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429Y1 - 비데오 카메라의 전원전환회로 - Google Patents

비데오 카메라의 전원전환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429Y1
KR890003429Y1 KR2019850017328U KR850017328U KR890003429Y1 KR 890003429 Y1 KR890003429 Y1 KR 890003429Y1 KR 2019850017328 U KR2019850017328 U KR 2019850017328U KR 850017328 U KR850017328 U KR 850017328U KR 890003429 Y1 KR890003429 Y1 KR 8900034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ator
terminal
output
video camera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73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1561U (ko
Inventor
전일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173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3429Y1/ko
Publication of KR8700115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15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4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4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4/00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 H03K4/06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having triangular shape

Landscapes

  • Dc-Dc Converter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데오 카메라의 전원전환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각부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스위칭회로 6 : 비교회로
7 : 전압제어부 8 : 정류회로
9 : 삼각파발생부 10 : 촬상관 히팅회로
Q1,Q2,Q3: 트랜지스터 R1-R10: 저항
C1,C2,C3: 콘덴서 SW : 스위치
OP1,OP2: 비교기 D1: 다이오드
L1,L2: 코일 Vcc : 전원
본 고안은 비데오 카메라의 동작시(NORMAL MODE)와 대기시(STAND BY)에 서로 다른 전압을 촬상관에 인가시키도록 한 비데오 카메라의 전원 전환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비데오 카메라의 상용중에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상황 및 촬영자의 위치 이동등으로 촬영이 불필요하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비데오 카메라의 전원은 포터블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PORTABLE VTR)의 밧데리에서 공급받고 있으므로 전력소모를 최대한 줄여줄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을 중단시키면 중단후 정상 동작을 시킬때에 즉시 촬영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야 하는데 음극 선관의 히터를 예열하는 데는 시간(약 4-5초)이 소모되어 피사체의 상황에 즉시 대처할 수 없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비데오 카메라에서 동작시 촬상관의 히터에 공급되는 전압(7.8V)과 대기시 촬상관에 흐르는 전압(4.8V)을 각각 다르게 공급하여 대기시에 소비되는 전류를 줄이고 또한 최소한의 전압(4.8V)으로써 촬상관의 히터를 예열시킴으로써 즉시 촬영이 가능하도록 한 비데오 카메라의 전원 전환 회로로써 스위칭회로의 스위치를 "온""오프"시킴에 따라서 비교 회로의 출력을 변환시켜 전압제어부의 트랜지스터를 도통시키는 시간을 변화시킴으로써 정류 회로를 통한 출력이 스위치 "온"시와 스위치 "오프"시가 서로 다르도록 하여 촬상관에 이나되는 전압이 서로 다르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Vcc)이 에미터측으로 인가되는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측에 저항(R1)과 스위치(SW)를 연결하고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측 출력이 저항(R2)(R3)으로 분배되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측에 인가되고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측 출력이 저항(R4)을 거쳐 비교기(OP2)의 일측단자(+)에 인가되게 스위칭회로(5)를 구성하며 또한 비교기(OP2)의 일측단자(+)에 전원(Vcc)이 저항(R5-R7)과 가변저항(VR1)을 거쳐 인가되도록 한 후 타측단자(-)에는 저항(R5)으로 비교기(OP2)의 출력이 궤환되게 하여 비교회로(6)를 구성한다.
그리고 비교기(OP2)의 출력이 비교기(OP1)의 일측단자에 인가되게 구성하고 비교기(OP1)의 타측단자(-)에는 삼각파발생부(9)의 삼각파가 입력되게 구성한 후 비교기(OP1)의 출력이 저항(R9)(R10)와 콘덴서(C1) 및 트랜지스터(Q3)로 구성된 전압제어부(7)에 인가되게 구성한다.
또한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측 출력이 다이오드(D1)와 코일(L1)(L2) 및 콘덴서(C2)(C3)로 구성된 정류회로(8)를 통하여 촬상관 히팅회로(10)에 인가되게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1도 본 고안의 회로도에서 스위치(SW)는 비데오 카메라의 동작시 "오프"되고 대기시 "온"되는 스위치이다.
비데오 카메라를 동작시키면 스위칭회로(5)의 스위치(SW)가 "오프"되어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고 또한 트랜지스터(Q2)도 바이어스 전압이 걸리지 않아 "오프"된다.
따라서 입력전원(Vcc)을 저항(R6)(R7)으로 분배시킨후 저항(R5)과 가변저항(VR1)을 통하여 비교기(OP2)의 일측단자(+)에 인가시켜 비교기(OP2)의 출력측에서 제2도의 (a)에서와 같은 직류 전압이 출력되어 비교기(OP1)의 일측단자(+)에 인가시키고 비교기(OP1)의 타측단자(-)에는 삼각파발생부(9)에서 제2도의 (b)에서와 같은 삼각파를 입력시켜 비교기(OP1)의 출력측에서 제2도의 (c)에서와 같은 출력 파형을 얻게된다.
따라서 비교기(OP1)의 출력 파형은 저항(R9)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3)를 "온""오프"시켜주게 되는데 제2도의 (c)에서의 주기(T)에서는 "온"되고 주기(t)에서는 "오프"된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Q3)의 "온""오프"에 따라 인가되는 전원은 다이오드(D1)를 거쳐 정류되고 콘덴서(C2)(C3)의 충방전 동작에 의하여 코일(L1)(L2)을 거쳐 촬상관 히팅회로(10)에 필요한 전(7.8V)이 출력되는 것이다.
또한 비데오 카메라로 촬영하지 않고 대기시에는 스위칭회로(5)의 스위치(SW)가 "온"되어 저항(R1)으로 바이어스되는 트랜지스터(Q1)가 도통하고 트랜지스터(Q1)이 콜렉터측 출력이 저항(R2)(R3)으로 분배되어 트랜지스터(Q2)를 "온"시킴으로써 비교기(OP2)의 일측단자(+)에 입력되는 전원이 저항(R4)을 거쳐 접지로 흐르게 하여 전원(Vcc)이 저항(R5~R7)과 가변저항(VR1)을 거쳐 입력되는 전압을 낮추어준다. 따라서 비교기(OP2)의 출력측에는 제2도 (a)에서의 직류 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출력되어 비교기(OP1)의 출력측에서는 제2도(c)에서의 주기(t)가 작아진 펄스파형이 출력되어 전압제어부(7)의 트랜지스터(Q3)를 "온"시키는 시간이 적어지게 되므로 정류회로(8)를 통과한 출력은 촬상관의 히터를 예열하는데 필요한 전압(4.8V)이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스위칭회로(5)의 스위치(SW)를 "온""오프"시킴에 따라 비교회로(6)와 비교기(OP1)를 거친 출력 파형이 변화되어 전압제어부(7)의 트랜지스터(Q3)를 도통시키는 시간이 달라지게 되어 정류회로(8)를 거친 출력은 비데오 카메라를 동작시킬때 즉 스위치(SW)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촬상관을 동작시키는 전압(7.8V)이 되고 대기상태 즉 스위치(SW) "온"된 상태에서는 촬상의 히터를 예열만 시키는 전압(4.8V)이 되므로써 비데오 카메라의 대기상태시 전압을 낮춰주어 촬상관의 히터를 예열시킴으로써 전류의 절약과 즉시 촬영이 가능토록 해주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트랜지스터(Q1)(Q2)와 저항(R1~R5) 및 스위치(SW)로 구성된 스위칭회로(5)를 비교기(OP2)의 일측단자(+)에 접속시켜 구성라고 저항(R5~R7)과 가변저항(VR1)이 일측단자(+)에 연결되고 타측단자(-)는 저항(R5)으로 궤환되게 연결한 비교기(OP2)로 구성시킨 비교회로(6)의 출력이 타측단자(-)에는 삼각파발생부(9)가 연결된 비교기(OP2)의 일측단자(+)에 인가시켜 비교기(OP2)의 출력으로써 저항(R9)(R10)과 콘덴서(C1) 및 트랜지스터(Q3)로 구성된 전압제어부(7)를 구동시키도록 구성한 후 다이오드(D1)와 코일(L1)(L2) 및 콘덴서(C2)(C3)로 구성된 정류회로(8)를 통하여 히팅회로(10)에 인가되게 구성한 비데오카메라의 전원 전환회로.
KR2019850017328U 1985-12-19 1985-12-19 비데오 카메라의 전원전환회로 KR8900034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7328U KR890003429Y1 (ko) 1985-12-19 1985-12-19 비데오 카메라의 전원전환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7328U KR890003429Y1 (ko) 1985-12-19 1985-12-19 비데오 카메라의 전원전환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561U KR870011561U (ko) 1987-07-18
KR890003429Y1 true KR890003429Y1 (ko) 1989-05-22

Family

ID=19247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7328U KR890003429Y1 (ko) 1985-12-19 1985-12-19 비데오 카메라의 전원전환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342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561U (ko) 198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2126A (en) Start circuit for a switched mode power supply
US4806843A (en) D.C. voltage supply circuit
US7019992B1 (en) Capacitively coupled power supply
KR960011731B1 (ko) 텔레비젼 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JPH0121598B2 (ko)
KR890003429Y1 (ko) 비데오 카메라의 전원전환회로
US7046293B1 (en) Power supply circuit and CCD camera using same
JPH01268454A (ja) スイッチング電源用漸進的始動回路
US5327070A (en) Power supply circuit for driving a light emitting element
JPH0139578B2 (ko)
JP3434595B2 (ja) 測距装置
KR880003416Y1 (ko) 오피 앰프에 의한 전압 조정회로
US4652108A (en) Driving device for illuminating lamp of flash apparatus
JP2534217Y2 (ja) 直流―直流コンバータ
JPH0739346Y2 (ja) 電流モード制御装置のスロープ補償回路
JP3002290B2 (ja) 電子閃光装置
JPH0233429Y2 (ko)
KR0140018Y1 (ko) 배터리 충전회로
JPS6110380Y2 (ko)
JP2558666B2 (ja) 水平ドライブ回路
KR910007194Y1 (ko) 자동 픽쳐 온(Picture On) 회로
JPH062440Y2 (ja) 充電制御回路
KR910008619Y1 (ko) 연산증폭기를 이용한 대기전압 발생회로
KR960010465B1 (ko) 영상기기의 수평 쉬프트 장치
KR0163703B1 (ko) 전원 안정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