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2622B1 -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신호 코딩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신호 코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2622B1
KR100292622B1 KR1019970081301A KR19970081301A KR100292622B1 KR 100292622 B1 KR100292622 B1 KR 100292622B1 KR 1019970081301 A KR1019970081301 A KR 1019970081301A KR 19970081301 A KR19970081301 A KR 19970081301A KR 100292622 B1 KR100292622 B1 KR 100292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output
reference clock
transmission path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1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1047A (ko
Inventor
신상호
Original Assignee
박종섭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19970081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2622B1/ko
Publication of KR19990061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1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2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2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0Decod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의 신호 전송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칩 내에서 어드레스 혹은 입/출력과 같이 부하가 큰 전송로를 이용하여 신호 전송시, 전송로에 인가되는 펄스 폭을 다르게 하여 하나의 전송로를 통해 동일 시간에 여러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전송로의 수를 줄이고 이를 통해 칩 크기의 감소 및 전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전송로(20)에 여러개의 신호를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폭을 갖는 펄스 상태로 전송하는 송신부(10)와 ; 상기 전송로(20)를 통하여 전송된 서로 다른 상태의 신호를 수신하여 원래의 신호로 디코딩하는 수신부(30)로 구비하여 펄스 폭을 이용한 신호 코딩이 이루어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신호 코딩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신호 코딩 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의 신호 전송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칩 내에서 어드레스 혹은 입/출력과 같이 부하가 큰 전송로를 이용하여 신호 전송시, 전송로에 인가되는 펄스 폭을 다르게 하여 하나의 전송로를 통해 동일 시간에 여러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전송로의 수를 줄이고 이를 통해 칩 크기의 감소 및 전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신호 코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램을 예로 하면, 16개의 입/출력을 사용할 경우 주변회로(peripheral) 영역에 최소 16개 이상의 데이터 라인인 전송로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경우에 한번 입/출력을 액세스 할때마다 16개의 전송로가 펄스를 발생시키거나, 래치 회로의 여하에 따라 16개의 전송로가 레벨 전이 등을 하게 되며, 이 전송로들을 구동하는 과정에서 많은 전류를 소모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 문제점 들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칩 내에서 어드레스 혹은 입/출력과 같이 부하가 큰 전송로를 이용하여 신호 전송시, 전송로에 인가되는 펄스 폭을 다르게 하여 하나의 전송로를 통해 동일 시간에 여러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전송로의 수를 줄이고 이를 통해 칩 크기의 감소 및 전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신호 코딩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펄스 폭을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 의 (가) 내지 (아)는 도 1 에 대한 입출력 펄스 타이밍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송신부 20 : 전송로
30 : 수신부 11 : 펄스 폭 제어기
12 : 펄스 발생기 31 : 펄스 상승에지 검출기
32 : N-펄스 발생기 33 : 펄스 디코더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전송로(20)에 여러개의 신호를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폭을 갖는 펄스 상태로 전송하는 송신부(10)와 ; 상기 전송로(20)를 통하여 전송된 서로 다른 상태의 신호를 수신하여 원래의 신호로 디코딩하는 수신부(30)로 구비하여 펄스 폭을 이용한 신호 코딩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호 코딩 방법에 있어서, 전송하여야 할 신호의 상태에 따라 출력할 펄스의 폭을 서로 다른 n 종류중 한가지로 선택하는 과정과 ; 기준 클럭에 맞추어 선택된 폭 만큼의 펄스를 전송로에 인가하는 과정 ; 상기 과정에서 전송로를 통하여 수신된 펄스의 시점을 판독하고 수신부 내부 기준 클럭을 출력하는 과정 ; 송신부의 펄스 폭 제어기에서 사용한 펄스 폭 제어용 지연 양과 같은 양 만큼씩 수신부 내부 기준 클럭을 지연시킨 디코딩용 펄스를 출력하는 과정 ; 및 상기 과정에서 출력된 디코딩용 펄스 출력과 전송로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를 비교하여 상이한 n개의 상태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신부(10)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송하여야 할 신호의 상태에 따라 출력할 펄스의 폭을 서로 다른 n 종류중 한가지로 선택하는 펄스 폭 제어기(11)와 ; 기준 클럭에 맞추어 상기 펄스 폭 제어기(11)에서 선택된 폭 만큼의 펄스를 전송로(20)에 인가하는 펄스 발생기(1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수신부(30)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된 펄스의 시점을 판독하고 수신부 내부 기준 클럭을 출력하는 펄스 상승에지 검출기(31)와 ; 송신부(10)의 펄스 폭 제어기(11)에서 사용한 펄스 폭 제어용 지연 양과 같은 양 만큼씩, 상기 펄스 상승에지 검출기(31)로부터 출력된 수신부 내부 기준 클럭을 지연시킨 디코딩용 펄스를 출력하는 N-펄스 발생기(32) ; 및 상기 N-펄스 발생기(32)의 출력과 전송로(20)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를 비교하여 상이한 n개의 상태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펄스 디코더(33)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1개의 전송로(20)에 여러개의 신호를 코딩하여 전송하며, 코딩하는 방법으로는 전송하는 펄스의 폭을 신호 코드에 따라 다르게 하는 방법을 취한다.
두개의 신호를 하나의 전송로(20)를 통해 전송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두개의 신호(S0, S1)를 하나의 전송로(20)로 전송할 경우, 송신부(10) 및 수신부(30)의 입/출력 신호는 다음 표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S1 S0 I / O
L L S01_0
L H S01_1
H L S01_2
H H S01_3
먼저, 송신부(10)의 펄스 폭 제어기(11)는 들어온 신호 S0, S1의 상태에 따라 출력할 펄스의 폭을 네 종류 중 한가지로 선택한다.
상기와 같이 펄스 폭 제어기(11)를 통하여 입력신호의 펄스 폭이 선택된 상태에서, 펄스 발생기(12)는 기준 클럭(Reference Clock 이하 RCLK 라 칭함)을 받아들여 기준 클럭(RCLK)과 동기된 시점에, 도 2 의 (가) 내지 (라)와 같이 펄스의 폭이 다른 네 종류중 한가지의 펄스를 전송로(20)에 인가한다.
수신부(30)의 펄스 상승에지 검출기(31)에서는, 상기 전송로(20)를 통하여 들어온 신호의 상승 에지를 검출하여, 수신부(30)에서 사용될 기준 클럭(RCLK 1)을 만들어 낸다.
N-펄스 발생기(32)에서는, 상기와 같이 펄스 상승에지 검출기(31)에서 만들어진 수신부 기준 클럭(RCLK 1)을, 상기 송신부(10)의 펄스 폭 제어기(11)에서 사용되는 펄스 폭 제어용 지연 양과 같은 양 만큼씩 지연시킨, 네개의 디코딩용 펄스(D0-D3)를 도 2 의 (마) 내지 (아)와 같이 만든다.
펄스 디코더(33)에서는, 상기한 네개의 디코딩용 펄스(D0-D3)와 전송로(20)를 통하여 들어온 신호를 비교하여 원래의 신호를 복원해 낸다.
예를 들어, 도 2 의 (가)에 도시한 바와 같이 " S01_0 " 의 경우에는, 도 2 의 (마)와 같은 " D0 " 와 전송로(20)를 통해 받은 신호의 논리곱 연산에 의해 "하이" 펄스가 검출된다.
도 2 의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 S01_1 " 의 경우에는, 도 2 의 (마)와 같은 " D0 " 및 도 2 의 (바)와 같은 " D1 " 과 전송로(20)를 통해 받은 신호의 논리곱 연산에 의해 "하이" 펄스가 검출된다.
도 2 의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 S01_0 " 의 경우에는 도 2 의 (마)와 같은 " D0 ", 도 2 의 (바)와 같은 " D1 ", 도 2 의 (사)와 같은 " D2 " 와 전송로(20)를 통해 받은 신호의 논리곱 연산에 의해 "하이" 펄스가 검출된다.
도 2 의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 S01_0 " 의 경우에는 도 2 의 (마)와 같은 " D0 ", 도 2 의 (바)와 같은 " D1 ", 도 2 의 (사)와 같은 " D2 ", 도 2 의 (아)와 같은 " D3 " 와 전송로(20)를 통해 받은 신호의 논리곱 연산에 의해 "하이" 펄스가 검출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검출된 "하이" 펄스를 이용하여 원래의 신호 값인 데이터 출력 중 하나의 출력을 "하이"로 인에이블 시킨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전송로에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폭을 갖는 n개의 상태를 인가하여 전송함으로써 전송로의 수를 줄이고, 신호 전송에 필요한 전송로의 수를 줄임으로서 전체 설계 면적이 작아지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적은 수의 전송로만을 구동해도 되므로 신호 전송에 따른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2)

  1.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전송로에 여러 개의 신호를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폭을 갖는 펄스 상태로 전송하기 위해, 전송하여야 할 신호의 상태에 다라 출력할 펄스의 폭을 서로 다른 n 종류 중 한 가지로 선택하는 펄스 폭 제어기 및 기준 클럭에 맞추어 상기 펄스 폭 제어기에서 선택된 폭 만큼의 펄스를 전송로에 인가하는 펄스 발생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송신부와 ;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전송된 서로 다른 상태의 신호를 수신하여 원래의 신호로 디코딩하기 위해, 수신된 펄스의 시점을 판독하고 수신부 내부 기준 클럭을 출력하는 펄스 상승 에지 검출기와, 상기 송신부의 펄스 폭 제어기에서 사용한 펄스폭 제어용 지연 양과 같은 양 만큼씩, 상기 펄스 상승 에지 검출기로부터 출력된 수신부 내부 기준 클럭을 지연시킨 디코딩용 펄스를 출력하는 N-펄스 발생기 및 상기 N-펄스 발생기의 출력과 전송로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를 비교하여 상이한 n 개의 상태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펄스 디코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신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호 코딩 방법에 있어서, 전송하여야할 신호의 상태에 따라 출력할 펄스의 폭을 서로 다른 n 종류 중 한 가지로 선택하는 과정; 기준 클럭에 맞추어 선택된 폭 만큼의 펄스를 전송로에 인가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전송로를 통하여 수신된 펄스의 시점을 판독하고 수신부 내부 기준 클럭을 출력하는 과정; 송신부의 펄스 폭 제어기에서 사용한 펄스 폭 제어용 지연 양과 같은 양 만큼씩 수신부 내부 기준 클럭을 지연시킨 디코딩용 펄스를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과정에서 출력된 디코딩용 펄스 출력과 전송로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를 비교하여 상이한 n 개의 상태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폭을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호 코딩 방법.
KR1019970081301A 1997-12-31 1997-12-31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신호 코딩 방법 KR100292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1301A KR100292622B1 (ko) 1997-12-31 1997-12-31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신호 코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1301A KR100292622B1 (ko) 1997-12-31 1997-12-31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신호 코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1047A KR19990061047A (ko) 1999-07-26
KR100292622B1 true KR100292622B1 (ko) 2001-06-15

Family

ID=37526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1301A KR100292622B1 (ko) 1997-12-31 1997-12-31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신호 코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26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277B1 (ko) * 2009-09-16 2011-07-13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동기식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2330A (ko) * 1986-07-31 1988-04-30 강진구 다수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제어용 수신기
KR950035137A (ko) * 1994-04-05 1995-12-30 빈센트 비. 인그라시아 입력신호의 펄스폭 조정방법 및 조정회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2330A (ko) * 1986-07-31 1988-04-30 강진구 다수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제어용 수신기
KR950035137A (ko) * 1994-04-05 1995-12-30 빈센트 비. 인그라시아 입력신호의 펄스폭 조정방법 및 조정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1047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1605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전력소모 방지 장치
US7061408B2 (en) Concept for a secure data communica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s
US6075393A (en) Clock synchronous semiconductor device system and semiconductor devices used with the same
TW334565B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P0769783B1 (en)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capable of saving a latency with a reduced circuit scale
US5638017A (en) Pulse width modulation circuit
KR100789195B1 (ko) 입출력 인터페이스 및 반도체 집적 회로
US6163545A (en) System and method for data transfer across multiple clock domains
KR100292622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신호 코딩 방법
US6567321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ing dedicated command and address strobe signal and associated method
US4733377A (en) A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6147527A (en) Internal clock generator
US6744837B1 (en) Clock switching circuit
US5469476A (en) Circuit and method for filtering voltage spikes
KR20030039179A (ko) 싱글 엔디드 스트로브 모드와 디퍼렌셜 스트로브 모드상호간의 모드 변환이 가능한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020052934A (ko) 컬럼 어드레스 버퍼장치
KR100200767B1 (ko) 동기식 반도체 장치의 칼럼 어드레스 버퍼 제어회로
US20050083217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in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thereof
KR100537206B1 (ko) 더블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너스 디램
KR19990068057A (ko) 스큐 억제 기능을 갖는 출력 버퍼회로
JP2000112816A (ja) 半導体記憶装置
KR0137088Y1 (ko) 통신장비 엔에이에스, 시이피티, 디에스 1간 라인신호 변환장치
KR19990037875U (ko) 동기식 메모리 장치
KR100211121B1 (ko) 싱크로너스 d램 장치의 입력 버퍼 회로
JPS60235548A (ja) 信号フレ−ムの伝送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