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3416Y1 - 오피 앰프에 의한 전압 조정회로 - Google Patents

오피 앰프에 의한 전압 조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3416Y1
KR880003416Y1 KR2019850018510U KR850018510U KR880003416Y1 KR 880003416 Y1 KR880003416 Y1 KR 880003416Y1 KR 2019850018510 U KR2019850018510 U KR 2019850018510U KR 850018510 U KR850018510 U KR 850018510U KR 880003416 Y1 KR880003416 Y1 KR 8800034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transistor
capacitor
resist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85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0877U (ko
Inventor
이재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185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3416Y1/ko
Publication of KR8700108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08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34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4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461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an operational amplifier as final control devi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7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feedback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오피 앰프에 의한 전압 조정회로
제1도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 본 고안의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OP : 오피앰프1R-R7: 저항
C1-C3: 콘덴서 Q1, Q2: 트랜지스터
L : 코일 VR : 가변저항
1 : 입력단자 2 : 출력단자
5 : 발진회로 6 : 에러 검출부
본 고안은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를 오피앰프를 이용하여 2차측 전압이 안정화되도록 구성한 오피앰프에 의한 전압 조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SMPS는 주로 전용 콘트롤 집적소자에 의해서 구동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나 전용 콘트롤 집적 소자의 가격이 비싸고 또한 구입도 용이치 않은 문제점이 있엇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값싸고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오피앰프를 이용하여 SMPS를 구성하므로 간단한 회로로써 2차측 전압을 안정 시킬수 있는 오피앰프에 의한 전압 조정회로로써 오피앰프를 사용하고 저항과 콘덴서의 충방전 및 부궤환에 의한 발진 회로를 구성한 후 파형의 듀리 싸이클(DUTY CYCLE)을 2차축 전압에 의해 조절 할 수 있게 하므로써 완벽한 SMPS를 행할수 있도록 구성시킨 것이다.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로써 입력단자(1)의 전원(VCC)을 저항(R1)(R2)으로 분배시켜 오피램프(OP)의 일측단자(+)에 인가시켜 구성하고 오피앰프(OP)의 출력이 저항(R3)을 거쳐 일측단자(+)로 인가되게 궤환 구성하며 오피앰프(OP)의 타측단자(-)에는 콘덴서(C1)를 연결함과 동시에 오피엠프(OP)의 출력이 저항(R4)을 거쳐 궤환되게 발진회로(5)를 구성한다.
그리고 오피앰프(OP)의 출력이 저항(R5)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측에 인가되게 구성하고 전원(VCC)이 트랜지스터(Q1)을 거치고 다이오드(D)를 통하여 코일(L)에 인가되게 구성한 후 콘덴서(C3)를 통하여 출력단자(2)로 출력되게 구성한다.
이때에 코일(L)의 출력이 병렬호 연결된 저항(R7)과 콘덴서(C2)를 거쳐 가변저항(VR)과 저항(R6)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측에 인가되게 구성하고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측 출력이 오피앰프(OP)의 타측단자(-)에 인가되도록 에러 검출부(6)를 구성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1도 본 고안의 회로도에서 오피앰프(OP)의 일측단자(+)로 입력되는 전압은 전원(VCC)이 저항(R1)(R2)에 의해 분배된 전압과 오피앰프(OP)의 출력전압이 저항(R3)을 통하여 궤환되는 양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러므로 전원(VCC)이 저항(R1)(R2)으로 분배되어 오피앰프(OP)의 일측단자(+)에 인가되고 이때 콘덴서(C1)에 저하가 없는 상태라 하면 오피앰프(OP)의 타측단자(-)에는 인가되는 전압이 없게 되므로써 오피앰프(OP)의 출력측에는 하이 레벨 신호가 나타나 저항(R4)을 거쳐 콘덴서(C1)에 충전됨과 동시에 저항(R5)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1)의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시켜 주게 되어 트랜지스터(Q1)가 도통하게 된다.
따라서 전원(VCC)은 트랜지스터(Q1)를 통하여 코일(L)에 인가되게 된다.
잠시후 콘덴서(C1)에 충전이 완료되면 콘덴서(C1)의 충전 전압에 의하여 오피앰프(OP)의 타측단자(-)전압이 일측단자(+)의 전압보다 높아져 오피앰프(OP)는 로우레벨 신호가 출력되므로써 콘덴서(C1)에 충전된 전하가 저항(R4)을 통하여 방전됨과 동시에 저항(R5)을 거쳐 트랜지스터(Q1)를 도통시켜 주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콘덴서(C1)에 충전된 전하가 방전되면 오피앰프(OP)의 일측단자(+)전압이 타측단자(-)전압보다 높아져 오피앰프(OP)는 다시 하이 레벨 신호가 출력되어 저항(R4)을 통하여 콘덴서(C1)에 충전됨과 동시에 트랜지스터(Q1)를 도통시키게 된다.
이때 오피앰프(OP)의 출력 전압에서 하이상태는 콘데서(C1)의 충전 전류를 조절하여 가감 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오피앰프(OP)의 출력전압이 하이 상태가 되면 저항(C5)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1)를 도통시켜 코일(L)을 통하여 2차측 전압이 출력단자(2)로 인가되는 것이다.
그러나 2차측 전압이 일정 전압 보다 높아질 경우에는 저항(R6)(R7)과 콘덴서(C2)및 가변저항(VR)을 거친 트랜지스터(Q2)의 바이어스 전압이 중가하게 되어 콘덴서(C1)에 충전되는 충전 전류를 증가 시킴으로써 콘덴서(C1)의 충전시간을 감소기켜 트랜지스터(Q1)의 도통시간이 줄어들게 하여 출력단자(2)의 출력 전압을 낮추어 준다.
그와는 반대로 2차측 전압이 낮아지게 되면 트랜지스터(Q2)의 바이어스 전압이 감소하여 콘덴서(C1)에 충전되는 충전전류를 감소시켜 콘덴서(C1)의 충전시간이 증가되고 따라서 트랜지스터(Q1)의 도통시간이 증가하여 출력 전압을 일정한 레벨로 유지시켜 주게된다.
여기서 저항(R7)과 병렬로 연결된 콘덴서(C2)는 초기 상태에서 일정시간동안 트랜지스터(Q2)의 바이어스 양을 일시 증가시켜 주어 충전전류를 증가시켜 주므로서 트랜지스터(Q1)의 도통시간을 감소기켜 주어 초기상태시 흐르는 과도 전류를 막아주는 소프트 스타트(SOFT START)기능과 2차측 에러에 대한 응답 속도를 증가시켜 주는 동작을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오피앰프 1개를 사용하고 저항(R4)과 콘덴서(C1)의 충방전 및 부궤환에 의한 발진회로(5)를 구성시킨후 발진 파형의 듀티 사이클을 에러 검출부(6)의 2차측 전압에 의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2차측 전압을 안정시켜 출력 시킬 수 있으며 또한 회로가 간단해 지고 오피앰프의 사용으로 인하여 가격이 저렴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오피앰프(OP)의 일측단자(+)에 저항(R1)(R2)을 연결함과 동시에 저항(R3)을 통하여 출력이 궤환되게 구성하고 타측단자(-)에는 콘덴서(C1)를 연결함과 동시에 저항(R4)을 통한 출력이 궤환되게 발진회로(5)를 구성하며 오피앰프(OP)의 출력이 저항(R5)으로 트랜지스터(Q1)의 바이어스를 걸어주게 구성하여 코일(L)의 출력이 저항(R6)(R7)과 콘덴서(C2)및 가변저항(VR)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2)의 바이어스를 걸어주게 에러 검출부(6)를 구성한 후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측 출력이 오피앰프(OP)의 타측단자(-)에 인가되게 구성한 오피 앰프에 의한 전압조정회로.
KR2019850018510U 1985-12-30 1985-12-30 오피 앰프에 의한 전압 조정회로 KR8800034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8510U KR880003416Y1 (ko) 1985-12-30 1985-12-30 오피 앰프에 의한 전압 조정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8510U KR880003416Y1 (ko) 1985-12-30 1985-12-30 오피 앰프에 의한 전압 조정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877U KR870010877U (ko) 1987-07-13
KR880003416Y1 true KR880003416Y1 (ko) 1988-09-29

Family

ID=19247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8510U KR880003416Y1 (ko) 1985-12-30 1985-12-30 오피 앰프에 의한 전압 조정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341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6252A (ja) * 2001-11-15 2003-07-31 Seiko Instruments Inc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877U (ko) 1987-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90878A (en) Switching regulator having improved control circuiting
US3959714A (en) Transient turn-on protection circuit for power supplies
EP0316781A1 (en) Dual input low dropout voltage regulator
JPS59501891A (ja) 充電調整器
US4236187A (en) Power supply voltage stabilizer
JPH03503592A (ja) フィードフォワード及びフィードバックの制御機能を備えたdc/dcコンバータ
US4388587A (en) Fixed frequency voltage regulator
US4885522A (en) Constant current source and battery charger
JP2704518B2 (ja) 電源回路
KR950004679A (ko) 용장 배터리 공급에 대한 전력 조정
US4574232A (en) Rapid turn-on voltage regulator
KR970008812A (ko) 전원 공급 장치
US4388586A (en) Fixed frequency voltage regulator
US5532913A (en) Electric power source
US4595974A (en) Base drive circuit for a switching power transistor
KR880003416Y1 (ko) 오피 앰프에 의한 전압 조정회로
EP0662747B1 (en) A DC/DC converter for outputting multiple signals
EP0081891B1 (en) Fixed frequency voltage regulator
JPH0753026B2 (ja) 温度制御装置
KR870001387Y1 (ko) 정전압 회로
JPH0517690Y2 (ko)
KR890001716Y1 (ko) 정전압, 정전류 바테리 충전기
KR890003429Y1 (ko) 비데오 카메라의 전원전환회로
JP3180919B2 (ja) ステップモータの定電流駆動回路
KR830001155Y1 (ko) 유류 연소기의 펌프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011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