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932B1 - 기록계 - Google Patents

기록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932B1
KR890001932B1 KR1019840006124A KR840006124A KR890001932B1 KR 890001932 B1 KR890001932 B1 KR 890001932B1 KR 1019840006124 A KR1019840006124 A KR 1019840006124A KR 840006124 A KR840006124 A KR 840006124A KR 890001932 B1 KR890001932 B1 KR 890001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data
signal
paper
recording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6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3221A (ko
Inventor
가즈후미 오오따
Original Assignee
요꼬가와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요꼬가와 쇼오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853118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76616A/ja
Priority claimed from JP15672783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64221U/ja
Application filed by 요꼬가와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요꼬가와 쇼오조오 filed Critical 요꼬가와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3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3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G01D9/28Producing one or more recordings, each recording being of the values of two or more different variables
    • G01D9/30Producing one or more recordings, each recording being of the values of two or more different variables there being a separate recording element for each variable, e.g. multiple-pen record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G01D9/28Producing one or more recordings, each recording being of the values of two or more different variables
    • G01D9/32Producing one or more recordings, each recording being of the values of two or more different variables there being a common recording element for two or more vari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G01D9/28Producing one or more recordings, each recording being of the values of two or more different vari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3/0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 G01R13/04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for producing permanent records
    • G01R13/08Electromechanical recording systems using a mechanical direct-writing metho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5Digital input using the sampling of an analogue quantity at regular intervals of time, input from a/d converter or output to d/a conver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3Digital output to plotter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plotter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cording Measured Valu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록계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록계를 도시한 블록선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기록계에 대한 개략 사시도.
제3도는 정상상태에서 기록작업을 하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계의 기능을 도시한 블록선도.
제4도는 본 발명의 기록계의 의한 점기록 작업계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계의 최대치와 최소치 사이의 선분에서 행하는 기록작업을 설명하는 파형도표.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계의 사상기록 작업기능을 도시한 블록선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계의 사상기록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시간도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CPU 2 : ROM
3 : RAM 4 : 입력단자
5 : 다중절환기 6 : A/D변환기
7 : 기록용지 8 : 기록용 이송기구
9 : 기록용지 이송구동회로 10 : 기록헤드
11 : 기록헤드제어회로 12 : 기록헤드구동펄스모우터
13 : 신호발생기 14 : 위치피이드백신호발생회로
15 : 반사식 광감지기 16 : 기록용지단부 검출회로
17 : 전발패널 18 : 전방패널 인터페이스
19 : 튜닝모드 20 : 튜닝보드 인터페이스
21 : 축전지 22 : 버스
본 발명은 소정의 입력신호에 따라 기록용지에 기록작업을 행하는 기록게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한 기록계가 실용화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가 미합중국 특허 제 4,433,338호이다. 통상적인 기록계에 있어서, 기록용지가 습도의 변화로 인하여 늘어나거나 수축하는 경우에는 기록의 정밀성을 유지할 수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기록용지의 팽창 또는 수축에 따른 영향을 수시로 수정하여 기록의 정밀성을 유지하게끔된 기록계가 실용화된 적이 없다. 상기 미합중국 특허 제 4,433,338호의 경우에도 기록용지의 팽창 또는 수축에 따른 영향을 수정하는 것에 관한 개념은 도입되지 못하고 있다.
한편, 보통의 기록계는 주로 변화가 거의 없는 정상상태로 기록작업이나 모니터링 작업을 하는데 사용되므로 긴 샘플주기동안 기록작업을 실행하기에 적합한다. 반면에, 사상기록게는 기록변화가 심한 경우에 불규칙으로 움직이면서 짧은 샘플링주기동안 기록작업을 하는데 사용되며, 그 기록결과는 미시작업분석용으로 이용된다. 이러한 사상기록계에 있어서는 사상의 전후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조작자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다량의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는 메모리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보통 기록계에 있어서는 각 샘플링 순간마다 추출된 데이터를 출력하게 되므로 상기 메모리를 필요로하지 않는다. 이와같이 상기 두 종류의 기록계는 의도목적과 필요기능이 상이하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서로 다른 별개의 장치로 구분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사상기록계에 기록되는 입력신호를 보통기록게와 사상기록계에 공통으로 입력하는 것이 관행으로 되고 있다. 그 결과, 장치의 전반적인 구조가 복잡화되고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더우기, 기록포매트 특성으로 인하여 정상상태에서의 기록작업(정상기록작업)과 비정상상태에서의 기록작업(사상기록작업)간의 차이점을 언뜻 보아서는 정확히 판단할 수 없는 결점이 야기된다.
따라서, 사상기록작업과 정상기록작업은 공통의 기록용지상에 스위칭방식으로 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미합중국 특허 제 4,433,338호는 사상기록작업과 정상기록작업을 공통의 기록용지상에 스위칭방식으로 실행하는 기술개념을 도입하지 못했다. 더우기, 이 경우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정상기록작업이 사상기록작업에 의해 중단되지 않아야 하는 점이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기록용지의 팽창 또는 수축으로 인한 영향을 자동적으로 제거하므로써 항시 기록의 정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기록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록모우드를 절환할 수 있는 기록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상기록작업은 계속되게 하면서 그 도중에 공통이기록용지상에 사상기록작업을 행할 수 있는 기록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도면에 의거하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록계의 블록선도이고, 제2도는 그 개략사시도이다.
이들 두도면에 있어서, (1)은 마이크로프로세서(이하 CPU로 약칭함)이고, (2)는 ROM이고, (3)은 RAM이고, (4)는 입력단자이고, (5)는 다중절환기이고, (6)은 A/D변환기이고 (7)은 기록용지이고, (8)은 기록용지이송기구이고, (9)는 기록용지 이송구동회로이고, (10)은 기록헤드이고, (11)은 기록헤드제어회로이고, (12)는 기록헤드 구동펄스모우터이고, (13)은 신호발생기이고, (14)는 위치피이드백 신호발생회로이고, (15)는 기록헤드(10)에 부착되는 반사식 광감지기이고, (16)은 기록용지단부 검출회로이다. (17)은 전방패널로서 데이터디스플레이(17a)와, 리스트프린트지시푸쉬버튼스위치(17b)와, 디스플레이된 데이터의 채널선택용푸쉬버튼스위치(17c)와, 선택데이터디스플레이(17d1∼17d4), 램프(17e1)-(17e4)와, 사상기록선택푸쉬버튼(17f)과, 사상데이터삭제푸쉬버튼스위치(17g)와, 사상트리거입력지시램프(17h)와 경보램프(17i)와, 고정표시램프(17j)로 구성된다. (18)은 전방 패널 인터페이스이며, (19)는 장치의 작동모우드와, 입력신호의 종류와, 기록범위와, 경보수준등을 설정하는 튜닝보드이고, 이 동조판(19)의 일측에는 디스플레이(19a)와 키이보드(19b)가 부착된다. (20)은 튜닝보드 인터페이스이며, (21)은 RAM(3) 보조용 축전지이다. 그리고 (22)는 버스이다.
CPU(1)는 ROM(2)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의거 각각의 유닛을 제어하는 한편, RAM(3)에 기록된 데이터를 처리하여서 기록헤드(10)에 작동에 의해 기록용지(7)상에 일정한 기록이 이루어지게 한다.
입력단자 (4)에 입력되는 각각의 아날로그 입력신호(Ei1)(Ei2)(Ei3)(Ei4)는 CPU(1)의 제어하에 있는 다중절환기(5)에 의해 0.2초의 주기고 선택되어 A/D변환기(6)로 입력되고, 그 A/D변환기에 의해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다음 RAM(3)에 샘플링데이터(SD)로서 연속적으로 기억된다.
이때,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샘플링주기(TS)는 기록헤드(10)를 구동하여 기록작업을 하기위한 기록주기 (TR)보다 짧게 설정된다. 다시말해서, 기록주기(TR)는 기록용지(7)의 이송속도에 따라 1.5내지 90초의 범위내에서 자동적으로 선택된다. 예컨대, 기록용지(7)가 20mm/h의 속도로 이송될 경우에, 기록주기(TR)는 45초가 된다. 따라서, 이 기록주기(TR)동안에는, 각각의 입력단자(4)로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일련의 샘플링이 실행되고, RAM(3)은 각각의 아날로그신호에 따라 상기 샘플링데이터(SD)를 기억한다. CPU(1)는 각 기록주기(TR)동안의 초기치(기록주기 (TR)직전의 샘플링데이터)와, 최대치와, 최소치 및 평균치를 연산하고, 연산된 데이터를 래디스터 (R1)(R2)(R3)(R4)와 RAM(3)에 각각 기억시킨다. 한편, 샘플링데이터(SD)는 튜닝보드(19)에 의해 설정된 사상데이터기억주기 (T1)(0.2 내지 10초)도안 RAM(3)의 사상데이터메모리(MA1)에 연속적으로 기억된다. 즉, 사상데이터메모리(MA1)는 각각의 입력에 따라 512개의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는 용량을 가진다. 기억용량이 낡은 데이터로 포화되고 있는 경우에, 상기 메모리(MA1)는 낡은 데이터를 하나씩 버리면서 새로운 데이터를 받아들인다.
기록용지(7)는 기록헤드가 주사될때 마다 CPU(1)의 제어하에 있는 기록용지이송기구(9)에 의해 소정의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송된다. 이러한 기록헤드(10)의 주사(상하운동)는 기록용지가 정지해 있는 동안에, CPU(1)의 제어하에 있는 모우터(12)에 의해 기록용지(7)의 이송방향과 수직한 방향에서 행해진다. 기록헤드(10)에는 그 이동방향으로 다수의 칼라펜, 예컨대 적색펜(10a), 녹색펜(10b), 자색펜(10c), 흑색펜(10d)등이 배열되며, 이들 칼라펜은 기록헤드제어회로(11)로부터 제어신호에 따라 하나씩 선택되어 기록용지(7)상에 기록작업을 행한다. 기록헤드(10)의 위치는 신호발생기(13)와 기록헤드위치검출회로(14)에 의해 탐지되며, 그 위치는 0 내지 5,000의 위치피이드백신호(F)로서 RAM(3)에 기억된다. 이와같이 RAM(3)에 기억된 위치피이드백신호(F)는 기록용지단부검출회로(16)로부터 0%측 기록용지단부검출회로(P1)에 의해 리세트된다.
기록헤드(10)에 부착된 반사식광감지기(15)는 반사광선의 유무를 근거로 기록헤드(10)가 기록용지(7)상에 위치해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고, 반사광선의 유무에 따라 ON 또는 OFF되는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백색기록용지(7)는 흑색부품위로 이송되어 반사광선의 유무를 명확히 판단할 수 있게 한다. 기록용지단부 검출회로(16)는 광감지기(15)로부터 출력된 감지신호의 OFF에서 ON과 ON에서 OFF를 검출하므로써 기록용지(7)의 0%측 단부를 나타내는 기록용지단부검출회로(P1)와 100%측 단부를 나타내는 기록용지단부검출신호(P2)를 출력한다.
이하, 제3도의 블록선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록계의 정상기록작업을 설명한다. 제3도에 있어서는, 기록위치연산기(111)와, 수정연산기(112)와, 기록위치결정연산기(113)와, 기록용지폭탐지기(114)가 CPU(1)의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도록 배열된다.
기록위치연산기(111)에는, 튜닝보드(19)에 의해 설정된 기록모우드에 따라 레지스터 (R1)(R2)(R3)(R4)에 기억된 연산데이터로부터 절환스위치(SW)를 사용하여 선택한 데이터(X)가 입력된다.
상기 기록위치연산기(111)는 기록용지(7)의 0%측 단부(즉, 기준위치로)로부터 기록위치의 0%점까지의 거리(Zr)와, 상기 기준위치로부터 기록위치의 100%점까지의 거리(Sr)를 근거로하여 측저입력(X)에 대한 하기 방정식의 연산을 실행하므로써 조정이 행해지는 동안 기록위치신호(Yr)를 결정한다. 다시말해서, 거리(Zr)와, (Sr)은 기록헤드(7)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피치드백신호(F : 0 내지 5,000)로 변환설정된다.
Yr=X(Sr-Zr)+Zr…………………………………………………………………(1)
수정연산기(112)는 이미 결정된 기록용지(7)의 0%측 단부로터 100%측 단부까지 거리를 근거로 기록용지(7)의 팽창비 또는 수축비(Wm/Wr), 즉 기록용지의 기준폭(Wr)과 작업중 측정된 폭(Wm)을 결정하고, 기록위치신호(Yr)에 대한 하기방정식의 수정연산을 실행하므로서 기록용지의 팽창 또는 수축량만큼 수정된 기록위치수정신호(Y)를 결정한다. 다시말해서, 기록용지의폭 (Wr)(Wm)을 위치피이드백신호(F)로 전환한다.
Y=Yr·Wm/Wr……………………………………………………………………(2)
기록위치결정연산기(113)는 기록위치수정신호(Y)와 위치피이드백시호(F)(기록헤드의 위치를 나타냄)간의 격차 △E에 따라 기록헤드제어회로(111)를 통하여 펄스모우터(12)를 구동하므로써, 기록헤드(10)를 기록용지(7)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기록위치수정신호(Y)와 위치피이드백신호(F)의 균형을 맞추고, 균형점에서 기록헤드(10)로 기록지시를 보내어 점기록을 행한다.
기록용지폭탐지기(114)는 기록용지단부검출회로(16)로부터 100%측 기록용지단부신호(P2)가 출력되는 순간에 위치피이드백신호(F)의 값을 판독해서 기록용지의 폭(Wm)을 판정한다.
이상과 같은 구조의 기록계의 따르면, 초기상태에서는 기록헤드(10)가 기록용지(7)의 0%측 단부, 즉 기준위치에 있게되고, 위치피이드백신호(F)는 리세트된다. 상기 기록헤드(10)는 상기 기준위치로부터 기록용지의 100%측 단부쪽으로 이동하고, 그 위치에서 기록위치 기록위치 수정신호(Y)와 위치피이드백신호(F)의 균형을 갖추고, 균형점에서 기록용지(7)상에 점기록을 행한다. 균형점에서 점기록이 완료되면, 기록헤드제어회로(11)는 기록헤드(10)를 100%측 단부쪽으로 더 이동시킨다. 그리하여 기록헤드(10)가 100%측 단부에 도달하게 도면, 반사식광감지기(15)는 변환된 출력을 갖게되고, 기록용지단부 검출회로(16)는 100%측 단부검출신호(P2)를 출력한다. 이 신호(P2)가 발생하면, 기록용지폭탐지(114)는 그 순간에 있어서의 위치피이드백신호(F)의 값을 판독한 다음, 기록헤드(10)의 이동을 중단킨다. 그후에, 기록용지(7)는 소정의 길이만큼 이송된다. 기록용지폭탐지기(114)에서 판독된 위치피이드백신호(F)의 값은 기록용지(7)의 0%측 단부로터 100%측단부까지의 거리, 즉 기록용지의 폭(Wm)이다. 이어서, 기록위치결정연산기(113)는 다시 기록위치수정신호(Y)와 위치피이드백신호(F)의 차이를 연산하여 기록헤드(10)를 기록용지(7)의 0%측 단부로 이동시키므로서 두 신호(Y)와 (F)의 균형을 맞춘다. 균형점에서 점기록을 마친 기록헤드(10)는 0%측 단부쪽으로 더 이동한다. 그리하여 기록헤드(10)가 0%측 기록용지 단부검출회로(P1)를 출력한다. 이 신호(P1)의 발생에 따라 위치피이드백신호(F)는 리세트되고,기록헤드(10)는 기준위치로 되돌아간다. 이와같이 기준위치로 기록헤드(10)가 복귀하면, 기록용지(7)는 다시 소정의 길이만큼 이송된다. 따라서, 기록헤드(10)는 기준위치에서 작동을 시작한 후 그 기준위치를 다시 복귀하기 전까지의 동안에 2회의 점기록을 행하고 기록용지폭(Wm)을 1회 측정한다.
수정연산기(112)는 상기 작동중에 측정된 기록용지폭(Wm)을 기준으로 방정식(2)을 연산하여 기록용지(7)의 팽창 또는 수축비(Wm/Wr)를 결정한다. 그 결과, 기록위치는 기록용지의 팽창 또는 수축에 따라 자동적으로 수정되므로 기록용지의 신축으로 인한 악영향이 발생하지 않는다.
기록용지(7)의 0%측 단부를 기준위치로 하여 위치피이드백신호(F)를 리세트하기 때문에, 기록용지를 기록계에 적당히 세팅하려하더라도 기록용지가 위치를 이탈할 염려가 없고, 그 결과 기록용지의 세팅기구 또는 이송기구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기록용지(7)의 0%측 단부와 100%측 단부를 모두 탐지하게 되므로 특수하게 줄을 친 기록용지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기록용지는 줄의 인쇄밀도나 잉크가 번지는 등으로 인한 폐단이 없다.
한편, 기록용지(7)의 0%측 단부로부터 기록위치의 0%점 까지의 기리(Zr)와 100%점가지의 거리 Sr은 각각 0 내지 5,000의 위피이드백신호(F)로 변화되어 기록위치연산기(111)로 입력되고, 수정연산기(112)의 Wm/Wr비는 1로 설정된다. 그후에, 측정된 입력(X)은 0%측과 100%측으로 절환되고, 기록용지(7)상에 점으로 기록된다. 그리고, 거리(Zr)과 (Sr)은 튜닝보드(19)를 수동으로 조정하므로써 기록위치를 기록용지의 0%점과 100%점에 정확히 위치시킨다. 이어서, 기록헤드(10)를 0%측 단부로부터 100%측 단부로 이동시켜서, 기록용지단부검출회로(16)가 100%측 단부를 검출하여 기준용지폭(Wr)를 설정하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1개의 광감지기(15)를 기록헤드(10)상에 장착하지만, 광감지기(15)의 수를 2개로 해도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측정입력(X)만을 예시했으나, 다수의 측정입력(X1-Xn)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각각의 입력에 대하여 기록위치수정신호(Y1-Yn)를 결정해서 기록헤드가 기준위치로부터 100%측 단부쪽으로 이동할때에는 신호(Y1)으로부터 (Yn)까지 순서대로 점기록을 행하고, 기록헤드가 100%측 단부로부터 기준위치로 복귀할때에는 신호(Yn)부터 (Y1)의 순서로 점기록을 한다.
다시말해서, 기록헤드(10)가 제2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기록용지의 폭방향으로 배열된 4개의 기록펜(10a)(10b)(10c)(10d)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거리(Zr)과 (Sr)을 각각 기록펜에 맞게 조정하므로써 기록펜의 기록위치를 기록용지(7)의 0%점과 100%점에 정확히 일치시킨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2회의 기록작업시마다 기록용지폭을 1회만 측정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측정횟수를 적의 조정할 수 있다.
제4도 및 제5도는 정상기록작업시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4도의 파형은 샘플링데이터의 초기값을 측정입력에 따라 각 채널에 대하여 다색도로 기록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기록해드(10)는 제1채널의 측펜(10b)과, 제3채널의 측정입력(Ei3)을 자색점으로 기록하는 기록펜(10c)과, 제4채널의 측정입력(Ei4)을 흑색점으로 기록하는 기록펜(10d)으로 구성된다. 이때, 데이터시플레이(17a)에는 채널선책푸쉬버튼스위치(17c)로 선택한 체널의 측정입력데이타가 디스플레이된다. 디스플레이데이터의 채널은 그 채널에 대응하는 램프(17e1-17e4)에 의해 표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바와 같이 샘플링데이터의 최대치, 최소치, 평균치는 각 채널에 다색도의 점으로 기록한다.
제5도는 TR기록주기동안의 샘플링데이터의 최대치와 최소치를 연속된 선분형태로 도시한 것으로, 제5(a)도는 측정입력의 파형이고, 제5(b)도는 기록된 파형이다. 최대치와 최소치를 이와같이 연속된 선분형태로 기록하면, 기록주기동안의 신호변화가 고충실도로 기록되므로 연속기록을 하는것과 같은 기록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역시 각 채널에 대하여 다색도의 기록을 행한다.
다음은 제6도의 블록선도와 제7도의 시간챠트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코더의 사상기록작업을 설명한다. 제6도의 블록선도에 있어서, MA1은 스위치(S1)에 의해 샘플링데이터(SD)를 연속적으로 기억하는 사상데이터메모리이며, 상기 스위치는 튜닝보드(19)에 설정된 사상데이터기록주기(T1)(0.2 내지 10초)에 따라 작동한다. R은 샘플링데이터(SD)의 연산결과를 기억하는 레지스터로서, 초기치, 최대치, 최소치, 평균치등을 기억하는 4개의 레지스터(R1-R4)로 분류된다. MA2는 사상기록작업중에 TR주기동안 레지스터(R)의 연산데이터는 스위치(S4)와 (S2)를 거쳐 기록위치연산기(111)로 입력되고, 메모리(MA1)의 데이터는 스위치(S3)를 통하여 기록위치연산기(1110에 입력되며, 메모리(MA2)의 데이터는 스위치(S5)와 (S2)를 거쳐 기록위치연산기(111)로 입력된다. 시간제어회로(115)는 사상발생신호(EV)와, 사상기록선택푸쉬버튼스위치(17f)로부터의 ON-OFF신호(ER)와, 사상데이터제거 푸쉬버튼스위치(17g)로부터의 ON-OFF신호 (CLR)를 받아서, 샘플주기(TS)를 결정하기 위한 펄스(Pa)와 스위치(S1-S6)를 구동하기 위한 펄스(Pb-Pg)를 발생하므로로써 기록위치연산기(111)로 소정의 지시(CS)를 보낸다.
이하, 제7도의 시간차트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록계의 작동을 설명한다. 제(a)도는 기록용지상에 기록된 파형이고, 제7(b)도는 스위치(17f-17g)의 작동에 따라 발생되는 사상발생신호(EV)와 ON-OFF신호(ER)(CLR)를 도시한 것이고, 제7(c)도는 스위치(S1-S6)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정상기록을 하는 동안에 스위치(S2)는 소정의 기록주기(TR)(예컨대, 45초)동안 작동되고, 스위치치(S3)(S5)(S6)는 OFF로되는 한편, 스위치(S4)는 ON이 된다. 그에 따라 레지스터(R)의 연산데이터는 소정주기(TR)동안 출력되어 기록용지(7)상에 기록된다. 이 상태에서 사상이 발생하면, 사상발생신호(EV)가 외부접촉등에 의해서 시간제어회로(115)에 입력된다. 이 신호(EV)를 받은 시간제어회로(115)는 기록헤드제어회로(11)에 지시를 하여 펜(10a)에 의해 기록용지(7)상에 적색마크(M1)가 찍히도록 한다. 사상이 발생한 후, 메모리(MA1)가 데어터의 수집을 완료하면, 시간제어회로(115)는 스위치(S1)를 OFF시켜 메모리(MA1)에 사상데이터가 기억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써 사상데이터를 고정한다. 반면에, 정상기록은 소정의 기록주기(TR)동안 계속적으로 실행한다.
조작자가 사상기록선택푸쉬버튼스위치(17f)를 누르면, 온,오프신호(ER)가 발생하여 CPU(1)는 스위치(S2)를 OFF시켜 정상기록을 중단케 함과 아울러, 기록헤드 제어회로(11)로 지시를 보내어 기록헤드(10)의 펜(10b)에 의해 기록용지(7)상에 녹색의 정상기록중단마크(M2)가 찍히게 하고, 기록용지(7)의 이송속도를 증가시킨다. 정상기록이 중단됨에 따라 상기 CPU(1)는 스위치(32)를 ON으로 절환해서 메모리(MA1)에 기억된 사상상태를 기록용지(7)상에 기록한다. 사상기록시에 있어서, 사상순간은 정상기록시와 같은 방법으로 기록용지(7)상에 적색마크(M3)로 표시한다. 한편, 기록작업중에 있어서, 스위치(S6)는 일정한 정상주기(TR)동안 작동되어서 레지스터(R)의 연산데이터가 메모리(MA2)에 연속적으로 기억되게 한다. 사상기록은 메모리(MA1)에 기억된 사상데이터의 출력이 중단될때까지 계속된다. 사상기록의 시작과 종료시에는 그때의 시각이 기록헤드(10)의 펜(10a)에 의해 적색으로 프린트된다. 사상기록이 종료된 후 잠시 뒤에 CPU(1)는 정상기록주기(RR)용 스위치(S2)를 작동시키고, 스위치(S5)를 제외한 스위치(S3)와 (S4)를 정상기록용으로 복원시키며, 기록헤드제어회로(11)에 지시를 보내어 정상기록으로 복귀하는 마크(M4)를 기록용지(7)상에 녹색으로 표시함과 동시에 기록용지(7)의 이송속도를 감소시킨다. 그 결과, 기록용지(7)상에는 사상기록을 전후하여 기록을 하지 않는 부분이 생긴다. 이와같이 비기록부를 형성시키는 이유는 정상기록과 사상기록의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정상기록이 다시 시작되면, 메모리(MA2)에 기억되어 있는 사상기록중의 연산데이터는 기록용지(7)상에 자동적으로 기록된다. 기억데이터가 완전히 출력된 다음에, 스위치(S4)는 ON으로 되는 반면, 스위치(S5)(S6)은 OFF로 되므로써 기록작업이 사상기록에서 정상기록으로 자동절환된다. 따라서 정상기록작업이 계속진행된다. 정상기록작업의 중단 및 재개는 마크(M2)와 (M4)로 표시된다. 이어서, 키이스위치(CLR)를 누르면, 사상데이터가 봉쇄상태에서 해제되어 사상에 대비한다.
상술한 실시예는 사상기록선택푸쉬버튼스위치(17f)를 손으로 눌러서 기록작업을 사상기록으로 절환하는 경우를 예로써 설명한 것이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자동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상데이터의 봉쇄상태 역시 상기 실시예에서는 키이를 눌러서 해제하게 되지만, 사상기록이 종료된 후에 자동적으로 해제되게 하여도 무방하다. 이렇게 되면, 사상기록은 자동스위치기능의 조합에 의해 자동적으로 반복된다. 그리고, 하나의 아날로그 입력만을 사용하는 전술한 실시에서와는 달리, 다수의 아날로그입력을 사용하더라도 복수의 사상데이터메로리와 샘플링데이터메모리를 구비하고 있기만 하면 상기와 동일한 작동을 실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기록계는 사상기록중에 정상기록용 샘플링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를 구비한다. 따라서, 정상기록을 중단시킴이 없이 동일 기록용지상에 사상기록을 행할 수 있으므로 정상기록과 사상기록을 비교하기가 용이하고, 사상기록을 정상기록과 병행하여 연속적으로 신속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기억메모리의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5)

  1. 소정의 샘플링주기동안에 아날로그입력신호를 디지탈샘플링데이터로 변환하는 A/D변환기와, 기록용지를 이송하는 기록용지이송기구와, 소정의 기록주기동안 기록용지 상에 기록을 행하는 기록헤드와 상기 기록헤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신호발생기를 가진 위치피이드백신호발생회로와, 상기 기록헤드상에 장착된 기록용 지단부 검출센서와, 마이크로프로세서와, ROM 및 RAM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샘플링데이터에 의거한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기록위치신호를 연산하고, 상기 기록용단부 검출센서에 의해 측정된 0%측 단부와 100%측 단부사이의 실측폭과 기준폭에 의거 상기 기록위치신호를 수정하여 기록용지의 신축에 따른 기록위치수정신호를발생하고, 상기 기록위치수정신호에 따라 상기 기록헤드의 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기록위치수정신호와, 위치피이드백신호가 균형을 이루는 위치에서 상기 기록용지상에 기록헤드에 의한 기록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헤드는 상기 아날로그입력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기록위치수정신호를 상기 기록용지상에 기록함과 동시에 기록위치수정신호를 순서대로 주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헤드는 기록용지의 이송방향으로 배열된 일련의 다색도 잉크펜을 가지며, 상기 다색도잉크펜은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일련의 기록위치수정신호를 기록용지상에 다색도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피이드백신호는 상기 기록용단부검출센서가 상기 기록용지의 0%측 단부를 검출함에 따라 리세트되어 상기 기준위치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상기 기록용지의 100%측 단부를 검출했을 때의 위치피이드백신호는 기록용지신호로 판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입력신호의 샘플링주기를 상기 기록주기보다 짧게 하여 상기 기록주기 동안에 상기 아날로그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일련의 샘플링의 행함므로써 상기 샘플링데이터의 초기치, 최대치, 최소치, 평균치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헤드는 상기 샘플링데이터의 초기치를 점으로 기록하는 특징으로 하는 기록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헤드는 상기 샘플링데이터의 최대치를 점으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계.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헤드는 상기 샘플링데이터의 최소치를 점으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계.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헤드는 상기 샘플링데이터의 평균치를 점으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계.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헤드는 상기 샘플링데이터의 최대치와 최소치를 연속선분으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계.
  12. 제1항에 있어서, 사상데이터기억주기동안 상기 아날로그입력신호의 샘플링데이터를 연속적으로 기억하는 사상데이터메모리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여서 기록용지상에 상기 샘플링데이터에 근거한 정상기록과 상기 사상데이터메모리에 기억된 데이터를 근거로 한 사상기록이 스위칭방식으로 행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계.
  13. 제12도에 있어서, 상기 기록헤드는 상기 정상기록과 사상기록이 행해질때 마다 기록용지상에 사상의 발생순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계.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헤드는 스위치가 상기 사상기록층으로 절환된 다음에 상기 정상기록이 중단되는 순간과 정상기록이 재개되는 순간을 기록용지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계.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상기록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샘플링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기억메모리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상기 데이터기억메모리에 기억된 데이터가 상기 사상기록의 종료후에 자동적으로 출력되게 함으로써 정상기록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계.
KR1019840006124A 1983-10-04 1984-10-04 기록계 KR8900019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531183A JPS6076616A (ja) 1983-10-04 1983-10-04 記録計
JP58-185311 1983-10-04
JP58-156727 1983-10-07
JP59-156727 1983-10-07
JP15672783U JPS6064221U (ja) 1983-10-07 1983-10-07 記録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221A KR850003221A (ko) 1985-06-13
KR890001932B1 true KR890001932B1 (ko) 1989-05-31

Family

ID=26484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6124A KR890001932B1 (ko) 1983-10-04 1984-10-04 기록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591871A (ko)
KR (1) KR890001932B1 (ko)
AU (1) AU571581B2 (ko)
BR (1) BR8404992A (ko)
NL (1) NL840302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43588B1 (en) * 1986-02-04 1992-12-30 Colin Electronics Co., Ltd. Living body information recorder
JPS62228907A (ja) * 1986-03-31 1987-10-07 Toshiba Corp 記録計
AU588708B2 (en) * 1987-01-09 1989-09-21 Toshiba, Kabushiki Kaisha High-accuracy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JPS6453897A (en) * 1987-08-26 1989-03-01 Toshiba Corp Postscript type automatic printer
JP2907597B2 (ja) * 1991-07-29 1999-06-21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媒体の検出方法
JP2694884B2 (ja) * 1991-09-18 1997-12-24 株式会社テック プリンタ
US5511891A (en) * 1994-06-14 1996-04-30 Varitronic Systems, Inc. Tape printing machine with IR sensing
US6039481A (en) * 1996-12-31 2000-03-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per width detec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nk-jet printer
US20060077242A1 (en) * 2004-09-29 2006-04-13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er and printing control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3338A (en) * 1981-03-31 1984-02-21 Yokogawa Hokushin Electric Corporation Multiple-color recording apparatus
JPS5871413A (ja) * 1981-10-23 1983-04-28 Nippon Denshi Kagaku Kk 電子式自動平衡型多ペン記録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L8403027A (nl) 1985-05-01
US4591871A (en) 1986-05-27
KR850003221A (ko) 1985-06-13
AU571581B2 (en) 1988-04-21
AU3379184A (en) 1985-04-18
BR8404992A (pt) 1985-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3218A (en) Hand-held image reading apparatus
US4428287A (en) Method for production of impressions of accurate register on printing presses
KR890001932B1 (ko) 기록계
US3970393A (en) Automatic compensation for densitometer imbalance
JPH0426044B2 (ko)
US4441819A (en) Calibration method for printing plate picture pattern area meter
JPS6123133A (ja) 複写機の倍率設定装置
JPS6026175B2 (ja) 欠陥検出法
JPS5975760A (ja) 光走査方式
JP2000196806A (ja)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情報読み取り装置、記録装置、情報読み取り方法、及び記憶媒体
EP058463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meandering in printed matter test syste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image pickup position in this system
JPS6217170B2 (ko)
JPS61193054A (ja) 印刷物の欠陥検知方法
JPS63268677A (ja) ラベルプリンタ
JP2788905B2 (ja) 用紙検出装置
JPH06144640A (ja) 複写装置
JP2744522B2 (ja) エンボス読取装置の調整方法
JPH0528794B2 (ko)
JPH0563310B2 (ko)
JPH0212570Y2 (ko)
KR950001103B1 (ko) 칼라비디오 프린터의 잔량표시 잉크리본 및 잉크리본 잔량표시방법
JPH08156282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620089Y2 (ja) 路面平坦度測定装置
JPH0632032A (ja) プリンタの用紙幅検出装置及び同方法
JPS6468686A (en) Paper sheet detec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2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