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104Y1 - 티브이의 섬광잡음 제거회로 - Google Patents

티브이의 섬광잡음 제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104Y1
KR0140104Y1 KR2019950016775U KR19950016775U KR0140104Y1 KR 0140104 Y1 KR0140104 Y1 KR 0140104Y1 KR 2019950016775 U KR2019950016775 U KR 2019950016775U KR 19950016775 U KR19950016775 U KR 19950016775U KR 0140104 Y1 KR0140104 Y1 KR 01401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power
power supply
voltag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67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7470U (ko
Inventor
신종근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500167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104Y1/ko
Publication of KR9700074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4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1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1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18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in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deflecting
    • H04N3/185Maintaining dc voltage consta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08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본고안은 TV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수평 드라이브 펄스로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전원의 오프 동작시에 전원부를 통한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용 일정 전원과, 마이컴과 평향 IC부로 연결되는 회로에 주전원이 항상 걸려 있으므로서,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저항에도 항상 전원이 걸려있어 수평 드라이브 펄스단의 동작 정지와 동시에,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전원회로선 즉, CRT구동용 애노우드전압(약 200V)은 상기 전원부에서 출력된 전원(약 120V)으로 즉시 내려가면서, 상기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측에 휘도신호가 순간적으로 하강함(OV)에 따라 밝은 섬광잡음이 나타나고, 상기 트랜지스터를 통해 에미터와 콜렉터간에 전압격차가 순간적으로 커지면서, 이에따라 캐소우드단에 과도한 전류를 흘려 TV의 화면에 나타나므로서, 전원선(약 220V)의 변동충격 및 TV전언 오프시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콘덴서의 용량을 크게하여 섬광잡음을 제어하도록 하였으나 깨끗하에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TV의 전원을 오프시,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에서 출력된 전압에 의해 휘도신호의 전압을 순간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회로를 구성하므로서, 브라운관 캐소우드단의 과전류를 방지하고 트랜지스터의 전압격차를 줄여 TV화면에서의 섬광잡음을 깨끗하게 제거하는 티브이(TV)의 섬광잡음 제거회로이다.

Description

티브이의 섬광집을 제거회로
제1도는 종래 TV의 전원공급 회로도.
제2도는 종래 TV의 섬광잡음 발생 상태를 보인 파형도.
제3도는 본고안 TV의 섬광잡음 제거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이컴 2 : 전원부
3 : 편향IC부 FBT :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
HDT : 수평 드라이브 트랜스 HDY : 수평 편향 코일
본고안은 TV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원의 오프시에 수평 드라이브 펄스로 전원공급을 제어하여 고압 섬광잡음이 화면에 나타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전원의 TV온/오프시 티브이(TV)의 섬광잡음 제거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티브이(TV) 전원공급 회로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도면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교류(AC)전원이 인가되어 회로각부에 일정전원(B+)을 공급하는 전원부(2)와, 상기 전원부(2)의 전원 공급에 따라 일정신호를 출력시켜 회로각부를 제어하는 마이컴(1)과, 상기 마이컴(1)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는 트랜지스터(Q1)(Q2)와, 상기 전원부(2)의 일정전원(B+) 및 트랜지스터(Q1)Q2)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수평 드라이브 펄스신호를 출력시키는 편향 IC부(3)와, 상기 편향 IC부(3)에서 출력된 수평 드라이브 펄스신호를 전류 구동시키는 수평 드라이브 트랜스(HDT)와, 상기 수평 드라이브 트랜스(HDT)에 의해 전류 구동된 수평 드라이브 펄스신호를 고전압 펄스로 구동시키는 트랜지스터(Q4)와, 상기 트랜지스터(Q4)에 의해 고전압 펄스 구동된 수평 드라이브 펄스신호를 편향시키는 수평 편향 코일(HDY)과, 상기 전원부(2)에서 공급된 일정전원(B+)과 트랜지스터(Q4)에서 출력되어 고전압 펄스로 구동된 수평 드라이브 펄스신호에 따라 CRT구동용 애노우드전압을 출력시킴과 동시에 회로에 필요한 직류전원을 출력시키도록 스위칭 동작하는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FBT)와,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 퍼머(FBT)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출력된 직류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는 다이오드(D3)(D5) 및 콘덴서(C5)(C6)와,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FBT)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출력된 CRT구동용 애노우드전압을 정류 및 평활시키는 다이오드(D4) 및 콘덴서(C4)와, 상기 다이오드(D4) 및 콘덴서(C4)에 의해 정류 및 평활된 CRT구동용 애노우드전압과 베이스에 인가된 색차신호(R-Y, B-Y, G-Y) 및 에미터에 인가된 휘도신호(-Y)를 합산하여 콜렉터를 통해 색신호(RK, BK, GK)를 CRT의 캐소우드단에 화면 출력시키는 트랜지스터(Q5)로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미설명 부호 R1-R11은 저항, D1, D2는 다이오드, C1-C3는 콘덴서, ZD1, ZD2는 제너 다이오드, L1-L4는 코일, Q3는 트랜지스터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티브이(TV) 전원공급 회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류(AC)전원이 인가된 전원부(2)의 주전원 공급에 따라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FBT)에 일정전원(B+)(통상100-130V의 직류)을 인가시키고, 저항(R4)과 콘덴서(C1) 및 제너 다이오드(ZD1)를 통해 마이컴(1) 및 회로각부에 상기 전원부(2)의 주전언이 공급된 상태에서, 먼저, 사용자가 TV의 전원을 오프시키면, 상기 마이컴(1)은 저항(R1)을 통해 하이신호(5V)를 출력시키므로서, 트랜지스터(Q1)를 오프동작시키고, 저항(R2)과 다이오드(D1)(D2)를 통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바이어스전압이 걸리도록 하므로서, 상기 트랜지스터(Q2)를 온동작시킨다.
즉, 편향IC부(3)의 수평전원단(HVcc)에는 전원부(2)의 주전원이 차단되면서, 상기 편향IC부(3)의 수평 전원단(HVcc)에 걸려있던 일정전원도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온동작에 따라 없어지면서 편향 IC부(3)의 동작이 멈춤과 동시에 수평 드라이브 펄스단(HD)의 수평 드라이브 펄스신호가 출력되지 않아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FBT)의 스위칭 동작이 정지하므로서, 전체회로의 동작이 정지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TV의 전원을 온시키면, 상기 마이컴(1)은 저항(R1)을 통해 로우신호(OV)를 출력시키므로서, 온/오프동작하는 트랜지스터(Q1)를 온동작시키면서, 한편으로는 저항(R2)과 다이오드(D1)(D2)를 통해 연결된 트랜지스터(Q2)를 오프시키므로서, 상기 전원부(2)에서 출력되는 주전원이 콘덴서(C2) 및 제너 다이오드(ZD2)에 유기되면서 편향 IC부(3)의 수평 전원단(HVcc)에 주전원이 공급된다.
한편, 사용자가 TV의 전원을 온시키면, 상기 마이컴(1)은 저항(R1)을 통해 로우신호(OV)를 출력시키므로서, 온/오프동작하는 트랜지스터(Q1)를 온동작시키면서, 한편으로는 저항 (R2)과 다이오드(D1)(D2)를 통해 연결된 트랜지스터(Q1)를 오프시키므로서, 상기 전원부 (2)에서 출력되는 주전원이 콘덴서(C2) 및 제너 다이오드(ZD2)에 유기되면서 편향IC부(3)의 수평 전원단(HVcc)에 주전원이 공급된다.
이때, 상기 편향IC부(3)의 수평 전원단(HVcc)에 공급된 전원부(2)의 주전원에 따라 상기 편향IC부(3)의 수평 드라이브 펄스단(HD)에서는 수평 드라이브 펄스신호를 출력시켜 저항(R3) 및 트랜지스터(Q3)를 통해 수평 드라이브 트랜스(HDT)의 일차측 코일(L1)에 상기 수평 드라이브 펄스신호를 유기시키면, 상기 수평 드라이브 트랜스(HDT)의 이차측 코일(L2)에서는 상기 수평 드라이브 펄스신호를 전류 구동시킨후, 트랜지스터(Q4)로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Q4)는 전류 구동된 수평 드라이브 펄스신호를 고전압 펄스로 구동시킨후 출력시키면, 상기 고전압 펄스로 구동되어 출력된 수평 드라이브 펄스신호는 수평 편향 코일(HDY)에 의해 편향됨과 동시에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FBT)의 일차측 코일(L3)에 유기되면서,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FBT)가 스위칭 동작을 실시하게 된다.
즉,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FBT)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이차측 코일(L4)에서는 일차측 코일(L3)에 유기되어 고전압 펄스로 구동된 수평 드라이브 펄스신호에 따라 회로에 필요한 일정직류전원을 출력시키므로서, 상기 출력된 일정직류전원은 다이오드(D3) 및 저항(R5)과 콘덴서(C5)를 통해 정류 및 평활되어 상기 수평 드라이브 트랜스(HDT)의 일차측 코일(L1)에 일정직류전원(약 40V)을 공급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다이오드(D5)와 저항(R11) 및 콘덴서(C6)를 통해 정류 및 평활하여 마이컴(1) 및 트랜지스터(Q1)에 일정직류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FBT)의 일차측 코일(L3)에 유기되어 고전압 펄스로 구동된 수평 드라이브 펄스신호에 따라,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FBT)의 일차측 코일(L3)에서는 CRT구동용 애노우드전압(약 200V)이 출력되면서, 다이오드(D4) 및 저항(R6)과 콘덴서(C4)에 의해 정류 및 평활된다.
따라서, 상기 다이오드(D4) 및 저항(R6)과 콘덴서(C4)에 의해 정류 및 평활된 CRT구동용 애노우드전압(약 200V)은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인가된 색차신호(R-Y, B-Y, G-Y)와, 상기 트랜지스터(Q5)의 에미터에 저항(R7)을 통해 인가된 휘도신호(-Y)와 합산되면서, 상기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를 통해 색신호 (RK, BK, GK)가 출력되고, 상기 출력된 색신호 (RK, BK, GK)는 저항(R10)을 통해 CRT의 캐소우드단에 출력되어 TV의 화면상에 나타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TV의 전원공급 회로는 전원의 오프 동작시에 전원부(2)를 통한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FBT)용 일정전원(B+)과, 마이컴(1)과 편향 IC부(3)로 연결되는 회로에 주전원이 항상 걸려 있으므로서,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 저항(R9)에도 항상 전원이 걸려있어 수평 드라이브 펄스단(HD)의 동작 정지와 동시에,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FBT)의 전원 회로선 즉, CRT구동용 애노우드전압(약 200V)은 상기 전언부(2)에서 출력된 전원(약 120V)으로 즉시 내려가면서, 도면 제2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기 트랜지스터(Q5)의 에미터 측에 휘도신호(-Y)가 순간적으로 하강함(OV)에 따라 밝은 섬광잡음이 나타나고, 상기 트랜지스터(Q5)를 통해 에미터의 콜렉터간의 전압격차가 순간적으로 커지면서, 이에따라 캐소우드단(RK)에 과도한 전류를 흘려 TV의 화면에 나타나므로서, 전원선(약 200V)의 변동충격 및 TV전원 오프시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콘덴서(C2)(C4)의 용량을 크게하여 섬광잡음을 제어하도록 하였으나 깨끗하게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TV의 전원을 오프시,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FBT)에서 출력된 전압에 의해 휘도신호(-Y)의 전압을 순간적으로 상승시킬수 있도록 회로를 구성하므로서, 브라운관 캐소우드단의 과전류를 방지하고, 트랜지스터의 전압격차를 줄여 TV화면에서의 섬광잡음을 깨끗하게 제거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고안 티브이(TV)의 섬광잡음 제거회로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교류(AC)전원이 인가되어 회로각부에 일정전원(B+)을 공급하는 전원부(2)와, 상기 전원부(2)의 전원 공급에 따라 일정신호를 출력시켜 회로각부를 제어하는 마이컴(1)과, 상기 마이컴(1)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는 트랜지스터(Q1)(Q2)와, 상기 전원부(2)의 일정전원(B+) 및 트랜지스터(Q1)(Q2)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수평 드라이브 펄스신호를 출력시키는 편향IC부(3)와, 상기 편향IC부(3)에서 출력된 수평 드라이브 펄스신호를 전류 구동시키는 수평 드라이브 트랜스(HDT)와, 상기 수평 드라이브 트랜스(HDT)에 의해 전류 구동된 수평 드라이브 펄스신호를 고전압 펄스로 구동시키는 트랜지스터(Q4)와, 상기 트랜지스터(Q4)에 의해 고전압 펄스 구동된 수평 드라이브 펄스신호를 편향시키는 수평 편향 코일(HDY)과, 상기 전원부(2)에서 공급된 일정전원(B+)과 트랜지스터(Q4)에서 출력되어 고전압 펄스로 구동된 수평 드라이브 펄스신호에 따라 CRT구동용 애노우드전압을 출력시킴과 동시에 회로에 필요한 직류전원을 출력시키도록 스위칭 동작하는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FBT)와,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FBT)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출력된 직류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는 다이오드(D3)(D5) 및 콘덴서(C5)(C6)와,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FBT)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출력된 CRT구동용 애노우드전압을 정류 및 평활시키는 다이오드(D4) 및 콘덴서(C4)와, 상기 다이오드(D4) 및 콘덴서(C4)에 의해 정류 및 평활된 CRT구동용 애노우드전압과 베이스에 인가된 색차신호(R-Y, B-Y, G-Y) 및 에미터에 인가된 휘도신호(-Y)를 합산하여 콜렉터를 통해 색신호(RK, BK, GK)를 CRT의 캐소우드단에 화면 출력시키는 트랜지스터(Q5)로 구성된 TV의 전원공급 회로에 있어서, 상기, TV전원의 오프시, 마이컴(1)의 하이신호(5V) 출력에 따라 온동작하여 저항(R12)의 바이어스를 제어하는 트랜지스터(Q6)와, 상기 트랜지스터(Q6)와, 상기 트랜지스터(Q6)의 온동작에 따라 온동작되어 휘도신호(-Y)의 순간전압을 상승시켜 트랜지스터(Q5)의 전압격차를 줄이도록 상기 휘도신호(-Y)단자에 에미터단자가 접지된 트랜지스터(Q7)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고안 티브이(TV)의 섬광잡음 제거회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류(AC)전원이 인가된 전원부(2)의 주전원 공급에 따라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FBT)에 일정전원(B+)(통상 100-130V의 직류)을 인가시키고, 저항(R4)과 콘덴서(C1) 및 제너 다이오드(ZD1)를 통해 마이컴(1) 및 회로각부에 상기 전원부(2)의 주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먼저, 사용자가 TV의 전원을 온시키면, 상기 마이컴(1)은 저항(R1)을 통해 로우신호(OV)를 출력시키므로서, 온/오프동작하는 트랜지스터(Q1)를 온동작시키면서, 한편으로는 저항(R2)과 다이오드(D1)(D2)를 통해 연결된 트랜지스터(Q2)를 오프시키므로서, 상기 전원부(2)에서 출력되는 주전원이 콘덴서(C2) 및 제너 다이오드(ZD2)에 유기되면서 편향IC부(3)의 수평 전원단(HVcc)에 주전원이 공급된다.
이때, 상기 편향 IC부(3)의 수평 전원단(HVcc)에 공급된 전원부(2)의 주전원에 따라 상기 편향IC부(3)의 수평 드라이브 펄스단(HD)에서는 수평 드라이브 펄스신호를 출력시켜 저항(R3) 및 트랜지스터(Q3)를 통해 수평 드라이브 트랜스(HDT)의 일차측 코일(L1)에 상기 수평 드라이브 펄스신호를 유기시키면, 상기 수평 드라이브 트랜스(HDT)의 이차측 코일(L2)에서는 상기 수평 드라이브 펄스신호를 전류 구동시킨후, 트랜지스터(Q4)로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Q4)는 전류 구동된 수평 드라이브 펄스신호를 고전압 펄스로 구동시킨후 출력시키면, 상기 고전압 펄스로 구동되어 출력된 수평 드라이브 펄스신호는 수평 편향 코일(HDY)에 의해 편향됨과 동시에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FBT)의 일차측 코일(L3)에 유기되면서,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FBT)가 스위칭 동작을 실시하게 된다.
즉,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FBT)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이차측 코일(L4)에서는 일차측 코일(L3)에 유기되어 고전압 펄스로 구동된 수평 드라이브 펄스신호에 따라 회로에 필요한 일정직류전원을 출력시키므로서, 상기 출력된 일정직류전원은 다이오드(D3) 및 저항(R5)과 콘덴서(C5)를 통해 정류 및 평활되어 상기 수평 드라이브 트랜스(HDT)의 일차측 코일(L1)에 일정직류전원(약 40V)을 공급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다이오드(D5)와 저항(R11) 및 콘덴서(C6)를 통해 정류 및 평활하여 마이컴(1) 및 트랜지스터(Q1)에 일정직류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FBT)의 일차측 코일(L3)에 유기되어 고전압 펄스로 구동된 수평 드라이브 펄스신호에 따라,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FBT)의 일차측 코일(L3)에서는 CRT구동용 애노우드전압(약 200V)이 출력되면서, 다이오드(D4) 및 저항(R6)과 콘덴서(C4)에 의해 정류 및 평활된다.
따라서, 상기 다이오드(D4) 및 저항(R6)과 콘덴서(C4)에 의해 정류 및 CRT구동용 애노우드전압(약 200V)은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인가된 색차신호(R-Y, B-Y, G-Y)와, 상기 트랜지스터(Q5)의 에미터에 저항(R7)을 통해 인가된 휘도신호(-Y)와 합산되면서, 상기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를 통해 색신호 (RK, BK, GK)가 출력되고, 상기 출력된 색신호 (RK, BK, GK)는 저항(R10)을 통해 CRT의 캐소우드단에 출력되어 TV의 화면상에 나타난다.
한편, 사용자가 TV의 전원을 오프시키면, 상기 마이컴(1)은 저항(R1)을 통해 하이신호(5V)를 출력시키므로서, 트랜지스터(Q1)를 오프동작시키고, 저항(R2)과 다이오드(D1)(D2)를 통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바이어스전압이 걸리도록 하므로서, 상기 트랜지스터(Q2)를 온동작시킨다.
즉, 편향IC부(3)의 수평전원단(HVcc)에는 전원부(2)의 주전원이 차단되면서, 상기 편향IC부(3)의 수평 전원단(HVcc)에 걸려있던 일정전원도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온동작에 따라 없어지면서 편향IC부(3)의 동작이 멈춤과 동시에 수평 드라이브 펄스단(HD)의 수평 드라이브 펄스신호가 출력되지 않아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FBT)의 스위칭 동작이 정지하므로서, 전체회로의 동작이 정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마이컴(1)에서 출력된 하이신호(5V)는 저항(R1)을 통해 트랜지스터(Q6)에 인가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6)는 마이컴(1)에서 인가된 하이신호(5V)에 따라 온동작되면서 저항(R12)의 바이어스가 제어되므로서, 휘도신호(-Y)단자에 접지된 트랜지스터(Q7)가 온동작하여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FBT)의 스위칭 동작 순간 정지시에 발생되는 전압이 트랜지스터(Q7)의 콜렉터를 통해 에미터를 지나 저항(R7)의 휘도신호(-Y)라인에 걸어주어 상기 휘도신호(-Y)의 전압을 상승시키면 트랜지스터(Q5)에서 발생되는 전압격차를 줄이게 된다.
즉, 상기 마이컴(1)의 하이신호(5V) 출력시 편향IC부(3) 및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FBT)의 스위칭 동작이 정지하는 순간보다 빠른속도로 상기 트랜지스터(Q6)(Q7)가 온동작하므로서, 상기 휘도신호(-Y)의 전압이 상승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5)의 전압격차가 줄어들어 브라운 관 캐소우드단의 과전류가 방지되면서 TV화면에서의 섬광잡음이 제거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고안은 사용자가 TV의 전원을 오프시,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에서 출력된 전압에 의해 휘도신호의 전압을 순간적으로 상승시킬수 있도록 회로를 구성하므로서, 브라운관 캐소우드단의 과전류를 방지하고, 트랜지스터의 전압격차를 줄여 TV화면에서의 섬광잡음을 깨끗하게 제거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TV의 전원공급 회로에 있어서, TV전원의 오프시 마이컴의 하이신호(5V)출력에 따라 온동작하여 저항(R12)의 바이어스를 제어하는 트랜지스터(Q6)와, 상기 트랜지스터(Q6)의 온동작에 따라 온동작되어 휘도신호(-Y)의 순간전압을 상승시켜 트랜지스터(Q5)의 전압격차를 줄이도록 상기 휘도신호(-Y)단자에 에미터단자가 접지된 트랜지스터(Q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TV)의 섬광잡음 제거회로.
KR2019950016775U 1995-07-07 1995-07-07 티브이의 섬광잡음 제거회로 KR01401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6775U KR0140104Y1 (ko) 1995-07-07 1995-07-07 티브이의 섬광잡음 제거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6775U KR0140104Y1 (ko) 1995-07-07 1995-07-07 티브이의 섬광잡음 제거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470U KR970007470U (ko) 1997-02-21
KR0140104Y1 true KR0140104Y1 (ko) 1999-05-01

Family

ID=19417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6775U KR0140104Y1 (ko) 1995-07-07 1995-07-07 티브이의 섬광잡음 제거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10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470U (ko) 199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6988A (en) High energy-saving circuit for a display apparatus
US4042858A (en) Television receiver protection circuit
US4282460A (en) Deflection and power supply circuit with reduced start-up drive
US4488181A (en) Electron beam suppression circuit for a television receiver
KR100240178B1 (ko) 스폿번 예방 및 잔광 제거용 설비를 구비하는 텔레비젼 수신기
US4188568A (en) Power saving circuit
JPS63299465A (ja) テレビジョン装置用電源
KR0140104Y1 (ko) 티브이의 섬광잡음 제거회로
US4525739A (en) Television receiver power supply regulation responding to beam current changes
US5677730A (en) Spot elimination circuit for a cathode ray tube
US4656573A (en) Power supply having on-off control
US4425533A (en) Generator for producing a d.c. supply voltage in a television receiver comprising a vertical scanning circuit
US4864481A (en) Regulator for isolated chassis power supply
US6252361B1 (en) High-voltage power supply disabling circuit for video display
KR940002934B1 (ko) 텔레비젼의 화면과도현상방지회로
JP3459052B2 (ja) 直流電源装置
KR200158369Y1 (ko) 텔레비전의 수평발진전압제어회로
EP0092954B1 (en) Electron beam suppression circuit for a television display system
JPH0628855Y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の電源供給回路
KR930002314Y1 (ko) 스포트 제거 회로
KR100186631B1 (ko) 전원구동형 영상왜곡보정회로
US4178536A (en) Dual-mode horizontal output stage
KR100230187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메탈할라이드 램프 구동제어장치
KR200327956Y1 (ko) Crt 디스플레이장치
KR970006985Y1 (ko) X선 보호 및 고압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