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960Y1 - 푸시버튼 스위치 - Google Patents

푸시버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960Y1
KR890001960Y1 KR2019840002554U KR840002554U KR890001960Y1 KR 890001960 Y1 KR890001960 Y1 KR 890001960Y1 KR 2019840002554 U KR2019840002554 U KR 2019840002554U KR 840002554 U KR840002554 U KR 840002554U KR 890001960 Y1 KR890001960 Y1 KR 8900019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cover
stem
recess
case
movabl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25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409U (ko
Inventor
야스오 마쯔이
Original Assignee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7699583U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82828U/ja
Priority claimed from JP7750183U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82829U/ja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filed Critical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64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4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9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9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푸시버튼 스위치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푸시버튼 스위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1도는 동 푸시버튼 스위치의 단면도,
제2도는 동 푸시버튼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제3도 및 제4도는 본 고안의 푸시버튼 스위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3도는 동 푸시버튼 스위치의 단면도,
제4도는 동 푸시버튼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1a : 오목한 개구 주연부
1b : 계단부 1c : 볼록부
1d : 환상돌출부 2,3 : 고정접점
4 : 가동접점 5 : 스템
6 : 고무커버 6b : 플랜지부
7 : 환상 밀봉 부재
본 고안은 케이스의 오목한곳안에 수납된 가동 접점을 스템(stem)으로 눌러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이 가동접점을 오목한곳 안의 밑바닥에 노출되어 있는 고정접점에 접촉시키도록한 푸시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푸시버튼 스위치로서는, 밑바닥에 고정접점이 노출된 오목한곳에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안에 가동접점 및 이것을 누르는 스템이 수납되어 있는 동시에 이 스템이 오목한곳으로부터 튀어나오지 않도록 누름판을 오목한 개구 주연부에 부착시킨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스템은 누름부와 이 주위에 형성된 플랜지부로써 형성되어, 이 누름부가 누름판의 개구부로부터 돌출하는 한편 플랜지부가 누름판으로 가리워짐으로써, 오목한곳으로 부터 튀어 나오지 않는 상태에서 드나들수 있도록 수납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푸시버튼 스위치에 있어서는 스템과 누름판은 맞닿은 상태에 있을뿐 이 사이에 밀봉 작용은 없으므로, 프린트 기판에 납땜할 때 플러스(flux)나 사용시에 있어서 먼지등이 스위치내에 침입하여 접점의 접촉불량등이 발생하여 스위치 성능이 나빠질 우려가 있었으며, 또한 스위치를 세척할 때에 스위치안으로 용제가 들어가지 못하게 하면서 세척하기가 대단히 번거로웠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을 고무커버의 주연부를 오목한 개구 주연부에 코킹(calking)에 의해 장착시켜 이 고무커버로 스템 및 오목한 개구를 덮어줌으로써 스위치안으로의 플럭스, 먼지, 혹은 용제등의 침입을 방지하고, 또한 코킹의 힘에 의해 고무 커버 주연부에 들어가는 환상 돌출부를 케이스 개구 주연부에 형성함으로써 고무 커버 주연부와 케이스 개구 주연부와의 밀봉성을 좋게하여 스위치내의 밀봉성을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이물의 침입을 보다 완전히 방지하여 스위치 성능이 나빠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스위치 세척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한 푸시버튼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오목한 개구 주연부에 고무 커버 주연부와 함께 고정되는 환상 밀봉 부재를 설치하여 이 고정부위의 밀봉성을 좋게함으로써 스위치내에 상기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보다 완전히 방지하고 스위치 성능의 저하 방지를 도모함과 동시에 스위치 세척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한 푸시버튼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구성을 설명한다. 도면중 부호 1은 오목한 곳(A)이 형성된 케이스이며, 이 오목한곳(A)의 밑바닥에 고정접점(2)(3)이 노출되어 있고, 이 오목한곳(A)안에 가동접점(4) 및 스템(5) 및 스템(5)이 들어있으며,동시에 고무커버(6)로 이 스템(5 ) 및 오목한 곳(A)의 개구부가 가리워져 있다.
구체적으로 가동접점(4)은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돔(dome)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가동접점(4)의 둘레가 한쪽의 고동접점(2)에 항상 접촉되어 있고 가동접점(4)의 중앙부는 다른쪽의 고정접점(3)과는 격리되어 있어서 가동접점(4)이 고동접점(3)쪽으로 힘을 받으면 탄성 변형 됨으로써 가동접점(4)의 중앙부가 고동접점(3)과 접촉되도록 오목한곳(A)안에 설치되어 있다.
또 스템(5)은 중앙부에 설치된 원기둥 형태의 돌출부(5a)와 이 원기둥 형태의 돌출부(5a)의 둘레에 형성된 플랜지부(5b)및 가동접점(4)의 중앙부에 맞닿는 반구(半球)형태의 누름 돌출부(5c)로서 구성되며, 가동접점(4)에 의해 밀려 올라간 형태로 오목한곳(A)내에 드나들 수 있게 넣어져 있다.
또한 고무커버(6)플레온(Freon) 등의 용제에 대해 팽윤율(膨潤率)이 작은 클로로 플렌고무재료로서 모자 모양이다. 즉, 스템의 원기둥형태 돌출부(5a)를 덮기에 적합한 형태로 형성된 본체(6a)와 이 본체(6a)의 주위에 이어져서 오목한곳(A)의 개구 주연부(1a)의 에 장착되는 고무 커버 주연부인 플랜지부(6b)로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한곳(A)의 개구 주연부(1a)에는 내벽에 플랜지부(6b)를 얹을 수 있는 계단부(1b)가 형성되는 한편 코킹에 의해 계단부(1b)상면과의 사이에서 플랜지부(6b)를 끼워서 고정하는 볼록부(1c)가 케이스(1)상면의 개구 주연에 형성되고, 또한 이 볼록부(1c)의 코킹력으로 플랜지부(6b)에 파고 들어가는 환상 돌출부(1d)가 계단부(1b)상면에 오목한곳(A)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푸시 버튼 스위치의 조립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고무커버(6)로 스템(5)을 씌운다, 즉, 본체(6a)로써 스템의 원기둥형태 돌출부(5a)들 덮어 씌운다. 그리고 오목한 곳(A)안에 가동접점(4)과 고무커버(6)가 씌워진 스템(5)을 넣음과 동시에 고무커버(6)의 플랜지부(6b)를 오목한 개구 주연부(1a)의 계단부(1b)위에 얹어 놓는다. 그런후 볼록부(1c)를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스핀코킹 혹은 열코킹함으로써, 고무커버(6)의 플랜지부(6b)를 계단부(1b)상면과의 사이에 끼워서 고정한다. 이때의 코킹력으로써 고리 모양 돌출부(1dc)가 플랜지부(6b)에 파고 들어감으로써 이 부위에서의 양자의 압착력이 커진다. 그래서 고무커버(6)와 케이스(1)와의 사이의 밀봉성이 환상 돌출부(1d)를 설치하지 않을때보다 한층 향상된 상태로 고무커버(6)에 의해 스템(5) 및 오목한곳(A)의 개구가 가리워지게 된다.
이와같은 푸시버튼 스위치에서는, 고무커버(6)에 의해 스템(5) 및 오목한곳(A)의 개구가 가리워지고, 더우기 환상 돌출부(1d)로써 밀봉성이 보다 향상되어 있으므로 프린트 기판에 납땜할 때 플럭스나 사용시에 있어서 먼지 등이 스위치안으로 침입하는 일이 없고 스위치 성능이 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또 플레온 등의 용제를 사용하여 세척을 할 때 용제가 오목한곳(A)안으로 들어가는 일이 없으며, 더구나 고무커버(6)가 이 용제에 대하여 팽윤율이 작은 재질이므로 용제에 잠겨도 고무커버(6)가 변형하는 일이 없으며, 그 기능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오목한곳(A)으로 용제가 들어가는 것을 유의할 필요없이 스위치 전체를 통채로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환상 돌출부(1d)가 플랜지부(6b)에 파고 들어가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밀봉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고무커버(6)가 케이스(1)에 단단히 고정되어 케이스(1)로 부터 벗어나는 일이 없다.
본 푸시버튼 스위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고무커버(6)의 본체(6a) 즉, 스템(5)의 원기둥 형태 돌출부(5a)를 누르면 고무커버(6)의 플랜지부(6b)에 변형이 생긴다.
그러면 스템(5)이 밀려내러가고, 이 스템(5)의 누름 돌출부(5c)에 의해 가동접점(4)의 중앙부가 눌리면 이 가동접점(3)이 탄성 변형을 일으켜 고정접점(3)에 가동접점(4)의 중앙부가 접촉한다. 그 후 스템(5)의 누름을 해제하면, 가동접점(4)이 원래의 형태로 복귀하여 고동접점(4)에서 떨어지고 이때의 가동접점(4) 복귀력에 의해 스템(5)이 밀려올라가서 원래의 위치까지 복귀한다.
이와같은 동작을 할때 고무커버(6)가 종래의 누름판의 역할을 겸하여 스템(5)이 오목한곳(A)으로부터 튀어나오지 않도록 하고 있다.
다음은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의 것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7은 예를들면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강체)이며, 상기 고무커버 플랜지부(6b)와 거의 같은 크기로 둥근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전체 둘레에 걸쳐 플랜지부(6b)측에 돌출하는 환상홈(7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낸 푸시버튼 스위치의 조립 방법은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푸시버튼 스위치와 거의 같은 것이므로 환상 밀봉 부재(7)의 조립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고무커버(6)의 플랜지부(6b)를 오목한 개구 주연부(1a)의 계단부(1b)위에 얹어놓고, 또한 플랜지부(6b)위에 환상 밀봉 부재(7)를 얹어 놓는다. 그런후 볼록부(1c)를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핀코킹 혹은 열코킹하여 고무 커버 플랜지부(6b) 및 환상 밀봉부재(7)를 계단부(1b)상면과의 사이에 끼워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볼록부(1c)에서 강체로된 환상 밀봉 부재(7)가 직접 압력을 받아서 이 환상 밀봉 부재(7)와 계단부(1b)상면과의 사이에 고무커버 플랜지부(6b)가 끼워진 형태가 된다.
따라서 볼록부(1c)의 코킹력이 각 위치에서 달라졌을 경우라도 플랜지부(6b)와의 사이에 강체로된 환상 밀봉부재(7)를 끼워넣음으로써 광범위에 걸쳐 힘이 전달된다. 그래서 플랜지부(6b)에 작용하는 힘, 즉 환상 밀봉 부재(7)가 플랜지부(6 b)를 압착하는 힘은 전체 둘레에 걸쳐 균일하게 되고, 이 협지 고정된 부위는 전체 둘레에 걸쳐 안정된 밀봉 작용을 얻게 된다.
특히 이때의 코킹력으로써 환상 밀봉 부재(7)의 환상홈(7a)및 계단부(1b)상면의 환상 돌출부(1d)가 플랜지부(6b)에 파고 들어감으로 플랜지부(6b)와 환상 밀봉 부재(7)및 계단부(1b)상면과 접촉압력이 커져서 환상홈(7a)이나 환상 돌출부(1 d)를 설치하지 않을때 보다 이 부위의 밀봉성이 한층 향상된 상태로 고무커버(6)에 의해 스템(5)및 오목한곳(A)의 개구가 가리워지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고무 커버를 설치함으로써 플럭스 번지, 물 혹은 용제등이 스위치안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더구나 환상 돌출부를 설치함으로써 밀봉성을 좋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이물이 들어가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수 있으므로 스위치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스위치 세척작업을 용이하게 행할수 있다.
또한 고무커버 및 환상 밀 부재를 설치하므로서 플럭스, 먼지, 물, 혹은 용제등이 오목한곳 안으로 침입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여 밀봉성의 향상을 도모 할 수 있다.

Claims (3)

  1. 밑바닥에 고정접점(2)(3)이 노출된 오목한곳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와, 그 케이스(1)의 오목한곳 안에 들어있으면서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고동접점(2,3)과 떨어지거나 접촉하는 가동접점(4)과, 상기 케이스의 오목한 곳 안에 들어있으면서 상기 가동접점(4)을 눌러 탄성변형 시키는 스템(5)과, 그 상기 스템 및 상기 오목한 곳의 개구를 씌우며 둘레가 상기 오목한 개구 주연부(1a)에 장착된 고무커버(6)등으로 형성되며, 상기 오목한 개구 주연부(1a)에는 상기 고무커버(6)의 플랜지부(6b)를 얻을 수 있는 계단부(1b)가 형성되며, 코킹에 의해 그 계단부(1b) 상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고무 커버 플랜지부(6b)를 협지 고정하는 볼록부(1c)가 상기 케이스(1)의 상면의 개구 주연에 형성되고, 코킹력에 의해 상기 고무 커버 플랜지부(6b)에 파고 들어가는 환상 돌출부(1d)기 상기 계단부(1b) 상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고무커버(6)는 용제에 대해 팽윤율이 작은 재료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고무 커버 플랜지부(6b)와 거의 같은 크기로서 그 플랜지부(6b)와 함께 상기 오목한 개구 주연부(1a)에 고정되는 강체의 환상 밀봉 부재(7)를 상기 고무 커버 플랜지부(6b)와 상기 케이스의 블록부(1)와의 사이에 끼워 조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KR2019840002554U 1983-05-24 1984-03-23 푸시버튼 스위치 KR89000196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76995 1983-05-24
JP7699583U JPS59182828U (ja) 1983-05-24 1983-05-24 押釦スイツチ
JP7750183U JPS59182829U (ja) 1983-05-25 1983-05-25 押釦スイツ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409U KR840006409U (ko) 1984-12-03
KR890001960Y1 true KR890001960Y1 (ko) 1989-04-10

Family

ID=26418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2554U KR890001960Y1 (ko) 1983-05-24 1984-03-23 푸시버튼 스위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890001960Y1 (ko)
DE (1) DE3419451A1 (ko)
GB (1) GB21406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334679U1 (de) * 1983-12-02 1984-03-01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Taste
US4794215A (en) * 1984-09-29 1988-12-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ush switch sealed against contaminants
DE8515869U1 (ko) * 1985-05-30 1986-11-13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De
DE3519872A1 (de) * 1985-06-03 1986-12-04 Zwicker + Hensel Elektronische Schalttechnik GmbH, 5960 Olpe Scheibenschaltdruck-initiator
DE3711789A1 (de) * 1987-04-08 1988-10-27 Kostal Leopold Gmbh & Co Kg Drucktastenschalter
JPS6429728U (ko) * 1987-08-14 1989-02-22
GB2214352A (en) * 1988-01-12 1989-08-31 Electronic Components Ltd Sealed electrical switch
DE3917659A1 (de) * 1989-05-31 1990-12-06 Merit Werk Merten & Co Kg Schalter, insbesondere rueckfahrlichtschalter, getriebeschalter, temperaturschalter fuer kraftfahrzeuge, endschalter oder dergleichen
US5260532A (en) * 1991-11-01 1993-11-09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Sealed housing for a remote switching device
US5842561A (en) * 1996-01-12 1998-12-01 Alps Electric Co., Ltd. Push-button switch with bridge section integrally connecting movable contact and fixed contact
US5712450A (en) * 1996-08-05 1998-01-27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Splash guard for wiring devices
JP4767125B2 (ja) * 2006-08-09 2011-09-07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ラッチ解除操作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5433A (en) * 1926-05-12 1927-02-10 Albert Edward Zeumer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ignalling and indicating means on vehicles
GB620961A (en) * 1947-02-05 1949-04-01 Crabtree & Co Ltd J A Improvements in and connected with electric switches of the push button type
DE1837986U (de) * 1960-03-04 1961-09-21 Kurt Maecker Oel- und staubdichte druckknopftaste.
FR1525646A (fr) * 1966-05-26 1968-10-23 Commutateur à bouton-poussoir
DE1778252A1 (de) * 1968-04-11 1971-10-28 Hoerauf M Maschinenfabrik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vorzugsweise als becherartige,sich nach oben oder unten verjuengende Behaelter ausgebildeten Werkstueck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8413234D0 (en) 1984-06-27
DE3419451A1 (de) 1984-11-29
GB2140623A (en) 1984-11-28
KR840006409U (ko) 1984-12-03
GB2140623B (en) 1987-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1960Y1 (ko) 푸시버튼 스위치
KR100456825B1 (ko) 패널스위치용가동접점조립체
KR100371753B1 (ko) 푸시 버튼 스위치 및 푸시버튼 스위치용 가동접점체
JPWO2008038690A1 (ja) 防水型押しボタンスイッチ
KR100240115B1 (ko) 푸쉬보턴스위치
EP0013795B1 (en) Watertight seal for toggle switches
KR19980064334A (ko) 푸시 온 스위치
KR970007769B1 (ko) 푸시버튼 스위치
GB1597683A (en) Watch case
CA1065617A (en) Pusher and switch device for electronic watch
JPH11288635A (ja) ケースの防水構造
KR890001961Y1 (ko) 누름단추 스위치
JPH0348816Y2 (ko)
US4117658A (en) Waterproof watch case
JPH0446333Y2 (ko)
US4456357A (en) Release operation device for camera
JPH0218497Y2 (ko)
JPH0351864Y2 (ko)
CN211016857U (zh) 一种具有防水结构的按钮
JPH09161593A (ja) 防水型電子機器用の押し釦装置
JPH0536723U (ja) スイツチ装置
JPH11274753A (ja) 電気機器の防水構造
KR100324784B1 (ko) 푸시버튼스위치
JP3798323B2 (ja) 入力装置
KR200148669Y1 (ko) 방수형 외부스위치의 방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4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