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299B1 - 차량용 자동변속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자동변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299B1
KR890002299B1 KR1019850008283A KR850008283A KR890002299B1 KR 890002299 B1 KR890002299 B1 KR 890002299B1 KR 1019850008283 A KR1019850008283 A KR 1019850008283A KR 850008283 A KR850008283 A KR 850008283A KR 890002299 B1 KR890002299 B1 KR 890002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oad
signal
accelerator pedal
sh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8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3932A (ko
Inventor
가즈마사 구리하라
겐지 아라이
Original Assignee
지이제루 기기 가부시기 가이샤
모찌즈끼 가즈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이제루 기기 가부시기 가이샤, 모찌즈끼 가즈시게 filed Critical 지이제루 기기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3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0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for gearshift control, e.g.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shifting or generation of shift signal
    • F16H61/0213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for gearshift control, e.g.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shifting or generation of shift signal characterised by the method for generating shift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2059/142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of driving resistance calculated from weight, slope,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2061/0075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control method
    • F16H2061/0096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control method using a parameter ma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18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dependent on the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44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dependent on machine speed of the machine, e.g.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48Inputs being a function of accel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50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 F16H59/52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dependent on the weight of the machine, e.g. change in weight resulting from passengers boarding a b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77/00Interrelated power delivery controls, including engine control
    • Y10S477/90Control signal is vehicle w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자동변속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블록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나타낸 제1 및 제 2 매프 연산부에 의한 변속특성을 나타낸 특성도.
제 3 도는 가속조작량과 차량의 가속도와의 관계를 나타낸 특성도.
제 4 도는 제 1 도에 나타낸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블록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
제 6 도는 제 4 도의 제어부의 마이크로컴퓨우터에서 실행하는 제어프로그램의 순서도.
제 7 도는 부하계산용 프로그램의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1) : 차량용 변속장치 (4) : 변속장치
(5) : 가속검출기 (6) : 차속(車速)검출기
(7) : 부하검출기 (8) : 제어연산부
(9),(11) : 메모리 (12) : 보정부
(22) : 제어부 (AP) : 가속페달
본 발명은 차량용 자동변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시금 특정하여 설명하면 기어식의 변속기에 작동기를 부설하여, 그때그때의 차량의 운전상태를 나타낸 신호에 응답하여 변속기의 변속상태를 제어하도록 한 차량용 자동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는 이런 종류의 차량용 자동변속장치는, 가속 페달의 조작량과 차속과에 따라서 변속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시프트체인지매프(Shift change map)를 장비하고 있으며, 가속페달의 조작량 및 차속만에 의하여 변속기의 변속포인트가 결정되는 구성으로 되어있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차량용 자동변속장치에서는 차량의 적재중량이 변화하며, 혹은 차량이 오르막 상태로 되는 등하여, 그 주행조건이 변화하여도 일정한 표준적인 주행조건하에서 정하여진 시프트체인지법에 기초하여 변속기의 변속조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주행상태에 의하여 차량의 부하상태가 변화하면 적절한 변속조작을 할 수 없고 주행기분이 현저하게 약화한다고 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부하가 여러가지 이유에 의하여 변화하여도 변속시에 주행기분을 악화시키는 일이 없도록 한 차량용 자동변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기어식 변속기를 지니고 전기신호에 응답하여 변속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차량용 변속장치와 차속에 관련한 제 1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과, 가속페달의 조작량에 관련한 제 2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과, 차량의 부하의 크기에 관련한 제 3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과, 가속페달의 조작량과 차속에 의하여 정하는 변속패턴을 나타낸 매프가 적어도 하나를 기억하고 있는 메모리수단을 지닌 상술한 제1-제 3 신호에 응답하여 그때그때의 부하에 대응한 가장 적합한 변속상태를 나타낸 제 4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었으며, 이 제 4 신호에 따라서 차량용 변속장치의 변속제어를 할 수 있는 점에 특징을 지니고 있다.
메모리수단에 부하의 크기에 따라서 여러개의 매프를 기억하여, 그때의 부하상태를 나타낸 제 3 신호에 따라서 그중의 하나의 매프가 선택되고, 선택된 매프에 따라서 필요한 변속상태를 정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으며 단일한 매프를 마련하고 제 3 신호에 의하여 매프의 보정을 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차량의 부하상태는 예를 들면 시간당 차속(車速)의 변화량 및 시간당 연료소비량에 의하여 검출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차량의 부하상태에 대응한 가장 적합한 변속조건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부하가 변화 하여도 주행기분을 악화시키지않고 변속기의 변속제어를 할 수 있다.
즉, 부하가 큰 경우에는, 변속후의 주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한층 높은 엔진속도로 변속시키며, 반대로 부하가 작을 경우에는 연료소비량 절약을 꾀하기 위하여 한층 낮은 엔진속도로 변속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주행의 원활성을 확보하면서 연료소비량 절약주행을 꾀할수 있다.
다음에 도해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자동변속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차량용 자동변속장치(1)는, 차량용 내연기관(2)과 차륜구동장치(3)와의 사이에 배설된 변속장치(4)를 지니고, 그 시프트체인지제어가 자동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변속장치(4)는 기어식의 변속기에 작동기를 부설하여서 되었으며 외부로 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응답하여 필요로 하는 변속상태를 얻을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같은 변속장치로서 예를 들면 종래의 기어식 변속기에 기어체인지용의 작동기를 조합한 선행기술의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변속장치(4)의 변속제어를 하기위한 신호를 얻을 목적으로, 본 장치(1)는 가속검출기(5), 차속검출기(6) 및 부하검출기(7)를 장비하고 있다. 가속검출기(5)는 가속페달(AP)의 조작량에 대응한 가속신호 A를 출력하고 차속검출(6)은 내연기관(2)에 의하여 구동되는 차량(도해없음)의 속도를 나타낸 차속신호V를 출력한다.
가속신호A 및 차속신호V는, 부하검출기(7)에 입력되어 여기에 가속페달(AP)의 변화량과 차량의 가속도가 검출되고, 그 검출결과에 따라서 그때의 차량의 부하의 크기가 검출되고 부하의 크기를 나타내는 부하신호 L가 출력된다.
가속신호A, 차속신호V 및 부하신호L는 제어연산부(8)에 각기 입력되어 있다. 제어연산부(8)는, 가속신호A 및 차속신호V에 따라서 변속장치(4)의 변속위치를 정하기 위한 매프가 기억되어 있는 메모리(9)를 지니고 있다. 도해한 실시예의 경우, 메모리(9)에는 차량의 부하상태에 대응한 여러개의 매프M1, 또는 Mn이 기억되어 있으며, 부하신호L에 응답하여, 그때의 차량의 부하상태에 대응한 매프를 선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 매프는 예컨데,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속신호A 및 차속신호V에 따라서 그때의 차량의 운전상태에 가장 적합한 변속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며, 필요로 하는 매프에 의하여 그때의 상태에 대응한 변속위치를 나타내는 출력신호CS가 가속신호A 및 차속신호V에 대응하여 메모리(9)에서 출력된다. 제 2 도에 나타낸 예에서는 변속위치 I, II, III중의 어느 것인가가 선택되는 매프로 되어 있으나, 선택하여야 할 변속위치는 3가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때에 사용되는 변속장치(4)의 전환수단에 따라서 적당히 정할 수 있는 것이다.
제 2 도에 실선으로 예시한 매프 특성은 표준적인 매프이며, 부하가 보다 클 경우에 선택되는 매프 특성은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가속 조작량이면 보다 큰 차속상태에서 기어의 시프트가 이루어질수 있는 특성으로 되고 변속후에 있어서도 커다란 회전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배려되어 있다. 한편, 부하가 보다 작을 경우에 선택되는 매프 특성은 1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일한 가속 조작량이면 낮은 차속상태에서 기어의 시프트를 할 수 있는 특성으로 되어 회전력의 확보 보다도 연료소비량 절약을 중시한 특성으로 된다.
부하검출기(7)는 가속신호A에 따라서 가속페달(AP)의 힘껏 밟아나아가는 양의 변화C를 검출함과 함께, 차속신호V에 따라서 가속도α(차속의 단위시간당의 변화)를 검출하여, 변화C와 가속도α로부터 그때의 차량의 부하의 크기를 나타내는 부하신호L를 출력한다.
예컨데, 일정한 부하로에서 운전자가 가속을 한다고 하였을때, 가속페달(AP)을 어떤 위치까지 힘껏 밟아 나아가는 것이 되지만, 제 3 도에는 이때의 가속페달의 힘껏 밟아나아가는 양의 변화의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가속도α는 마찬가지로 제 3 도 속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속페달(AP)이 힘껏 밟아나아간 직후부터 증대하여 가속페달(AP)의 힘껏 밟아나아가는 양이 일정하게 되면, 잠시 지나서 부터 가속도α는 서서히 저하하여 영이 되지만, 가속페달의 힘껏 밟아나아가는 정도와 가속도α의 최대치와 사이의 관계는 차량의 부하에 의존하는 것이며, 제 1 도에 나타낸 부하검출기(7)는 상술한 둘 사이의 관계를 이용한 것이다.
부하검출기(7)는 차속신호 V에서 가속도α를 검출하는 회로를 마련하고 있으며, 가속페달(AP)의 위치가 변화하기 시작한 시점에서 가속페달(AP)의 위치가 안정한 다음 가속도α가 대략 0으로 되기까지의 사이, 가속도α의 변화의 모습을 감시하여, 이 사이에 있어서의 가속도α의 최대치αmax를 검출한다. 그리고, 이때의 가속페달을 힘껏 밟아나아가는 양의 크기와 상술한 최대치αmax로 부터 차량부하의 크기가 검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검출된 부하의 크기를 나타내는 부하신호L는 메모리(9)에 인가되어 그때의 부하의 크기에 대응한 변속 특성을 나타낸 하나의 매프를 선택한다.
이와같이 하여 선택한 매프에 따라서 수득한 출력신호CS는 증폭기(10)를 개재하여 변속장치(4)에 변속제어신호로서 입력되어 변속장치(4)의 기어시프트 위치가 제어된다.
이 결과, 차량의 부하에 따라서 변속 특성이 변경하게되고 부하가 가벼울 경우에는 연비 절약형의 기어시프트제어를 실행한다. 한편, 차량의 부하가 무거울 경우에는 고출력 토오크형(torque 型)의 기어시프트제어를 실행한다.
이와같이 차량의 부하를 고려하여 변속제어 패턴의 변경을 하도록 하였으므로 그때의 차량의 부하조건에 대응한 기어체인지를 할 수 있으며, 원활하고도 연비가 좋은 운전을 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변속장치(4)의 기어체인지제어의 특성을 변경하기 위하여 여러개의 매프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예를 들면 제 4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나의 매프가 기억되어 있는 메모리(11)의 출력측에 보정부(12)를 마련하여, 메모리(11)로 부터의 출력신호CS를 그때의 부하신호L에 따라서 보정하고 이에 따라 기어체인지 특서의 변경을 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더우기, 제 4 도중 제 1 도 속의 각부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혀서 설명을 생략한다.
제 5 도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변속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차량용 자동변속장치(21)는 마이크로컴퓨우터(도해없음)을 함유하여 형성하는 제어부(22)를 지니고 가속검출기(5) 및 차속검출기(6)로 부터의 가속신호A 및 차속신호V에 응답하여, 변속장치(4)를 제어하기 위한 출력제어신호S가 제어부(22)로 부터 출력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 6 도에는 제어부(22)내의 마이크로컴퓨우터(도해없음)에 기억되어 있는 부하에 대응한 시프트체인지용의 프로그램의 순서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순서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프로그램을 시동한 다음, 먼저 스텝(32)에서 초기화(initialization) 및 읽어넣음(read in)을 하게 되며, 나중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하여 별도로 계산하는 차량의 부하L의 값이 소정치a 보다도 큰지 아닌지의 판별을 할 수 있다(스텝 33).
스텝(33)의 판별결과가 YES이면 스텝(34)에서 제어부(22)내에 부하L의 값이 기억되어서 매프의 보정을 한 다음, 가속신호A 및 차속신호V에 의한 매프 연산을 한다(스텝 35).
더우기 스텝(34)에 있어서의 매프의 보정은 예를 들면, 제 2 도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특성을 점선과 같이 변경하도록 보정할 수 있다.
스텝(33)의 판별결과가 NO인 경우에는 매프의 보정을 하지않고 직접 매프 연산을 실행하며, 이에 따라 그때의 가장 적합한 변속위치를 매프 연산으로 얻을수 있다.
스텝(36)에서는 현재의 기어위치와 스텝(35)에서의 연산에 의하여 얻은 기어위치와의 비교를 하여, 양자가 서로 상이하였을 때는 실제의 기어위치가 스텝(35)에서의 연산에 의하여 얻어진 기어위치로 되도록 기어체인지 조작을 실행 하여 이에 따라 자동변속제어를 할 수 있다.
다음에 차량의 부하L의 연산에 대하여 제 7 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하L의 연산은, 차속신호V에 기초하여 차속이 0으로 없어졌을때 즉, 정지하고있는 차량이 움직이기 시작할때마다 실행한다.
제 7 도에 기초하여 부하 계산에 대해서 설명하면, 우선 스텝(41)에서 차속신호V에 기초한 가속도α2의 계산을하게 되고, 이어서 스텝(42)에서 나중에 설명하는 표시문자(flag) F에 따라서 부하계산중인지 아닌지의 판별을 할 수 있다. 부하계산 중이 아닌 경우에는 가속페달을 힘껏 밟는양Q의 변화량이 소정치 이상인지 아닌지의 판별을하게 되고(스텝 43), 그 판별결과가 NO인 경우에는 스텝(41)에서 얻은 가속도α2의 값을 α1으로 하고(스텝 44), 가속페달을 힘껏 밟는 양Q를 Q1으로 하여(스텝 45), 프로그램의 실행을 종료하여 제 6 도의 프로그램에 되돌아온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이 다음으로 실행하는 경우에는 스텝(42)의 판별결과는 YES로 되어 스텝(47)으로 진행하게 된다. 스텝(47)에서는 금회의 가속페달(AP)의 힘껏 밟는 양Q의 값이 가속페달(AP)의 최대 힘껏 밟는 양Q2보다 큰지 아니지의 판별을 하게 되며, 그 판별결과가 YES이면, 그 새로운 가속페달을 힘껏 밟는 양Q의 값을 Q2로 하여(스텝 48), 금회에 얻은 가속도의 값α3가 1프로그램사이클 전에 얻은 가속도의 값α3보다 큰지 아닌지의 판별을 할 수 있다(스텝 ). 그 판별결과가 YES인 경우에는 스텝(50)으로 나아가서 카운터를 1만증신(increment)하여 제 6 도의 프로그램으로 되돌아온다.
스텝(47)의 판별결과가 NO인 경우에는 즉, 가속페달(AP)을 힘껏 밟는 양의 증가가 감퇴하며, 또한 가속페달(AP)이 역행하는 경우에는 스텝(51)으로 나아가서 Q2-Q의 값이 소정치 x보다 큰지 아닌지의 판별을 할 수 있다. 즉, 가속페달의 되돌아오는 조종량이 소정치 이상인지 아닌지의 판별을 하고 판별결과가 NO이면 스텝(49)으로 나아간다.
스텝(51)의 판별결과가 YES 또는 스텝(49)의 판별결과가 NO인 경우에는 스텝(52)으로 나아가 Q3=Q2-Q1의 연산을 실행하고, 나아가서 스텝(53)에서 α421의 연산을 실행하였다. 그런 다음, 스텝(54)에 있어서 상술한 α3, α4및 카운터의 값을 이용하여 차량의 부하를 계산하였다.
차량부하를 계산한 다음 표시문자 F를 클리어(Clear)하고 (스텝55), 카운터를 클리어한다(스텝 456). 즉, 가속의 가속페달을 힘껏 밟는 양의 변화가 일정값 이상으로 되었음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표시문자F가 세트되어 부하의 계산을 실행할 수 있으나, 이 계산은 가속페달이 되돌아왔음이 스텝(51)에서 검출되었으며 또한 차량가속도의 반곡점(inflection point) 통과한 사실이 스텝(49)에서 검출되었을 때에 종료하게 된다.
더우기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부하에 대한 계산을 가속페달의 변화량 및 차량의 가속도에 기초하여 실행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가속페달을 힘껏 밟는 속도를 더욱 참작하여 부하의 계산을 하면 보다 뛰어난 정밀도 부하계산을 실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차량의 부하의 크기를 가속페달의 조작량 및 차속의 각 변화에 기초하여 검출하는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구성으로 부하의 검출을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는 것은 더 말할것 없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차속 및 가속페달 조작량의 외에 차량의 부하도 고려하여 기어시프트 위치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차량의 하물의 적재량, 주행로의 경사상태에 대응한 기어체인지 특성의 변경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고 따라서 부하의 상태에도 불구하고 항상 양호한 운전기분을 얻을 수 있으며, 나아가서 연비의 개선도 꾀할 수 있는 등의 뛰어난 효과를 성취하였다.

Claims (1)

  1. 기어식 변속기를 지닌 전기신호에 응답하여 변속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차량용 변속장치(1),(21)와 차속에 관련한 제 1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과, 가속페달(AP)의 조작량에 관련한 제 2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과, 차량의 부하의 크기에 관련한 제 3신호를 출력하는 수단과, 가속페달(AP)의 조작량과 차속과에 의하여 정하는 변속패턴을 나타낸 매프가 적어도 하나를 기억하고 있는 메모리수단을 지니고 제 1 내지 제 3 신호에 응답하여 그때그때의 부하에 대응한 가장 적합한 변속상태를 나타낸 제 4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한 것으료, 이 제4신호에 따라서 차량용 변속장치(1),(21)의 변속제어를 실행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변속장치.
KR1019850008283A 1984-11-08 1985-11-06 차량용 자동변속장치 KR8900022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234191A JPS61112852A (ja) 1984-11-08 1984-11-08 車輛用自動変速装置
JP84-234191 1984-1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932A KR860003932A (ko) 1986-06-13
KR890002299B1 true KR890002299B1 (ko) 1989-06-28

Family

ID=16967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8283A KR890002299B1 (ko) 1984-11-08 1985-11-06 차량용 자동변속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789936A (ko)
JP (1) JPS61112852A (ko)
KR (1) KR890002299B1 (ko)
DE (1) DE35396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92197A3 (en) * 1987-02-04 1999-04-28 Kabushiki Kaisha Komatsu Seisakusho Method of automatically changing speed of dump truck for use as construction vehicle
HU206654B (en) * 1987-10-14 1992-12-28 Csepeli Autogyar Method for ratio switching of automatic or automatized mechanical synchronous gear box at motor vehicles
JPH0714703B2 (ja) * 1987-10-27 1995-02-22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定速走行制御装置
JPH0792140B2 (ja) * 1988-04-15 1995-10-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ライン圧制御装置
JPH0792142B2 (ja) * 1989-01-31 1995-10-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変速液圧制御装置
US5247859A (en) * 1989-09-06 1993-09-28 Mazda Motor Corporation Shift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transmission
JP2568923B2 (ja) * 1989-10-16 1997-01-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無段変速機の制御方法
DE3941999C2 (de) * 1989-12-20 1997-03-20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fahren zum Ermitteln eines Fahrerfaktors
EP0471102B1 (de) * 1990-08-14 1994-01-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Getriebesteuerung für ein Kraftfahrzeug
JP2887217B2 (ja) * 1990-10-02 1999-04-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輌用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US5152192A (en) * 1991-10-15 1992-10-06 General Motors Corporation Dynamic shift control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US5251512A (en) * 1991-10-15 1993-10-12 General Motors Corporation Dynamic shift control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DE4240762A1 (en) * 1991-12-03 1993-06-09 Hitachi, Ltd., Tokio/Tokyo, Jp Automatic gearbox control for motor vehicle - uses vehicle wt. calculator, output torque estimator and stored gear setting tables to select gear taking into account required acceleration
USRE39684E1 (en) 1991-12-03 2007-06-05 Hitachi, Ltd. Automatic automobile transmission with variable shift pattern controlled in response to estimated running load
DE4328893B4 (de) * 1992-08-27 2007-07-05 Hitachi, Ltd.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Steuerung eines Automatikgetriebes eines Fahrzeugs in Abhängigkeit von einem Gefälle einer Fahrbahn
JPH0694116A (ja) * 1992-09-08 1994-04-05 Hitachi Ltd 自動変速制御装置
JP2888056B2 (ja) * 1992-10-02 1999-05-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自動変速装置
JP3085029B2 (ja) * 1993-06-28 2000-09-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US5479345A (en) * 1993-11-02 1995-12-26 Eat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shift points in an automated mechanical transmission
EP1528293B1 (de) * 2003-10-31 2014-08-0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zum Steuern eines automatischen Getriebes für ein Kraftfahrzeug
SE527665C2 (sv) * 2004-09-28 2006-05-02 Volvo Lastvagnar Ab Motordrivet fordon med transmission
US20070271017A1 (en) * 2006-05-18 2007-11-22 Farzad Samie Weight dependent trailering switch
SE534828C2 (sv) * 2009-09-14 2012-01-10 Scania Cv Ab Metod för bestämning av växlingspunkter
US8977415B2 (en) * 2011-08-02 2015-03-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Use of on-vehicle accelerometer to estimate vehicle grade and mass while vehicle is in motion
GB2577254B (en) * 2018-09-18 2021-03-31 Jaguar Land Rover Ltd Method of estimating a vehicle load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698B2 (ja) * 1978-09-05 1984-02-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S55132452A (en) * 1979-04-03 1980-10-15 Nissan Motor Co Ltd Speed change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speed changer
US4463427A (en) * 1979-07-18 1984-07-31 Renault Vehicules Industriels Road transportation vehicle drive assist process and apparatus
SE420295B (sv) * 1980-11-28 1981-09-28 Saab Scania Ab Forfarande for automatiskt vexelval i en fordonstransmission
DE3101056A1 (de) * 1981-01-15 1982-08-05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ermittlung von schaltsignalen
JPS57195951A (en) * 1981-05-29 1982-12-01 Toyota Motor Corp Speed change method of automatic speed change gear
JPS5817246A (ja) * 1981-07-23 1983-02-01 Nippon Denso Co Ltd 自動変速制御装置
JPS58121342A (ja) * 1982-01-12 1983-07-19 Diesel Kiki Co Ltd 歯車変速機の自動操作装置
DE3314800A1 (de) * 1983-03-28 1984-10-04 Wabco Westinghouse Fahrzeugbremsen GmbH, 3000 Hannover Kontrolleinrichtung fuer ein von einer antriebsmaschine ueber ein abgestuftes getriebe angetriebenes fahrzeug
JPS601449A (ja) * 1983-06-16 1985-01-07 Mitsubishi Electric Corp 車輛用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S6011758A (ja) * 1983-06-30 1985-01-22 Isuzu Motors Ltd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77822B2 (ko) 1992-12-09
KR860003932A (ko) 1986-06-13
DE3539682A1 (de) 1986-05-22
DE3539682C2 (ko) 1990-02-01
US4789936A (en) 1988-12-06
JPS61112852A (ja) 198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2299B1 (ko) 차량용 자동변속장치
US4282780A (en) Electric control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US4731727A (en) Intelligent optimum-gear indication system
US4996893A (en) Speed change control device in automatic transmission for automobile
KR960004283B1 (ko) 자동차의 자동변속기용의 변속기어 제어장치와 그 방법
JPH07223465A (ja) トルクフィードバック変速制御装置および方法
US4737915A (en) Power train control method
US6182002B1 (en) Vehicle acceleration based traction control
US4703428A (en) Power train control method on common input data
US4677556A (en) Method for indicating speed change operations to be performed by a driver of a car
JPH02146364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KR900003222B1 (ko) 차량용 자동변속장치
US5005680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gear transmission and clutch of vehicles
KR890004050B1 (ko) 차량용 자동 변속장치
JPH054537B2 (ko)
EP1557590A1 (en) Automatic gear shift controller
JP2902177B2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S627006B2 (ko)
JP3929871B2 (ja) 自動変速制御装置
JP2897196B2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US5983153A (en) System for determining gear ratio changes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JPH09249053A (ja) 車両用制御装置
JPH0514133B2 (ko)
JP3389709B2 (ja) 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2934075B2 (ja) 車両用制動信号の異常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5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