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657Y1 - 권상기 - Google Patents

권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657Y1
KR890003657Y1 KR2019840005419U KR840005419U KR890003657Y1 KR 890003657 Y1 KR890003657 Y1 KR 890003657Y1 KR 2019840005419 U KR2019840005419 U KR 2019840005419U KR 840005419 U KR840005419 U KR 840005419U KR 890003657 Y1 KR890003657 Y1 KR 8900036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haft
drive shaft
flange portion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54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쓰다긴지
요시오 우에노
Original Assignee
조우지루시 첸블록 가부시기 가이샤
쓰다 슈우 사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우지루시 첸블록 가부시기 가이샤, 쓰다 슈우 사꾸 filed Critical 조우지루시 첸블록 가부시기 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6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6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2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 B66D3/16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operated by an endless chain passing over a pulley or a sprock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8Power-operated hoists
    • B66D3/26Other details, e.g. 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 Cam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권상기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하 권상기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주요부의 확대 반단면도.
제3도는 종래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2 : 로드시브(load sheave)
3 : 통축(筒軸) 4 : 구동축
5 : 감속기어 기구 7 : 휘일
8 : 브레이크 51 : 제1기어
52 : 제2기어 53 : 제3기어
54 : 제4기어 6 : 중간축
52 : 플랜지 53 : 라운드(round)부분
20 : 와셔 30, 31 : 나들베어링
본 고안은 권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쌍의 측판을 가진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측판에 지지된 로드시브를 가진 통축과, 이 통축에 씌워지고 또한 상기 통축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축을 가진 구동축과, 제1 내지 제4기어를 구비하며, 이 상기 구동축의 동력을 상기 통축에 전달하는 감속기어 기구를 구비한 권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권상기에서의 상기 감속기어 기구의 제1기어는 상기 구동축의 돌출축의 외주에 형성되고 이 제1기어에 맞물리는 제2기어와 상기 통축에 결합되는 제4기어에 맞물리는 제3기어를 상기 프레임의 측판의 외축에 고정된 기어박스의 측벽과의 사이를 지지하는 중간축에 부착되어, 상기 구동축의 동력을 상기 제1기어로부터 제2, 3기어 및 제4기어를 거쳐서 상기 통축에 전하여 상기 로드시브를 구동하도록 형성하였다.
그러므로 종래 구동축의 돌출축 외주에 제1기어를 형성할 경우, 제3도와 같이 구동축(D)의 돌출축(P)을 상기 구동축(D)보다 큰 직경으로 하고, 이 돌출축(P)의 끝부에 통축의 외측축 끝부의 당접부(S)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측(P)의 외측 축단에서 축방향 내측으로 복수의 절삭홈(a)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제1기어(G1)를 형성하였다. 또한 제3도에 있어서, G2는 상기 제1기어(G1)에 맞물리는 제2기어이며, G4는 상기 통축(C)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제4기어이고, L은 상기 제4기어(G4)의 축방향 외측으로 이탈을 방지하는 스냅링이다.
그런데 권상기는 최근 경량 소형화를 요망하고 있어, 이 요구에 보다 가까워지려면 상기 구동축이나 통축을 작은 직경으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구동축(D)에는 상기 제1기어(G1)를 절삭가공에 의해 형성되게 되므로, 상기 구동축(D)을 소경으로할 경우 제1기어(G1)의 강도가 약해져서 과부하 작용시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이로 인하여 상기 구동축(D)의 소경호에 한계가 있었으며 소정의 직경이하로 할 수 없었다.
또 상기 종래예에 있어서는 제1기어(G1)를 형성하기 위한 절삭홈(a)은 돌출축(P)만에 그치지 않고 제3도와 같이 상기 당접부(S)로 부터 축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므로 이 절삭홈(a)의 형성부위에 상기 통축(C)의 외측축단 부분이 씌워지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구동축(D)와 통축(C)의 상대회전시에, 상기절삭홈(a)에 의해 통축(C)의 내주면이 깎여져 진동의 발생원인이 되며, 상기 통축(C)의 원활한 회전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 종래에는 상기 통축(C) 상에 제4기어(G4)를 스플라인 결합할 때, 상기와 같이 통축(C)상에서 제4기어(G4)의 외측에 스냅링(L)으로 멈추게 하고 제4기어(G4)를 빠지지 않게 고정하도록 되어 있어, 제4기어(G4)를 통축(C)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스냅링(L)이 특별히 필요하게 될 뿐 아니라 상기 통축(C)의 외주에 상기 스냅링(L)을 걸어멈추기 위한 둘레홈(b)을 형성할 필요가 있어, 그만큼 제작비용이 고가로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구동축을 종래예에 비하여 소경으로 할 수 있고 상기 구동축에 형성되는 제1기어의 강도가 저하되는 일없이 또한 통축과 구동축의 상대회전을 항상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통축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제4기어의 이탈방지도 간단한 구성으로 행할 수 있는 권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은 한쌍의 측판을 가진 프레임의 상기 측판 사이에 로드시브를 가진 통축을 회전 자유로히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통축의 중심공에 구동축을 회전 자유로히 지지하고, 상기 구동축의 동력을 구동축과 동축상에 설치되는 제1기어와 이 제1기어에 치합되는 제2기어와, 제2기어와 동축상에 설치되는 제3기어가 이 제3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동축에 설치되는 제4기어에 의해 구성되는 감속기어 기구를 통해서 상기 로드시브에 전달하도록 한 권상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동축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축부의 외주에 상기 구동축의 외경보다 작은 경의 피치원을 가진 제1기어와, 이 제1기어의 축방향의 안쪽으로 상기 제1기어와 연속되고, 동시에 상기 구동축의 반경방향 근방에 연장되어 구동축의 외주면보다도 큰 경으로 하고, 상기 통축과 걸어맞춤하여 구동축의 축방향 하쪽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며 그 이탈방지를 행하는 환상의 플랜지부를 냉간단조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기어와 플랜지부와 연속부에 상기 제1기어로 부터 플랜지부로 향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곡선으로 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라운드부를 가진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제1기어는 종래와 같이 절삭에 의하는 일없이 단조에 의해 구동축에 일체로 형성하며, 더구나 플랜지부에 의해 보조되므로, 상기구동축을 작은 직경으로 하여도 상기 제1기어와 강도를 보상할 수 있는 것이며, 더구나 상기플랜지부에 의해 상기 통축의 당접부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돌출축을 구동축에 대하여 한층 큰 직경으로 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상기 구동축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는 크기로 할 필요가 없으므로 경량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 밖에 상기 플랜지에 의해 상기 구동축의 이동을 저지하는 통축의 당접부를 구성하게 되므로 상기 플랜지에 대한 축방향 내측에는 제1기어의 톱니홈이 연장되는 일이 없으므로 상기 구동축은 통축에 대하여 원형 외주면에 의해 지지되고 또 이들 구동축과의 사이에 예를 들면 니들 베어링 등의 베어링을 용이하게 끼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플랜지를 이용하여 상기 통축의 외경보다 큰 직경인 와셔를 상기 구동축에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통축에 스플라인 결합된 제4기어의 이탈이 간단한 구성으로 방지될 수 있다.
본 고안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나타낸 권상기는 수동식 권상기이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측판(11), (12)으로 이루어진 프레임(1)의 상기 측판(11), (12) 사이의 로드시브(2)를 가진 통축(3)을 회전자제로 지지하고, 통축(3)을 중심공(33)에 구동축(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키는 동시에 이 구동축(4)과 상기 로드시브(2)와의 사이에는 감속기어기구(5)를 끼워 설치하여 상기 구동축(4)의 회전동력을 상기 로드시브(2)에 감속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동축(4)은 통축(3)보다 축방향 길이가 길고 상기 통축(3)으로부터 좌측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제1돌출축에는 감속기어기구(5)를 구성하는 제1기어(51)를 형성함과 동시에, 우측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제2돌출축의 외주에 나사부(41)에 형성하고 이 나사부(41)에 수동의 휘일(7)을 나사 결합시키는 동시에 이 휘일(7)과 상기 프레임(1)의 제1측판(11) 과의 사이에서 상기 구동축(4) 상에 기계식 브레이크(8)를 끼워 설치하고 상기 휘일(7)의 빠른 회전에 의해 이 휘일(7)과 구동축(4)을 상기 기계식 브레이크(8)로 일체로 결합시키고, 상기 휘일(7)의 회전동력을 상기 감속기어기구(5)를 거쳐서 로드시브(2)에 전달하고 이 시브(2)에 감아 설치한 체인(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하양(荷揚) 작업을 행하고 또 하강(荷降) 작업시에는 상기 휘일(7)의 역회전에 의해 상기기계식 브레이크(8)를 단속적으로 해제하고, 상기 로드시브(2)를 화물의 하중에 의해 역전 구동케하여 하강작업을 하는 것이다.
또, 상기 감속기어 기구(5)는 상기 구동축(4)의 제1돌출축 외주에 설치한 상기 제1기어(51)와, 2개의 중간축(6) 상에 고정지지되어 상기 제1기어(51)에 각각 맞물리는 2개의 제2기어(52)와 상기중간축(6) 위에 일체로 형성된 2개의 제3기어(53)와 상기 통축(3)의 축단쪽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상기 각 제3기어(53)와 맞물리는 제4기어(54)로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축(4)의 회전동력을 상기 제1 내지 제4기어(51), (52), (53), (54)를 거쳐서 동축(3) 즉, 로드시브(2)에 감속 전달하도록 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권상기의 제1기어(51)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1기어(51)를 상기 구동축(4)의 제1돌출축의 외주에 형성하게 되나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는 상기 제1기어(51)를 그피치 원(D2)이 상기 구동축(4)의 외경(D1)보다 작은 치수로 형성하고, 이 제1기어(51)의 축방향 안쪽, 즉 통축(3) 측단부에는 상기구동축(4)의 반경 방향 바깥족으로 확대되어 상기 통축(3)의 축단과 걸어맞춤하여 상기 구동축(4)의 축방향 이동을 저지하는 플랜지부(42)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 제1기어(51) 및 플랜지부(42)는 주로 냉간 단조에 의해 상기 구동축(4)의 제1돌출축쪽에 일체로 동시적으로 형성하는 것이며, 상기 플랜지부(42)에 의해 상기 제1기어(51)를 보강하는 것이고, 환언하면 상기 플랜지부(42)에 의해 제1기어(51)의 강도를 강화함으로써 제1기어(51)를 상술하는 바와 같이 소경화 가능하도록하여, 권상기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제1기어(51)와 플랜지부(42)와의 인접부에서 제1기어(51)의 치선부와 처저부에 플랜지부(42)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향하여 경이 두껍게 형성되는 라운드부(43)를 각각 형성하고, 이들 각 라운드부(43)에 의해 상기 제1기어(51)의 강도를 한층 강화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구동축(4)에는 상기 통축(3)의 외경보다 큰 직경인 외주면을 가지며, 상기 통축(3)의 외주에 스플라인 결합하는 상기 제4기어(54)의 축방향 바깥쪽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와셔(20)를 끼워넣고 이 와셔(20)를 상기 플랜지부(42)에 맞닿게 하고, 상기 제4기어(54)가 통축(3)으로부터 이탈 방지하게 한다.
이 와셔(20)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상기 플랜지부(42)를 상기 제4기어(54)의 측면에 맞닿도록 큰 직경으로 하고, 이 플랜지부(42)를 상기 제4기어(54)에 직접 맞닿게하여 이 제4기어(54)를 빠지지 않게 고정하여도 좋다.
또 상기 구동축(4)에서의 플랜지부(42)의 축방향 안쪽은, 원형 외주면으로 하며, 상기 플랜지부(42)이 축방향 안쪽과 구동축(4)의 제2돌출축 축단부와의 2개소에서, 통축(3)의 내면과의 사이에 각각 2개의 니들 베어링(30), (31)을 끼워 설치하고, 구동축(4)과 통축(3)과의 상대회전을 원활하게 행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도면의 실시예는 수동식 권상기이나 전동식 권상기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어떠한 경우라도 상기 제1기어(51)는, 주로 냉간 단조에 의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플랜지부(42)를일체로 형성하고 이플랜지부(42)에 의해 상기 제1기어(51)를 보강하도록 하였으므로 상기 구동축(4)을 소경으로하여도, 상기 제1기어(51)의 강도는 충분히 얻어질 수 있는 것이며, 권상기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 종래와 같이 제1기어(51)를 형성하는데 절삭홈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동축(4)에 의한 통축(3)의 절삭마모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구동축(4)에서의 제1기어(51)의 안쪽, 즉 상기 플랜지부(42)에 대한 축방향 내측의 외주면을 원형 외주면으로 할 수 있어, 상기 구동축의 양측 2개소에 베어링을 끼워 설치할 수 있게 되고, 구동축(4)과 통축(3)과의 상대 회전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그 밖에 상기 플랜지부(42)를 이용하여 상기 통축(3)상에 제4기어(54)를 간단한 구성으로 빠지지 않게 고정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스냅링을 필요로 하지 않고 또 통축(3) 상에 스냅링 걸어맞춤용의 둘레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져서 제작비용도 저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한쌍의 측판(11) (12)을 가진 프레임(1)의 상기 측판(11) (12) 상이에 로드시브(2)를 가진 통축(3)을 회전 자유로히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통축(3)의 중심공(33)에 구동축(4)을 회전 자유로히 지지하고, 상기구동축(4)의 동력을 구동축(4)과 동축상에 설치되는 제1기어(51)와, 제1기어(51)에 치합되는 제2기어(52)와, 이 제2기어(52)와 동축상에 설치되는 제3기어(53)이 이 제3기어(53)에 치합되고 상기 통축(3)에 설치되는 제4기어(54)에 의해 구성되는 감속기어 기구를 통해서 상기 로드시브(2)에 전달하도록 한 권상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4)의 통축(3)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축부의 외주에 상기 구동축(4)의 외경보다 작은 경의 피치원을 가진 제1기어(51)와, 이 제1기어(51)의 축방향의 안쪽으로 상기 제1기어(51)와 연속되고 동시에, 상기 구동축(4)의 반경방향 근방에 연장되어 구동축(4)의 외주면 보다도 큰 경으로 하고 상기통축(3)과 걸어맞춤하여 구동축(4)의 축방향 하쪽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며 그 이탈방지를 행하는 환상의 플랜지부(42)를 가지며 이들 제1기어(51)와 플랜지부(42)는 냉간단조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기어(51)와 플랜지부(42)의 연속부에는 상기 제1기어(51)로 부터 플랜지부(42)로 향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속 곡선으로 경이 점진적으로 커진 라운드부(43)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
KR2019840005419U 1983-06-10 1984-06-09 권상기 KR89000365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968283U JPS59195193U (ja) 1983-06-10 1983-06-10 捲上機
JP58-89682 1983-06-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657Y1 true KR890003657Y1 (ko) 1989-05-31

Family

ID=13977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5419U KR890003657Y1 (ko) 1983-06-10 1984-06-09 권상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131380B1 (ko)
JP (1) JPS59195193U (ko)
KR (1) KR890003657Y1 (ko)
DE (1) DE3467145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74642A5 (ko) * 1988-01-14 1990-06-29 Marco Bachmann
US5556078A (en) * 1992-12-16 1996-09-17 Elephant Chain Block Company Limited Manual hoist and traction machine
JP2601403B2 (ja) * 1993-12-03 1997-04-16 象印チエンブロック株式会社 手動式チェンブロック
US5544863A (en) * 1993-07-02 1996-08-13 Elephant Chain Block Company Limited Manual chain block
JP2919809B2 (ja) * 1997-05-15 1999-07-19 象印チエンブロック株式会社 手動式チェンブロック
JP5550410B2 (ja) * 2010-03-25 2014-07-16 株式会社キトー 手動チェーンブロック
JP5827188B2 (ja) * 2012-07-30 2015-12-02 株式会社キトー チェーンブロック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92581A (en) * 1919-12-19 1924-05-06 Palmer Bee Co Hoist
US1949920A (en) * 1931-03-26 1934-03-06 Riley Engineering & Supply Co Hoist
US2324000A (en) * 1940-10-10 1943-07-13 Coffing Hoist Company Hoist structure
JPS5227808Y2 (ko) * 1973-05-14 1977-06-24
JPS5443492U (ko) * 1977-08-31 1979-03-24
US4221364A (en) * 1978-08-07 1980-09-09 Kabushiki Kaisha Toa Kiaki Seisakusho Chain b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9195193U (ja) 1984-12-25
EP0131380B1 (en) 1987-11-04
EP0131380A1 (en) 1985-01-16
DE3467145D1 (en) 198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2191B2 (en) Variable speed control device of a power winch
EP0677416B1 (en) Bearing cap and pump mounting flange for power take-off unit
FI77211B (fi) Drivapparatur foer lintrumma.
US4569423A (en) Traction machine for an elevator
US6261199B1 (en) Non-back drive power transmission
KR890003657Y1 (ko) 권상기
US7314330B2 (en) Bushing system for power transmission products
US20130001489A1 (en) Manual chain block
US4770062A (en) Planetary gear apparatus
US20080102998A1 (en) Nonrotational torque sensing belt drive
KR20120061921A (ko) 기어 휠
KR20120002009A (ko) 메인베어링의 고정이 용이한 크롤러 주행유닛의 감속기
US3618898A (en) Winch
US5149058A (en) Lever-operated hoist
CH399108A (de) Getriebe
EP1213256B1 (en) Hoisting and pulling device
RU2049281C1 (ru) Понижающий планетарный редуктор мотор-колеса
KR920002901Y1 (ko) 윈치
CN210505339U (zh) 一种大型升船机卷筒轴与卷筒体定位连接装置
CN108639997B (zh) 一种带卷筒的行星卷扬齿轮箱
CN211056581U (zh) 一种提升机装置
KR100356749B1 (ko) 차동유성기어 감속구조를 이용한 권상기
KR200177080Y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시브축 지지 장치
JPH023511Y2 (ko)
JPS64133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4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