직류전압의 리플 변화 또는 잡음의 입력에 의하여 송신기의 송출신호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비교기를 트리거한는 오동작을 방지시킨다.
비교기 B3의 출력전압이 구동단회로 B4에 입력하면 모우터 구동용 파워트랜지스터 Q1'와 Q2'가 서로 반대되는 온, 오프동작을 하게되고 직류모우터 M의 전류방향을 변경시킴으로써 직류모우터 M의 회전방향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킨다. 따라서 신호가 있을때는 피이크 검파기의 출력신호가 비교기 B3에 입력하고 비교기 B3의 트리거 전압에 의해 비교기 B3의 출력이 낮은 전압(0Volt)에서 양의 전압으로 이동되며, NPN 파워트랜지스터 Q2'는 온이되고 PNP 파워트랜지스터 Q1'는 오프되므로 전류는 전원 S2에 의해 I2의 방향으로 흘러 직류모우터 M을 정방향 회전시키고 입력단자 INFUT으로 입력되는 신호가 없으면 비교기 B3의 트리거 전압에 의해 비교기 B3의 출력이 상기 양의 전압에서 낮은 전압(0Volt)로 역전되면서 NPN 파워트랜지스터 Q2'는 오프되고 PNP 파워트랜지스터 Q1'는 온이되어 전류는 전원 S1에 의해 I1의 방향으로 흘러 직류모우터 M을 역방향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정전압회로 B5는 증폭기 B1,차동증폭기 B2와 캐패시터 C14로 구성되는 피크 검파기, 비교기 B3와 열보호회로 B6의 동작을 전원변화에 대해 안정시키며 모우터 구동시 발생하는 잡음과 리플등으로부터 회로의 동작을 보호하고 평활용 캐패시터 C15을 접속시켜 더욱 더 회로동작의 안정화를 기할 수 있게 된다.
열보호회로 B6은 구동단회로 B4와 비교기 B3를 병렬로 접속시켜 구동단회로 B4가 안정온도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구동단의 동작을 차단시키고 온도가 저하하면 다시 작동한다. 따라서 열보호회로 동작시 모우터 구동단 전류를 차단시킴으로써 모우터 구동을 정치시키기 때문에 전원전류 소모를 방지시키며 구동단회로 B4가 안정온도로 작동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제4도는 구동단회로 B4의 PNP 파워트랜지스터 Q1'대신 PNP 트랜지스터 Q3와 NPN 트랜지스터 Q4를 복합 접속해서 구성시킨 실시예이다. PNP 트랜지스터 Q3의 베이스가 0볼트가 되면 트랜지스터 Q3가 도통되고 NPN 트랜지스터 Q4도 도통되어 제3도의 PNP 트랜지스터 Q1'와 동일하게 작동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선형직접 회로로 제3도의 실제의 회로접속도이다.
제6도는 개별 PNP 파워트랜지스터 Q6을 IC 외부에 접속시켜 모우터 구동을 하는 일실시예로 PNP 트랜지스터 Q3와 NPN 트랜지스터 Q4의 복합접속의 경우에는 상기 복합트랜지스터의 포화전압이 높고 직류모우터 구동전류가 낮게되기 때문에 PNP 파워트랜지스터 Q6를 IC 외부에 접속시켜 모우터 구동전류를 높일 수 있게 한 것으로 PNP 파워트랜지스터 Q6의 베이스를 구동단회로 B4내의 비교기의 반전단자와 접속하고 이 비교기의 출력단자와 복합트랜지스터 Q3와 Q4의 베어스를 스위청 작용에 의해 IC내부의 전류원과 접속하며 트랜지스터 Q4의 에미터는 PNP 트랜지스터 Q3의 에미터와 트랜지스터 Q4의 콜랙터와 접촉하고 PNP 트랜지스터 Q6의 콜랙터는 NPN 트랜지스터 Q1'의 콜랙터와 접속한다. PNP 파워트랜지스터 Q6의 베어스가 상기 비교기의 반전단자에 접속되면 이 비교기의 비 반전단자에 접속된 기준전압보다 크게 되므로 전류원의 전류는 트랜지스 Q6의 베어스를 통해 흐르도록 스위청 작동을 하여 복합접속 트랜지스터 Q3와 Q4는 작동을 하지 않도록 접속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무선조종을 모우터 구동회로보다 크기가 소형이며 열적안전성, 전원소모의 저감, 모우터 구동회로의 제작시 인건비의 저감을 기할 수 있으며 원격조종용 모우터 구동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대전류 용랑 및 소전류 용랑의 모우터 구동에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무선으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모우터의 회전방향을 변경시키는 무선조종용 모무터 구동회로에 있어서 수신된 입력신호를 소정의 주파수 대역폭에서 증폭하는 증폭기(B1)와 상기 증폭기(B1)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상기 증폭기(B1)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피크 검파하는 검파기(B2와 C14)와 상기 검파기(B3와 C14)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이 검파기의 출력신호에 따라 직류모우터(M)의 회전방향 신호를 히스테리시스 특성으로 출력하는 비교기(B3)와 상기 비교기(B3)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상기 비교기(B3)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직류모우터(M)의 회전방향을 변경시키는 구동단회로(B4)와 외부의 전원과 접속되고 상기 선형직접회로 내의 각 부분에 안정된 전압을 공급하는 정전압 회로(B5)와 구동단 파원트랜지스터의 열적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설치한 열보호회로 (B6)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종용 모우터 구동회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구동단회로(B4)의 단일 PNP 파워 트랜지스터(Q1')를 복합 PNP 트랜지스터(Q3,Q4) 또는 개별 PNP 트랜지스터(Q6)로 대치 접속하므로써, 소전류 용랑의 모우터 사용시에는 복합 PNP 트랜지스터(Q3,Q4)를 접속하고 대전류 용랑의 모우터 사용시에는 개별 PNP 트랜지스터(Q6)를 접속하여 사용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종용 모우터회로.
KR8204922A 1982-10-30 1982-10-30 무선조종용 모우터 구동회로 KR840001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4922A KR840001067B1 (ko) 1982-10-30 1982-10-30 무선조종용 모우터 구동회로
JP58023660A JPS5983582A (ja) 1982-10-30 1983-02-14 無線操縦用モ−タ駆動線形集積回路
GB08305924A GB2129632B (en) 1982-10-30 1983-03-03 Linear integrated circuit for driving a d.c. motor with radio control
US06/482,411 US4488094A (en) 1982-10-30 1983-04-06 Linear integrated circuit for driving a d.c. motor with radio control
HK120/91A HK12091A (en) 1982-10-30 1991-02-11 Linear integrated circuit for driving a d.c.motor with radio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4922A KR840001067B1 (ko) 1982-10-30 1982-10-30 무선조종용 모우터 구동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170A KR840002170A (ko) 1984-06-11
KR840001067B1 true KR840001067B1 (ko) 1984-07-30

Family

ID=19225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4922A KR840001067B1 (ko) 1982-10-30 1982-10-30 무선조종용 모우터 구동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488094A (ko)
JP (1) JPS5983582A (ko)
KR (1) KR840001067B1 (ko)
GB (1) GB2129632B (ko)
HK (1) HK1209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1241B1 (ko) * 1984-05-10 1986-08-30 삼성반도체통신 주식회사 직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
US5448142A (en) 1987-04-13 1995-09-05 Severson; Frederick E. Signaling techniques for DC track powered model railroads
US4914431A (en) * 1984-11-16 1990-04-03 Severson Frederick E Electronic control system for model railroads
JPH0537675Y2 (ko) * 1985-08-27 1993-09-22
JPH0622392Y2 (ja) * 1986-02-21 1994-06-15 株式会社ニッコー バッテリ駆動玩具の電源装置
JPS63100996U (ko) * 1986-12-18 1988-06-30
DE3732557A1 (de) * 1987-09-26 1989-04-06 Priebe Hans Werner Elektrische steuer-schalteinrichtung fuer an einer senkrechten wand montierte schrank- und/oder tischmoebel, deren positionen an der wand elektromechanisch veraenderbar sind
US4896533A (en) * 1988-09-30 1990-01-3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Miniaturization of flight deflection measurement system
US5043640A (en) * 1990-03-09 1991-08-27 Orton Kevin R RC speed controller
DE9302862U1 (ko) * 1993-02-26 1993-05-27 Anton Steinecker Entwicklungs Gmbh & Co, 8050 Freising, De
US7443123B2 (en) * 2004-10-21 2008-10-28 Shop Va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heating in an electronically commutated motor assembly
US7770847B1 (en) 2005-08-17 2010-08-10 Qs Industries, Inc. Signaling and remote control train op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35298A (en) * 1965-10-18 1969-03-25 Wagner Electric Corp Condition responsive circuit
DE2146535A1 (de) * 1971-09-17 1973-03-29 Witefi Anstal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uebertragung von steuerbefehlen ueber funkstrecken
US3708720A (en) * 1973-01-02 1973-01-02 Franklin Electric Co Inc Semiconductor thermal protection
US4168468A (en) * 1977-04-15 1979-09-18 Mabuchi Motor Co., Ltd. Radio motor control system
US4143307A (en) * 1977-07-22 1979-03-06 Hansen Russel W Motor speed control circuit apparatus
US4224762A (en) * 1978-05-02 1980-09-30 Mccaslin Robert E Radio controlled toy vehicle
JPS5547880U (ko) * 1978-09-26 1980-03-28
US4349986A (en) * 1978-12-15 1982-09-21 Tsukuda Co., Ltd. Radio-controlled toys
JPS5633707A (en) * 1979-08-25 1981-04-04 Yonezawa Gangu Kk Driving unit for radio control device
US4424470A (en) * 1982-02-25 1984-01-03 Finch Robert A Motor control circuit for radio controlled mod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29632A (en) 1984-05-16
KR840002170A (ko) 1984-06-11
HK12091A (en) 1991-02-22
GB2129632B (en) 1986-07-30
GB8305924D0 (en) 1983-04-07
US4488094A (en) 1984-12-11
JPS5983582A (ja) 1984-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40001067B1 (ko) 무선조종용 모우터 구동회로
US4140952A (en) Offset compensated electronic current sensor and controller
KR100196258B1 (ko) 텔레비젼 수상기용 무팅 회로
US3939399A (en) Power circuit with shunt transistor
US4584504A (en) Integrated circuit for driving a D.C. motor having operational modes
JP2879104B2 (ja) 赤外線受信機
CA2295564A1 (en) Wake-up circuit for an electronic apparatus
US3947774A (en) Signal seeking stopping circuit receiver
US4150417A (en) Fail-safe timing circuit
CA1038471A (en) Fail-safe transistorized overspeed circuit arrangement
CA1178345A (en) Protective circuit for power amplifier
US3126514A (en) John w
JPH0746668A (ja) 中間周波数増幅器、及びそれを備える遠隔制御信号受信器
CN114771698A (zh) 一种两轮电动车辆解锁的低频天线驱动电路
US3509468A (en) Transistorized squelch circuit for an fm receiver
US4575859A (en) Receiver for digital signals
US3030504A (e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US2982854A (en) Transistor receiver squelch circuit
EP0448729B1 (en) Tune detecting circuit
US3127563A (en) Radio frequency discriminator circuit
US3500152A (en) Remote control receiver for operating a motor with a superregenerative detector,bandpass amplifier and dc motor drive amplifier
JP2502055Y2 (ja) トランシ―バ
JPS6324663Y2 (ko)
KR930003008Y1 (ko) 사운드 중간 주파수의 듀얼 신호 처리 장치
KR200165288Y1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온/오프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Free format text: OPPOSITION NUMBER: 001984001099001984001100; OPPOSITION DATE: 27560917

O122 Withdrawal of opposition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3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