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908Y1 - 파스너 조립기계용 파스너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파스너 조립기계용 파스너 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908Y1
KR890002908Y1 KR2019870015817U KR870015817U KR890002908Y1 KR 890002908 Y1 KR890002908 Y1 KR 890002908Y1 KR 2019870015817 U KR2019870015817 U KR 2019870015817U KR 870015817 U KR870015817 U KR 870015817U KR 890002908 Y1 KR890002908 Y1 KR 8900029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passage
guide
chute
convey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58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5756U (ko
Inventor
타케시 아라이
Original Assignee
요시다 고오교오 기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고오교오 기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filed Critical 요시다 고오교오 기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57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57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9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9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42Making by processes not fully provided for in one other class, e.g. B21D53/50, B21F45/18, B22D17/16, B29D5/00
    • A44B19/44Securing metal interlocking members to ready-made stringer tapes
    • A44B19/46Securing separate interlocking members
    • A44B19/48Arranging interlocking members before secur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7/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setting fastener-elements on ga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lide Fasteners (AREA)
  • Chut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파스너 조립기계용 파스너 운반장치
제1도는 이 고안를 실현하는 파스너 운반장치의 부분 사시도.
제2도는 이 장치의 수직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안내부 2a,4a : 통로
2d : 슬릿 2c : 경사면
4 : 슈우트 5 : 푸셔
7 : 안내몸체 8.9.14a : 플랜지
9a : 캠면 10,12 : 피봇부
11 : 안내호울더 13 : 정지나사
14 : 슈우트 덮개 16.17 : 판스프링
17a : 돌기 19 : 보조덮개
A : 파스너부재
이 고안은 의류직물을 1쌍의 파스너 부재들 사이에 놓은채, 스냅 파스너, 훅-아이형 파스너, 및 단추와 같은 의류 파스너의 두 파스너 부재를 조립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스너 부재들을 파스너 조립장치로 운반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스너 조립장치에 있어서, 의류 파스너의 1쌍의 파스너 부재들은 각자 펀치 조립체의 상, 하부 유니트들상에 지지된다. 상부 유니츠의 펀치는 두 파스너 부재들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 하부 유니트쪽으로 이동된다. 통상적으로, 두 종류의 파스너들은 각자 별도의 두 운반 장치에 의해 펀치 조립체로 공급된다. 각 종류의 파스너 부재들을 위한 통상의 운반 장치는, 파스너 부재들이 잇달아 하방으로 미끄러지는 제1통로를 형성하는 슈우트와, 파스너 부재들이 제1통로로 부터 한번에 하나씩 수용되고, 왕복 푸셔가 개별 파스너 부재를 펀치 조립체쪽으로 밀기위해 끼워지는 제2통로를 형성하는 안내부를 포함한다.
평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통로가 제2통로와 수직하게 놓이게끔. 슈우트가 안내부에 연결되기 때문에, 파스너 부재 운반방향은 파스너 부재가 제1, 제2통로들의 교차점을 지나감에 따라 90°만큼 바뀐다.
이러한 종래 배열의 문제점은, 파스너 부재들이 제1, 제2통로들의 교차점에 꼭 끼이는 경향이 있다는 점이다. 또한, 그렇게 꼭 끼인 파스너 부재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지금까지는 안내부의 안내판을 손으로 수평하게 외측으로 피봇 이동시켜 제2통로를 개방시키거나 노출시키는 것이 상례였다. 이는 너무 수고스럽고 시간이 많이 소비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이 일본 특허 공보 제59-11681에 예시된다.
따라서, 이 고안의 목적은 파스너 조립기계용 파스너 운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인데, 그 장치에서, 파스너 부재들의 끼임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설령 끼임이 발생해도 끼인 파스너 부재가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이 고안에 따르면, 파스너 조립기계용 파스너 운반장치는 프레임에 고정된 안내호울더, 프레임에 고정되고 제1통로를 형성하는 슈우트, 및 안내호울더상에 피봇 장착되고왕복 푸셔가 끼위지는 제2통로를 형성하는 안내부로 구성된다. 안내부는, 제1, 제2통로들의 교차점에서 꼭 끼인 파스너 부재를 풀어주기 위해 슈우트의 하단부로부터 멀리 하방으로 피봇 이동가능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2도는, 의류직물(도시안됨)이 두 파스너 부재들 사이에 놓인채, 파스너 부재(A)를 상대 파스너 부재(도시안됨)와 결합시키는 파스너 조립기계의 펀치 조립체(도시안됨)에 파스너 부재들(A)을 한번에 히나씩 운반하는장치를 도시한다.
이 장치는 대략 프레임(도시안됨)에 고정된 안내호울더(11), 프레임에 고정되고 파스너 부재들(A)을 호퍼(도시안됨)로 부터 하방으로 잇달아 운반하는 경사 슈우트(4), 및 안내호울더(11)에 의해 지지되고 파스너 부재들(A)을 슈우트(4)로 부터 파스너 조립기계의 펀치 조립체(도시안됨)쪽으로 한번에 하나씩 운반하는 수평안내부(2)로 구성된다.
슈우트(4)의 대략 C형 단면은 제1경사 통로(4a)를 형성하며, 그 통로를 통하여 파스너 부재들(A)이 잇달아 미끄럼 수용된다.
안내부(2)는 안내몸체(7)를 포함하며 그 안내몸체의 대략C형 단면은 제2수평통로(2a)를 형성하며 그 통로를 통하여 기다란 왕복 푸셔(5)가 미끄럼 수용된다. 푸셔(5)가 제2통로(2a)에서 왕복 이동함에 따라, 파스너 부재들(A)은 제1통로(4a)로 부터 제2통로(2a)안으로 한번에 하나씩 수용된 다음, 제2통로(2a)에 의해 안내된다.
안내몸체(7)에는, 이 안내몸체(7)와 일체이고 슈우트(4)의 하단부로 부터 멀리 있는 제1피봇부(12)에 의해 안내 호울더(11)상에 피봇 지지되는 1쌍의 상향측 플랜지들(8,9)이 있다. 따라서, 안내부(2)는 제1피봇부(12)를 중심으로 피봇이동 가능하다. 평상시, 안내부(2)의 피봇 이동은 정지나사(13)에 의해 방지되며, 그 정지나사는 제1피봇부(12)와 슈우트(4)의 하단부 사이의 위치에서 1쌍의 측 플랜지들(8,9)과 안내호울더(11)를 통하여 제거 가능하게 뻗는다. 안내부(2)에는 안내몸체(7)의 후단부위에 후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c)이 있다. 경사면(2a)(제2도)은 안내부(2)를 하방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킬뿐 아니라, 안내부(2)의 그러한 하방 또는 반시졔 방향 피봇 이동을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정지나사(13)가 제거되는 때, 안내부(2)는 중력에 의해 제l피봇부(12)를 중심으로 하방 또는 반시계방향(제2도)으로 피봇 이동하여서, 제2통로(2a)가 제1통로(4a)로 부터 멀리 분리된다. 그 결과, 꼭 끼인 파스너부재(A)가 제1, 제2통로들(4a.2a)사이의 교차점에 조금이라도 있으면 떨어지게 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몸체(7)의 한 측 플랜지(9)의 앞 상연부에는 전방으로 외측으로 경사진 캠면(9a)이 있다. 제1판 스프링(17)의 상단부는 핀(8)에 의해 슈우트(4)의 외면에 고정되고, 그의 하단부에 내향돌기(17a)가 있는데, 그 돌기는 제1통로(4a)의 후속 파스너 부재들(A)을 막기위해 측 슬롯(2b)을 통하여 제1통로(4a)안으로 돌출가능하다. 안내부(2)가 수평자세(제1도)로 있는 동안 제l판 스프링(17)의 하단부는 캠면(9a)과, 결합하여서 돌기(17d)가 제1판 스프링(17)의 바이어스를 거슬러 제1통로(4a)로 부터 철회된다. 안내부(2)가 사실상 하방으로 피봇 이동됨에 따라, 제1판 스프링(17)의 하단부는 캠면(9a)과 분리되며, 따라서, 제1판 스프링(17)의 바이어스를 받아 돌기(17a)를 제1통로(4a)안으로 돌출시킨다.
슈우트 덮개(14)는 제2피봇부(10)에 의해 슈우트(4)상에 피봇 장착되어 제1통로(4a)의 하단부위를 덮고 제1통로의 말단부를 넘어서 뻗는다. 평상시, 슈우트덮개(14)는 제2판스프팅(16)에 의해 슈우트(4)의 윗면에 눌리며 그 판 스프링의 일단부는 핀(15)에 의해 슈우트(4)의 윗면에 고정된다. 파스너 부재(A)가 제1, 제2통로들(4a,2a) 사이의 교차점에 도달하는 때, 슈우트 덮개(14)는 제2판 스프링(16)의 바이이스를 거슬러 슈우트(4)의 윗면으로 부터 약간 피봇 이동된다. 제2판 스프링(16)이 있는 이 슈우트 덮개(14)는, 파스너부재들(A)이 제1, 제2통로를(4a,2a)사이의 교차점에 꼭 끼이지 않게 하는데 조력하는 역할을 한다. 덮개(14)의 단면은 플랜지(14a)가 있는 대락 L형이며, 그 플랜지를 통하여 제2피봇부(10)가 슈우트(4)안으로 뻗는다.
안내부(2)의 제2통로(2a)의 전단부위는 보조덮개(19)에 의해 덮히는 반면, 제2통로(2a)의 잔여부의 대부분은 안내호울더(11)에 의해 덮힌다.
평면도로 도시된 바와같이, 제1통로(4a)가 제2통로(2a)와 같은 방향으로 뻗어있어서, 슈우트(4)로부터 배출되는 파스너부재(A)는 그의 방향을 수정할 필요없이 푸셔(5)에 의해 안내부(2)를 통하여 펀치조립체로 운반된다.
우연히, 파스너 부재(A)가 제1,제2통로들(4a,2a)사이의 교차점에 꼭 끼이게 되면, 그렇게 꼭 끼인 파스너부재(A)는 다음의 방법으로 제거될 수 있다.
먼저, 정지나사(13)가 제거되어 안내부(2)를 피봇부(12)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제2도) 슈우트(4)의 하단부로 부터 멀리 하방으로 피봇 이동시킨다. 이렇게 해서 꼭 끼인 파스너 부재(A)가 풀어지게 되어 떨어진다. 그러나, 꼭 끼인 파스너 부재 (A)가 풀어 질 수 없으면, 슈우트 커버 (14)를 손으로 피봇부(10) 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피봇이동시킨다.

Claims (9)

  1. 프레임 다수의 파스너 부재들(A)을 잇달아 안내하는 제1통로(4a)를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경사슈우트(4),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안내호울더(11), 상기 제1통로(4a)와 소통가능한 제2통로(2a)를 형성하여 파스너 부재들(A)을 상기 제1통로(4a)로부터 한번에 하나씩 수용하며 개별 파스너 부재(A)를 상기 제2통로(2a)를 통하여 안내하고 상기 안내호울더(11)상에 장착된 안내부(2), 및 상기 제2통로(2d) 안에서 왕복가능하고 개별 파스너 부재(A)를 상기 제2통로(2a) 밖으로 미는 푸셔(5)로 구성되는 파스너 조립기계용 파스너 운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2)가 상기 슈우트(4)의 하단부위로 부터 멀리 있는 제1피봇부(12)에 의해 피봇 장착되고,수평 자세로 풀어질 수 있게 파지되어서, 상기 안내부는 풀어질때 상기 슈우트(4)의 하단부로 부터 멀리 거의 수직하게 피봇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운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2)에는 1쌍의 측 플랜지들(8,9)이 있고, 상기 제1피봇부(12)는 상기 측 플랜지들(8,9)과 상기 안내호울더(11)를 통하여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운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수단은, 상기 제1피봇부(12)와 상기 슈우트(4)의 상기 하단부위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측 플랜지들(8,9)과 상기 안내호울더(11)를 통하여 제거 가능하게 뻗는 정지나사(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운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2)의 후단부에는 후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c)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운반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단부가 상기 슈우트(4)의 외면에 고정된 제1판 스프링(17)으로서, 그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판 스프링(17)의 바이어스를 받아 상기 슈우트(4)의 측 슬롯(2b)을 통하여 상기 제1통로(4a)안으로 돌출하기 위해 평상시 밀려나 있는 내향 돌기(17a)가 있는 제1판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안내부(2)의 상기 측 플랜지들(9)중 한 플랜지의 앞 상연부에는 전방 외측으로 경사지는 캠면(9a)이 있고, 상기 안내부(2)가 상기 수평자세에 있는 때, 상기판 스프링(17)의 상기 하단부가 상기 제1통로(4)안으로 돌출하지 못하게끔 상기 캠면(9a)이 상기 판스프링의 하단부와 결합가능한 파스너 운반장치.
  6. 제1항에 있이서, 제2피봇부(10)에 의해 상기 슈우트(4)상에 피봇 장착되고, 상기 제1통로(4a)의 하단부위를 덮으며, 상기 제1통로(4a)의 하단부위를 지나서 뻗는 슈우트 덮개(14)를 더 포함하는 파스너 운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슈우트 덮개(14)는 평상시 제2판 스프링 (16)에 의해 상기 슈우트(4)의 윗면에 눌려있는 파스너 운반장치.
  8. 제1항에 었어서, 상기 슈우트 덮개(14)에는 플랜지(14a)가 있어 이 플랜지(14)를 통해 상기 제2피봇부(10)가 상기 슈우트(4)안으로 뻗는 파스너 운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우트(4)와 상기 안내부(2)는 평면에서 보아 공통 방향으로 뻗는 파스너 운반장치.
KR2019870015817U 1986-09-08 1987-09-16 파스너 조립기계용 파스너 운반장치 KR89000290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3420 1986-09-08
JP1986143420U JPS6350838U (ko) 1986-09-18 1986-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5756U KR880005756U (ko) 1988-05-30
KR890002908Y1 true KR890002908Y1 (ko) 1989-05-10

Family

ID=15338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5817U KR890002908Y1 (ko) 1986-09-08 1987-09-16 파스너 조립기계용 파스너 운반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830255A (ko)
EP (1) EP0260592B1 (ko)
JP (1) JPS6350838U (ko)
KR (1) KR890002908Y1 (ko)
AU (1) AU573485B2 (ko)
CA (1) CA1302361C (ko)
DE (1) DE3774647D1 (ko)
HK (1) HK98294A (ko)
MY (1) MY101366A (ko)
SG (1) SG107294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130Y2 (ja) * 1989-02-21 1995-05-17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アスナー用務歯取付機における務歯供給装置
JP2507530Y2 (ja) * 1989-05-18 1996-08-14 水沼金属株式会社 衣服用鉤ホック送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89268A (en) * 1938-08-13 1942-07-07 Universal Button Fastening & B Manufacture of fastening devices
US2265574A (en) * 1938-10-18 1941-12-09 Patent Button Co Combined tucker and orienting mechanism for snap fastener attaching machines
US2966681A (en) * 1957-10-09 1961-01-03 Lee R Campbell Feeding mechanism for fastener driving devices
US3253760A (en) * 1964-01-29 1966-05-31 Fastener Corp Fastener driving apparatus
US3420427A (en) * 1966-09-26 1969-01-07 Erich A Schmidt Apparatus for attaching pronged elements
BE792333A (fr) * 1971-12-07 1973-06-06 Textron Inc Appareil a fixer les fermetures a declic
US3837530A (en) * 1972-05-09 1974-09-24 Pentapco Inc Shank supply for button-sewing attachments
US3815805A (en) * 1972-06-05 1974-06-11 Textron Inc Apparatus for attaching fasteners to a garment in registration
US3987950A (en) * 1975-06-19 1976-10-26 Textron, Inc. Apparatus for orienting and attaching fasteners to an article
JPS598968Y2 (ja) * 1981-04-22 1984-03-21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釦取付機における釦供給装置
JPS5911681A (ja) * 1982-07-12 1984-01-2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半導体装置の製造法
JPS6061179U (ja) * 1983-10-01 1985-04-27 日立工機株式会社 打込機の安全装置
JPS6063523U (ja) * 1983-10-04 1985-05-04 日本ノーシヨン工業株式会社 釦加工装置の部品供給装置
JPS6071627U (ja) * 1983-10-18 1985-05-21 日本ノーシヨン工業株式会社 釦取付機の部品方向設定装置
JPH0415685Y2 (ko) * 1985-02-21 1992-04-08
JPH0537936Y2 (ko) * 1985-03-19 1993-09-2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73485B2 (en) 1988-06-09
EP0260592A3 (en) 1989-06-28
EP0260592B1 (en) 1991-11-21
HK98294A (en) 1994-09-23
MY101366A (en) 1991-09-05
CA1302361C (en) 1992-06-02
KR880005756U (ko) 1988-05-30
SG107294G (en) 1994-10-28
AU7793187A (en) 1988-03-24
JPS6350838U (ko) 1988-04-06
EP0260592A2 (en) 1988-03-23
DE3774647D1 (de) 1992-01-02
US4830255A (en) 198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1418Y1 (ko) 웨브형 소재에 파스너를 부착하는 장치
KR910004299A (ko) 슬라이더 몸체와 견인탭의 연결 장치 및 방법
KR890002908Y1 (ko) 파스너 조립기계용 파스너 운반장치
JPS5911683B2 (ja) 釦取付け装置
KR890000952B1 (ko) 슬라이더 파지 장치
JPH0312738Y2 (ko)
US5775245A (en) Bed slide device of a sewing machine
KR910008658B1 (ko) 개별 금속 파스너 엘레멘트들을 파스너 테이프에 부착하는 방법
EP0045876B1 (en) Fastener slider holding device
JPH0312740Y2 (ko)
HK1010182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parating and use of the device in the packaging of cigarettes
KR890002062Y1 (ko) 자동파스너 조립기계용 파스너 이송장치
KR870001355Y1 (ko) 박스 및 삽입핀이 달린 분리 가능한 슬라이드 파스너 체인에 박스를 부착한 때의 박스 보지장치
US5168688A (en) Mounting device for inserting slides in slide mounts
JPS5911684B2 (ja) 釦取付け装置
JP2614958B2 (ja) 釦取付機の釦搬送装置
US6047465A (en) Attaching device of connecting ring to pull tab for slide fastener slider
JPH0312739Y2 (ko)
CN209467774U (zh) 一种冲压产品自动输送装置
JPS6227322Y2 (ko)
JP2731061B2 (ja) 釦取付機の釦搬送ユニット
US3021981A (en) Devices for dispensing objects from a container
US2945575A (en) Adjustable chute for button feeders
JP3687416B2 (ja) 収納袋の把持機構
JPS604648Y2 (ja) 間欠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3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