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062Y1 - 자동파스너 조립기계용 파스너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파스너 조립기계용 파스너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062Y1
KR890002062Y1 KR2019870013761U KR870013761U KR890002062Y1 KR 890002062 Y1 KR890002062 Y1 KR 890002062Y1 KR 2019870013761 U KR2019870013761 U KR 2019870013761U KR 870013761 U KR870013761 U KR 870013761U KR 890002062 Y1 KR890002062 Y1 KR 8900020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passage
front guide
guide portio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37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3984U (ko
Inventor
후미오 세키
Original Assignee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filed Critical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39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9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0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0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7/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setting fastener-elements on ga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lide Fasteners (AREA)
  • Chutes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파스너 조립기계용 파스너 이송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을 구현하는 장치의 부분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
제5도는 제1도의 Ⅴ-Ⅴ선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
제6도는 제1도의 Ⅵ-Ⅵ선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Ⅶ-Ⅶ선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2 : 기부
3 : 상부 유니트 4, 22 : 통로
5 : 슈우트(chute) 9, 10 : 안내 블로크
11 : 미는 장치 38, 37, 14, 19 : 홈
27, 13, 33, 34 : 돌출부 15 : 파스너 캐처
16 : 스프링 18, 31 : 안내부분
23 : 슈우트 몸체 24, 25 : 덮개판
28 : 절단부 32 : 보조덮개
36 : 손잡이 39 : 볼플런져
40 : 볼 41 : 핀
42 : 나사 A : 단추
12, 17, 35 : 움푹 들어간곳
본 고안은 장식과 단추, 스냅 파스너와 같은 의복용 파스너의 파스너 부재 한쌍을 두 파스너 부재 사이에 의복직물을 놓은 채로 조립하는 기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파스너 부재를 파스너 조립기계에 이송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스너 조립기계에 있어서, 의복파스너의 한쌍의 파스너부재는 각각 하부의 다이유니트와 상부의 펀치유니트에 지지되어진다. 즉, 상부유니트의 펀치는 하부유니트의 다이를 향해 움직여 두 파스너 부재를 조립한다. 두 종류의 파스너 부재는 2개로 분리된 공지의 이송장치에 의하여 파스너 조립기계로 각각 공급되어진다. 각 종류 파스너 부재용 공지 이송장치는 슈우트(chute)와 안내장치로 구성되는데, 전자는 파스너 부재가 연속적으로 미끄러지게 수용되게 하는 제1통로를 형성하고, 후자는 제2통로를 형성하는데 그곳을 통해 파스너 부재가 슈우트의 하단으로부터 하나씩 상부와 하부유니트의 각각으로 이송되어진다. 상부 유니트로 파스너 부재를 공급하는 공지 이송장치에 있어서, 제2통로에 꼭 끼워진 상부 파스너 부재를 제거할 수 있도록 안내장치의 한 부분은 제2통로를 개방하기 위해 피봇할 수 있다.
상부 유니트용 공지의 이송장치를 갖는 경우, 꼭 끼워진 상부 파스너 부재를 제2통로로부터 한손으로 제거하는 동안 다른 손은 피봇할 수 있는 안내장치부분을 개방된 위치에 있게 하기 때문에 꼭 끼워진 상부 파스너 부재를 제거하는 것이 쉽지 않다. 더우기, 안내장치부분의 피봇운동이 슈우트 하단부를 충분히 개방하지 못하기 때문에, 슈우트와 안내장치 사이의 접합부분에 꼭 끼워진 상부 파스너 부재를 제거하기 쉽지 않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목적은 꼭 끼워진 상부 파스너 부재를 양손을 제거할 수 있는, 파스너 조립기계용 파스너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파스너 조립기계용 파스너 이송장치에 있어 슈우트와 안내장치의 접합부분에서도 꼭 끼워진 상부 파스너 부재를 어려움없이 제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파스너 조립기계용 파스너 이송장치는 슈우트, 한쌍의 이격된 안내블로크 그리고 안내장치로 구성되어 있는데, 슈우트는 다수의 파스너부재가 연속적으로 미끄러져 수용되어 통과하는 제1통로를 형성하고, 한쌍의 안내블로크는 기부에 고정되어 있고, 안내장치는 안내블로크에 지지되고 제2통로를 형성하는데, 제2통로로부터 파스너 부재를 한번에 하나씩 수용해서 상부 유니트로 안내하기 위해 제2통로 하단부와 블로크 한끝이 결합하여 있다. 안내장치의 전면부분은 제2통로의 전길이를 따라 제2통로를 개방하기 위해 분리될 수 있다. 슈우트의 한부분은 제1통로와 제2통로 사이의 접합부분에 이어진 그의 하단부에서 제1통로를 개방하도록 분리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하기 설명으로부터 본 고안의 기타의 장점 및 부가된 목적을 더 상세히 이해할 것이다.
제1도는 자동 파스너 조립기계의 상부의 펀치 유니트에 상부 파스너 부재(A)를 한번에 하나씩 이송하기 위한 장치를 보여주는데, 이 자동 파스너 조립기계는 상부 파스너 부재(A)와 그것과 짝을 이루는 하부 파스너부재(도시안됨)를 상부와 하부 파스너부재 사이에 의복직물(도시안됨)을 놓은채로 결합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파스너부재(A)는 단추인데 이 단추는 택(도시안됨)과 결합된다. 제2도에서 가장 잘 나타내었듯이, 단추(A)는 머리(a1)와 그 중앙으로 돌출하는 속이 빈 몸체(a2)를 갖는다.
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기부(2)와 슈우트(5) 그리고 수평 안내장치(다음에 설명)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기부(2)는 파스너 조립기계의 프레임(1)에 고정되어 있고, 슈우트(5)는 도시되지 않는 호퍼로부터 아랫쪽으로 단추의 연속이송을 위해 프레임(1)에 고정되어 있으며, 수평 안내장치는 기부(2)에 지지되어 단추(A)를 슈우트(5)로부터 상부유니트(3)로 한번에 한개씩 이송하기 위하여 슈우트(5)의 하단부분과 상부유니트(3) 사이에 뻗어 있다.
제1도에서 제3도까지 보여주고 있듯이, 슈우트(5)는 슈우트 몸체(23)와 한쌍의 평행 덮개판(24, 25)를 포함하는데, 슈우트 몸체(23)는 일반적으로 C형 단면을 하고 있고, 한쌍의 평행덮개판(24, 25)은 슈우트 몸체(23)위에서 그 몸체(23)을 따라 그들의 마주보는 내부 가장자리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뻗어 있다. 이와 같이 슈우트 몸체(23)와 두 덮개판(24, 25)은 일련의 단추(A)를 미끄러지게 수용하는 일반적으로 T-형 단면을 한 제1통로를 공동으로 형성한다. 상부유니트(3)로부터 멀리있는 덮개판(24)은 하단 부분으로부터 다른 덮개판(25)을 향해 연장하는 돌출부 (27)를 갖는다. 다른 덮개판(25)은 그 하단부분에 절단부(28) (제1, 3, 6, 7도)를 갖는데, 그 절단부에는 보조덮개(32) (제1, 6, 7도)가 다음에 설명할 목적으로 분리될 수 있게 수용된다.
제1도와 제4도에서 나타내있듯이, 안내장치는 기부(2)에 고정된 전면과 배면 평행 안내블로크(9, 10), 배면 안내부분(18) 및 전면 안내부분(31)을 포함하는데, 배면 안내부분(18)은 배면 안내블로크(10)에 고정되었고 전면 안내부분(31)은 전면 안내블록(9)의 아랫쪽에 분리될 수 있게 장착되어 있다. 기부(2), 전면과 배면 안내블로크(9, 10) 그리고 전면과 배면 안내부분(31, 18)은 공동으로 T-형 단면의 종방향 안내채널을 형성하는데 그곳에 왕복하는 기다란 미는 장치(11)가 미끄러지게 수용되어 있다. 이 안내채널은 제2통로(4)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제1통로(22)와 연통하고 있다. 미는 장치(11)가 안내채널속에서 왕복함에 따라 단추(A)가 제1통로 (22)로부터 제2통로(4)속으로 한번에 하나씩 수용되어지고 제2통로(4)를 통하여 안내되어진다. 배면 안내부분(18)의 내부 표면에 제1홈(19)을 갖는다. 반면에 전면 안내블로크(9)와 전면 안내부분(31)은 그들의 결합된 내부표면에 제2홈(14)을 공동으로 형성한다. 제1홈, 제2홈(19, 14)은 공동으로 단추(A)의 머리부분(a1)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제4도에서 가장 잘 나타내었듯이, 전면 안내부분(31)은 일반적으로 C-형 단면을 하고, 안쪽으로 향한 제1 제2종방향 돌출부(33, 34)를 갖는데 이들은 제1종방향 요홈부(35)를 그 사이에 형성한다. 전면 안내블로크(9)도 또한 일반적으로 C-형 단면을 하므로서 밖으로 향한 제3종방향 돌출부(13)과 제2종방향 요홈부(12)를 갖는다. 전면 안내부분(31)이 전면 안내블로크(9)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전면 안내부분(31)의 제1종방향 돌출부(33)가 전면 안내블로크(9)의 제2종방향 요홈부(12)속에 수용되어지고, 전면 안내블로크(9)의 제3종방향 돌출부(13)가 전면 안내부분 (31)의 제1종방향 요홈부(35)속에 수용되어진다. 손잡이(36)는 전면 안내부분(31)의 전면 또는 외부 표면위에 고정되어 있는데, 이것은 전면 안내블로크(9)로부터 전면 안내부분(31)을 제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전면 안내부분(31)은 V형 홈(37) (제1도, 제4도)과 중앙 채널형 홈(38)(제1도, 제5도)을 갖는데, V형 홈(37)은 전면 안내부분(31)의 상부표면 전길이를 따라 상부표면에 연장하고 있고, 중앙 채널형 홈(38)은 상부표면을 가로질로 횡으로 연장하고 있다. 한쌍의 볼 플런져(39, 39)가 전면 안내 블로크(9)에 고정되어 있다. 볼 (40)은 각 볼 플런져(39)의 하단으로부터 전면 안내부분(31)의 V형 홈(37)속으로 탄성적으로 돌출하여 전면 안내부분(31)의 우연적 분리를 막는다.
나사식 핀(41)은 전면 안내 블로크(9)에 고정되어 있고 전면 안내부분(38)의 중앙채널형 홈(38)속으로 돌출하여 전면 안내부분(31)의 위치를 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제2도에서 보여주듯이, 파스너 캐쳐(15)는 배면 안내블로크(10)에 의하여 슈우트(5)의 제1통로(22) 하단부에 마주대하여 횡으로 미끄러지게 지지되어 있다. 파스너 캐처(15)는 그의 내부표면에 슈우트(5)로부터 단추(A)의 머리(a1)한부분을 수용하는 움푹들어간곳(17)을 갖는다. 이 파스너 캐처(15)는 박판 스프링(16)에 의해 수직으로 안쪽으로 전진되어져 미는장치(11)가 왕복할 수 있게 수용되어진 T형 안내채널 속으로 평상시 돌출되어 있다. 이 미는장치(11)가 파스너 캐처(15)를 지나 앞쪽으로(제1도에서는 오른쪽으로)움직여질때, 파스너 캐처(15)는 스프링(16)의 바이어스(bias)에 거슬러 T형 안내채널부로 철수되어진다. 미는장치(11)가 상부 유니트(3)에 단추(A)를 밀어 물인후 파스터 캐처(15)의 상류에 있는 미는장치(11)의 완전히 철수된 위치로 되돌아올때, 파스너 캐처(15)도 슈우트(5)로 부터 연속하는 단추(A)를 수용하기 위한 안내채널속으로 돌출하기 위해 스프링(16)의 바이어스하에서 되돌아온다.
슈우트 몸체(23)는 그것의 하단부분에 제2홈(14) (제4도, 제5도)과 수평으로 연통하는 움푹들어간곳(26) (제2, 3, 7도)을 갖는다. 슈우트 몸체(23)의 이 움푹들어간곳(26)과 파스너 캐처(15)의 움푹들어간곳(17)은 공동으로 평평한 자세로 단추 (A)의 머리(a1)를 수용한다.
제1도와 제6도에서 보여주듯이, 보조덮개(32)는 형태가 슈우트(5)의 하단부분의 절단부(28)와 보족적이다. 덮개(32)는 그의 상부 표면위에 슈우트 몸체(23)의 아랫쪽표면과 접촉할 수 있는 굽어진 표면(43)과 덮개판(25)의 하단 표면과 접촉할 수 있는 수평표면(44)을 갖는다. 보조덮개(32)의 굽어진 표면(43)과 덮개판(24)의 내부표면은 제7도에서 보듯이 공동으로 단추(A)의 머리(a1)를 받친다. 보조덮개 (32)는 나사(42)에 의해 전면 안내부분(31)의 한쪽끝에 고정되어진다.
그 장치가 이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안내장치 또는 안내장치와 슈우트 (5)사이의 접합부분에 꼭 끼워진 단추(A)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거할 수 있다.
단추(A)가 안내장치 어딘가에 꼭 끼워진 경우에 손잡이(36)를 잡아당겨서 전면 안내부분(31)을 전면 아내블로크(9)로 부터 제거하면 제2통로(4)의 전길이가 개방된다.
떼어내진 전면 안내부분(31)을 옆으로 제껴놓고 꼭 끼워진 단추(A)를 양손을 사용하여 제2통로(4) 밖으로 제거한다.
슈우트(5)와 안내장치사이 접속부분에 단추(A)가 꼭끼워져 있는 경우에, 손잡이(36)를 잡아당겨 전면 안내부분(31)을 전면 안내 블로크(9)로 부터 제거하면 제2통로(4)의 전길이가 개방된다. 바로 이때에 보조덮개(32)가 전면 안내부분(31)에 고정되기 때문에, 보조덮개(32)가 전면 안내부분(31)과 함께 슈우트(5)로 부터 제거되어 슈우트(5)와 안내장치 사이연결부분을 개방한다. 제거된 전면 안내부분 (31)과 보조덮개(32)를 한쪽으로 치워주므로서 꼭끼워진 단추(A)가 슈우트(5)와 안내장치사이의 접합부분으로부터 절단부(28)를 통해 양손을 사용하여 제거된다.
그와 달리, 보조덮개(32)와 전면 안내부분(31)이 서로 독립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보조덮개판(32)이 전면 안내부분(31)으로 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제2통로를 그의 전길이를 따라 개방하기 위해 안내장치의 전면부분을 떼어낼 수 있기 때문에, 제2통로 어디에서나 꼭끼워진 단추(A)가 양손으로 제거될 수 있다. 더우기 제1통로와 제2통로사이의 연결부분을 개방하도록 슈우트의 하단 전면부분을 떼어낼 수 있기 때문에, 그 연결부분에 꼭 끼워진 단추(A)는 양손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청구의 범위내에서 각종 변경 및 개조가 본 기술에 숙련된 자들에 의하여 제기될 수 있으나 그런 모든 변형의 예들은 본 고안의 범위내에 포함됨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7)

  1. 기부(2), 상기 기부(2)에 고정되고 다수의 파스너부재(A)를 연속하여 안내하기 위한 제1 통로(22)를 형성하는 슈우트(5), 상기 기부(2)위에 지지되고 상기 제1통로(22)의 하단부분과 파스너 조립기계의 상부 유니트(3) 사이에서 연장하는 제2통로(4)를 형성하는 안내장치로서, 파스너부재(A)를 상기 제1 통로(22)로 부터 한번에 하나씩 수용하고 상기 제2 통로(4)를 통해 각 파스너부재(A)를 안내하기 위한 상기 안내장치, 및 상기 제2 통로(4)에서 파스너부재(A)를 파스너 조립기계의 상부 유니트(3)를 향해 밀어 붙이기 위해 상기 안내장치에서 왕복할 수 있는 미는장치(11)로 구성되는 파스너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장치가, 상기 기부 (2)에 고정된 전면과 배면 평행 안내블로크(9) (10), 상기 배면 안내 볼로크(10)의 아랫면에 고정된 배면 안내부분(18), 및 상기 전면 안내 볼로크(9)의 아랫면 위에 분리될 수 있게 장착된 전면 안내부분(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유니트(3)을 갖는 자동 파스너 조립 기계용 파스너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우트(5)가 그 항단부에 전면 덮개판(25)에 있는 절단부(28)와, 상기 절단부(28)에 분리될 수 있게 수용된 보조덮개(3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이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덮개(32)가 상기 전면 안내부분(31)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안내부분(31)은 사이에 제1 종방향 요홈부(35)를 형성하는 내향 제1 및 제2 종방향 돌출부들(33, 34)을 가져 일반적인 C형 단면을 갖고, 제1 안내블로크(9)는 상기 제1 종방향 돌출부(33)가 걸릴 수 있는 제2 종방향 요홈부(12)와 상기 제1 종방향 요홈부(35)에 걸릴수 있는 외향 제3 종방향 돌출부 (13)를 가져 일반적인 C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이송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안내부분(31)이 맨위 표면에서 세로의 V형 홈 (31)을 갖고 상기 전면 안내블로크(9)에 고정된 최소한 2개의 볼플런져(39)의 볼 (40)이 평상시 상기 홈안으로 탄성적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이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안내부분(31)의 맨위 표면에 있는 가로 채널형 홈(38)속으로 상기 전면 안내블로크(9)에 고정된 핀(41)이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이송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안내부분(31)이 그 표면에 고정된 손잡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이송장치.
KR2019870013761U 1986-08-26 1987-08-18 자동파스너 조립기계용 파스너 이송장치 KR89000206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9901 1986-08-26
JP1986129901U JPH0435287Y2 (ko) 1986-08-26 1986-08-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984U KR880003984U (ko) 1988-05-06
KR890002062Y1 true KR890002062Y1 (ko) 1989-04-12

Family

ID=15021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3761U KR890002062Y1 (ko) 1986-08-26 1987-08-18 자동파스너 조립기계용 파스너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840301A (ko)
EP (1) EP0257492B1 (ko)
JP (1) JPH0435287Y2 (ko)
KR (1) KR890002062Y1 (ko)
AU (1) AU574296B2 (ko)
CA (1) CA1295268C (ko)
DE (1) DE3769038D1 (ko)
HK (1) HK63993A (ko)
MY (1) MY101335A (ko)
SG (1) SG40693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336Y2 (ja) * 1989-02-03 1995-04-05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投光器のストローク調整装置
JPH02132621U (ko) * 1989-04-04 1990-11-05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96881A (en) * 1936-06-09 1937-10-26 Wired Radio Inc Electronic synchronizing system
US2292223A (en) * 1939-10-16 1942-08-04 Universal Button Fastening & B Attaching machine
BE792333A (fr) * 1971-12-07 1973-06-06 Textron Inc Appareil a fixer les fermetures a declic
US3815805A (en) * 1972-06-05 1974-06-11 Textron Inc Apparatus for attaching fasteners to a garment in registration
US3987950A (en) * 1975-06-19 1976-10-26 Textron, Inc. Apparatus for orienting and attaching fasteners to an article
US4019666A (en) * 1975-11-10 1977-04-26 Scovill Manufacturing Company Fastener attaching machine having means for orienting caps, buttons, and the like
JPS598968Y2 (ja) * 1981-04-22 1984-03-21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釦取付機における釦供給装置
JPS6071627U (ja) * 1983-10-18 1985-05-21 日本ノーシヨン工業株式会社 釦取付機の部品方向設定装置
CA1257076A (en) * 1983-12-29 1989-07-11 Yukio Taga Apparatus for assembling a pair of fastener elements
JPS60113322U (ja) * 1983-12-29 1985-07-31 日本ノ−シヨン工業株式会社 釦取付機における取付位置指示装置
JPH0312740Y2 (ko) * 1985-11-29 1991-03-26
JPH033549Y2 (ko) * 1986-07-16 1991-01-3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35287Y2 (ko) 1992-08-21
EP0257492A3 (en) 1988-08-03
MY101335A (en) 1991-09-05
EP0257492B1 (en) 1991-04-03
EP0257492A2 (en) 1988-03-02
US4840301A (en) 1989-06-20
KR880003984U (ko) 1988-05-06
AU574296B2 (en) 1988-06-30
JPS6335713U (ko) 1988-03-08
HK63993A (en) 1993-07-09
SG40693G (en) 1993-06-11
AU7663787A (en) 1988-03-03
DE3769038D1 (de) 1991-05-08
CA1295268C (en) 1992-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1881B1 (en) Holder for a portable apparatus
US5870828A (en) Utility knife system
KR900007522Y1 (ko) 버클 조립체
KR920000059Y1 (ko) 버 클
US4408261A (en) Battery operated charm light
CN101200072A (zh) 剪发器
KR890002062Y1 (ko) 자동파스너 조립기계용 파스너 이송장치
EP0148508B1 (en) Apparatus for assembling a pair of fastener elements
MX2012004014A (es) Estacion de montaje y metodo para ensamblar automaticamente un rastrillo.
KR20090016372A (ko) 파스너 부착 장치
EP0311042B1 (en) Buckle assembly
CA1167680A (en) Tag attaching device
JPH0257592A (ja) かみそり刃単位体の供給装置
EP0077942A2 (en) Apparatus for cutting continuous slide fastener chain
EP0376229B1 (en) Method of attaching fastener elements to fastener tape
KR880002308Y1 (ko) 단추 부착기용 단추 공급기
US4980962A (en) Apparatus for applying terminals to electrical conductors
KR890001803Y1 (ko) 파스너 자동 조립장치
US2055328A (en) Bracelet structure
KR850001794B1 (ko) 단추 부착장치
CN110014077A (zh) 一种灭火器筒体冲孔模具
EP0260592B1 (en) Fastener conveying apparatus for fastener assembling machine
CN210809542U (zh) 一种拉头进料机构及拉链机
CN211428428U (zh) 5g基站天线射频smp板对板转接器套管分离机构
KR860000439Y1 (ko) 푸시버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