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368B1 - 전류제어 가변 인덕터 - Google Patents
전류제어 가변 인덕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90003368B1 KR890003368B1 KR1019850000562A KR850000562A KR890003368B1 KR 890003368 B1 KR890003368 B1 KR 890003368B1 KR 1019850000562 A KR1019850000562 A KR 1019850000562A KR 850000562 A KR850000562 A KR 850000562A KR 890003368 B1 KR890003368 B1 KR 8900033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re
- cavity
- inductor
- cores
- win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1/00—Variable inductances or transformers of the signal type
- H01F21/02—Variable inductances or transformers of the signal type continuously variable, e.g. variometers
- H01F21/08—Variable inductances or transformers of the signal type continuously variable, e.g. variometers by varying the permeability of the core, e.g. by varying magnetic bi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종래기술의 전류제어 가변 인덕터가 설명하는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류제어 가변 인덕터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전류제어 가변 인덕터가 조립되었을때 종단으로 절단한 설명도.
제4도는 내지 제10도는 상위한 발명의 실시예를 각각 설명하는 종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
제12도는 제11도에 도시된 가변 인덕터가 조립된때의 설명적 종단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저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분해도.
제15도는 제14도에 도시된 가변 인덕터가 조립된때의 설명적 종단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저면도.
제17도는 제14도 내지 제16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관련된 상위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종단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
제19도는 제18도에 도시된 가변 인덕터가 조립된때의 설명적 종단면도.
제2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된 스페이서(spacer)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40,60,70,110,130,230 : 제일코어 11,41,61,72,95,112,132,235 : 제이코어
12,42,62,73,113,242 : 제삼코어 16,44,67,71,92,111,131,232 : 공동부
14,18,91,96,231,236 : 권선부 24 : 권저면
17,45,65,78,97,121,234 : 제어코일 19,46,67,79,94,120,237 : 동조코일
본 발명은 전자적 동조회로, 예컨대 자동차량내에 조립되는 튜너(tuner)에 사용되는 전류제어가변 인덕터(inductor)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자기물질의U형 코어(1)와 자기물질의 I형 코어(2)가 상호 결합되고 제어코일(3)과 동조코일(4)이 코어(1)위에 감기도록 배열되어 있는 종래기술의 가변 인덕터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동조코일(4)은 코어(1)의 단부에 제공된 홈(5)에 감겨있다.
dc전류 또는 저주파수전류를 제어코일(3)을 통해 흐르게 함으로써 폐자로(閉磁路)가 점선(6)에 의해 표시된 것과같이 코어(1,2)내에 형성되고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여 자속밀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동조코일(4)이 그 인덕턴스를 변화시키기 위해 감겨져 있는 코어부(1)의 유효투자율을 제어한다.
동조코일(4)이 여자될때 형성된 자로는 점선(7)에 의해 표시된다.
홈(5)은 구조적인 면에서 동조코일(4)을 통과하는 제어코일(3)의 자속밀도를 주로 조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더우기 제어코일(3)과 동조코일(4)에 의하여 히성된 각각의 자로가 완전한 폐자로가 되도록 배열된 상기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는 동조코일(4)의 특성 예컨데 인덕턴스 및 온도특성등이 코어(1,2)가 어떻게 상호 접속 되었느냐에 따라 변동되는 경향이 있다.
즉, 코어(1)와코어(2)가 상호 접속되는 각각의 부분(8)에서의 약간의 치수변동 또는 면경처리표면조건(mirror finished surface condition)이 각종의 특성에 영향을 준다.
코어(1,2)는 대부분의 경우에 본드로 접착되기 때문에 본드가 접속부(8)에 스며들어 접속조건상에 변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더우기 코어(1)에 제어코일(3) 또는 동조코일(4)을 직접 감는다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코어(1)위에 분리해서 감겨져 있는 코일을 필요로 한다.
추가적으로 코어(1,2)를 결합하는 공정이 요구된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코어가 조리될때 소망의 정확도를 유지하기 위해 특히 접속부의 정확을 위해 종래구조의 가변 인덕터는 엄격한 조건이 요구된다.
따라서 특성변동의 감소가 어려우며 조립작업이 곤란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가변 인덕터의 애로점을 제거하고 실용상 장점을 갖는 가변 인덕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일코어의 권선부내에 공동부(空洞部)가 있으며, 제이코어의 권선부가 제일코어의 권선부와 병렬로 되도록 제이코어가 공동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제일코어의 권선부가 제삼코어 저면에 직교하도록 제일코어는 포트형(put-shaped)의 제삼코어가 삽입되어 있으며, 및 제일 및 제이코어중 어느하나에 감진 제어코일에 의하여 바라생되는 자로와 그중 다른코어에 감긴 동조코일에 의하여 발생된 자로가 제이코어의 권선부에서 상호 중첩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류제어 가변 인덕터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류제어 인덕터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기술하겠다.
제2도는 코어부만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제3도는 제2동 도시된 코어부가 조립될때 중심에서 절단한 설명적 종단면도이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실시예의전류 제어인덕터는 드럼형의 제일 및 제이코어(10,11), 포트형의 제삼코어(12), 및 기부(13)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일, 제이 및 제삼코어(10,11,12)는 페라이트(ferrite)의 자기물질로 제조되며 기부(13)는 합성수지로 제조된다.
제일코어(10)는 양축단에 원형 플렌지(flange)(25,20)와 측단부가 원형이며 하측플렌지(20)에서 열려 있는 공동부(15)를 갖는 권선부(14)가 제공된다.
제어코일(17)은 권권부(14)에 감겨있다.
제이코어(11)에는 원형플렌지(21,28)와 그위에 동조코일(19)이 감겨있는 권선부(18)가 제공된다.제어코어(11)는 권선부(18)가 권선부(14)와 병렬이 되도록 제일코어(10)의 공동부(15)에 삽입된다.
제이코어(11)의 상측플렌지(21)는 공동부(15)의 저면(22)에 접속되도록 배열된다.
제이코어(11)에는 더우기 동조코일(19)의 리드선을 인도하기 위한 홈(23)이 제공된다.
권선부(14)가 제삼코어(12)의 저면에 직교하고 상측플렌지(25)가 저면(24)에 접속하는 형태로 제일코어(10)는 제삼코어(12)에 삽입된다.
디스크형기부(13)에는 상측중심표면위에 돌기(26)가 제공되고 하측표면에 제어코일(17)과 동조코일(19)의 리드선을 접속하기 위한 다수의 단자핀(27)이 제공된다.
제이코어(11)는 돌기(26)위에서 고정되고 제일코어(10)는 돌기(26) 주위에서 고정된다.
기부(13)의 외주면은 제삼코어(12)의 내주면(16)에 고정된다.
돌기(26)는 기부(13)에서 제일 및 제이코어(10,11)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한다.
제일코어(10)의 하측플렌지의 외주면과 제삼코어(12)의 내주면사이에 그리고 제이코어(11)의하측플렌지(28)는 외주면과 제일코어(10)의 공동부(15)의 내주면 사이에 각각 작은 공극이 있다.
제이코어(11)의 상측플렌지(21)의 외주면과 제일코어(10)의공동부(15)의 저면의 접속부 및 제일코어(10)의 상측플렌지 (25)의 상측면과 제삼코어(12)의 저면(24)의 접속부는 점착재 예컨데 진동으로 인한 파괴를 방지하는 마일라(Milar)막을 통하여 상호 접속된다.
본 발명에 따라 배열된 가변 인덕터는 제어코일(17)에 의하여 발생된 자로는 점선(29)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제일코어(10)의 권선부(14), 제삼코어(12), 제일코어(10)의 하측플랜지(20), 제이코어(11)의 하측플렌지(28) 및 제이코어(11)의 권선부(18)를 경유하여 퍼진다.
한편 동조코일(19)에 의해 발생하는 자로는 점선(30)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제이코어(11)의 권선부(18), 제일코어(10)의 권선부(14), 제일코어(10)의 하측플렌지(20) 및 제이코어(11)의 하측플렌지(28)를 경유하여 주로 퍼진다.
제어코일(17)에 의하여 발생된 자로(29)와 동조코일(19)에 의하여 발생된 자로(30)는 제이코어(11)의 권선부(18)에서 상호 중첩되어 최대로 된다.
제어코일(17)에 의해 자속밀도를 변화시킴으로서 제이코어(11)의 유효투자율을 제어하고 동조코일(19)의 인덕터스를 변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4도 내지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인덕터의 상위 한 실시예를 각각 설명하는 종단면도이다.
제4도에 도시된 가변 인덕터는 제일코어(40), 제이코어(41), 제삼코어(42), 기부(43) 및 공동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어코일(45)과 동조코일(46)은 공동부(44)를 갖는 제일코어(40)와 제이코어(41)에 각각 감겨있다.
제4도의 실시예에서 제이코어(41)에는 2중단으로 형성된 하측플렌지(47)가 제공되며 권선부(49)가 상측단과 상측플렌지(48)가 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의 하측단은 제일코어(40)의 하측플렌지(50)에 접속되어 있다는 점에서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상위이다.
제4도의 실시예는 제일코어(40)의 하측플렌지(50)와 제이코어(41)의 하측플렌지(47)가 상호 접속되어있다. 결과적으로 동조코일(46)에 의하여 발생된 자로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신된것에 비하면 실제로 폐자로에 가깝게 된다.
따라서 제4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권선부(49)내에서 제어코일(45)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속밀도에 있어서 그 변화의 영향을 감소시키어 동조코일(46)의 인덕턴스를 원활히 조정할수 있다.
제5도에 도신된 가변 인덕터의 실시예는 공동부(64)를 갖는 제일코어(60), 제이코어(61), 제삼코어(62),기부(63) 및 공동부(63)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어코일(65)은 하측플렌지가 없는 제일코어(60)위에 감겨 있으며 동조코일(67)은 상측플렌지 보다 더 넓은 하측플렌지966)를 갖는 제이코어(61)에 감겨있다.
제일코어(60)와 제이코어(61)의 하측플렌지(66)상이 및 하측플렌지(66)의 외주면과 제삼코어(62)의 내주면(69)사이에 공극이 있다. 제어코일(65)에 의해 발생된 자로는 제일코어(60)에 하측플렌지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제이코어(61)의 하측플렌지(66)를 통과하여 권선부(68)까지 직접 넓혀진다. 따라서 이것은 제어코일(65)에 의하여 발생한 자속밀도에 있어서 큰변동의 영향하에 동조코일(67)의 인덕턴스의 제어를 가능케한다.
제6도 도시된 실시예는 공동부(71)를 통해 관통되는 제일코어(70), 제이코어(72), 제삼도어(73) 및 기부(74)를 포함하고 있다.
공동부(71)의 내측면(76)과 제이코어(72)사이 및 제일코어(70)의 하측플렌지(75)와 제삼코어(73)의 내측면(77)사이에 각각 공극이 있다. 관통된 공동부(71)의 제공으로 인하여 제어코일(78)과 동조코일(79)에 의하여 발생되는 자로 모두는 실제로 개회로에 가깝게 된다. 본실시예는 가변인턱터가 고주파수에서 사용될때 특히 적합하다.
제7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6도에 도시된 공동부(71)가 제일코어(70)의 것과 상위한 재질의 코어(80)에 의하여 막혀있다는 점에서 특징으로 갖고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류제어 가변 인덕터는 동조코일이 감겨있는 제이코어가 인덕터내부에 배열되고, 제어코일이 감겨있는 제일코어와 포트형의 제삼코어가 제이코어 외부에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코오들이 기부에 고정되도록 배열되어있다.
상기의 가변 인덕터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그 제조방법은 기부에 고정된 제이코어위에 동조코일을 감는단계, 그후에 외부를 향해 위치하고 있는 제일코어위에 제어코일을 감는단계 및 최종적으로 그위에 제삼코어를 배설하는 단게로 구성되어 있다. 동조코일과 제어코일을 교번적으로 배열함이 가능하다는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다음에 제에코일과 동조코일이 내부를 향해 그리고 외부를 행해 배열되어 있는 다른 실시예를 제8도 내지 제10도를 참조로 하여 기술하겠다.
제8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양축단에 원형 플렌지와 측단부가 원형이며 하측플렌지(93)에서 개구된 공동부(92)를 갖고 있는 권선부(91)를 갖춘 제일코어(90)를 포함하고 있다.
동조코일(94)은 권선부(91)에 감겨있다.
제어코일(97)은 양축단에 원형플렌지를 갖춘 제어커어(95)의권선부(96)위에 감겨있다.
제이코어(95)는 공동부(92)에 삽입되어잇어 권선부(96)가 제일코어(90)의 권선부(91)와 병렬이 되도록한다.
제이코어(95)는 공동부(92)의 저면(99)에 접속되어 있으며 제일코어(90)는 기부(98)로부터 약간 떠 있어 안전한 방법으로 접속이 유지된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배열되어 있는 본실시예의 가변 인덕터는 동조코일(94)에 의해 발생된 자로(100)와 제어코일(97)에 의해 발생된 자로(101)가 제일코일(90)의 권선부(91)내의 제이코어(95)의 권선부(96)에서 상호 중첩되어 최대로 된다는 특징으로 갖고 있다.
제어코일(97)에 의해서 권선부(96)의 자속밀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동조코일(94)의 인덕턴소를 변동함이 가능하다. 참조번호(102)는 제삼코어를 나타낸다.
제9도의 단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공동부(111)가 관통되는 제일코어(110), 제이코어(112), 제삼코어(113)및 기부(114)로 구성되어 있다. 동조코일(120)과 제어코일(121)은 각각 제일코어(110)와 제일코일(112)위에 감겨져 있다.
제이코어와 공동부(111)의 내측면(116)사이와 제일코어(110)와 제삼코어(113)의 내측면(117)상이에 공극이 있다. 제일코어(110)는 탄성부재(118)에 의하여 기부(114)에 탄력있게 부착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일코어(110)의 높이와 제이코어(112)의 높이 사이에 약간의 차이가 있을지라도 제삼코어(113)의 저면(119)에 대하여 코어(110,112) 모두의 접속이 변동하지 않는다. 제이코어(112)가 제일코어(110)를 관통하는 전공동부(111)속에 배설되어 제일코어(121)에 의해 발생되는 자속밀도의 근소한 변화에 따라 동조코일(120)의 인덕턴소를 변동시키는것이 가능하도록 본실시예의 가변 인덕터가 배열되어 있다.
제10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공도부(131)와 내부에 테퍼(taper)부를 갖는 하측플렌지(135)를 갖추고 있는 제일코어(130), 테퍼부(134)를 갖는 하측플렌지(133)를 갖춘 제이코어(132), 및 제삼코어(136)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이코어(132)의 테퍼부(134)와 제일코어(130)의 테퍼부는 서로 결합되어 있다.
이것은 양 코어의 관련된 배열이 상기 결합관계에 의하여 결정가능함으로 양 코어(130,132)의 위치선정에 있어서 유리하다.
동조코일이 제8도 내지 제10도에 도시된바와 같이 제어코일밖에 위치하는 경우의 실시예에서는 동조코일이 제어코일 내부에 위치하는 실시예에 비교하여 동조코일의 권수(turn)를 감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동조콩일의 권선사이의 분배력이 적어져서 온도변화로 인한 인덕턴스의 변화를 감소시킴이 가능하다.
제11도 내지 제1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인덕터의 또다른 실시예를 기술하겠다.
제11도는 권선표시가 생략된 분해사시도이다.
제12도는 설명적 종단면도이고 제13도는 제면도이다.
제11도 내지 제13도에 도시된 가변 인덕턴는 드럼형 제일 및 제이코어(140,141), 포트형 제삼코어(142), 스프링부(143) 및 기부(144)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일, 제이 및 제삼코어(140,141,142)는 모두 페리이트 자기 물질로 제조되었고 기부(144)는 합성수지로 제조되었다.
제일코어(140)는 양축단에 원형플렌지를 갖추고 있으며 권선부(145)는 측단부가 원형이며 하측플렌지(150)에서 개구되어 있는 공동부(146)가 갖추어져있다. 제어코일(147)은 권선부(145)에 감겨있다. 제이코어(141)는 양측단에 원형플렌지와 동조코일(149)이 감기는 권선부(148)가 갖추어져있다.
제이코어(141)는 제일코어(140)의 공동부(146)에 삽입되도록 되었는 권선부(148)가 제일코어(140)의 권선부(145)와 병렬이 된다.
상측플렌지(151)는 공동부(146)의 저면(153)과 접속되는 돌기(152)로 형성되었다.
공동부(146)의 좁은 저면(153)을 평평하게 하는것은 어렵다. 그러나 돌기(152)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같은 구조는 상측플렌지의 주면 에지(edge)가 저면(153)에 대하여 충돌함으로서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다.
제어코어(141)는 상측플렌지(151)에 동조코일(149)용리드선(155)을 인출하는 홈(154)이 갖추어져있다.
권선부(145)가 제삼코어(142)의 저면(156)에 직교하며 상측플렌지(157)가 저면(156)에 접하는 모양으로 제일코어(140)가 제삼코어에 삽입되어 있다.
상측플렌지(157)에는 저면(156)의 요부와 결합되는 돌기(158)가 갖추어져있어 수평방향에서 제일코어의 위치결정이 용이하다.
제삼코어(142)는 제어코일(147)에 의하여 발생된 자로(168)가 내부에 형성되어 자속의 발산(divergence)을 방지하도록 배열된다. 제삼코어(142)는 더우기 그 외주면에 방향성을 제공하기 위한 홈(169)이 갖추어져 있다.
디스크형기부(144)는 상측중심면위에 디스크형돌기(160)가 갖추어져 있다.
기부(144) 더우기 그의 하측면에 제어코일(147)용 리드선(161)과 동조코일(149)용 리드선(155)을 연결시키기 위한 다수의다자핀(162)을 갖추고 있다.
기부(144)는 더우기 리드선(155,161)을 통과시키기 위한 홈(163)과 기부(144)가 인쇄된 기판위에 장착될때 각각의 단자핀(162)의 근부(stem portion)가 인쇄된 기판(보이지 않음)에 접속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159)를 갖추고 있다.
스프링부(143)는 예컨데 현광동(phophor bronzd)등의 얇은 원판으로 형성된다. 스프링부(143)를 구성하는 얇은 원판은 그 중심에 원형구멍(164)과 구멍(164)의 주변부를 부분적으로 펀칭하여 형성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접속편(165)이 갖추어져 있다.
스프링부(143)는 돌기(160)와 결합되는 구멍(164)과 상측방향으로 배열된 접속편(165)에 의하여 기부(144)에 고정된다.
제일코어(140)는 접속편(165)위에 장착되고 제이코어(141)는 동기(160)위에 고정된다. 제이코어(141)는 하측플렌지(167)가 돌기(160)의 외경보다 약간 더 작은 외경을 갖도록 구성되어있다. 따라서 하측플렌지(167)의 외각주위가 공동부(146)의 경계를 결정하는 경계부의 내측주변과 접촉할 가능성은 없다. 기부(144)의 외주면은 제삼코어(142)의 내주면에 고정된다. 스프링부(143)는 공동부(146)의 깊이와 제이코어(141)의 높이의 변동으로 인하여 변화될지도 모를 제이코어(141)의 상측플렌지와 공동부(146)의 저면(153)과의 접속에 있어서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일코어(140)의 하측플렌지(150)와 제삼코어(142)의 내주면(166)사이와 제이코어(141)의 하측플렌지(167)와 제일코어(140)의 공동부(146)의 내주면사이에 각각 약각의 공극이 있다. 스프링부 대신에 실리콘고무(rubber)또는 점착재 또는 고점성을 갖는 본드가 동일목적으로 사용가능하다. 더우기 제이코어(141)가 예컨데 스프링부와 같은 탄성재 위에 부착됨으로써 제일코어(140)가 기부(144)에 고정가능하게 된다. 참조번호(168,170)는 제어코일(147)과 동조코일(149)에 의해 각각 발생되는 자료를 표시한다.
제14도 내지 제16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제14도는 권선표시가 생략된 분해사시도이며, 제15도는 설명적 종단면도, 제16도는 저면도이다.
제14도는 내지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실시예의 가변 인덕터는 드럼형 제일 및 제이코어(180,181), 포트형 제삼코어(182) 및 함성수지기부(183,184)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일, 제이 및 제삼코어(180,181,182)는 모두 페라이트 자성물질로 제조되었다. 제일코어(180)는 양측단에 원형플렌지와 측단면이 원형이며 하측플렌지(187)에서 개구된 공동부(186)를 갖춘 권선부(185)를 갖추고 있다. 제어코일(188)은 권선부(185)에 감겨있다.
제이코어(181)는 양축단에 원형플렌지와 동조코일이 감겨있는 권선부를 갖추고 있다. 제이코어(181)는 공도부(186)에 삽입되어 권선부(189)가 제일코어(180)의 권선부(185)와 병렬이 된다. 상측 플렌지(191)는 그의 중심에 돌기(192)가 형성되어 있으며 돌기(192)는 공동부(186)의 저면(193)과 접촉된다.
제일코어(180)가 제삼코어(182)에 삽입되어 있어 권선부(185)가 제삼코어(182)의 저면(194)과 직교하며 상측플렌지(195)는 저면과 접속된다. 상측플렌지(195)에 형성된 돌기 (196)는 저면(194)에 형성된 요부(recess)에 끼워져서 수평방향에서 제일코어(180)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한다. 제삼코어(182)는 제어코일(188)에 의해 형성된 자로(203)가 그 내부에 형성되어 자속의 발산을 방지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다스크형 기부(184)는 중심부에 원형구멍(199)과 제어코일(188) 및 동조코일 (190)용 리드선을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단자핀(200)이 갖추어져있다. 제일코어(180)는 기부(184)의 구멍(199)속에 끼워진다. 기부(184)의 외주면은 제삼코어(182)의 내주면(201)에 고정된다. 기부(183)의 외주면은 또한 구멍(199)의 환상부의 내주면에 고정된다.
상기 실시예는 제일코어(180)를 지지하는 기부(184)와 제이코어(181)를 지지하는 기부(183)가 별개로 갖추어져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공동부(186)의 저면(193)과 제이코어(181)의 상측플렌지(191)의 접촉이 공동부(186)의 깊이와 제이코어(181)의 높이의 변동으로 인하여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일코어(180)의 하측플렌지(187)의 외주면과 제삼코어(182)의 내주면사이 및 제이코어(181)의 하측플렌지(202)의 외주면과 제일코어(180)의 공동부(186)의 내주면 사이에 각각 작은 공극이 있다.
제17도는 제일 및 제이코어가 서로 별개로 지지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본실실예의 가변 인덕터는 상측플렌지(212)에서 개구된 공동부(211)와 제어코일(219)을 갖는 제일코어(210), 동조코일(220)을 갖고 있으며 공동부(211)에 삽입되어 있는 제이코어(213) 및 제일코어 위에 배설되는 제삼코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이코어(213)의 한쪽 플렌지(214)는 실리콘고무(215)를 통해 제삼코어(216)의 저면(217)에 의해 지지되며 그의 다른 쪽은 공동부(211)의 저면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제일코어(210)는 상측플렌지(212)가 제삼코어(216)의 저면(217)에 접촉되는 형태로 지지되고 있다. 실리콘 고무가 제이코어(213)를 제일코어(210)의 공동부의 곡면에서 탄력적으로 누르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금속워셔(washer)등이 대신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 같은 구조 때문에 공동부의 저면과 제이코어의 접속이 공동부(211)의 깊이와 제이코어(213)의 높이의 변동으로 인하여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8도 및 제19도를 참조하여 본발명에 따른 가변 인덕터의 또다른 실시예를 기술하겠다.
제18도는 권선표시가 생략된 분해사시도이며 제19도는 설명적 종단면이다.
제18도 및 제1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실시예의 가변 인덕터는 드럼형의 제일 및 제이코어(230,235), 포트형의 제삼코어(242), 스페이서(243) 및 기부(244)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일, 제이 및 제삼코어(230,235,242)는 모두 페라이트의 자성물질로 제조되었으며 스페이서(243)와 기부부(244)는 합성수지로 제조되었다.
제일코어(230)는 양축단에 원형플렌지와 측단부가 원형이고 하측플렌지(233)에서 개구된 공동부(232)를 갖는 권선부(231)를 갖추고 있으며 제어코일(234)은 권선부(231)에 감겨있다.
제이코어(235)는 양축단에 원형플렌지와 동조코일(237)이 감겨져 잇는 권선부(236)를 갖추고 있다.
이와같이 형성된 제이코어가 제일코어(230)의 고동부(232)에 삽입됨으로 권선부(236)와 제일코어(230)의 권선부(236)와 제일코어(230)의 권선부(231)는 병렬이 된다. 상측플렌지(238)는 그중심부에 돌기(239)가 형성되고 돌기(239)는 공동부(232)의 저면(240)에 접속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좁은 저면을 평평하게 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상측플렌지(238)의 주변에지가 저면(240)에 충돌하여 파괴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이것은 돌기(239)가 있음으로서 예방할 수 있다. 더우기 제이코어(235)는 양축단에 동조코일(237)용리드선을 인출하기 위한 홈(241)이 갖추어져있다. 권선부(231)가 제면(245)에 수직이 되도록 제일코어(230)는 제삼코어(242)에 삽입된다. 더우기 제일코어(230)에는 상측플렌지(246)위에 저면(245)에 형성된 요부에 맞물리게 적합한 돌기(247)가 갖추어져있다. 이것은 수평방향에서 제일코어(230)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한다.
디스크형기부(244)에는 제이코어(235)의 하측플렌지(245)위에 형성된 돌기(255)가 삽입되는 구멍(253)을 갖는 더작은 디스크형돌기(249)가 그의 상측중심부에 갖추어져있다. 기부(244)에는 제어코일(234)과 동조코일(237)용 리드선을 연결하는 다수의 단자핀(250)이 하측면이 갖추어져 있다. 더우기 기부(244)에는 리드선을 통과시키기 위한 홈(251)과 기부가 장착될때 단자핀(250)의 각 근부가 인쇄회로기판과 접속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252)를 갖추고 있다.
스페이서(243)는 예컨데 포리에스터(polyester)막으로 형성되며, 중심부에 제공된 원통부(256)와 원통부(256) 아래 위치한 원형플렌지부(257)로 구성되어있다. 스페이서(244)에 배설되어 돌기(249)를 둘러 싸도록 되어 있다. 원통부(256)는 하측플렌지(254)와 공동부(232)가 형성되어 있는 제일코어(230)의 몸체의 내주면 사이에 놓여 있으며 플렌지부(257)는 제일코어(230)의 하측플렌지(233)아래에 위치한다. 플렌지부(257)의 주변에지는 기부(244)위에 배설된 제삼코어(242)의 내주면(258)에 접속되기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다. 플렌지부(257)는 리드선을 통과시키기 위한 절단부(259)가 갖추어져있다. 참조번호(248,260)는 제어코일(234)과 동조코일(237)에 의하여 생긴 자로를 각각 표시한다.
제20도는 스페이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제20도에 도시된 스페이서(270)는 중심원통부(271), 원통부(271) 아래의 플렌지부(272) 및 플렌지부(272)의 가장자리를 위쪽으로 구부려서 형성한 절곡부(273)(折曲部)로 구성되어 있다. 스페이서(270)가 제19도에 도시된 구조에 적용되는 경우를 설명하겠다. 스페이서(270)는 제일코어(230)의 하측플렌지(233)와 제이코어(235)의 하측플렌지 사이에 스페이서(243)와 유사한 모양으로 놓이게 된다. 이 예에서 절곡부(273)는 제삼코어(242)의 내주면(258)과 제일코어(230)의 하측플렌지(233)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코어사의 접촉을 막기 위해 축방향으로 확장된 스페이서의 부분이 제일 및 제이코어(230,235)사이 및/또는 제삼코어(242)와 제일코어(230)사이에 필요에 따라 위치하게 된다. 스페이서(270)의 배열은 접속방치용의 다른 수단의 결합정확도 예컨대 제이코어의 돌기(255)와 기부(244)의 구멍(253)사이의 결합정확도 및 제삼코어(242)의 저면(245)에 있는 요부와 제일코어의 돌기(247)사이의 결합정확도의 개선과 관련된다. 스페이서(243)의 외주면이 제삼코어(242)의 내주면(258)과 접속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는 동일방법으로 결정할 수 있다. 더불어 원통부가 평면을 펀치하여 형성된 때 생성된 원통부는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부분을 부분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더우기 상기의 경우에 있어서 조차 원통부는 균일하게 되며 원주형으로 배열되는데 충분하다. 더우기 제일코어(230)의 하측플렌지(233)와 제삼코어(242)의 내주면(258)사이에 스페이서가 제공됨으로써 기부(244)아래 표면이 수지로 봉해질때 제삼코어(242)와 기부(244)사이의 캡을 통해 수지가 인덕터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한다는 장점이 있다.
제18도 및 제19도에 도시된 본발명 실시예의 전류 제어가변 인덕터는 각 코어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제일코어의 개구근방에 배열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따라서 제일, 제이 및 제삼코어의 관련배열에 약간의 변동이 있을지라도 축방향으로 확장된 스페이서 부분 또는 그사이의 플렌지등과 같이 직경방향으로 확장된 부분이 사이에 끼워져 있으므로 코어사이에 접속되는 일은 없다. 더우기 일정폭을 갖는 공간을 제어코일과 동조코일을 위한 자로의 중간에 안전하게 제공할수 있다. 따라서 제일코어(230)의 하측플렌지(233)의 내주면과 제이코어(235)의 하측플렌지(254)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폭이 정확히 결정되므로써 특히 인덕턴스의 최대치에서 변동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더우기 제삼코어(242)의 내주면(258)과 제일코어(230)의 하측플렌지(233)의 외주면 사이의 공극폭이 정확히 결정되어 인덕턴스의 가변비 즉 최대치 대 최소치의 비로 표현되는 값의 변동을 감소시킬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발명에 따른 전류제어 가변 인덕터는 동조코일과 제어코일이 각각 감겨 있으며 하나가 다른것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제일코어 및 제이코어와 상기 양 코어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제삼코어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코일 또는 동조코일에 의하여 형성된 자로는 완전한 폐자로가 아니라 그 통로에 공간을 갖는다. 공간폭은 스페이서의 배치에 의하여 정확히 정해진다. 제일 및 제이코어의 접속은 그들을 분리해서 지지하거나 그들중 어느 하나를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써 균일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라 자로의 통로에 공간과 효율적으로 적용되는 상기의 각종 장치를 갖는 구조는 제1도에 도시된 폐자로를 형성하기 위해 다수의 코어를 상호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래의 가변 인덕터와 비교해서 특성상의 변동을 감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접속부의 변경처리가 필요없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고주파수 코일을 감는 기술을 이용하여 코일을 코어 위에 직접 감아 조립을 용이하게 할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용적으로 아주 유리한 전류제어 가변 인덕터가 제공된다.
Claims (14)
- 전류제어 가변 인덕터에 있어서, a) 그 내부에 공동부가 았는 권선부를 갖춘 제1코어 ; b) 제1코어의 상기 공동부에 삽입되며 상기 삽입상태에서 상기 제1코어의 상기 권선부와 병렬로 배열되는 권선부를 갖춘 제2코어 ; c) 상기 제1코어의 상기 권선부가 상기 제3코어의 저면과 수직이 되도록 상기 제1코어를 수용하는 포트(pot)형의 제3코어 ; d) 상기 제1및 제2코어의 상기 권선부 위에 감겨 있는 제어코일 및 동조코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兩)코일은 상기 코일에 의하여 형성된 양자로(磁路)가 상기 제2코어의 상기 권선부에서 상호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제어 가변 인덕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코어는 공통기부위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제어 가변 인덕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어의 상기 공동부의 개구부는 상기 제1코어의 하측플렌지에 갖추어져 있으며, 상기 제2코어는 2중단으로 형성된 하측플렌지를 가지며, 상기 제1코어의 상기 하측플렌지가 상기 하측플렌지의 하측단 위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제어 가변 인덕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코어는 하측플렌지가 없으며 떠 있는 제1코어의 공동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제어 가변 인덕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어의 상기 공동부가 상기 베1코어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제어 가변 인덕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어의 상기 공동부는 상기 제1코어의 재질과 상위한 재질의 코어에 의하여 막혀있는(clog)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제어 가변 인덕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코어는 떠있는 상기 제1코어의 상기 공동부의 저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제어 가변 인덕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어의 상기 공동부가 상기 제1코어를 관통하며, 제2코어는 실제로 상기 공동부의 관통부 전체에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제어 가변 인덕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어의 상기 공동부가 관통하여 있으며, 상기 제2코어가 상기 공동부의 관통부 전체에 실제로 뻗혀 있으며 및 상기 제1코어의 상기 공동부와 상기 제2코어의 하측플렌지가 상호 맞물려 있는 테이퍼부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제어 가변 인덕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코어가 공통기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그중 어느 하나가 상기 기부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제어 가변 인덕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코어가 별개의 기부위에 각각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제어 가변 인덕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코어는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외측 환상기부와 디스크형의 내측기부 위에 각각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는 전류제어 가변 인덕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어의 공동부의 개구부가 상기 제1코어의 상측플렌지에 제공되며 상기 제1코어가 기부에 지지되며 상기 제2코어가 상기 제3코어의 저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제어 가변 인덕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코어와 상기 제1 및 제3코어중 적어도 하나의 접속을 방지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상기 제1코어의 상기 공동부의 개구근방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제어 가변 인덕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59-14822 | 1984-01-30 | ||
JP59014822A JPS60160106A (ja) | 1984-01-30 | 1984-01-30 | 電流制御型可変インダクタ |
JP1984064129U JPS60176519U (ja) | 1984-04-28 | 1984-04-28 | 電流制御型可変インダクタ |
JP???59-64130 | 1984-04-28 | ||
JP???59-64129 | 1984-04-28 | ||
JP1984064130U JPS60176520U (ja) | 1984-04-28 | 1984-04-28 | 電流制御型可変インダクタ |
JP???59-176987 | 1984-11-21 | ||
JP17698784U JPH0217458Y2 (ko) | 1984-11-21 | 1984-11-21 | |
JP???59-177626 | 1984-11-22 | ||
JP17762684U JPH0217459Y2 (ko) | 1984-11-22 | 1984-11-2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50005719A KR850005719A (ko) | 1985-08-28 |
KR890003368B1 true KR890003368B1 (ko) | 1989-09-19 |
Family
ID=27519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50000562A KR890003368B1 (ko) | 1984-01-30 | 1985-01-30 | 전류제어 가변 인덕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4630013A (ko) |
KR (1) | KR890003368B1 (ko) |
DE (1) | DE350254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25805A (en) * | 1985-12-25 | 1988-02-16 | Toko Kabushiki Kaisha | Electric current control type variable inductor |
JPH0263313A (ja) * | 1988-08-30 | 1990-03-02 | Toko Inc | 電流制御型可変インダクタを用いた同調回路及び受信機 |
US5424691A (en) * | 1994-02-03 | 1995-06-13 | Sadinsky; Samuel |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nically controlled admittance matching network |
US5523673A (en) * | 1994-03-04 | 1996-06-04 | Marelco Power Systems, Inc. | Electrically controllable inductor |
US6252487B1 (en) * | 1997-11-04 | 2001-06-26 |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 Planar magnetic component with transverse winding pattern |
JP2000165175A (ja) * | 1998-11-27 | 2000-06-16 | Kyosan Electric Mfg Co Ltd | インピーダンス整合装置 |
JP2000182839A (ja) * | 1998-12-21 | 2000-06-30 | Murata Mfg Co Ltd | 巻線型インダクタ |
US6262506B1 (en) * | 1999-05-05 | 2001-07-17 |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 Stator for a rotating electrical machine having multiple control windings |
US6639495B2 (en) | 2001-03-12 | 2003-10-28 | Fmc Technologies, Inc. | Electromagnetic actuator for intrinsically safe devices |
US20040032315A1 (en) * | 2002-08-19 | 2004-02-19 | Lewis Illingworth | Variable inductor responsive to AC current level |
US6895923B1 (en) * | 2004-01-16 | 2005-05-24 | Craig Jones | Rotary and centrifugal driv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CN102203885A (zh) * | 2008-12-05 | 2011-09-28 | Abb研究有限公司 | 可控电抗器及其组装方法 |
JP6645258B2 (ja) * | 2016-02-24 | 2020-02-14 |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 コイル部品および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
CN109036782A (zh) * | 2018-08-15 | 2018-12-18 | 湖州同立光电材料有限公司 | Pfc电路电感器 |
DE102021205817A1 (de) * | 2021-06-09 | 2022-12-15 | Siemens Aktiengesellschaft | Ladestation für ein elektrisch antreibbares Fahrzeug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718023C (de) * | 1937-11-17 | 1942-02-28 | Georg V Schaub | Hochfrequenzspule mit Eisenkern |
US2302893A (en) * | 1939-09-29 | 1942-11-24 | Rca Corp | Variable inductance arrangement |
US2375309A (en) * | 1943-01-29 | 1945-05-08 | Phileo Radio And Television Co | High-frequency transformer |
US2608610A (en) * | 1950-01-28 | 1952-08-26 | Bell Telephone Labor Inc | Transformer |
GB856283A (en) * | 1957-08-06 | 1960-12-14 | Siemens & Halkse Ag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ariable inductors |
US2997584A (en) * | 1958-02-19 | 1961-08-22 | Motorola Inc | Saturable core tuning inductor |
US3601734A (en) * | 1969-08-13 | 1971-08-24 | Gen Instrument Corp | High q tunable if transformer coil assembly |
-
1985
- 1985-01-23 US US06/694,058 patent/US4630013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5-01-25 DE DE19853502549 patent/DE3502549A1/de not_active Ceased
- 1985-01-30 KR KR1019850000562A patent/KR89000336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3502549A1 (de) | 1985-08-08 |
KR850005719A (ko) | 1985-08-28 |
US4630013A (en) | 1986-1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890003368B1 (ko) | 전류제어 가변 인덕터 | |
JP3366916B2 (ja) | インダクタンス素子 | |
US7573364B2 (en) | Coil unit | |
JP3309372B2 (ja) | コイル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
KR920006259B1 (ko) | 코일집합체제조방법 | |
US6844804B2 (en) | Method of manufacturing discrete electronic components | |
JPH11307357A (ja) | 面実装型チョークコイル | |
KR102043295B1 (ko) | 누설 자속을 최소로 하는 인덕터 | |
JPS634687B2 (ko) | ||
JPH09205023A (ja) | チョークコイル | |
JP3647133B2 (ja) | インダクタンス素子 | |
JPH0217459Y2 (ko) | ||
US3593245A (en) | Double-tuned intermediate-frequency transformer | |
JP2005285901A (ja) | 電子部品およ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 |
JPH075617Y2 (ja) | 電磁装置 | |
JPH0238417Y2 (ko) | ||
JPH0215299Y2 (ko) | ||
JPS62152112A (ja) | 電流制御型可変インダクタ | |
JPH0331063Y2 (ko) | ||
JPH0238411Y2 (ko) | ||
JPH0326464Y2 (ko) | ||
JP2569628Y2 (ja) | 可飽和リアクタ | |
JPH031809B2 (ko) | ||
JPS5843768Y2 (ja) | 電磁石 | |
JPH0217458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90814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