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044B1 - 광학부재의 광축조정기구 - Google Patents

광학부재의 광축조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044B1
KR890003044B1 KR1019840000386A KR840000386A KR890003044B1 KR 890003044 B1 KR890003044 B1 KR 890003044B1 KR 1019840000386 A KR1019840000386 A KR 1019840000386A KR 840000386 A KR840000386 A KR 840000386A KR 890003044 B1 KR890003044 B1 KR 890003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axis
adjustment
reflector
hold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0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3030A (ko
Inventor
데쓰오 안도오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고오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마쓰모도 도오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고오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마쓰모도 도오루 filed Critical 아사히 고오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3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3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47Arrangements for positioning the light beam only without moving the head, e.g. using static electro-optical el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Landscapes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 Mounting And Adjusting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학부재의 광축조정기구
제1도는 광학식 디스크플레이어의 정보판독장치의 1예를 표한 개략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관한 광축조정기구(光軸調整機構)의 실시예를 표시한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화살표 Ⅲ에서본 정면도.
제4도는 제2도의 화살표 Ⅳ에서본 측면도.
제5도는 광축의 조정범위를 표시한 설명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호울더본체 102 : 지주
14 : 호울더베이스 108 : 호울더
112 : 반사경(광학부재) 114, 116 : 제2절결부
118, 120 : 경사면, 조정나사(제2의 가압수단)
122, 124 : 조정판, 조정나사(제1의 가압수단) 126 : 제1절결부.
본 발명은 광학장치에 있어서의 광축조정기구에 관한 것이며 특히 광학식 디스크플레이어의 정보판독장치에 있어서의 광학부재의 광축조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광학식 디스크플레이어의 정보판독장치에는 이 장치의 소형화 또는 이장치의 부품가공오차 내지 부품조립 오차의 보정이라고하는 관점에서 광학부재로서의 반사경에 의한 광축조정기구에는 상당한정도의 정밀도로 확실하게 광출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광축조정은 광축에 직교하는 X, Y의 양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사경을 회전시키므로써 행하여진다. 또한 이 경우에 X, Y축의 회전중심은 반사경의 반사면과 일치시켜 광축조정에 의한 반사경의 광축방향의 위치오차를 생기지 않게 하는 편이 바람직하나 정보판독장치는 다소의 광축방향의 위치오차가 생기도라도 X, Y축주위의 회전조정에 의해 광축의 중심을 정확히 맞출수가 있으므로 실용상지장은 없다.
종래의 광축조정기구는 광축조정각도를 0°로 하였을 경우를 기준으로하여 ±θ°/2의 조정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X축에 대해서는 그의 정방향으로 ±θ°/2의 범위내에서 그의 부(-)방향으로-±θ°/2의 범위내에 두고 연결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조정판(1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조정판(122)에는 조정판(122)과 함께 제1의 가압수단을 구성하는 조정나사(12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정나사는(124)의 선단부분은 호울더베이스(104)에 형성된 너트에 나사맞춤하여 이 조정나사(124)가 회전되면 조정판(122)의 호울더베이스(104)에 대하여 상하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지주(102)중 조정판(122)측의 측면에는 상기 제2의 절결부(114, 116)에는 통공 (128)이 적의 설치되어 있으며 소정의 기판등에 호울더베이스(104)를 보울트수단등에 의해 고정할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의 전체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조정나사(124)를 죄이면 조정판(122)은 호울더베이스(104)측에 압압되고 지주(102)에 휘어짐이 생긴다. 이 휘어짐에 의한 응력은 지주(102)에 형성된 제1절결부(126)에 집중한다. 이때문에 호울더 본체(100)가 전체로서 제1절결부(126)의 절결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한다. 따라서 호울더(108)내의 반사경(112)도 회전하게 된다. 이 회전은 제3도에 표시한 반사경(112)의 중심축의 하나인 X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과 등가(等價)이다. 즉 조정나사(124)를 회전시키면 X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사경(122)이 회전하고 X축에 대한 광축조정을 행할수가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제1절결부(126)의 절결방향을 지주(102)의 주축(柱軸)방향(제2도에서 상하방향)과 직교하도록 형성하므로써 광축방향(X축및 후술하는 Y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위치 오차를 저감할수가 있다. 즉 반가경(112)의 X축에대한 회전이라고 하더라도 실제에는 제1절결부(126)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기 때문에 반사경(112)전체가 광축방향에 대하여 이동하게 되나 그 정도는 제1절결부(126)의 위치조정에 의해서 저감되기 때문이다.
다음에 조정나사(120)를 죄이면 조정나사(120)의 선단부 원추면이 경사면(118)에 접접하고 있기 때문에 하방으로 작용하는 힘이 제4도의 우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으로 변환된다. 한편 이 경사면(118)이 형성된 호울더(108)와 호울더 본체(100)와의 사이에는 홈(106)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호울더(108)에는 제4도의 좌방으로 이동하도록 가요성이 생긴다. 이 가요성에 의한 응력은 절결(114, 116)에 집중한다. 따라서 호울더(108)는 제2절결부(114, 116)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이것에 따라서 가동판(110)도 회전하여 반사경(112)의 회전중심을 Y축을 중심으로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가동판(110)이 호울더(108)중 경사면(118)에 인접하는 일변에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2절결부(114, 116)의 위치를 조정하므로써 반사경(112)의 회전중심을 Y축과 일치시킬수 가 있다. 즉 조정나사(120)를 회전시키면 Y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사경(112)이 회전하고 Y축에대한 광축조정으 할수가 있다.
또한 제1 및 제2절결부(114, 116, 126)에 작용하는 응력은 이부분의 형상 또는 지주(102) 호울더(108)의 칫수를 적의 설정하므로써 소재의 허용치를 초과하는 일이 없도록 배려하기로 하고 이 소재의 탄성한계의 범위내에서 상술한 광축조정을 하도록 한다.
다음에 제5도에 따라서 조정각도의 범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반사경(112)은 종래의 광축조정장치에 있어서는 실선위치를 기준으로하여 위치(112A, 112B)와 같이 회전되고 축선(OP)을 중심으로 하여±θ°/2의 진동각의 범위에서 조정이 행해지고 있다. 이때문에 하나의 회전축에 대하여 ±θ°/2의 범위내에서 반사경(112)을 회전시키는 -θ°/2의 범위내에서 회전 시키는 수단이 각각 필요한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에서는 X축 및 Y축의 어느것에 있어서나 축선(OT)을 기준으로 하여 0의 진동각의 범위에서 조정이 행하여지게된다. 즉 한방향에만 조정이 행하여지므로 하나의 회전축에 대하여 하나의 회전수단만으로 충분하다.
다음에 제6도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X축에 대한 조정부와 Y축에대한 조정부가 분리되어 있으며 Y축에 대한 조정부는 X축에 대해서도 이 X축을 중심으로하여 반사경(112)을 회전시킬수 있다.
제6도에 있어서, 호울더본체(200)는 호울더베이스(204)에 대하여 정면에 형설된 지주(202)에 의해 적의 간격을 두고 지지되어 있으며 전체가 일체성형되어 있다. 이 지주(202)와 호울더본체(200)와의 접합부분에는 단면 U자상의 홈(206)이 형성되어 있으며 호울더 본체(200)의 뒤에 연설된 조정판(122)이 조정나사(124)의 조정에 의해 상하동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호울더본체(200)의 전부에는 구형의 요부(208)가 형서되고 지주(202)간에 형성된 공간과 요부(208)가 연속해서 수납실(21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납실(210)에는 Y축조정부(300)가 화살표 F에 따라서 장착되고 이 조정부(300)는 호울더본체(200)중상기 요부(208)를 형성하는 단면(230)에 대하여 적의 수단에 의해 고착된다. Y축 조정부(300)는 상술한 제2도 내지 제3도에 표시한 실시예에서의 반사경(112)을 중심으로 하는 정면부분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반사경(112)의 X축방향으로 대응하여 지주(202)의 전면측에 제1의 절결부8226)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의 전체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Y축에 대한 반사경(112)의 회전조정은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음에 X축에 대한 반사경(112)의 회전 조정은 조정나사(124)에 의해서 행하는 점에서 동일하나 제1절결부(226)가 지주(202)의 전면에 형성되고 또한 이 지주(202)가 호울더본체(200)의 전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반사경(112)은 X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게된다. 즉 Y축 조정부(300)는 제1의 절결부(226)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호울더본체(200)측에 고착되어 있고 또한 반사경(112)의 X축방향으로 제1의 절결부(226)가 형성 되어 있기 때문에 반사경(112)의 X축 및 Y축과 양회전축이 일치하게 되어 위치 어긋남으로 인한 편차를 해소할수 있게 된다. 또한 조정각도의 범위는 제5도에서 설명한 경우와 동일하다.
또한 본발명은 하동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형상등에 대해서는 동일한 기능을 가진 것이면 다른 형상으로 하여도 된다. 특히 조정나사의 배치 또는 조정나사에 의한 회동수단도 호울더본체등의 형상을 변경하므로써 변경하여도되고 또 이 조정나사에 스프링수단을 설치하므로써 조정상태의 유지가 양호하게 행하여지도록 하여도 된다.
더우기 상기 실시예는 광학식 디스크플레이어에 대한 정보판독장치에 사용되는 경우이지만 광축조정을 필요로 하는 일반의 광학장치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며 또 반사경과 같은 광을 반사하는 광학부재 뿐만아니라 광을 투과하는 광학부재에 대해서도 적용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광축조정기구에 의하면 반사경등이 부착된 호울더 및 이 호울더에 연결된 호울더본체를 가요성재료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반사경의 2개의 중심축에 대응하여 절결된 2개의 절결부를 설치하여 이 부분에 응력을 집중시켜서 호울더 및 호울더 본체를 휘게하므로써 광축조정을 행하도록 하였으므로 구조가 간략화되어 종래와 같이 탄선부재를 각종 형태로 조합할 필요가 없고 또 조정의 각도 범위가 1방향 뿐인 동시에 각축에 대한 조정을 별개독립으로 또한 그의 각축을 광학부재의 광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행할수가 있으므로 조정작업을 극히 단시간에 용이하게 행할수 가 있다. 더우기 호울더 및 호울더본체 전체가 절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휘므로써 반사경의 부착부분에 변형등이 생길 염려가 없으며 장치전체를 소형화 할수가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호울더베이스와 이호울더베이스에 지주를 통하여 연결되는 호울더본체와 이 호울더본체에 단부가 연결되어 광학부재를 부착한 호울더를 가요성재료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지주에 형성된 이 지주의 주축(柱軸)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결된 제1절결부의 주위에 상기 호울더본체을 휘게하도록 이 호울더본체와 상기 호울더베이스와의 사이에 제1의 가압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호울더에 형성되어 상기 제1절결부의 절결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결된 제2절결부의 주위에 이 호울더를 휘도록 이 호울더와 상기 호울더본체와의 사이에 제2의 가압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재의 광축조정기구.
KR1019840000386A 1983-10-18 1984-01-28 광학부재의 광축조정기구 KR8900030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193437 1983-10-18
JP58193437A JPS6085441A (ja) 1983-10-18 1983-10-18 光学部材の光軸調整機構
JP193437 1983-10-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030A KR850003030A (ko) 1985-05-28
KR890003044B1 true KR890003044B1 (ko) 1989-08-19

Family

ID=16307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0386A KR890003044B1 (ko) 1983-10-18 1984-01-28 광학부재의 광축조정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085441A (ko)
KR (1) KR89000304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030A (ko) 1985-05-28
JPS6085441A (ja) 1985-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1448B2 (en) Lens barrel
US20040079871A1 (en) Photoelectric sensor
JPH0555932B2 (ko)
JP2007322709A (ja) 光学部材支持機構、光学装置、および間隔調整部材
JP2007322709A5 (ko)
KR890003044B1 (ko) 광학부재의 광축조정기구
JP4739560B2 (ja) マルチビーム光源ユニット及びこれを有する光走査装置
US5111340A (en) Lens device
JP2000019380A (ja) ミラー保持調整装置
JPH0562209A (ja) コリメート装置
JPH0743583A (ja) レンズ駆動装置
JPS61252524A (ja) レ−ザ射出装置
JPH0654011U (ja) レンズの取り付け構造
JP2887918B2 (ja) ラスタ走査装置のミラー支持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ミラー角度調整方法
JPS63127218A (ja) 光線変向ミラ−の方向調整装置
JPH01215487A (ja) レーザビーム用ベンダ
JP2526365Y2 (ja) 光ピックアップのホトダイオード支持台
JPH0522889Y2 (ko)
JP2502180Y2 (ja) 光走査装置
JPH08340150A (ja) 光源装置
JP2792026B2 (ja) 光源装置
JP2690556B2 (ja) ライン走査装置
JP2000193868A (ja) 光軸調整機構
JPH01205119A (ja) 光走査装置
JPH09105848A (ja) レンズ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7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