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194Y1 - 자동 픽쳐 온(Picture On) 회로 - Google Patents

자동 픽쳐 온(Picture On)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194Y1
KR910007194Y1 KR2019880007678U KR880007678U KR910007194Y1 KR 910007194 Y1 KR910007194 Y1 KR 910007194Y1 KR 2019880007678 U KR2019880007678 U KR 2019880007678U KR 880007678 U KR880007678 U KR 880007678U KR 910007194 Y1 KR910007194 Y1 KR 9100071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ircuit
constant voltage
switching pulse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76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4032U (ko
Inventor
문양춘
이세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076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7194Y1/ko
Publication of KR8900240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40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1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1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self-oscillating arrangement
    • H02M3/338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self-oscillating arrangement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픽쳐 온(Picture On) 회로
제1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메인 전원 정류 회로 2 : 릴레이 구동회로
3 : 리모콘용 정류회로 4 : 파우어 스위칭 펄스 발생부
5 : 파우어 스위치 온/오프 회로 6 : 정전압 회로
7 : 충전부 8 : 마이콤
Q1-Q3 : 트랜지스터 ZD1 : 제너 다이오드
SW1 : 파우어 스위치
본 고안은 리모콘(Remocon) 사용 칼라 텔레비젼에서 메인 스위치를 '온'시키면 파우어 스위치의 조작 없이도 픽쳐 튜브(Picture tube)에 화면이 재생될 수 있도록 한 자동 픽쳐 온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리모콘 사용 칼라 텔레비젼 등에서 메인 스위치를 '온'시키면 리모콘 마이콤에 스텐바이(Stand By)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대기 전원만 공급되게 되어 있는 관계로 화면을 나타나게 하기 위해서는 다시 리모콘의 파우어 스위치를 '온'시켜야만 하였다.
즉 종래에는 제1도에서와 같이 도시되지 아니한 메인 스위치를 '온'시키면 교류전원(AC)이 리모콘 트랜스(T1)에 인가되며 리모콘 트랜스(T1)의 2차측에 유기된 전원은 정류용 다이오드(D2)(D3)와 평활용 콘덴서(C3)로 구성된 리모콘용 정류회로(3)에서 정류 평활된후 정전압 회로(6)에서 정전압화되어 마이콤(8)에 대기전원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릴레이(RY1)에 인가되게 된다.
이때 파우어 스위치(SW1)를 '온'시키지 않으면 정전압 회로(6)에서 마이콤(8)에 계속 대기 전원만 공급해주어 화면이 나타나지 않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파우어 스위치(SW1)를 '온'시키면 마이콤(8)은 이를 감지하여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하이레벨의 파우어 제어신호를 출력시킴으로써 릴레이 구동회로(2)의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어 릴레이(RY1)를 구동시키게 되며 릴레이(RY1)가 구동되면 교류전원(AC)은 브릿지 다이오드(BD1)와 평활용 콘덴서(C1)로 구성된 메인 전원 정류회로(1)에서 정류 평활된후 메인전원으로 공급되게 되므로써 화면을 시청할수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메인 스위치를 '온'시키면 대기전원만 공급되므로 사용자는 메인 전원을 공급하여 화면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다시 파우어 스위치를 '온'시켜 주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리모콘 사용 칼라 텔레비젼에서 메인 스위치를 '온'시키면 곧 바로 화면이 나타나게 하고 그 이후에는 파우어 스위치에 의해 파우어가 '온 -오프'될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메인 스위치를 '온'시키면 정전압 회로에서 발생된 정전압을 충전시키는 충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충전부의 충전시간 동안 구동되어 파우어 스위칭 펄스를 발생시키는 파우어 스위칭 펄스 발생부를 구비하며 상기 파우어 스위칭 펄스발생부의 파우어 스위칭 펄스로 동작되고 파우어 스위치 '온'신호를 마이콤에 인가시키는 파우어 스위치 온/오프 회로를 구비시켜 된 것이다.
이하 리모콘 사용 텔레비젼에서 메인스위치를 '온'시킬 경우 별도의 파우어 스위치 조작없이도 화면이 나타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로써 메인 스위치 '온'시 인가되는 교류전원(AC)을 정류 평활하여 대기전원을 공급하는 리모콘용 정류 회로(3)와, 상기 리모콘용 정류 회로(3)의 대기전원을 정전압으로 마이콤(8)에 출력시키는 정전압 회로(6)와, 상기 마이콤(8)의 파우어 제어신호로 동작되고 교류전원(AC)을 메인 전원 정류회로(1)에 인가시키는 릴레이 구동회로(2)가 구성된 리모콘용 텔레비젼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 회로(6)에서 출력된 정전압이 저항(R3)을 통하여 콘덴서(C4)에 충전되어지는 충전부(7)와, 상기 충전부(7)의 충전 전압에 의하여 구동되고 파우어 스위칭 펄스를 발생시키는 파우어 스위칭 펄스 발생부(4)와, 상기 파우어 스위칭 펄스 발셍부(4)의 파우어 펄스로 동작되고 파우어 스위치(SW1)와 병렬 연결되며 마이콤(8)에 파우어 '온'신호를 인가시키는 트랜지스터(Q3)를 구비한 파우어 스위치 온/오프 회로(5)로 구성되어진다.
그리고 파우어 스위칭 펄스 발생부(4)는 충전부(7)의 충전 전압에 의하여 구동되어지는 제너 다이오드(ZD1)와, 상기 제너 다이오드(ZD1)의 동작에 따라 구동되고 파우어 스위치 온/오프 회로(5)에 파우어 스위칭 펄스를 인가시키는 트랜지스터(Q2)롤 구성되어 진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 도시되지 아니한 메인 스위치를 '온'시키면 교류전원(AC)은 리모콘용 정류회로(3)의 리모콘 트랜스(T1)에서 전압 강하된후 다이오드(D2)(D3)에서 정류되고 콘덴서(C3)에서 평활된후 정전압 회로(6)에 인가되게 되며 정전압 회로(6)에서는 상기 리모콘용 정류회로(3)에서 인가된 대기전원을 일정전압으로 출력시키게 되고 상기 정전압 회로(6)에서 출력된 정전압은 마이콤(8)의 전원단(VDD)에 대기전원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릴레이(RY1)에 인가되게 된다.
이때 정전압 회로(6)에서 출력된 정전압은 저항(R3)과 콘덴서(C4)로 구성된 충전부(7)에 인가되게 되며 충전부(7)에서 저항(R3)과 콘덴서(C4)에 의한 시정수로 정전압이 콘덴서(C4)에 충전되는 동안에는 콘덴서(C4)의 충전 전하가 낮아 제너 다이오드(ZD1)의 캐소드 측이 애노드측 전위보다 낮게되어 제너 다이오드(ZD1)가 '온'된 상태가 되므로 바이어스용 저항(R4)(R5)이 연결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위가 낮아지게 되어 트랜지스터(Q2)는 '턴온'되게 된다.
이같이 메인 스위치가 '온'되어 정전압 회로(6)에서 출력시킨 정전압이 충전부(7)의 콘뎬서(C4)에 충전되는 동안에는 파우어 스위칭 펄스 발생부(4)의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게 되며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면 콜렉터측 하이레벨 출력은 바이어스용 저항(R6)(R7)이 연결된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3)를 '턴온'시키게 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Q3)가 '턴온'되면 이와 병렬 연결된 파우어 스위치(SW1)가 '온'된 상태와 동일하게 마이콤(8)의 파우어 메트릭스에서 인식하게 되므로 마이콤(8)에서는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하이레벨의 파우어 제어신호를 출력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므로써 릴레이(RY1)가 구동하게 되며 릴레이(RY1)가 구동하면 교류전원(AC)이 메인 전원 정류회로(1)에서 정류 평활된후 메인 전원으로 공급되게되므로 픽쳐 튜브에 화면이 재생되게 된다.
즉 메인 스위치를 '온'시키게 되면 정전압 회로(6)에 연결된 충전부(7)에 정전압이 충전되게 되며 정전압이 충전되는 동안에 트랜지스터(Q2)(Q3)가 '턴온'되어 파우어 스위치(SW1)를 '온'시키는 것과 동일한 기능을 하게 되므로써 화면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메인 스위치를 '온'시킨후 다시 파우어 스위치(SW1)를 '온'시키지 않아도 화면을 볼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충전부(7)의 저항(R3)과 콘덴서(C4)에 의한 시정수후에는 콘덴서(C4가 완전 충전되게 되며 이때에는 제너다이오드(ZD1)의 캐소드 전위가 애노드 전위보다 높게 되어 제너다이오드(ZD1)가 '오프'되게 되므로 바이어스용 저항(R4)(R5)이 연결된 트랜지스터(Q2)는 '턴오프'되며 트랜지스터(Q2)가 '턴오프'되면 트랜지스터(Q3)도 '턴오프'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3)가 '턴오프'되면 파우어 스위치(SW1)에는 하등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되며 이후부터는 파우어 스위치(SW1)의 '온-오프'를 제어할수 있는 것이다.
즉 충전부(7)의 충전이 완료된 후에는 파우어 스위치(SW1)를 '온-오프'시킴에 따라서 메인 전원을 제어할수 있는 일반적인 방법과 동일하게 화면을 '온-오프'시킬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리모콘 사용 칼라 텔레비젼에서 메인 스위치를 '온'시키면 충전부의 충전시간동안 파우어 스위칭 펄스 발생부를 구동시켜 파우어 스위치 온-오프 회로를 구동시켜 주므로써 메인 스위치를 '온'시킴과 동시에 파우어 스위치를 '온'시킨 것과 동일하게 되도록 한 것으로써 메인 스위치의 '온'동작과 함께 파우어 스위치의 조작없이도 픽쳐 튜브에 화면이 재생되게 되므로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교류전원(AC)을 정류 평활하여 대기전원을 공급하는 리모콘용 정류회로(3)와, 상기 리모콘용 정류회로(3)의 대기전원을 정전압으로 마이콤(8)에 인가시키는 정전압 회로(6)와, 상기 마이콤(8)의 파우어 제어신호로 구동되어 교류전원(AC)을 메인 전원 정류회로(1)에 인가시키는 릴레이 구동회로(2)가 구성된 리모콘 텔레비젼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 회로(6)의 정전압 출력을 콘덴서(C4)에서 충전시키는 충전부(7)와, 상기 충전부(7)의 충전전압에 의하여 구동되고 파우어 스위칭 펄스를 발생시키는 파우어 스위칭 펄스 발생부(4)와, 상기파우어 스위칭 펄스 발생부(4)의 파우어 스위칭 펄스로 파우어 스위치(SW1)와 병렬 연결된 트랜지스터(Q3)의 구동을 제어하는 파우어 스위치 온/오프 회로(5)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픽쳐 온(Picture On)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파우어 스위칭 펄스 발생부(4)는 충전부(7)의 충전전압에 의하여 구동되어지는 제너 다이오드(ZD1)와, 상기 제너 다이오드(ZD1)의 구동에 따라 동작이 제어되고 파우어 스위치 온/오프 회로(5)에 파우어 스위칭 펄스를 인가시키는 트랜지스터(Q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픽쳐 온(Picture On)회로.
KR2019880007678U 1988-05-24 1988-05-24 자동 픽쳐 온(Picture On) 회로 KR9100071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7678U KR910007194Y1 (ko) 1988-05-24 1988-05-24 자동 픽쳐 온(Picture On)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7678U KR910007194Y1 (ko) 1988-05-24 1988-05-24 자동 픽쳐 온(Picture On)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4032U KR890024032U (ko) 1989-12-04
KR910007194Y1 true KR910007194Y1 (ko) 1991-09-24

Family

ID=19275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7678U KR910007194Y1 (ko) 1988-05-24 1988-05-24 자동 픽쳐 온(Picture On)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719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4032U (ko) 198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89235B1 (en) Start-up control circuitry for a television apparatus
RU97100480A (ru) Схема подачи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для оборудования видеодисплея
CA1221451A (en) Television receiver standby power supply
JP3117013B2 (ja) テレビジョン装置用電源
KR0139545Y1 (ko) 음극선관의 히터 예열장치
KR910007194Y1 (ko) 자동 픽쳐 온(Picture On) 회로
KR970005996B1 (ko) 그린파워 장치 및 제어방법
JP2001251860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待機装置
KR100347357B1 (ko) 텔레비젼수상기의 퀵 스타트 회로
KR910008723Y1 (ko) 스탠바이 전원을 이용한 전원 제어회로
JP3459052B2 (ja) 直流電源装置
KR100466329B1 (ko) 디스플레이의 절전제어회로
KR100208990B1 (ko) 절전형 모니터의 순간 제어 장치
JPH0412788Y2 (ko)
KR920006056Y1 (ko) 지자계 소자회로
KR910007541B1 (ko) Tv/라디오 절환 회로
KR930004818Y1 (ko) 수평 스타트 회로 제어장치
KR100208993B1 (ko) 절전형 모니터의 순간 제어 장치
KR950006441B1 (ko) 텔레비젼의 '온 타임'시 멜로디 발생회로
KR910007428Y1 (ko) 다단 바이어스 공급회로
KR0120084Y1 (ko) 스텐바이시 소비전력 감소회로
KR0140104Y1 (ko) 티브이의 섬광잡음 제거회로
KR100195618B1 (ko) 컴퓨터 영상표시장치의 전원관리모드 전환방법
CA1290447C (en) Power supply regulator for television
KR910005425Y1 (ko) 저전력 소비형 초기 스타트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