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418Y1 - 웨브형 소재에 파스너를 부착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웨브형 소재에 파스너를 부착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418Y1
KR860001418Y1 KR2019840014342U KR840014342U KR860001418Y1 KR 860001418 Y1 KR860001418 Y1 KR 860001418Y1 KR 2019840014342 U KR2019840014342 U KR 2019840014342U KR 840014342 U KR840014342 U KR 840014342U KR 860001418 Y1 KR860001418 Y1 KR 8600014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fastener
members
hoppers
fasten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43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7931U (ko
Inventor
히사시 도오리
Original Assignee
닛봉 노-숀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오치아이 고오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995883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10314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96083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10429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95983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10428U/ja
Application filed by 닛봉 노-숀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오치아이 고오이치 filed Critical 닛봉 노-숀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79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79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4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4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42Making by processes not fully provided for in one other class, e.g. B21D53/50, B21F45/18, B22D17/16, B29D5/00
    • A44B19/44Securing metal interlocking members to ready-made stringer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0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 B30B1/1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toggle mechanism
    • B30B1/106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toggle mechanism operated by another toggl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7/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setting fastener-elements on ga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lide Fastener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웨브형 소재에 파스너를 부착하는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라 직물에 파스너를 부착하는 장치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4도는 제1도 장치의 좌측면도.
제5도는 상부 포켓기구가 하강하는 것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제6도는 펀치기구가 하강하는 것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Ⅶ-Ⅶ선을 따라 취한 입면도.
제8도는 가이드의 부분단면도.
제9도는 제8도에 도시된 가이드의 평면도.
제10도는 부품 이송기구의 투명판이 상승되고 있는 경우에 장치의 정면도.
제11도는 제1도 장치의 우측면도.
제12도는 부품 이송기구에 있는 호퍼 및 픽업 블레이드의 부분 파단 사시도.
제13도는 호퍼 및 픽업 블레이드의 단면도.
제14도는 제10도에서 본 것으로 픽업 블레이드 및 슈우트의 부분 단면도로서, 파스너 부재들이 픽업 블레이드에서 슈우트 안으로 이송되는 방식을 나타낸다.
제15도는 채널로 안내된 파스너 부재를 보유하는 픽업 블레이드의 부분 단면도.
제16도는 제4도의 ⅩⅥ-ⅩⅥ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17도는 슬라이드 블록의 사시도.
제18도는 제15도에서 보아 제4도의 ⅩⅧ-ⅩⅧ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B : 파스너부재 11 : 상부포켓기구
12 : 하부포켓기구 15 : 푸셔(pusher)기구
16 : 이송기구 17,18 : 슈우트(chute)
19 : 펀치 기구 20 : 안전기구
25 : 포켓 호울더(pocket holder) 26 : 캠 종동체
28 : 압압기구 29 : 슬라이드 램(slide ram)
32 : 제1포켓 33 : 캠판
34 : 테이퍼면 35 : 스프링 케이스
37 : 압축코일스프링 62,63 : 푸셔
95 : 제1안전레버 97 : 센서브라켓
99 : 제2안전레버 105,106 : 호퍼(hopper)
107,108 : 픽업 블레이드(pickup blade) 112,113 : 측면 패널(side panel)
118 : 트레이(tray) 119,120 : 다리
131,132 : 구멍
본 고안은 직물과 같은 웨브 모양의 소재에 압수 파스너 부재들로 구성된 스냅 덮개, 단추, 택 및 리벳등과 같은 파스너를 부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형태의 파스너들을 직물소재에 부착하는 공지장치의 하나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56-85407호에 도시되어 있다.
기술된 장치에서, 상부 파스너 부재를 보유할 포켓을 형성하는 한 쌍의 클램프들은 펀치 호울더 케이스의 하단부에 장착되고, 판스프링에 의해 서로 가까이 부세된다. 그러나, 판스프링들이 클램프들에 동일한 탄성력을 가하지 않을 경우에, 포켓은 중심위치에서 벗어나 변위되기 쉽다, 그러므로 상부 파스너 부재가 포켓안에 제공될 때, 확실하고 부드럽게 포켓에 수용될 수 없다. 더구나, 포켓의 상부 파스너부재는 오정렬 때문에 다이위의 하부 파스너부재와 적당히 결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공지의 배열에 따르면, 포켓이 압축코일 스프링에 의해 부세된 한쌍의 클램프 부재들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압축코일 스프링은 그 클램프 부재들 사이에서 작용하여 포켓의 파스너 부재들을 파지한다. 그러나, 클램프 부재들과 직접 계합하는 압축코일 스프링은 원하는 대로 파스너 부재를 중심에 놓는데 실패하는 적이 종종 있다.
상기 형태의 종래 파스너 부착장치는 파스너 부재들을 서로 압압하도록 공기 실린더와 같은 구동기구에 의해 다이쪽으로 가동되는 펀치를 포함한다. 핑거들 혹은 공구들이 펀치와 다이 사이에 끼이지 않게 하는 안정기구들이 몇가지 알려져 있고, 그 예로서 펀치와 다이 사이의 안전커버와, 본 장치에 관련된 특수 안전장치가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종래의 안전장치는 장치의 크기를 증가시키며, 작동자가 장치의 작동을 가시적으로 감독할 수 있는 범위가 작아지고 펀치와 다이 사이로 부터 파스너 부재들을 제거하기가 어렵게 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56-85407에 도시된 장치는 파스너 부재들의 베이스 부분들이 맞춰지게 되는등 간격의 홈들이 있는 원추형 회전 드럼으로 구성된 부품 이송기를 포함한다. 파스너 부재들은 회전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슈우트에 공급될 수 있다. 먼지나 기계 절삭물이 회전드럼의 홈들에 들어가게 되면, 파스너부재들은 슈우트에 공급될 수 없거나, 드럼의 회전을 저지하는 호퍼 프레임에 부딪치기 쉽다. 사이에 끼인 파스너 부재를 드럼을 때리거나 진동시킴으로써 홈 밖으로 제거해야 한다. 따라서 이런 장치는 그러한 고장을 제거하기 위해 정지될 필요가 있고, 그 결과 장치의 효율이 저하된다. 고장제거 공정은 또한 지루하고 시간이 걸린다.
다른 문제는 회전드럼이 전체장치를 대형화시킨다는 것이다. 슈우트에 대해 드럼의 위치를 정하기가 어렵다. 드럼과 슈우트가 서로 적당히 위치조정되지 않으면, 슈우트가 분리되어 드럼에 대해 상대적으로 다시 위치조정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웨브 모양의 소재에 파스너들을 부착하는 장치로서, 다른 파스너 부재와 조합하여 웨브모양의 소재에 부드럽고 확실하게 부착하도록 한 파스너 부재를 수용하는 포켓을 적절히 중심잡는 수단을 가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더 큰 안전도를 가지고 파스너를 웨브 모양의 소재에 부착하며, 작동자가 넓은 가시범위에서 웨브모양 소재에의 파스너 부착을 확인할 수 있게하는 안전기구를 가진 파스너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바람직하지 못한 고장이 없이 파스너 부재들을 슈우트로 확실하고 부드럽게 이송하는 부품 이송기구를 가진 파스너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서로 결합될 제1파스너 부재와 제2파스너 부재를 그 사이의 웨브형 소재를 통해 부착하는 장치가 제공되는데, 그 장치는 제2파스너 부재를 지탱할 하부 포켓기구, 웨브형 소재를 사이에 협지한채 제1파스너 부재를 제2파스너 부재에 고착하도록 하부 포켓기구쪽으로 운동하는 펀치기구, 제1파스너 부재를 지지하고 제2파스너부재와 정렬하여 제1파스너 부재를 중심잡는 수단을 가지며, 하부 포켓기구쪽으로 운동하는 상부 포켓기구, 상부 포켓기구가 하부 포켓기구에 대해 예정된 위치에 이를 때에만 펀치기구를 작동시키도록 상부 포켓기구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안전기구 및 제1 및 제2파스너 부재들을 내장하는 제1 및 제2호퍼(hopper)들과 제1 및 제2파스너 부재들을 제1 및 제2호퍼들에서 꺼내어 제1 및 제2포켓기구들내로 각각 이송하도록 직선운동하는 제1 및 제2픽업수단을 가진 이송기구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많은 잇점 및 특징들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원리들은 제1도에 도시된 대로 단추를 직물에 부착하는 장치(10)에 실시될때 특히 유용하다.
직물에 부착될 단추는 대개 상부 암부재(A)와, 직물을 통해 상부 암부재(A)에 끼워지고 막혀지는 하부 숫부재(B)로 구성된다. 그러한 단추들의 실태는 직물 혹은 다른 웨브형 소재들에 고정될 때 서로 결합될 수 있는 암수부재들로 구성된 스냅 덮개, 택 및 다른 파스너들을 포함한다.
장치(10)는 대개 한번에 하나씩 상부 파스너부재(A)를 지지하는 상부 포켓기구 (11), 한번에 하나씩 하부 파스너부재(B)를 지지하는 하부 포켓기구(12), 상부 및 하부 가이드(13,14)를 따라 부재(A,B)를 상부 및 하부 포켓기구(11,12)로 각각 미는 푸셔기구(15)(제2도), 부재들(A,B)을 슈우트들(17,18) 아래로 각각 이송하는 부품이송기구(16), 직물을 협지한 채로 직물(F)에 부재들(A,B)을 서로 압압하여 부착하는 펀치기구(19)(제2도) 및 장치의 작동 중에 안전을 제공하도록 상부 포켓기구(11)에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안전기구(20)(제4도)를 포함한다.
상기 기구들은 기대(21)와 그 기대에 고착된 한쌍의 횡간각진 프레임들 (22,23)에 장착된다.
제2 및 3도에 예시된대로, 상부 포켓기구(11)는 상단부들 위의 로울러들과 하단부들 위에 나사들로 장착되는 한쌍의 상부 포켓부재들(27,27)을 포함한 한 쌍의 캠 종동체들(26,26)을 가진 한쌍의 포켓 호울더들(25,25), 서로 멀어지게 캠 종동체들 (26,26)을 평시에 부세하는 압압기구(28) 및 ㄷ형 단면을 가진 슬라이드 램 (ram) (29)으로 구성된다.
포켓 호울더들(25,25)은 핀(30,30)으로 슬라이드 램(29)에 각 운동하게 장착되고, 서로 대향하는 경사면들(31,31)을 각각 가진다. 상부 포켓부재들(27,27)은 서로 연결되어 상부부재(A)를 보유할 포켓(32)을 그 사이에 형성한다.
압압기구(28)는 캠종동체들(26,26)과 접촉 보유되는 한 쌍의 하향 테이퍼면들 (34,34)을 가진 캠판(33), 캠판(33)위에 배치되고 나사들(36,36)로 슬라이드램(29)에 고착된 스프링 케이스(35), 및 캠판(33) 및 스프링 케이스(35) 사이에 삽입된 압축코일 스프링(37)을 포함한다.
캠판(33)은 테이퍼면들(34,34)의 캠 종동체들(26,26)을 하방으로 압압하여 포켓 호울더(25,25)의 상단부들을 서로 멀어지게 옆으로 벌리게 하도록 압축코일 스프링(37)에 의해 평시에 부세되어 스프링 케이스(35)에서 멀어지게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래서, 포켓 호울더(25,25)의 하단부들은 서로 가까이 운동하도록 부세되고, 그리하여 상부 포켓부재들(27, 27)에 의해 형성된 상부 포켓(32)을 중심 잡는다. 캠판(33)은 포켓호울더들(25,25)을 균일하게 부세하도록 경사판 형태로 되어 있으나, 특히 본 장치가 대형일 때는 원추형이라도 좋다.
슬라이드 램(29)의 측벽들에 있는 한 쌍의 승강핀들(38,38)은 안전기구(20)의 제2안전레버(99)(후술됨)와 계합한다. 제2도에 도시된대로, 포켓기구(11)는 프레임 (22,23)에 부착된 스페이서 판(40)과 가이드 커버(39) 사이에 수직으로 활동한다.
상방으로 운동하는 상부 포켓기구(11)는 가이드 커버(39)와 스페이서 판(40) 사이에 고착된 정지축(42)에 이심적으로 장착된 정지구(41)에 의해 정지된다. 편심정지구(41)를 각도 조정함으로써 상부부재(A)는 상부 푸셔(62)(후술됨)에 의해 상부 가이드(13)를 따라 적절히 이송되고 상부 포켓부재(27,27)의 상부 포켓(32)에 확실히 보유된다.
하부 포켓기구(12)는 하부부재(B)를 지지하도록 다이 호울더(46)에 나사(45)로 고정된 다이(44), 다이(44)의 양측에 배치되고 핀(49,49)을 중심으로 각각 각 운동하는 한 쌍의 하부 포켓부재(47,47) 및 핀(49,49)을 통해 하부 포켓부재(47,47)에 결합된 한쌍의 포켓 호울더(48,48)를 포함한다.
하부 포켓부재(47,47)의 상단부들에 있는 한 쌍의 집게(50,50)는 각각 경사면 (51,51)을 갖고, 경사면들은 그 사이에 하부포켓(52)을 형성한다. 압축 코일스프링 (53)은 하부 포켓부재(47,47) 하단부의 경사면들 사이에 삽입되어 있어, 집게들 (50,50) 사이에 하부부재(B)를 파지하는 방향으로 하부 포켓부재(47,47)을 핀(49, 49)을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평시에 부세한다.
호울더 핀(54)은 포켓 호울더(48,48)의 하부 부분들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연장하고, 회전레버(55)의 단부에 걸린다.
푸셔기구(15)가 철회될 때, 로울러를 포함한 캠 종동체(56)는 압압되어 로울레버(57)를 핀(58) 주위로 시계방향으로(제2도) 선회시킨다. 이 때, 회전레버(55)는 핀(59)에 의해 핀(60)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고, 그리하여 포켓 호울더(36,36) 및 하부 포켓부재(47,47)를 하강시킨다. 하부 포켓부재(47,47)가 하강됨에 따라, 집게들(50,50)의 경사면(61,61)은 하부부재(B)의 주연부와 미끄럼 접촉을 하고, 서로 분리되어 하부 포켓(52)을 압축 코일 스프링(53)의 힘에 거슬러 확개시킨다.
제2도에 도시된대로, 푸서기구(15)는 수직으로 일정간격 떨어진 상부 푸셔 (62) 및 하부푸셔(63)와 로울러 핀(64)을 가진 푸셔 호울더(61)를 포함하고, 푸셔 호울더(61)는 다이호울더(46)를 따라 활동할 수 있고 캠 종동체(56)에 걸릴 수 있다. 푸셔기구(15)는 또한 푸셔호울더(61)가 전후로(제2도에서 좌우측으로)활동하는 가이드 (65) 및 프레임(22,23) 사이로 연장하는 레버 핀(71)에 회전 장착되고 로울러핀(64)에 걸리는 푸셔레버(66)를 포함된다. 푸셔레버(66)는 펀치기구(19)를 향해 이동하는 방향으로 인장 스프링(67)에 의해 평상시 부세된다.
펀치기구(19)는 후술되는 바와같이 공기 실린더(68)에 의해 구동된다. 공기실린더(68)가 작동되면, 그 피스톤로드(69)가 상승되어 주레버(70)를 선회시키고, 주레버(70)는 핀(72)이 레버핀(7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푸셔레버(66)를 밀게하고, 그리하여 푸셔기구(15)를 인장스프링(67)의 힘에 대항하여 가이드(65)를 따라 철회시킨다.
제8 및 9도에 도시된 대로, 각 상부 및 하부 가이드(13)(14)는 그 상부표면에 대략 V형 홈(76)이 형성된 바닥(75)을 포함하는 ㄷ형 단면으로 되어 있다. 홈(67)은 슈우트(17,18)에 연결된 그 단부에서 가장 깊고, 그 반대쪽 단부 혹은 포켓기구 (11,12)를 향해 점차 얕아진다. 슈우트(17,18)에서 홈(76)의 가장 깊은 단부안으로 배치된 부재(A,B)는 홈(76)을 따라 푸셔(62,63)에 의해 추진된다. 부재(A,B)는 그렇게 추진될 때, 그 포켓기구(11,12)로 들어가는 경로상에서 수평위치로 점차 선회된다.
홈(76)의 정지벽(77)은, 부재(A,B)가 슈우트(17,18)에서 가이드(13,14) 위로 이송될 때 부재(A,B)의 중심이 가이드(13,14)의 중심선(L)에서 벗어나 변위되도록 위치 조정된다. 슈우트(17,18)밖으로 배출된 부재(A,B)는 부재(A,B)가 푸셔(62,63)에 의해 추진되기 전에 정지벽(77)에 의해 정지된다.
제9도에 도시된대로, 인접한 부재(A) 혹은 (B)가 그 플랜지들에게 부분적으로 중첩되면, 가이드(13,14) 위에 놓인 부재(A,B)만이 부재(A,B)의 중심과 일치하지 않게 위치 조정된 푸셔(63,63)에 의해 추진된다. 그러므로, 부재(A) 혹은 (B)는 포켓기구(11,12) 안으로 하나씩 확실하게 이송된다.
제2도에 도시된대로, 펀치기구(19)는 스페이서판(40)과 펀치가이드(78) 사이에 활동적으로 배치되고 아래에 열린 펀치 케이스(80), 그 하부 개방단부에 활동적으로 조립된 펀치 호울더(81) 및 펀치 케이스(80)에 고착된 상단부와 펀치 호울더(81)에 삽입된 하단부(83)를 가진 로드형 펀치(82)를 포함한다.
펀치 호울더(81)는 하향 개방된 요홈부(84)를 갖는다. 압축코일 스프링(85)은 평상시 펀치호울더(82)를 하방으로 부세하도록 펀치 케이스(80)와 펀치호울더(81) 사이에 끼인다.
펀치 케이스(80)의 상단부에는 분기된 플랜지(86)가 있다. 한쌍의 토글 링크들 (87,88)이 프레임(22,23) 및 펀치 케이스(80) 사이에 작동적으로 결합된다. 더 자세히 말하자면, 토글링크(87)는 핀(89)에 의해 서로 분기된 플랜지(86)에 피봇 연결되고, 토글 링크(88)는 핀(90)에 의해 프레임(22,23)에 피봇 연결된다. 토글 링크들 (87,88)은 링크(92)의 일단부에 장착된 핀(91)에 의해 피봇 연결되고, 링크(92)의 타단부는 핀(93)에 의해 주레버(70)에 피봇 연결된다. 그러므로, 공기 실린더(68)의 피스톤 로드(69)가 상승될 때, 토글링크(87,88)들은 서로 멀어지게 벌어져서 펀치 케이스(80)를 하강시킨다.
제4도에 도시된대로, 안전기구(20)는 프레임(22,23)에 피봇 장착된 레버축 (96)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센서 브라켓(97)을 타단부에 지지하는 제1안전레버(95)와, 일단부가 레버축(96)에 고착되고 타단부가 슬라이드 램(29) 위에서 핀들(38)과 계합하며 분기된 형상을 가지는 제2안전레버(99)를 포함한다.
안전기구(20)는 또한 피스톤 로드(100)가 센서 브라켓(97)에 부착된 공기 실린더(101)와, 가령 센서 브라켓(97)위에 배치되고 그 센서 브라켓과의 계합에 응하여 작동하며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센서 스위치(102)를 가진다.
공기 실린더(101)는 그 피스톤 로드(100)가 하방 운동하도록 평상시 작동되어 있어, 제1 및 제2안전레버들(95,99)이 보통에 비작동 상태에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부 위치에 상부 포켓기구(11)를 유지시키도록 한다.
부재들(A,B)이 직물(F)에 대해 위치조정된 다음 스위치(도시안됨)가 켜지면, 공기 실린더(101)가 탈작동되어 피스톤 로드(100)를 풀어준다. 그 다음에, 상부 포켓기구(11)는 중력에 의해 낙하한다(제5도).
상부 포켓기구(11)가 하방운동함에 따라, 제2안전레버(99)가 레버축(96)을 선회시키도록 시계 방향으로(제5도) 선회되고, 그때 제1안전레버(95)는 제4도에서 시계방향으로 선회되어 센서 브라켓(97)이 센서 스위치(102)와 계합하게 한다. 그러면 센서 스위치(102)가 신호를 발생하여 펀치기구(19)를 구동시킨다. 공기실린더(68)가 작동되어 피스톤 로드(69)를 돌출시킴으로써 제6도에 도시된대로 펀치기구(19)를 하강시킨다.
작동시에, 직물(F)상에 고정될 부재들(A,B)은 부품 이송기구(16)로 부터 슈우트(17,18) 아래로 각각 이송되고, 푸셔기구(15)에 의해 상부 및 하부 포켓(32,52) 내로 운반된다.
상부 포켓부재(27,27)가 이때에 서로 분리되어 벌어져야 하므로, 푸셔기구 (15)의 인장 스프링(67)의 탄성력은 압압기구(28)의 압축 코일 스프링(37)의 탄성력보다 더 클 것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포켓 호울더들(25,25)은 핀들(30,30)을 중심으로 선회되어 상부포켓(32)을 개방하고, 캠 종동체들(26,26)은 압축코일 스프링(37)의 하향력에 거슬러 캠판(33)을 상방으로 변위시키도록 서로 가까이 이동된다.
상부부재(A)가 상부포켓(32)에 완전히 수용될 때 포켓부재들(27,27)이 압축 코일 스프링(37)의 힘으로 서로 모이므로, 상부부재들은 포켓 부재들로 단단히 파지된다.
그리고 나서, 직물(F)이 파스너부재(A,B)에 대해 위치 조정되고, 스위치가 안전기구(20)를 시동시키는 공기 실린더(101)를 탈작동시키도록 커지고, 그때 공기실린더 (68)가 상술한대로 작동되어 펀치기구(19)를 하강시킨다. 제7도에 도시된대로, 펀치호울더(82)의 하단부가 상부포켓(32)안으로 하강되어 상부 포켓부재들(27,27)을 확개하고, 그때 펀치(82)의 하단부(83)가 하방 이동되어 부재들(A, B)이 붙박이에 의해 함께 결합될 때까지 그 사이에 직물(F)을 협지한채로 상부 부재(A)를 다이(44)상의 하부 부재(B)에 대해 압압한다.
상부 포켓기구(11)상에 작용하는 압압기구(28)는 파스너 부재(A,B)를 직물 (F)에 정확하고 부드럽게 부착하도록 상부포켓(32)을 하부 포켓(52)과 정렬하여 중심잡는데 효과적이다. 압압기구(20)의 스프링 케이스(35)와 캠판(33)은 압압기구(28)를 얇고 조밀하게하는 판 형태로 되어 있고, 그래서 전체 장치가 크기에 있어서 조밀하게 된다.
핑거와 같은 이 물질이 상부와 하부 포켓기구(11,12) 사이에 있으면, 그로 인하여 상부 포켓기구(11)가 내려가는 것이 저지되고 센서 브라켓(97)은 센서 스위치 (102)와 계합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센서 스위치(102)는 아무런 신호도 발생하지 않고 펀치기구(19)는 하강되지 않는다. 상부와 하부 포켓기구(11,12) 사이에 놓인 이 물질은 상부 포켓기구(11)의 중량을 받을뿐이지 심각한 손상을 받지는 않는다. 상부 포켓기구(11)가 안전기구(20)와 작동적으로 결합되어 센서 탐침과 같이 쓰이므로, 특별한 센서탐침이 제공될 필요가 없고 그와 같은 배열에 의해서 작동기는 파스너 부재(A,B)를 직물(F)에 부착할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부품 이송기구(16)는 제4,10-18도를 참조하여 상술될 것이다.
제4 및 11도에 도시된 대로, 부품 이송기구(16)는 여러개의 상부 파스너 부재 (A)를 내장한 제1호퍼(hopper)(105), 여러개의 하부 파스너부재(B)를 내장한 제2호퍼(106), 파스너 부재들(A,B)을 적출하여 그것들을 슈우트(17,18) 내로 이송하도록 제1 및 제2호퍼(105,106)에서 수직운동하는 한 쌍의 제1 및 제2픽업블레이드 (107, 108), 제1 및 제2픽업 블레이드(107,108)가 수직으로 환동하는 한쌍의 제1 및 제2슬라이드(109,110) 및 제1 및 제2픽업 블레이드(107, 108)를 수직 운동시키는 구동기구(111)로 구성된다.
제12도는 제1호퍼(105)와 제1픽업 블레이드(107)를 더욱 상세히 나타낸다. 제2호퍼(106) 및 제2픽업 블레이드(108)는 제1호펴(105) 및 제1픽업 블레이드(10 7)와 대칭꼴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부가하지 않는다.
제1호퍼(105)는 한 쌍의 간격진 측면 패널(112,113)과 그 대향연부들에 부착된 한 쌍의 앞뒤 커버(114,115)로 구성된다. 뚜껑판(116)(제11,13 및 18도)은 상자 (104)의 상단부에 경첩들(117)로 개방할 수 있게 장착된다. 부품 트레이(118)는 호퍼 (105)의 바닥으로서 상자(104)의 하부 부분에 배치되고, 간격진 다리(119,120) 및 일체 상부판(121)을 포함한다. 다리(120)는 다리(119) 보다 더 높고, 그 다리들은 앞커버(114)쪽으로 점차 낮아지게 되어 있어, 상부판(121)이 최하부 모서리(122)쪽으로 하향 경사진다. 부품 접시(118)의 최상부 모서리(123)는 최하부 모서리(122)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보게 되치된다. 그러므로 호퍼(105)에 내장된 파스너 부재(A)는 중력으로 인하여 최하부 모서리(122)쪽으로 운동하려는 경향이 있다.
다리(119)는 픽업판(107)이 수직으로 운동하는 간격(124)을 형성하도록 측면패널(112)에서 일정간격 떨어져 있다.
앞 커버(114)는 상부 커버부재(125)와 거기에서 일정 간격 떨어진 하부 커버부재(126)로 구성되어 있어 그 사이에 구멍(127)을 형성한다. 하부 커버 부재(126)는 부품 트레이(118) 상부판(121)의 경사면을 따라 연장하는 상연부를 가진다.
제10 및 12도에 도시된대로, 손잡이(150)가 달린 투명 패널(129)은 앞 커버 (114)의 외측면에 대해 수직활동하게 배치되고 한쌍의 레일(128,128)에 의해 보유된다. 최하부 위치에 있을 때의 투명패널(129)은 구멍(127)을 막아주고, 파스너 부재들 (A)이 호퍼(105) 밖으로 이송되는 속도를 조작자가 눈으로 점검할 수 있게 해준다. 투명패널(129)이 위로 당겨져 구멍(127)을 열어주면, 파스너 부재들(A)이 호퍼(105)에서 제거되거나 새로운 파스너 부재(A)가 호퍼(105)안에 저장될 수 있게 한다.
제14도에 도시된대로, 뒤 커버(115)안에 형성된 구멍(131)은 픽업 블레이드 (107)에 의해 적출된 파스너 부재들(A)을 그 안으로 전달시킨다. 슈우트(17)에도 구멍(131)과 일치하는 구멍(132)이 형성된다.
제12도에 도시된대로, 픽업 블레이드(107)의 상연부는 슈우트(17)를 향해 아래로 경사져 있고, 장방형 구멍 혹은 슬로트(135)가 안에 형성되어 있는 일체의 하부 설편(舌片)(134)과 요홈부(133)를 포함한다.
제15도에 도시된대로, 각 파스너부재(A)는 중앙기부(A1)와 그 중앙기부(A1)에서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하는 플랜지(A2)를 가진다.
요홈부(133)는 파스너부재(A)의 플랜지들이 느슨하게 끼워질 채널(136)을 형성하도록 측면패널(112)을 향해 열린다. 픽업 블레이드(107)의 하부설편(134)은 슬로트들(135)을 통해 연장하는 나사들(141)에 의해 슬라이드(109)에 수직 조절가능하게 고정된다.
제16 및 17도에 도시된대로, 슬라이드(109)는 나사들(142)에 의해 프레임 (22)에 고착된 채널형 슬라이드안내(137) 및 슬라이드 안내(137)의 안내채널(138)에 수직 활동하게 배치된 슬라이드 블록(139)을 포함한다. 슬라이드 블록(139)은 중앙핀(140)과 그 핀(14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서로 벌어져 있는 경사면들 (143, 143)을 포함한다. 픽업 블레이드(107)의 설편(134)은 슬라이드 블록(139)의 정면에 고정된다.
슬라이드 안내(137)는 그 측벽에 구멍(144)을 가진다.
제11도에 도시된대로, 구동 기구(111)는 핀(140,140)에 의해 프레임(22)에 각각 피봇 장착된 1쌍의 제1및 제2승강레버(146,146)를 포함하고, 그 승강레버들의 일단부들은 슬라이드블록(139,139)의 핀(140,140)에 걸리고 반대쪽 단부들은 공기 실린더(152)의 피스톤로드(151)에 연결된 조인트(150)에 핀(149)으로 피봇 결합된다. 승강레버(146,146)는 슬라이드 안내(137,137)의 구멍들(144)을 통해 각각 연장한다.
부품 이송기구(16)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공기실린더(152)가 동작되어 피스톤 로드(151)를 상승시키면, 제1 및 제2승강레버(146,146)가 핀(147,147)을 중심으로 선회되어 슬라이드 블록들(139,139)이 안내채널들(138,138)에서 하방으로 활동하게 한다. 제1 및 제2픽업 블레이드들(107,108)은 그 상부 경사진 연부들의 더 높은 단부들이 제11도에 도시된대로 부품 트레이(118,118)의 최하부 모서리들(122,122)에 도달할 때까지 하강된다. 그렇게 하강된 픽업 블레이드들(107,108)은 플랜지들이 채널(136,136)에 끼워진 파스너부재들(A,B)을 적출하고, 이때 파스너 부재들(A,B)은 슈우트(17,18)쪽으로 구른다. 제15도에 도시된대로, 측면 패널(112)과 채널(136)에 끼인 파스너 부재 사이에 중첩되거나 협지된 파스너 부재는, 이 채널(136)에 있는 파스너 부재가 굴러 이동할 때에 부품 트레이(118)(118)위로 낙하할 것이다.
피스톤 로드(151)가 하강되면, 픽업 블레이드들(107,108)은 상방으로 이동되어 적출된 파스너 부재들(A,B)이 구멍(131,132)(제14도)을 통해 슈우트들(17,18) 안으로 운반될 수 있게 한다.
호퍼들(105,106)에 있는 픽업 블레이드들(107,108)의 수직직선운동에 의하여 파스너 부재들(A,B)이 슈우트들(17,18)내로 이송되므로 파스너 부재들(A,B)은 호퍼들(105,106)에 끼이는 일이 없이 슈우트(17,18)내로 확실하고 부드럽게 운반될 수 있다. 부품 이송 기구(16)는 구조상 간단하며, 고장이 없고, 원형 회전드럼들이 부품저장을 위해 사용될 경우보다 장치를 더욱 조밀하게 만들 수있다.
여러가지 사소한 변경들이 당 분야에 익숙한 자들에 의해 시사될 수 있으나,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합리적이고 적절하게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실시해 주기를 바란다.

Claims (10)

  1. 함께 결합될 제1파스너부재(A) 및 제2파스너부재(B)로 구성된 파스너를 그 사이의 웨브형소재(F)를 통해 부착하는 장치에 있어서, (a) 제2파스너부재(B)를 위에 지지하는 하부 포켓기구(12), (b) 사이에 웨브형 소재(F)를 끼운채 제1파스너 부재(A)를 제2파스너 부재(B)에 고착하기 위해 상기 하부 포켓기구(12)쪽으로 운동가능한 펀치기구(19), (c) 제2파스너 부재(B)와 정렬하여 제1파스너부재(A)를 중심잡기 위한 수단을 가지며, 상기 하부포켓기구(12)쪽으로 운동가능하고 제1파스너부재(A)를 지지하는 상부 포켓기구(11), (d) 상기 상부 포켓기구(11)가 상기 하부 포켓기구(12)에 대해 소정 위치에 이를 때에만 상기 펀치기구(19)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상부 포켓기구 (11)에 작동적으로 결합된 안전기구(20) 및 (e) 제1 및 제2파스너부재들(A,B)을 안에 저장하는 제1 및 제2호퍼(105,106)와, 상기 제1 및 제2호퍼(105,106)에서 상기 제1 및 제2포켓기구(11,12) 안으로 각각 제1 및 제2파스너 부재(A,B)를 이송하도록 직선운동하는 제1 및 제2픽업 수단을 가진 이송기구(16)를 포함하는 파스너 부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포켓기구(11)는 슬라이드 램(29)과 그 슬라이드 램(29)에 피봇 장착되고 단부들에 제1포켓(32)을 형성하는 한 쌍의 포켓 호울더 (25,25)를 포함하고, 상기 포켓 호울더들(25,25)은 그 양단부에 한 쌍의 캠 종동체들 (26,26)을 가지고, 상기 중심잡는 수단은 상기 캠 종동체(26,26)에 각각 걸리는 테이퍼 면(34,34)들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드 램(29)에 활동적으로 배치된 캠판(33)과 상기 테이퍼면(34,34) 및 캠 종동체(26,26)가 상기 포켓호울더(25,25)를 선회시켜 상기제1포켓(32)를 닫게하는 방향으로 상기 캠판(33)을 평시에 부세하는 스프링 수단을 포함하는 압압기구(28)로 되어 있는 파스너 부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기구(28)는 상기 슬라이드 램(29)에 고착된 스프링 케이스(3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수단은 상기 캠 종동체(26,26)에 대해 상기 캠판(33)을 평시에 부세하도록 상기 스프링 케이스(35)와 캠판(33) 사이에서 작용하는 압축코일 스프링(37)으로 되어 있는 파스너 부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기구(28)는 슬라이드램(29)을 위치조정하도록 상기 슬라이드 램(29)에 걸린 편심캠(41)을 더욱 포함하는 파스너 부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파스너 부재들(A,B)을 상기 이송기구(16)로 부터 제1및 제2포켓기구(11,12) 안으로 안내하도록 평시에 편향된 1쌍의 제1 및 제2푸셔 (62,63)를 가진 푸셔기구(15)를 더욱 포함하는 파스너 부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기구(19)를 작동시키는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푸셔기구(15)는 상기 작동기구의 작동에 응하여 제1 및 제2포켓 기구(11,12)에서 멀어지게 상기 제1 및 제2푸셔(62,63)를 운동시키도록 철회가능한 파스너 부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기구(20)는 일단부가 피봇축(96)에 고착되고 타단부에 센서브라켓(97)을 가진 제1안전레버(95), 일단부가 상기 피봇축(96)에 고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포켓기구(11)에 작동적으로 결합된 제2안전레버(99), 및 상기 펀치기구(19)를 구동시킬 신호를 발생하도록 상기 센서브라켓(97)에 걸릴 수 있는 센서스위치(102)를 포함하는 파스너 부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호퍼(105,106)는 경사진 상부판(121,121)을 가진 제1 및 제2트레이(118,118)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픽업수단은 제1및 제2호퍼(105,106)에 수직운동가능하게 각각 배치되고 제1및 제2파스너부재를(A,B)을 주욱 이송하는 채널들(134,134)을 형성한 상부 경사진 연부들을 가진 제1 및 제2픽업블레이드들(107,108)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파스너 부재들(A,B)을 상기 제1 및 제2픽업 블레이들(107,108)의 채널(134,134)로 부터 수용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호퍼들 (105,106)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슈우트들(17,18)을 더 포함하는 파스너 부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호퍼(107,108)는 각각 간격진 측면 패널 (112,113)을 포함한 상자로 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트레이(118,118)는 각기 간격진 다리들(119,120)을 가지며, 한 다리(119)는 상기한 측면 패널(112)로 부터 떨어져 있어 그 사이에 간격(124)을 형성하고 상기한 픽업 블레이드(107)가 그 간격(124)에서 수직으로 활동하는 파스너 부착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호퍼(107,108)는 각기 간격진 커버들(114,115)을 포함하고, 그 중 한커버가 제1구멍(131)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슈우트(17,18)는 각기 제1구멍(131)과 일치하는 제2구멍(132)을 가지는 파스너 부착장치.
KR2019840014342U 1983-12-29 1984-12-28 웨브형 소재에 파스너를 부착하는 장치 KR86000141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5883U JPS60110314U (ja) 1983-12-29 1983-12-29 部品供給装置
JP19996083U JPS60110429U (ja) 1983-12-29 1983-12-29 安全機構を備えた釦加工装置
JP199960 1983-12-29
JP19995983U JPS60110428U (ja) 1983-12-29 1983-12-29 上ポケツトのセンタリング機構を備えた釦加工装置
JP199958 1983-12-29
JP199959 1984-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931U KR850007931U (ko) 1985-10-26
KR860001418Y1 true KR860001418Y1 (ko) 1986-07-12

Family

ID=27327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4342U KR860001418Y1 (ko) 1983-12-29 1984-12-28 웨브형 소재에 파스너를 부착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606487A (ko)
EP (1) EP0147861B1 (ko)
KR (1) KR860001418Y1 (ko)
AU (1) AU555611B2 (ko)
CA (1) CA1260438A (ko)
DE (1) DE3481160D1 (ko)
GB (1) GB2151968B (ko)
HK (1) HK25189A (ko)
MY (1) MY100544A (ko)
SG (1) SG83788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52998A1 (de) * 1986-07-05 1988-01-20 Schaeffer GmbH Machine zum Ansetzen von Nieten, Druckknöpfen oder dergleichen
JPH0232651Y2 (ko) * 1985-08-16 1990-09-04
JPH033547Y2 (ko) * 1986-07-16 1991-01-30
JPH033549Y2 (ko) * 1986-07-16 1991-01-30
US4923099A (en) * 1988-07-29 1990-05-08 Scovill Japan Kabushiki Kaisha Fastener attaching apparatus
GB2253179B (en) * 1988-07-29 1992-11-25 Scovill Japan Fastener attaching apparatus
JPH02132621U (ko) * 1989-04-04 1990-11-05
DE3916451C1 (ko) * 1989-05-20 1990-05-23 Stocko Metallwarenfabriken Henkels Und Sohn Gmbh & Co, 5600 Wuppertal, De
US4985987A (en) * 1990-01-11 1991-01-22 Volker Schmidt Fastener attaching apparatus
BR9206788A (pt) * 1991-11-20 1995-12-19 Henrob Ltd Ferramentas de fixação e fita para elas
US5319848A (en) * 1993-06-30 1994-06-14 Volker Schmidt Apparatus for attaching fasteners to material
DE4431948A1 (de) * 1994-09-08 1996-03-14 Prym William Gmbh & Co Kg Vorrichtung zum Ansetzen von Nieten, Knöpfen oder dergleichen
DE10249109A1 (de) * 2002-10-21 2004-05-06 Eckold Gmbh & Co Kg Werkzeug zum mechanischen Bearbeiten von Werkstücken
US8746526B2 (en) * 2009-09-15 2014-06-10 Robert Bosch Gmbh Fastener driver with blank fire lockout
US9770819B2 (en) * 2012-06-14 2017-09-26 Stanley Fastening Systems, L.P. Pneumatically actuated mechanical hand tool
BR112015013926B1 (pt) * 2012-12-13 2022-04-12 Jonathon Zornow Método para mudar temporariamente os atributos físicos de um material para facilitar seu uso em um processo de fabricação
CN104799494B (zh) * 2015-05-22 2017-06-06 深圳市联星服装辅料有限公司 树脂扣穿扣机构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73890A (en) * 1930-05-10 1932-08-23 United Carr Fastener Corp Snap fastener attaching machine
US3148373A (en) * 1962-02-19 1964-09-15 Globe Tool & Gage Works Inc Staple driving machine
US3526943A (en) * 1968-05-23 1970-09-08 United Carr Inc Tool head assembly
US3632033A (en) * 1970-04-30 1972-01-04 Tertron Inc Ram mechanism for a snap fastener attaching machine
BE792333A (fr) * 1971-12-07 1973-06-06 Textron Inc Appareil a fixer les fermetures a declic
GB1431740A (en) * 1973-08-16 1976-04-14 Schaeffer Homberg Gmbh Machines for fixing together fastener components
GB1531325A (en) * 1976-02-10 1978-11-08 Textron Inc Apparatus for attaching pronged and mating elements to articles
DE2732931A1 (de) * 1977-07-21 1979-02-01 Schaeffer Homberg Gmbh Maschine zum ansetzen von nieten, knoepfen o.dgl.
GB2009020B (en) * 1977-09-20 1982-03-03 White J S Safety device for fastening machine
JPS5911681B2 (ja) * 1979-12-13 1984-03-17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釦自動取付装置
JPS5922094Y2 (ja) * 1979-12-13 1984-07-02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釦取付装置
US4343423A (en) * 1980-04-03 1982-08-10 William Prym-Werke Kg Machine with finger protection guard
JPS595698Y2 (ja) * 1981-04-09 1984-02-21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加締装置
US4454650A (en) * 1982-08-23 1984-06-19 U.S. Industries, Inc. Upper jaw and tool assembly for fastener attaching machine
US4527724A (en) * 1983-06-10 1985-07-09 Senmed, Inc. Disposable linear surgical stapling instr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47861A3 (en) 1987-08-19
US4606487A (en) 1986-08-19
AU3698584A (en) 1985-07-04
AU555611B2 (en) 1986-10-02
EP0147861B1 (en) 1990-01-31
MY100544A (en) 1990-11-15
HK25189A (en) 1989-03-31
GB2151968A (en) 1985-07-31
DE3481160D1 (de) 1990-03-08
KR850007931U (ko) 1985-10-26
GB2151968B (en) 1987-01-28
CA1260438A (en) 1989-09-26
GB8432353D0 (en) 1985-02-06
SG83788G (en) 1989-04-14
EP0147861A2 (en) 1985-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1418Y1 (ko) 웨브형 소재에 파스너를 부착하는 장치
EP1986941B1 (en) Pick and place handling device and method for its use
US4572498A (en) Sheet feeder
JPS63139843A (ja) シートを送るための装置
JPH081589A (ja) 板状加工物を打ち抜く機械の廃棄物剥取りステーション
US4537208A (en) Horizontal flat destacker
EP0906882B1 (en) Pusher block assembly for printing press
US5664931A (en) Edge lifting end effector
US4877174A (en) Tab device excise and lead form apparatus
GB220554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orting sliver cans
US3866298A (en) Assembly apparatus
JPS591219Y2 (ja) フイルム開封装置
KR900007523Y1 (ko) 슬라이더 조작장치
JPH07277535A (ja) リードフレームの保持装置
US3799541A (en) Vacuum belt-type conveyor
US2822907A (en) Automatic control mechanism
US4948110A (en) Transferring-out facility
KR870001355Y1 (ko) 박스 및 삽입핀이 달린 분리 가능한 슬라이드 파스너 체인에 박스를 부착한 때의 박스 보지장치
JPS6313214Y2 (ko)
KR100198854B1 (ko) 리드프레임의 검출장치
KR830000430Y1 (ko) 슬라이드 파스너 단부 정지부재 부착장치
EP1052208A2 (en) Pocket conveyor with product aligner
JP3802141B2 (ja) 包装機
JP2667707B2 (ja) リードフレーム分離装置
SU170869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тделени листов от стопы и подачи их к обрабатывающей машин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6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