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080B1 - 권상장치의 과부하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권상장치의 과부하 방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90002080B1 KR890002080B1 KR1019850001285A KR850001285A KR890002080B1 KR 890002080 B1 KR890002080 B1 KR 890002080B1 KR 1019850001285 A KR1019850001285 A KR 1019850001285A KR 850001285 A KR850001285 A KR 850001285A KR 890002080 B1 KR890002080 B1 KR 8900020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oth
- engaging
- rack
- hoisting
- overloa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66D1/58—Safety gear responsive to excess of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Tension Adjustment In Filamentary Materials (AREA)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크레인의 권상용 로우프의 배치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과부하 방지장치의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에서 본 측면도.
제4도는 제2도의 중요부를 나타낸 확대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B-C-D-E 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F-G-H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돌기의 평면도.
제8도는 상기 실시예의 과부하 방지장치에 의한 특성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과부하 방지장치의 가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트롤리 2 : 권상장치
3a,3b : 권상드럼 10,20,20a,20b,21a,21b : 과부하 방지장치
11 : 달아매는 기구 12a,12b,12c,12d : 로우프
13a,13b,13c,13d : 시브 14a,14b,14c,14d,15a,15b,15c,15d : 시브
22 : 접동착 23 : 랙
24a,24b,24c : 걸아맞춤부재 25,25a,25b,25c : 코일 스프링
26 : 누름판 27,33 : 볼트
31 : 배면좌 32 : 상면좌
36 : 중심축 41 : 걸어맞춤편
42 : 스프링좌 50 : 나사봉
54a,54b : 너트 63 : 걸어맞춤부재
61 : 기어 62 : 탄성체
본 발명은 크레인등의 권상장치에 사용하는 것이며, 정격 이상의 하중을 달아올렸을 경우에 크레인등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과부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콘테이너 크레인에 있어서, 달아매는 기구를 상승중에 선박의 해치에 걸거나, 또 선박에 고정되어 있는 콘테이너를 달아올리는 경우에 크레인이나, 배등이 변형된다. 이 때문에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과부하 방지장치가 크레인에 설치된다.
과부하 방지장치는 예를들면 일본 특허공보 제58-518778호(대응 출원으로서 영국 특허 명세서 제1,538,555호가 있다)나,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59-125, 597호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달아매는 기구를 달아내린 로우프에 가해지는 힘을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검출하여 정격이상의 경우에 과부하로써 권상장치의 권상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이다.
상기 일본 특허공보 제58-518778호에 나타난 것은 로우프를 그 반경방향으로 크램프로 잡아 당겨서 탄성 지지하며, 이 지지부에 리밋 스위치를 설치하고 크램프의 이동에 의해 과하중을 검출하는 것이다.
상기 일본 특허공보 제58-125,597호 나탸낸 것은 권상장치에 모터에 전류 검출기를 설치하고 전류치에 의해 과하중을 검출하는 것이다.
상기 리밋 스위치나 전류검출기에 의해 과하중이 검출되면 권상장치의 모터에 대한 통전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브레이크장치를 작동시킨다. 이로서 권상의 정지동작에 들어가도 모터나 감속장치의 관성력에 의해 드럼은 회전을 계속하고 권상동작은 계속된다. 이것은 크레임이 대형으로 됨에 따라 현저해 진다. 따라서 과하중을 검출하여 실제로 권상동작이 정지되는 사이에 크레인을 변형시킬 우려가 있다. 특히 고속으로 권상하고 있을 때 달아메는 기구가 걸렸을 경우에는 상기 검출기만으로는 변형을 방지할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로우프의 장력이 과대하게 되지 않고, 또 소형이고, 신뢰성이 높은 과부하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요철을 여러번 연속시켜서 구성한 치형을 가진 치형부재와, 상기 치형이 홈부에 들어가는 크기의 걸어맞춤편을 가지는 걸어맞춤부재와, 상기 걸어맞춤부재를 상기 치형에 대하여 회전 자유로이 부착한 지지부재와, 상기 걸어맞춤부재의 걸어맞춤편을 상기 치형으로 향해 누르게 하고, 이 걸어맞춤부재와 지지부재의 사이에 배치한 탄성부재로서 이루어지며, 상기 치형부재 또는 지지부재중 어느 한쪽을 달아메는 기구에 연결가능하고, 이 한쪽의 부재가 다른쪽의 부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 가능부재의 이동방향이 상기 치형의 연속방향이고 상기 이동가능한 부재의 이동에 따라 걸어맞춤편이 상기 요부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걸어맞춤부재와 치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타의 목적 및 특징은 이하의 설명에 의해 명백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제1도 내지 제7도에 나타낸 한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기어더 위를 주행하는 트롤리이고, 권상장치(2) 및 본 발명의 과부하 방지장치(10)를 설치한다. 11은 콘테이너 용의 달아메는 기구이다. 권상장치(2)의 권상드럼(3a),(3b)에는 감겨진 4개의 로우프(12a),(12b),(12c),(12d)는 달아메는 기구(11)의 시브(13a),(13b),(13c),(13d)와 트롤리시브(14a),(14b),(14c),(14d) 및 트롤리시브(15a),(15b),(15c),(15d)에 각각 순차로 걸어서 과부하 방지장치(10)에 고정한다. 로우프(12a),(12b),(12c),(12d)와 과부하 방지장치(10)와 고정단(16a),(16b),(16c),(16d)과 시브(15a),(15b),(15c),(15d)는 실질적으로 동일 수평면내에 설치된다. 달아메는 기구(11)의 걸어방향의 한끝부에 로우브(12a),(12b)는 과부하 방지장치(10)의 일단측에 고정되며, 달아메는 기구(11)의 타난측의 로우프(12a),(12b)는 과부하 방지장치(10)의 다른 끝부에 고정된다.
이 과부하 방지장치를 제2도 내지 제7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2도, 제3도는 다른 도면에 비하여 개략적으로 표시하였다. 제2도에 있어서 과부하 방지장치(10)는 2조의 과부하 방지장치(12a),(12b)로서 이루어지고, 양자는 동일한 구성이다. 과부하 방지장치(20a)에는 로우프(12a),(12c)가 고정되고 또 다른쪽의 과부하 방지장치(20b)에는 로우프(12b),(12d)가 고정된다.
또한 과부하 방지장치(20a),(20b)는 각각 2개의 과부하 방지장치(21a),(21b)로써 이루어진다. 이 과부하 방지장치(21a),(21b)는 동일한 구성이지만, 후술하는 랙이 각각 외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역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하 과부하 방지장치(20a)의 과부하 방지장치(21a)를 대표예로 하여 제4도 내지 제6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 과부하 방지장치(21a)는 접동좌(22) 위를 접동 가능한 랙(23)과, 랙(23)의 치형(23a)에 걸어맞추는 다수의 걸어맞춤부재(24a),(24b),(24c)와 걸어맞춤부재(24)를 치형(23a)에 대해 누르는 코일스프링(25a),(25b),(25c) 등으로 이루어진다. 로우프(12)는 누름판(26)과 볼트(27)에 의해 랙(23)의 그립에 의해 피지 고정된다. 로우프(12)와 그립의 사이에는 미끄럼이 없다.
랙(23)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또 과부가 방지장치(21a),(21b)의 각각의 랙(23)은 치형(23a)을 외측으로 향하게 하고, 한쪽의 랙(23)의 그립쪽에 다른쪽의 랙(23)의 반그립쪽이 위치하도록 반대방향으로 설치된다.
접동좌(22)의 상면의 중앙에는 배면좌(31)가 고정되고 랙(23)의 배면이 접촉한다. 32는 랙(23)의 접동홈을 구성하기 위한 상면좌이며, 배면좌(31)에 볼트(33)로 착탈 자유로이 고정한다. 걸어맞춤부재(24a),(24b),(24c), 코일스프링(25a),(25b),(25c) 및 후술하는 이와 관련된 부품은 모두 동일한 구성이다.
걸어맞춤부재는 한쪽 끝부의 축(36)을 중심으로 하여 접동좌(22) 위를 접동한다. 걸어맞춤부재(24)에 고정된 축(36)은 접동좌(31)를 관통하여 이면에서 고정된다. 37은 부시, 38은 이탈방지용 부재이다. 걸어맞춤부재(24)의 타단측에는 치형(23a)의 요부에 들어가는 걸어맞춤편(41)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끝부에는 코일스프링(25)을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좌(42)가 회동자유로이 설치된다. 스프링좌(42)는 걸어맞춤부재에 고정한 축(43)에 부시(44)를 통하여 부착된다. 45는 이탈 방지용의 부재이다. 46,47은 라이너이다.
스프링좌(42)에는 나사봉(50)이 고정된다. 나사봉(50)의 선단을 접동좌(22)에 고정한 브래킷(51)의 구멍(52)을 관통하여 왓셔(53), 너트(54a),(54b)로 고정한다. 55는 멈춤구이다.
걸어맞춤부재(24a),(24b),(24c)의 설치위치, 즉 걸어맞춤부재의 각각의 걸어맞춤편(41)과 치형(23a)과의 관계는 1피치 상당(1위상)의 치형(23a)에 대하여 각각의 위치가 다르도록 설치된다. 즉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재(24a)의 걸어맞춤편(41)은 치형(23a)의 요부내에 완전히 들어가며, 걸어맞춤부재(24c)의 걸어맞춤편(41)은 치형(23a)의 산의 정상부에 접하며, 걸어맞춤부재(24b)는 상기 양자의 거의 중간위치의 산의 정상부 근방에 위치한다. 이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재(24a),(24b),(24c)는 치형(23a)의 1피치분의 치형에 대하여 각각 위치를 다르게 하고, 즉 위상을 1/3피치씩 어긋나게 하여 설치한다.
60은 랙(23)의 이동을 검출하는 근접위치이며, 각각의 랙(23)에 대하여 설치된다. 61은 근접스위치(60)의 대응금속이며, 랙(23)에 고정된다. 근접스위치(60)가 랙(23)의 이동을 검출하면 권상장치(2)의 권상동작을 정지시킨다.
로우프(12a)와 로우프(12c)는 사실 1개의 로우프이며 그 끝부는 드럼(3a),(3b)에 고정되어 있다. 이 로우프(12a)와 로우프(12c)는 제3도에 부품번호 12e로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판(26)과 다른쪽의 누름판(26)과의 사이에 이완되어 있다. 로우프(12b)와 로우프(12d)의 관계도 상기와 동일하다.
또한 걸어맞춤부재(24c)의 걸어맞춤편(41)의 위치에서 랙(23)의 선단까지의 치형(23a)의 길이(L)는 과부하시에 랙(23)이 이동하여 권상운동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데 필요이상의 길이다. 상기 이완시킨 로우프(12e)의 이완량은 상기 길이(L)보다도 약간 짧은 길이의 랙(23)의 이동이 얻어지는 크기이다.
접동좌(22)는 대(30)를 통하여 트롤리(1)에 고정된다. 다음에 과부하 방지장치(20a)의 조립에 대하여 설명한다.
1개의 로우프(12a),(12c)의 중간에 소정거리를 떼어서 랙(23)을 고정한다. 상기 소정거리는 제2도와 같이 조립한 상태로 누름판(26)의 사이의 거리에 상기 길이(L)를 더한 크기이다. 랙(23)의 방향은 제2도와 같다.
한편 접동좌(32)측은 다음과 같다. 스프링좌(42)를 부착한 걸어맞춤부재(24)는 축(36)을 사용하여 접동좌(22)에 부착한다.
다음에 스프링좌(42)에 코일스프링(25)을 설치하고 구멍(52)에 나사봉(50)을 삽통하고 너트(54a)를 조여서 걸어맞춤부재(24)를 끌어당겨 걸어맞춤편(41)을 랙(23)에 접촉되지 않는 위치까지 끌어당긴다. 모든 걸어맞춤부재(24)에 대하여 이같이 행한다.
다음에 상기 로우프(12a),(12c)를 고정한 랙(23)을 접동좌(22)상에 설치한다. 이 경우 누름판(26)들 사이의 위치를 가장 짧게하고 또 걸어맞춤부재(24a)의 걸어맞춤편(41)이 치형(23a)의 요부에 완전히 들어가는 위치에 랙(23)을 설치한다. 다음에 상면좌(32)를 설치하고 볼트(33)로 고정한다. 다음에 너트(54a)를 이완시켜 걸어맞춤편(41)을 치형(23a)에 각각 접촉시킨다. 각각의 걸어맞춤부재(24a),(24b),(24c)의 스프링좌(42)로부터 너트(54a)까지의 거리를 소정의 칫수로 한다. 이로서 걸어맞춤부재(24b),(24c)에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너트(54a)와 브래킷(51)의 사이에 간극이 생긴다.
과부하 방지장치(20b)에 대하여서도 동일하게 조립한다. 이들 구성의 동작을 설명한다. 달아메는 기구(1)에 콘테이너를 매달고, 정상적인 권상작업을 행할 경우에 있어서 4개의 로우프(12)는 4개의 릭(23)을 잡아당기지만 코일스프링(25a)에 의해 눌려진 걸어맞춤부재(24a)의 걸어맞춤부재(41)이 치형(23a)의 경사면접하고 있으므로 통상의 힘으로는 이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예를들어 달아메는 기구(11)의 한쪽의 모서리부(66)가 배의 해치에 걸이면(예를들면 시브(13a쪽) 로우프(12a)를 통하여 과부하 방지장치(21a)의 랙(23)에 과대한 힘이 가해진다. 이 때문에 걸어맞춤부재(24a)는 코일 스프링(25a)의 힘에 저항하여 치형(23a)의 반대측으로 회전되며, 걸어맞춤부재(24a)의 걸어맞춤편(41)은 치형의 요부에서 벗어나고 이에 따라서 랙(23)이 인출되고, 근접 스위치(60)가 작동되어 권상장치(2)의 권상동작이 정지된다.
걸어맞춤부재(24a)의 걸어맞춤편(41)이 치형(23a)의 요부로부터 벗어나면 제4도의 걸어맞춤부재(24b)의 상태로되고, 대신 걸어맞춤부재(24c)의 걸어맞춤편(41)이 요부에 들어가 걸어맞춤부재(24b)의 걸어맞춤편(41)이 산의 정상부에 접촉된다. 따라서 다음으로 걸어맞춤부재(24c)가 랙(23)의 인출을 방지하려고 한다. 걸어맞춤부재(24c)가 랙(23)의 인출을 방지하려고 한다. 걸어맞춤부재(24c)가 벗어나면 걸어맞춤부재(24c)의 걸어맞춤편(41)이 요부로 들어가고, 다음에는 걸어맞춤부재(24b)가 랙(23)의 인출을 방지하려 한다. 이후 24a→24c→24b의 걸어맞춤이 반복된다.
랙(23)의 인출을 위해서는 걸어맞춤부재(24)의 걸어맞춤편(41)을 밀어올리는데 에너지를 소비한다. 이 소비 에너지의 합계값이 권상운동 에너지와 동일해지면 권상동작은 정지한다. 권상운동 에너지가 과대한 경우는 로우프(65)의 이완이 없어질때까지 랙(23)은 인출되고, 랙(23)의 끝부의 정지구(도시치 않음)가 접동좌(22)에 당접하여 정지한다.
이같은 정지구가 없을 경우는 다른쪽의 랙(23)을 역방향으로 당긴다. 이 경우 다른쪽의 과부하 방지장치(21b)의 랙(23)의 치형(23a)의 다른쪽의 배면(23c)이 걸어맞춤편(41)의 경사면(41c)에 접하므로 이 다른쪽의 과부하 방지장치(21b)의 걸어맞춤부재는 치형(23a)쪽으로 회전한다. 이 때문에 걸어맞춤부재 치형(23a)쪽을 향한 면(49)이 치형(23a)의 산의 정상부에 접촉된다. 따라서 이 랙(23)이 역 방향으로 인출되는 일은 없다. 랙(23)의 역방향 이동의 방지수단으로서 면(49)이 랙(23)의 산의 정상부에 접촉하지 않는 것으로 축(43)에서 너트(54a)까지의 나사봉(50)의 길이에 의해 행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전자의 수단의 경우 나사봉(50)을 소경으로 알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랙(23)과 접동좌(22)축과의 사이, 예를들면 랙(23)의 그립부에 당접하는 정지구를 접동좌(22)측에 설치하고, 역이동을 방지하여도 된다. 선박에 고정된 콘테이너를 달아메었을 경우에는 4개의 랙(23)이 각각 인출된다.
과부하 방지장치가 작동하였을 경우는 걸어맞춤부재(24)를 끌어당겨서 랙(23)을 밀어넣어 재조립을 행한다.
랙(23)을 수평방향으로 배치하므로 코일스프링(25)의 조림, 랙(23)의 배치등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랙(23)의 치형(23a) 및 걸어맞춤부재(24)의 걸어맞춤편(41)의 상세에 대하여 제7도에 의해 설명한다.
랙(23)의 치형(23a)은 일반적으로 랙을 기준으로 하여 개조한 것이다. 걸어맞춤편(41)과 걸어맞추는 치형(23a)의 걸어맞춤편(23b)의 경사각(θ1)은 배면(23c)의 경사각(θ2) 보다도 작다. 경사각(θ1)은 에너지의 흡수량을 크게 하기 위해 작은편이 좋다. 한편 치형(23a)의 뿌리의 강도향상을 위해서 경사각(θ1)은 큰편이 좋다. 따라서 배면의 경사각(θ2)을 걸어맞춤편의 경사각(θ1) 보다도 크게 한다. 따라서 이렇게 하면 에너지의 흡수량이 크며 이 어려운 치형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치형(23a)의 걸어맞춤편(23b)의 선단은 반경(R1)의 원호로 한다. 즉, 치형(23a)의 기준 피치선(1점쇄선)에서 치선을 원호로 한다. 이로서 걸어맞춤편(41)의 걸어맞춤편(41a)과 걸어맞춤편(23b)의 접동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걸어맞춤편(41)은 랙(23)의 이동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진다. 상기 이동 방향의 전면측의 걸어맞춤편(41)의 면(41c)은 원호형이며, 그 원호의 중심점은 P1이다. 걸어맞춤부재(24)의 회전중심은 축(36)의 중심인 P2이다. P2를 중심으로 하여 걸어맞춤부재(24)가 회전할 경우의 걸어맞춤편(41)의 최선단(41d)의 괴적은 원호(S1)로 나타난다. 도면과 같이 면(41C)은 원호(S1)에 대하여 후퇴되어 있다. ΔH는 걸어맞춤편(41)의 근원에서의 후퇴량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전방측 면(41c)의을 후퇴시켰으므로 제7도의 상태에서 걸어맞춤편(41)이 요부에 들어갈 경우에 용이하게 들어간다. 즉 제7도의 상태에서 다소라도 랙(23)이 이동하면 걸어맞춤편(41)은 즉시 요부안으로 들어가고, 걸어맞춤편(41a)이 즉시 걸어맞춤편(23b)이 걸어맞추어 진다. 만일, 걸어맞춤편(41)의 근원측이 면(41c)이 원호(S1) 보다 전방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면 이 돌출양과 동일한 랙(23)의 이동이 없으면 걸어맞춤편(41)은 요부안으로 들어갈 수 없다. 이 한계점이 원호(S1)이다. 또한 면(41c)은 직선이라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걸어맞춤편(41)이 신속히 걸어맞추어 지므로 에너지의 흡수량을 크게할 수 있다.
과부하 방지장치(12a)에 의해 소비하는 에너지에 대하여 제8도에 따라 설명한다. 제8도는 랙(23)의 이동에 대한 소비 에너지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단, 소비 에너지는 랙(23)을 이동시키는 로우프(12a)의 장력으로서 표시한다. 즉, 소비에너지는 랙(23)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걸어맞춤부재(24) 및 코일스프링(25) 등이 랙(23)을 접동좌(22)에 유지하는 힘과 같으며, 이 힘은 로우프(12a)의 장력으로 나타나게 된다.
걸어맞춤편(41) 및 치형(23a)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같다. (A)는 걸어맞춤부재(24a)에 대한 표시, (B)는 걸어맞춤부재(24b)에 대한 표시, (C)는 걸어맞춤부재(24c)에 대한 표시, (D)는, (A),(B),(C)의 합계값에 대한 표시이다. (A)는 걸어맞춤편(41)이 랙(23)의 요부에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랙(23)이 이동을 개시한 상태를 나타내며, 이 상태에서는 랙(23)의 이동에 따라서 로우프 장력이 증대한다. 걸어맞춤편(41)이 걸어맞춤편(23b)에서 벗어나, 산의 정상부에 접하면(제4도의 걸어맞춤부재(24b)의 상태), 로우프 장력은 급격하게 저하한다. 산의 정상부에 접하는 동안 이것이 계속되고 다음 요부에 들어갈때에 다시 저하한다.
P0내지 P1은 치형(23a)의 1피치(1위상)의 길이를 나타낸다.
또 본 도면은 계산기에 의한 시므레이션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걸어맞춤부재(24)를 하나만 사용한 실험치와 걸어맞춤편에 하나의 경우의 시므레이션의 결과가 비교적 잘 일치하는 관계에 따라 시므레이션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도면에서는 각각의 걸어맞춤부재(24)는 상기와 같이 1위상내에 1/3 피치의 위상의 어긋남을 두고 배치되며, 랙의 이송속도는 일정하게 하였다.
(A),(B),(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재(24)의 각각의 에너지의 소비는 간헐적이나 랙(23)의 길이에 걸쳐 반복된다. 이 반복의 총압이 총 소비에너지가 된다. 하나의 걸어맞춤부재(24)의 1피치(1위상)에서의 소비에너지는 주로 코일 스프링(25) 누르는 힘에 의해 정해진다. 따라서 에너지의 소비량을 크게할 수 있다. 이로서 랙(23)이 정지하는 거리를 짧게할 수 있고,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이와 같이 여러번의 걸어맞춤부재(24)의 작동에 의해 에너지를 흡수하므로 일회의 작동에 의한 에너지의 흡수량을 크게 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작동도중에 있어서 로우프(12)의 장력에 과다한 피이크가 발생하지 않고 로우프(12)의 직경을 굵게할 필요가 없어진다. 특히 다수개의 걸어맞춤부재(24)를 치형(23d)의 1피치(1위상) 내에 위상을 다르게, 특히 균등히 어긋나게 배치하기 때문에 (D)에 표시한 것과 같이 소비에너지는 대체로 연속된다. 걸어맞춤부재(24)가 3개 있으면 도면의 표시와 같이 대체적으로 연속된다. 따라서 로우프(12)의 장력도 피이크가 없어지고 또한 작동도 부드럽게 된다.
또한 총 소비에너지를 크게 할 수 있어 장치를 보다 소형화 할 수 있다. 걸어맞춤부재(24)의 수는 치형(23a)의 형상에 대응시켜서 많은 것이 좋다. 상기의 경우 3의 정수배로 균등하게 배치하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에너지의 소비는 단순히 마찰력으로 행해지는 것이 아니다. 단순한 마찰력의 경우에는 접동면의 상황, 예를들어 기름의 부착 유무에 의해 그 마찰력의 크기가 변화한다. 본 발명에서도 배면좌(31)나 치형(23a)에 기름이 도포되었으나 아니냐에 따라 변화하나 코일스프링(25)을 변위시키는데 필요한 힘의 크기에는 변화가 없고 따라서 신뢰성이 높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비에너지는 계산에 의해 산출이 쉽게 되고 설계도 용이하게 된다. 걸어맞춤부재(24)의 회전 중심축(36)을 랙(23)의 이동방향으로 해서 걸어맞춤편(41) 보다도 뒷쪽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걸어맞춤부재(24)의 회전량이 적어지고, 코일스프링(25)의 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 일행정을 작게 할 수 있다. 코일스프링(25)을 회전 중심축(36) 보다도 전방측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코일스프링(25)에 의해 눌려진 랙(23)의 배면에는 배면좌(31)를 거쳐서 다른조의 랙(23)이 코일스프링(25)에 눌려 있으므로 이들이 힘의 균형이 얻을 수 있고 배면좌(31)를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게 된다. 두개조의 랙(23)을 병렬로 배치하므로 어느쪽의 랙이 작동해도 대응할 수가 있다.
상기에서 나사봉(50)과 걸어맞춤부재(24)가 축(43)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나 스프링좌(42)를 걸어맞춤부재(24)를 랙(23)으로 누르도록 되어 있으면 충분하다. 즉 나사봉(50)을 브래킷(51)쪽으로 인장하면 코일스프링(25)이 압축되어 스프링좌(42)와 걸어맞춤부재(24)의 접촉이 없어지도록 하여도 된다. 이런 경우는 걸어맞춤부재(24)를 손으로 랙(23)에 삽입한다.
상기에서 로우프 4개이기 때문에 4개의 랙을 설치하였다. 랙은 로우프에 대응해서 설치하면 된다. 로우프는 체인이라도 된다. 걸어맞춤부재는 누르는 탄성부재는 접시형 스프링으로도 가능하다. 또한 랙의 이동에 응답하여 걸어맞춤편을 치형의 각각의 요부에 걸어맞출 수 있는 것이면 다른 탄성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하나의 걸어맞춤부재에 2개의 걸어맞춤편을 이동방향에 따라서 설치해도 무관하다. 치형에 접촉하는 걸어맞춤편의 접촉면에 로울러를 설치해도 된다. 랙(23)을 병렬로 설치하고 치형을 상방으로 향하고 상방에서 걸어맞춤부재로 눌려서 로우프(12)에 이완을 주어 연결할 수도 있다.
제9도의 실시예는 랙을 기어로 한 것이다. 로우프(12)는 시브에 감아서 그 끝부에12g)을 시브(60)에 고정했다. 기어(61)는 시브(60)와 동심상으로 고정한다. 기어(61)의 외주에는 탄성체(62)로 눌려진 걸어맞춤부재(63)가 접촉된다. 탄성체(62) 및 걸어맞춤부재(63)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대체로 같다. 걸어맞춤부재(63)는 원주상에 균등히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말하면 상기 실시예에 비해 장치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로우프의 조작량을 크게하고자 할때에는 시브(60)를 드럼으로하고 여러회 감으면 된다.
상기의 각 실시예에는 치형측을 로우프에 의한 이동부재로 하고 걸어맞춤부재 및 스프링을 고정측에 설치하였으나, 이것을 역으로 설치해도 된다. 예를들어 제4도에서 우선 랙 방식에서는 랙을 고정하고 걸어맞춤부재 및 스프링을 설치한 접동좌측을 랙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하고 접동좌에 로우프를 고정한다. 로우프의 고정위치는 제4도에서 로우프(12c)를 과부하 방지장치(21a)쪽의 우단에 로우프(12a)를 과부하 방지장치(21b)의 좌단에 고정한다. 제9도에 나타낸 기어방식에도 동일하게 역으로 한다.
예를들어 로우프를 감은 드럼의 회전축의 외주면에 다수의 걸어맞춤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회전축과 동심상이고 걸어맞춤부재의 외주에 내치기어를 회전하지 못하도록 설치한다. 과부하 방지장치의 설치 위치는 로우프의 고정위치이면 예를들어 트롤리가 주행하는 기어더나 달아메는 기구라도 된다.
특히 크레인에서는 달아메는 기구의 세로경전, 가로경전, 선회등의 제어를 행하는 장치를 설치하는 일이 많다. 장치의 점유면적을 작게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어배치에 본 과부하 방지장치를 설치하면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체에 의해 눌려진 걸어맞춤부재를 치형에 걸어맞추어서 탄성체를 밀어올리는 힘에 의해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되어 있어서 스트로크가 작더라도 큰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고 또한 신뢰성을 크게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6)
- 요철(凹凸)을 여러번 연속시켜서 구성한 치형(23a)을 가진 치형부재와, 상기 치형(23a)의 요부에 들어갈 크기의 걸어맞춤편(41)을 가지는 걸어맞춤부재와, 상기 걸어맞춤부재(24,63)를 랙(23) 및 기어(61)와 같은 치형부재에 대해서 회전자유로이 부착한 지지부재(22)와 걸어맞춤부재(24),(63)의 걸어맞춤편(41)을 상기 치형(23a)으로 향해서 누르는 걸어맞춤부재(24),(63)와 지지부재(22)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재로 구성되며, 치형부재와 지지부재(22)의 어느 한쪽이 달아메는 기구에 연결가능하고, 그 한쪽 부재가 다른쪽의 부재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이동가능한 부재의 이동방향이 치형의 연속방향이고 상기 이동 가능한 부재의 이동에 의해 걸어맞춤부(24),(634)가 상기 요부로부터 이탈되도록 걸어맞춤부재(24),(63) 및 치형(23a)을 설치한 것이 특징인 권상장치의 과부하 방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2)내에 대한 랙(23) 및 기어(61)와 같은 치형부재의 상대적인 이동방향에 있어서, 지지부재(22)에 대한 걸어맞춤부재(24),(63)의 회전을 중심(36)은 걸어맞춤편(41) 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걸어맞춤부재(24),(63)에 대한 탄성부재의 힘이 누름점은 회전의 중심축(36) 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는 구성의 권상장치의 과부하 방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2)에 대한 치형부재의 상대적인 이동방향에 있어서, 지지부재(22)에 대한 걸어맞춤부재(24),(63)의 회전의 중심축(36)은 걸어맞춤편(41) 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걸어맞춤편(41)의 전방측의 면은 걸어맞춤부재(24),(63)가 회전하므로서 걸어맞춤편(41)의 최선단이 그리는 쾌적보다도 후방위치에 설치되는 구성의 권상장치의 과부하 방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2)에 대한 상기 치형부재의 상대적인 이동방향에 있어서, 상기 치형(23a)의 산의 전면측에 경사면의 각도는 배면측의 경사면의 각도보다도 작게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장치의 과부하 방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재(24),(63)의 수는 복수이고, 상기 치형(23a)에 대한 각각의 위치를 달리하여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수는 복수이고, 복수의 걸어맞춤부재(24),(63)의 각각에 배치되어 구성되는 권상장치의 과부하 방지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걸어맞춤부재(24),(63)는 치형의 1피내에 각각 위치에 달리하여 배치하는 구성의 권상장치의 과부하 방지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재(24),(63)는 1피치를 균등분할한 위치에 각각 배치하는 구성의 권상장치의 과부하 방지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재(24),(63)의 그 수에 있어서 1피치내에 3의 정수배의 수로 균등분할 배치되어 구성되는 권상장치의 과부하 방지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걸어맞춤부재(24),(63)는 치형(23)의 복수의 1피치의 각각의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구성의 권상장치의 과부하 방지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시 복수의 걸어맞춤부재(24),(63)의 걸어맞춤편(41)이 하나가 대응 치형(23a)의 요부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가 대응 치형(23a)의 산의 정상에 위치하고 또 다른 하나는 대응 치형(23a)의 산의 정상에 위치하고 또 다른 하나는 대응 치형(23a)의 상과 요부의 중간위치에 위치하는 구성의 권상장치의 과부하 방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재는 직선상태이고, 상기 이동가능한 부재를 직선 이동가능하게 설치한 구성의 권상장치의 과부하 방지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재 랙(23)으로 구성되는 권상장치의 과부하 방지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랙(23)을 이동가능하게 설치한 구성의 권상장치의 과부하 방지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2)의 중심에 설치되는 배면좌(31)의 양측에 각각 랙(23)을 병렬로 배치하고, 이 랙(23)은 배면좌(31)를 중심으로 한 외측의 면에 치형(23a)을 향하여 각각의 랙(23)은 배면좌(31)을 향해 누르게 한 걸어맞춤부재(24) 및 탄성부재(22)를 외측으로 배치한 구성의 권상장치의 과부하 방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재는 대략 원호형이고, 상기 이동가능한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이동 가능한 부재에 달아메는 기구와 연결하는 부재를 감아 걸어 고정가능하게 설치한 구성의 권상장치의 과부하 방지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한 부재에 연결하는 부재를 소정회수 감아걸어 설치한 구성의 권상장치의 과부하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59-54220 | 1984-03-23 | ||
JP59054220A JPS60202092A (ja) | 1984-03-23 | 1984-03-23 | 巻上装置の過負荷防止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50006379A KR850006379A (ko) | 1985-10-05 |
KR890002080B1 true KR890002080B1 (ko) | 1989-06-16 |
Family
ID=12964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50001285A KR890002080B1 (ko) | 1984-03-23 | 1985-02-28 | 권상장치의 과부하 방지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4671494A (ko) |
JP (1) | JPS60202092A (ko) |
KR (1) | KR890002080B1 (ko) |
DE (1) | DE351049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850240A (en) * | 1988-04-04 | 1989-07-25 | Outboard Marine Corporation | Detented slide control assembly |
DE10205434A1 (de) * | 2002-02-07 | 2003-08-28 | Demag Mobile Cranes Gmbh | Einrichtung zur Lasterfassung an einem Hubwerk |
US8015727B2 (en) * | 2003-11-11 | 2011-09-13 | Lg Electronics Inc. | Dryer rack |
JP2006096500A (ja) * | 2004-09-29 | 2006-04-13 | Mori System:Kk | 巻上装置 |
DE102004062515A1 (de) * | 2004-11-25 | 2006-06-01 | M.A.T. Malmedie Antriebstechnik Gmbh | Systemanordnung eines Hubwerkes, insbesondere für einen Containerkran zum Heben von Lasten und Verfahren zum Betrieb der Systemanordnung |
DE102007062823A1 (de) * | 2007-12-21 | 2009-08-20 | Rag Aktiengesellschaft | Zugkraftbegrenzer |
US9950908B2 (en) | 2016-03-10 | 2018-04-24 | Magnetek, Inc. |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load in a material handling system |
CN107651553A (zh) * | 2017-09-29 | 2018-02-02 | 武汉船用机械有限责任公司 | 一种起重机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19367A (en) * | 1879-09-09 | Improvement | ||
US757272A (en) * | 1903-05-02 | 1904-04-12 | Fred B Aiman | Belt-stretcher. |
US884776A (en) * | 1907-05-20 | 1908-04-14 | Richard J Tanner | Carpet-stretcher. |
US1174280A (en) * | 1915-06-07 | 1916-03-07 | Charley Hines | Wire-stretcher. |
FR640670A (fr) * | 1927-09-08 | 1928-07-19 | Fabrication D App De Mesure So | Dispositif de rattrapage de jeu |
US2136596A (en) * | 1937-12-16 | 1938-11-15 | Archie Tipton | Well drilling machine |
CH287660A (de) * | 1951-01-03 | 1952-12-15 | Axien Carl Leo Sen | Sperrklinken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Spille. |
FR2144095A5 (ko) * | 1971-06-30 | 1973-02-09 | Carpano & Pons | |
GB1505645A (en) * | 1974-07-30 | 1978-03-30 | Stothert & Pitt Ltd | Apparatus for use in raising or lowering a load in a condition of relative motion |
SE407203B (sv) * | 1975-03-14 | 1979-03-19 | Piab Ab | Lastvakt vid telfrar, lyftkranar och liknande |
JPS5651878A (en) * | 1979-10-04 | 1981-05-09 | Fuji Electric Co Ltd | Manufacture of mis composition amorphous silicon solar cell |
US4399534A (en) * | 1980-12-23 | 1983-08-16 | Gte Automatic Electric Labs Inc. | Dual rail time and control unit for a duplex T-S-T-digital switching system |
FR2515627A1 (fr) * | 1981-11-02 | 1983-05-06 | Kinziger Ets C | Treuil de securite |
DE3203750C2 (de) * | 1982-02-04 | 1986-07-24 | Edith 6901 Dossenheim Rutzki | Spannschloß für Gurtbänder |
-
1984
- 1984-03-23 JP JP59054220A patent/JPS60202092A/ja active Granted
-
1985
- 1985-02-28 KR KR1019850001285A patent/KR89000208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5-03-18 US US06/712,771 patent/US4671494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5-03-22 DE DE19853510490 patent/DE3510490A1/de active Gran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50006379A (ko) | 1985-10-05 |
JPS60202092A (ja) | 1985-10-12 |
US4671494A (en) | 1987-06-09 |
DE3510490A1 (de) | 1985-10-03 |
JPH0557199B2 (ko) | 1993-08-23 |
DE3510490C2 (ko) | 1987-10-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890002080B1 (ko) | 권상장치의 과부하 방지장치 | |
JPS58157697A (ja) | レバ−式小型巻上兼牽引装置 | |
KR960005022B1 (ko) | 레버식 권상견인기 | |
US4120486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lip-free hauling of a rope or the like | |
CN1044895C (zh) | 链式杠杆葫芦 | |
WO1994004223A1 (en) | Rescue system | |
CN114684686B (zh) | 一种曳引电梯限速制动装置 | |
US5857635A (en) | Cable drum for a cable driven apparatus | |
US4468005A (en) | Lever hoist | |
CA2546966C (en) | Safety locking mechanism for elevator car | |
KR100227564B1 (ko) | 벨트식 호이스트 | |
JPH11349251A (ja) |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 |
CN111498641A (zh) | 轿厢的驻车装置 | |
US6406001B1 (en) | Chain lever hoist | |
US5348117A (en) | Rescue system | |
JP2630108B2 (ja) | エレベータ用ガバナロープの引上装置 | |
KR102279349B1 (ko) | 가변형 로프드럼이 구비된 동력등강기 | |
CN212403069U (zh) | 轿厢的驻车装置 | |
DK201970761A1 (en) | Self-tailing winch | |
US2681204A (en) | Puller device | |
JPS61217495A (ja) | 巻上装置の過負荷防止装置 | |
CN216580894U (zh) | 单辊筒液压锚机 | |
CN219449023U (zh) | 一种可以实现自动扶梯桁架空中翻转的吊装工具 | |
NZ284073A (en) | Windlass with rope wound only once | |
RU2026262C1 (ru) | Ручная таль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60610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