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642B1 - 샤아프 펜슬 - Google Patents

샤아프 펜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642B1
KR890001642B1 KR1019860003426A KR860003426A KR890001642B1 KR 890001642 B1 KR890001642 B1 KR 890001642B1 KR 1019860003426 A KR1019860003426 A KR 1019860003426A KR 860003426 A KR860003426 A KR 860003426A KR 890001642 B1 KR890001642 B1 KR 890001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slider
tip
chuck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3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0962A (ko
Inventor
히데헤이 가게야마
오시히데 미쯔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고도부끼
가게야마 도시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고도부끼, 가게야마 도시히꼬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고도부끼
Priority to KR1019860003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1642B1/ko
Publication of KR870010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0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06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the writing-cores fed by means sliding in longitudinally-slotted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22Writing-cores gripping means, e.g. chuck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샤아프 펜슬
제 1 도는 본발명 샤아프펜슬에 대한 1실시예의 종단면도.
제 2(a)도, 제 2(g)도는 본 발명 샤아프펜슬에서 슬리이브와 선단수납부가 걸어끼워지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샤아프펜슬에 있어서 리이드척의 부분 적인 종단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평면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X-X선 단면도.
제 6 도는 제 4 도의 Y-Y선 단면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샤아프펜슬에서 필심이 몰려지는 톱니 부재의 평면도.
제 8 도는 제 7 도중 톱니부재의 단면도.
제 9 (a)도, 제 9(b)도 및 제10도는 톱니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샤아프펜슬에서 리이드척과 선단수납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샤아프펜슬중 선단통의 정면도 및 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샤아프펜슬에서 쿠션용 제 3 스프링의 정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샤아프펜슬에서 쿠션용 제 3 스프링의 종단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샤아프펜슬에 대한 선단수납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샤아프펜슬의 마찰보호부재의 단면도.
제17도 내지 제2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샤아프펜슬에서 필심송출동작을 설명한 동작설명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외통 1a : 스토퍼단부
2 : 선단켑 2a : 단부
3 : 필심파이프 4 : 선단수납부
4a : 선단구멍 4c : 블록부
4d : 턱부 4e : 오목부
4f :신축편 5 : 필심송출기구
6 : 리이드척 6a : 걸림단부
6b :테이퍼통부 6c : 블록부
7 : 슬리이브 7b : 홈
7c : 돌기 7d : 경사부
7e : 거친면 7f1,7f2: 경사면
7g : 테이퍼벽 7h :금속통
7i : 덮개부 7j : 외측단부
9 : 선단통 9a : 내측걸림단부
10 : 보올지지부 11 : 보올
12 : 제 1스프링 13 : 제 2 스프링
14 : 필심 15 : 가운데틀
15a : 내측단부 15b : 외측단부
16 : 슬라이더 17 : 제 3 스프링
18 : 슬라이드파이프 19 : 슬라이더본체
19a : 돌출부 19b : 돌기
20 : 마찰부여부재 20a : 마찰부여부
20b,20c : 구멍 21 : 수납부
21a : 돌기부 22 : 가동통
22a : 걸림단부 22b : 슬리트
60 : 필심끼움구멍 61,62 : 척부재
63,64 : 잇빨부 63a,64a : 테이퍼면
63b,64b : 수직면 63c,63d : 바닥부
64c : 외측테이퍼면 71,72 : 오목부
70,73 : 블록부 74,75 : 개폐지점볼록부
본 발명은 샤아프펜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기를 하다가 중단하여 필기용지면등으로부터 필심끝을 떼어 필기압을 해제시켜주면 슬라이더가 자동적으로 필심송출을 시켜주게되고 또 사용하지 않을때에는 슬라이더를 후퇴위치에서 토크시켜줄 수 있도록된 샤아프펜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선단켑내에서 미끄럼왕복이동할 수 있도록된 슬라이더와 다수개의 스프링을 조합시켜놓은 구조로 되어, 필기용지면으로부터 필기압을 해제시켜주게되면 필심이 자동적으로 송출되도록된 자동식 샤아프펜슬이 여러가지 고안되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샤아프펜슬은 그 대부분이 필심소출기구등의 내부구조가 너무 복잡해서 조립작업상 효율이 나쁠뿐만 아니라 부품수도 많아 가격이 비싸지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내부구조를 간략화시켜 필심송출동작이 3가지로 이루어지게 하면서, 선단부를 노크조작으로 필심송출하게되는 동작에 있어서, 필심이 나와 있지않은 경우는 물론 소정량이상 많이 송출되어 있는 경우에도 항상 일정한 양만큼 돌출시켜줄수 있도록 하는 효과와 더불어, 사용한후 윗주머니등에 꽂아서 휴대하고자 할때에도 상기 슬라이더가 흔들려 후퇴이동하게 되므로서 필심만이 송출됨에 따라 의복이 더렵혀진다든지 필심이 부러지게되는 것과같은 일이 없도록한 샤아프펜슬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에 도시된바와같이, 외통(1)에는 그 선단에 선단캡(2)이 끼워지고, 그 내부에는 앞쪽축방향으로 미끄럼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필심파이프(3)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필심파이프(3)의 선단에는 선단수납부(4)가 끼워지는 한편 이 선단수납부(4)의 앞쪽에는 접촉간거리(a)를 두고 필심송출기구(5)가 배치되어져 있다.
상기 선단수납부(4)에는 후술하는 리이드척(6)의 후단이 눌려져서 끼워지는 선단구멍(4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선단수납부(4)는 슬리이브(7)로서 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 맞추어져 있다. 여기서 선단수납부(4)와 슬리이브(7)의 끼워 맞춰짐은 슬리이브(7)가 선단통(9)에 맞닿아질때까지 일체적으로 이동하다가 그 다음부터는 선단수납부(4)만이 전진하게 되도록 끼워맞춰지기만 한다면 어떤 구조로 되어도 좋다. 그 예로서는 제 2 도에 도시되어져 있는 각종예를 들수 있는바, 이를 각 도면별로 상세히 설명하자면, 제 2(a)도 및 제2(b)도는 슬리이브(7)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서, 선단수납부(4)의 블록부(4c)와 이동할 수 있도록 걸려지는 홈(7b)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7b)에는 돌기(7c)가 설치되는데, 이 부분 홈의 폭(A)은 볼록부(4c)의 폭(B)보다 작게 형성되어 슬리이브(7)가 선단통(9)에 닿을때까지는 블록부(4c)가 홈(7b)의 돌기(7c)에 걸어맞춰져 일체로 이들 모두가 이동하다가, 그 다음부터는 볼록부(4c)가 돌기(7c)를 눌러 열고 전지하여 선단수납부(4)만이 홈(7b)선단까지 전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특히 제 2(b)도에 대해서 사세히 설명하면, 홈(7b)의 돌기(7c)에 이어져 형성되면서 볼록부(4c)보다 폭이 좁은 경사부(7d)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볼록부(4c)가 돌기(7c)를 넘어간 후에도 블록부(4c)가 경사부(7d)를 눌러 넓히면서 전진한다.
또, 제 2(c)도 슬리이브(7)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홈(7b)일부에는 볼록부(4c)에 소정의 마찰을 주게되는 거친면(7e)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데, 이 거친면에 의해서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슬리이브(7)가 선단통(9)에 닿을때까지는 볼록부(4c)에 마찰정항을 주어 선단수납부(4)와 슬리이브(7)가 함께 이동하게 되다가 그 다음부터는 선단수납부(4)만이 전진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제 2(d)도, 제2(e)도 마찬가지로 슬리이브(7)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절곡시킨 형상으로된 홈(7b)이 형성되어 슬리이브(7)와 선단수납부(4)가 같은 형식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특히, 제 2(d)도의 홈(7b)의 폭(A)은 볼록부(4c)의 폭(B)보다 좁아 볼록부(4c)에 소정의 마찰력을 부여하게 되고, 반대로 폭(C)은 볼록부(4c)의 폭(B)보다 넓게되어 슬리이브(7)와 선단수납부(4)가 상기와 같이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져 있다. 또, 제 2(e)도의 홈(7b)에도 볼록부(4c)에 소정의 저항을 부여하는 거친면(7e)이 형성되어져 있다.
한편 제 2(f)도 슬리이브(7)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놓은 것으로서, 절곡시켜 놓은 홈(7b)이 슬리이브(7)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데, 이 홈(7b)의 폭(A)은 볼록부(4c)의 폭(B)보다 좁게 형성되어 상기한 실시예와 같이 슬리이브(7)가 선단통(9)에 닿을때까지는 양자가 일체적으로 함께 이동하다가 그 다음부터는 선단 수납부만이 전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g)도 절곡부를 갖춘 홈(7b)에 돌기(7c)와 걸림 경사면(7f1,7f2)을 형성시킨 것으로 상기의 각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제 2(a)도내지 제2(g)도까지의 실시예에서는 볼록부(4c) 및 홈(7b)이 마주 향하는 한쌍으로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제 1 도와 같이 슬리이브(7)의 후단과 선단수납부(4)의 턱부(4d)와는 최소한의 거의(b)를 갖게된다.
또, 필심송출기구(5)는 2개로 분할형성된 리이드척(6)의머리부의 보올지지부(10)에 지지된 보올(11)과 리이드척(6)의 내부에 장착되어 후단부를 상기의 선단수납부(4)에 걸어끼워주게 되는 슬리이브(7) 및 이 슬리이브(7)와 리이드척(6)의 걸림단부(6a) 사이에 탄성을 갖고 장착된 척 체결용 제 1 스프링(12)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리이드척(6)은 단조나 프레스 또는 소결합금등에 의해 형성된 금속 성형품이나 사출성형 또는 압축성형으로 형성시킨 합성수지등으로 형성되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이드척(6)은 제 1 도, 제 3 도,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필심끼움구멍(60)은 축선을 따라 둘로 분할되면서 그 각단면이 반구 형태로 형성된 1쌍의 척부재(61,62)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울지지부(10)와 뒷쪽의 걸림부(6a), 이 걸림단부(6a)의 후단에서 뒤쪽으로 연장되어 후단측이 점차 직경이 적어지는 테이퍼진 테이퍼통부(6b), 축중심부의 상기 필심끼움구멍(60), 끼워맞춤오목부(71,72), 끼워맞춤볼록부(70,73) 및 개폐지점볼록부(74,75)를 갖는다. 여기에서 상기 끼워맞춤오목볼록부(70-73)는 한쪽의 척부재(61)의 끼워맞춤 볼록부(70)가 다른쪽의 척부재(62)의 끼워맞춤 오목부(72)에 각각 끼워맞춰지고 척부재(61,62)의 상호 축 방향의 어긋남을 방재해 주게 된다.
또, 척부재(61,62)의 개폐지점볼록부(74,75)를 상호 맞닿게 하여 척부재(61,62)를 개폐방향으로 지렛대운동을 시키는 지점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도 부드럽게 지렛대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간격(K, 제 1 도참조)을 형성하는 스페이서 기능을 갖고 있다.
한편, 상기 리이드척(6)의 머리부 내벽에는 잇빨부(63,64)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잇빨부(63,64)는, 제 3 도 내지 제 8 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척부재(61,62)에서의 반으로 나눈 필심끼움구멍(60)내주면 중심선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시킨 복수개의 가운데 잇빨부(63)와, 이들 가운데 잇빨부(63)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번갈아 배열시켜 양측으로 엇갈려 위치해 있는 가장자리 잇빨부(64)로 되어 있는데, 이들 잇빨부(63,64)에서 가운데 잇빨부(63)는 전후의 테이퍼면(63a)과 양단의 수직면(63b)으로 이루어지고 가장자리 잇빨부(64)는 전후의 테이퍼면(64a)과 내단벽의 수직면(64b)과 외측테이퍼면(64c)으로 이루어져 있고, 가장자리 잇빨부(64)는 가운데 잇빨부(63)의 상호간을 반으로 나눈 필심끼움구멍(60)내주면을 따라 상기 가운데 잇빨부(63)와 일정한 간격으로 겹쳐지게 배열시켜놓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각 잇빨부(63,64)는 그 각 선단이 예리하게 형성되는 반면 각 잇빨바닥부(63c,63d)가 평면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각 잇빨부(63,64)가 일정간격으로 서로 떨어져서 배열 형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필심찌꺼기등과 같은 가루가 모이게된다는 것과 각 잇빨바닥부(63c,64d)가 평면형태로 형성되어 있기때문에 여기에도 찌꺼기등의 가루가 모인다는 것이 문제로 되고 있다.
또, 각 잇빨부(63,64)의 배열구조는 적절한 필심지지 및 필심가루드의 모여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면, 예를들어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어떤 형태로도 좋다. 더구나 각 잇빨부(63,64)는 상호간에 전후좌우의 간격을 갖도록 하고, 또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연속형으로 형성시켜도 좋다.
상기 리이드척(6)의 머리부에 지지된 보올(11)은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슬리이브(7)선단부의 내면테어퍼벽(7g)에 스텐테스등의 금속통(7h)이 필요에 따라서 끼워맞춰져 장착되는데, 이 금속통(7h)에 의해서 확실하고 내구성있는 안정된 상기 구름접촉이 행해지고 더구나 리이드척(6)의 필심지지가 확실해지며 내구성이 증대된다. 여기서 이 금속통(7h)은 반드시 필요한것은 아니고, 통상사용 함에 있어서는 내면테이퍼벽(7g)을 보올(11)에 구름접촉하는 형태로 형성시켜 금속통(7h)을 생략해도 좋다.
또, 슬리이브(7)의 내면테이퍼벽(7g)의 선단 또는 금속통(7h)의 선단내벽에는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필요에 따라서 환형덮개부(7i)를 설치해도 좋다. 이에따라 보올(11)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막을수 있다.
또, 제 1 도의 실시예에서는 슬리이브(7)의 선단부를 내면테이퍼벽(7g)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축방향과 거의 평행한 평행벽으로 해도 좋다.
또, 리이드척(6)의 후단부에는 제11도와 같이 선단수납부(4)의 끼워맞춤 오목부(4e)와 끼워맞춰지는 볼록부(6c)를 돌설시켜도 좋고, 또, 오목볼록부를 역으로 형성시켜도 좋은데, 이들 오목볼록부(4e,6c)에 의해서 누름을 해제시킬때에 리이드척(6)과 선단수납부(4)가 순간적으로 이탈되어 필심동작이 불충분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누름동작시 리이드척(6)은 선단수납부(4)에 눌려서 전진하여 후술하는 가동통(22)후단을 앞쪽으로 눌러 이동 시켜주게되고, 이 가동통(22)이 슬라이더(16)를 눌러 이동시켜 수납부(21)의 후단에 닿게된다. 그후 선단수납부(4)의 선단구멍(4a)과 리이츠척(6)의 후단이 끼워맞추어짐에 따라 리이드척(6)이 개방되면서 전진하여 필심이 송출되게 된다. 여기서, 누름해제직후에도 오목부(4e)와 볼록부(6c)는 슬리이브(7)의 외측단부(7j)가 후퇴하여 가운데틀(15)의 내측단부(15a)에 닿기까지 끼워맞춰져서, 이 사이 리이드척(6)이 개방되며 스무드하게 필심송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리이드척(6)을 둘로 분할 형성시킨 것을 사용한 경우를 도시해놓았으나, 3개이상으로 분할 형성시켜도 좋고, 역으로 단일형체로 해도 좋다. 더구나 이 리이드척(6)의 축방향의 어긋남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호 접촉부에 요철걸어맞춤부나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톱날형태의 건친부분을 형성시켜도 좋다.
또 리이드척(6)의 직경의 일부는 슬리이브(7)의 내경과 아주 근사하고, 또 제 1 의 스프링(12)후단은 리이드척(6)의 걸림단부(6a)에 의해서 확실하게 끼워져 장착되어지기 때문에, 리이드척(6)의 상하좌우의 요동 및 마찰이 확실히 방지된다.
또한 리이드척(6)의 보올지지부(10)는 보올(11)을 지지하는 구멍으로 형성시켜도 좋지만, 보올이 탈락하지 않도록 수납시켜 지지되도록 해도 좋고, 보올(11)은 보올지지부(10)내에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의 스프링(12)은 후술하는 제 2 스프링(13)보다도 약한 탄발력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필심송출기구(5)는 가운데틀(15)에 거의 전체가 수납되어 있는데, 이 가운데를(15)은 외통(1)내에 축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제 3 스프링(17)에 의해서 앞쪽으로 밀려지는 힘을 받고 있다. 그리고 이 가운데틀(15)의 선단에는 선단통(9)이, 또한 내벽에는 내측 단부(15a)가, 또한 외주에는 외측단부(15b)가 각각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선단통(9)과 슬리이브(7)선단과의 사이에는 제 1 도에 서와같이 간격(C)을 갖게되며 이 간격(C)은 후술하는 바와같이 후단을 누르는데 따른 필심 송출동작시의 필심송출량에 상당하는 거리에 해당되는 것이다. 여기서 선단통(9)은 가운데틀(15)의 선단에 끼워져 설치되어, 후술하는 바와같이 전진하여온 슬리이브(7)의 선단에 닿아 슬리이브(7)를 정지시키는 기능 및 가동통(22)을 소정의 끼움압력으로 지지하면서 외측걸림부(22a)의 후단에 닿아 가동통(22)을 후퇴위치에서 정지시키는 기능을 하므로, 이러한 기능을 완수할 수 있는 재료라면 여하한 것으로 해도 좋다.
그리고, 상기 선단통(9)의 내측 걸림단부(9a)에는,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 내경과 거의 같은 외경을 갖는 가동통(22)이 축방향으로 미끄럼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 맞춰져 있는데, 이 가동통(22)선단에는 제13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상기 선단통(9)의 내경과 거의 같은 외경을 갖는 환상의 외측걸림단부(22a)가 형성되면서 그 외측걸림단부(22a)는 선단통(9)내주면에서 소정의 끼워맞춤압력(마찰저항)으로 축방향으로 미끄럼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맞춰져 있다.
선단통(9)과의 끼워맞춤압력을 소정의 압력으로 하고 또한 축방향의 미끄럼이동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 슬리트(22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동통(22)은 제13도(a)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 외측걸림단부(22a)의 후단이 선단통(9)의 내측걸림단부(9a)의 앞단에 닿아서 슬라이더(16)의 후퇴이동을 후술하는 로크상태로 규제(로크위치에서 정지)하는 기능 및, 후술하는 바와같이 전진해온 리이드척(6)의 앞단으로 눌려져 상기 끼워맞춤압력에 대항해서 전진하여 슬라이더(16)를 전진시켜서 그 로크상태를 해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가통통(22)과 선단통(9)과의 끼움압력(예를들면 400g±50g)는 제 3 스프링(17)의 탄발력(예를들면500∼500g)보다 적고 역으로 슬라이더(16)의 돌기(19b)와 수납부(21)의 내벽환형돌기부(21a)의 끼움압력(예를들면 200g±50g)보다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같이 내벽환형돌기부(21a)에 의해서 로크된 슬라이더(16)는 제 3 스프링(17)에 의해 밀려 이동된 가동통(22)에 의한 누름에 따라서 로크가해제된다.
또, 상기 가운데틀(15)의 내측단부(15a)는 필기시에는 슬리이브(7)의 외측단부(7j)와 끼워맞춰져 있고, 그에따라 슬리이브(7)는 필기압력에 대항하는 제 3 스프링에 의해 앞측으로 밀려진 가운데틀(15)에 의해서 전방으로 눌려져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의 스프링(17)은 다음의 3기능을 갖게 되는바, 즉 1)필심파이프(3)의 요동방지기능 2) 이 제3 스프링(17)의 미는힘은 통상의 필기세에 누르는 힘보다 약하지만 만일 필기중에 필심(14)에 과대한 필기압력이 작용한 경우에 가운데틀(15)을 물러나게 하는 쿠션기능 3) 필심파이프(3)의 후단에 지우개(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한때에 이 지우개 사용시의 지우개 지지기능를 갖게 되는 것이다.
또, 제3스프링(17)은 후술하는 필심송출동작시의 선단누름에 의해서 후퇴동작시키는 가운데틀(15)에 의한 압축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여기서 필심파이프(3)를 뒷쪽으로 미는 지우개 지지기능을 다소강한 힘으로 정하고 또한 선단누름이 가볍고 부드럽게 하도록 가운데틀(15)을 앞쪽으로 미는 힘을 다소 약하게 정해놓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3 스프링(17)의 감겨지는 수를 앞쪽과 뒷쪽이 다르게 하고 또 그 대략 중앙부를 외통(1)의 내벽에 닿게하여 앞쪽으로의 미는 힘을 약하게하고 뒷쪽으로 미는 힘을 강하게 해조 좋다. 또 제1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선단수납부(4)의 외주의 일부에 바깥방향으로 벌어지는 선축편(4f)을 형성시키고 외통(1)내벽과의 마찰에 의해서 선단수납부(4)의 뒷쪽이동에 소정의 반력을 부여하도록 해도 좋다.
더구나 상기 가운데틀(15)의 외측단부(15b)와 외통(1)의 스토퍼단부(1a)와의 사이에는 간격(d)이 형성되어져 있음에 따라 가운데틀(15)의 최대후퇴거리는 스토퍼단부(1a)까지로 규제되게 된다.
상기 선단캡(2)의 내부에는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16)가 배치되어 있는데, 이 슬라이더(16)는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슬라이드파이프(18)를 중심으로 장착된 슬라이더본체(19)와 이 슬라이더본체(19)의 내부에 끼워맞춰져 필심(14)에 소정의 마찰력을 부여하는 마찰부여부재(20)를 갖는다. 이 마찰부여부재(20)에 의한 필심(14)으로의 후퇴마찰력(후술할것임)은 20-30g로서 상기 제1, 제 1 의 스프링(12,13)의 탄발력보다 크고, 또한제 3 스프일(17)의 탄발력 및 가동통(22)으 끼워맞춤압보다 적게 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16)는 후단이 선단캡(2)에 고정되어 있는 수납부(21)에 걸어끼워진 상기 제 2 스프링(13)에 의해 앞쪽으로 밀리는 힘을 받고 있다. 여기서 상기 마찰부여부재(20)는 제1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필심(14)에 대해서 소정의 마찰력을 주고, 후술하는 자동필심 송출동작이 되는 때에는 상기한 바와같이 제 1 스프링(12)의 탄발력보다 크고 또한 제 1 스프링(13)의 탄발력보다 약간 크게되어 있다. 더구나, 마찰부여부재(20)는 필심(14)에 대해서 소정의 마찰력을 부여하기 위한 마찰부여부(20a)를 갖추고 있다. 이 마찰부여부재(20)는 마찰부여부재(20)의 선단에 직경을 수측시키는 방향을 향해서 만곡되어져 일차마찰부여구멍(20b)과 이 1차마찰부여구멍(20b)의 선단에 형성되어 그 선단측이 점차 직경이 벌어지는 테이퍼형상의 2차마찰구멍(20c)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 마찰부여구멍(20b)은 필심(14)이 전진하는(화살표(가)방향)경우에는 변형은 없고, 1차마찰부여구멍(20b)만으로 필실(14)에 마찰력(이하 전진마찰력이라 한다)을 부여 한다.
다른쪽 필심(14)이 후퇴(화살표(나)방향)하는 경우에는 마찰부여부(20a)는 변형되고 2마찰부여구멍(20c)이 일차마찰부여구멍(20b)과 거의 같은 면으로 되고 필심(14)과의 접촉면적이 양구멍(20b,20c)의 합계면적으로 된다.
따라서, 상기 마찰부여부(20a)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전진하는 필심(14)을 부드럽게 이동시키지만 후퇴하는 필심(14)에는 용이하게 후퇴할 수 없도록 큰 마찰력(이하"후퇴마찰력"이라 한다)을 부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슬라이더(16)를 후퇴위치에서 상기 로크상태로 정지시키는 걸림수단으로 해서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납부(21)의 내벽환형돌기부(21a)와 끼워 맞춰지는 돌기(19b)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 슬라이더본체(19)의 측면에는 슬리이트(S)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필심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필심송출동작은 다음 3종류로 분류된다. 1) 첫째 제 1 수단은 필심파이프(3)의 후단을 노크조작하는 것에 의한 통상의 수단이다.
즉, 선단 수납부(4)에 끼워 맞춰진 슬리이브(7)는 노크 조작에 의해서 필심파이프(3)등과 함께 전진하고 선단통(9)의 후단에 닿기까지 필심을 송출시키면 그후는 정지한다.
즉, 슬라이더(16)가 후술하는 바와같이 수납부(21)에 로크되어 있지 않은 경우(제17도 참조)에는 후단을 누름에 따라 통상적인 상태로 필심이 송출된다.
한편, 슬라이더(16)가 수납부(21)의 환형돌기부(21a)에 의해서 로크되어 있는 경우(제 1도, 제18도 참조)에는 상기한 후단노크에 의해 슬리이브(7)의 선단이 선단통(9)후단과 맞닿기까지의 거리(간격c의 거리), 즉 상기한 통상적인 상태로 필심송출이 이루어지고 그후 리이드척(6)의 전진에 의해서 가동통(22)을 누르며 동시에 슬라이더(16)를 더 전방으로 누른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16)는 수납부(21)의 환형돌기부(21a)를 타고 넘어가 로크가 해제된후 제 2 스프링(13)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 이동되며 슬라이드파이프(18)가 선단캡(2)에서 돌출된다. 이 과정에서 마찰부여부재(20)의 후퇴마찰력으로 지지된 필심 (14)은 리이드척(6)에서 전방으로 인출되어 슬라이더(16)와 함께 전진한다.
따라서 제1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필심(14)은 슬라이드 파이브(18)의 선단에서 항상 필기에 적합한 거리(C)만큼 돌출해 있는 것으로 된다. 이상과 같이 슬라이더(16)의 수단노크에 의해서 로크 해제조작과 필심송출동작이 동시에 행해져 슬라이드파이프(18)에서 필기에 적합한 거리(C)만큼 필심(14)이 돌출된 상태를 확보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눈으로 필심(14)을 화긴하면서 필기가 가능하게된다.
2) 제 2 의 수단으로 해서는 필기를 중단함에 따라 자동적으로 필심송출동작이 행해지는 것이다. 즉, 필기는 통상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필심(14)이 슬라이드파이프(18)에서 소정량(X)을 돌출시킨 상태에서 행해진다. 따라서 필기를 함에 따라서 필심(14)이 순차 마모함에 따라 제1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슬라이더파아프(18)의 선단과 일면의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도 슬라이드(16)는 후방에 대해서 제 2 스프링(13)의 미는 힘에 대해서 후퇴가능하게, 또한 최대한 슬라이더(16)의 후단이 가동통(22)에 닿기까지의거리(f)(f)<(e)이다. 제17도참조)까지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필기에 의한 필심(14)의 마모량이 후퇴거리(f)만클 마모되는 데에는 꽤 긴시간의 필기를 요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성인의 필기압은 필심종류가 HB인 경우 필심직경 0.5mm의 샤아프펜슬로 좋은 종이에 한문 1자를 필기할때 0.01mm정도가 닳아진다. 따라서 슬라이더(16)가 후퇴거리(f)까지 후퇴되는 것은 연속적인 필기를 행해야 하므로 통상적인 일은 아니고 반드시 필기중에 쉬게되는 등의 필기를 중단하게 된다. 여기서 예를들면 제22도에 도시한 상태로 필기를 중단하고 슬라이드파이프(18)의 선단을 지면에서 이탈시킨다고 하면 이에따라 슬라이더(16)는 제 2 스프링(13)의 탄발력에 의해 전진함과 동시에 필심(14)도 마찰부여부재(20)에서 소정의 마찰력에 의해서 슬라이더(16)과 함께 전진방향으로 인장된다. 한편 필심(14)을 물고 있는 리이드척(6)의 무는 힘은 제 2 의 스프링(13)보다 약한 제 1 스프링(12)에 의해서 부여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필심(14)의 전진방향의 인장력에 의해서 압축되어 리이드척(6)전체의 전진을 허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지하는때에 리이드척(6)의 머리부는 보올(11)이 슬리이브(7)의 테이퍼벽(7g)을 넘어 접촉하여 전진함에 따라서 리이드척(6)의 필심을 무는 힘은 약해져서 필심(14)이 송출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에 의해서 제17도의 상태로 다시 복귀하여 자동적으로 필심송출동작이 행해져 필기가 가능하게 되고 최대한 후퇴거리(f)까지의 연속 필기가 가능하게 된다.
3) 제 3 수단은 슬라이더(16)의 선단을 지면으로 누르는소위 선단의 누름에 의한 필심송출에 관한 것이다. 이 선단노크에 다음의 두 경우가 있고 그 작용이 다르기 때문에 나눠서 설명한다. 가) 제 1 선단누름(노크)는 제1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슬라이더파이프(18)선단에서 필심(14)이 동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경우로, 선단을 누름에 따라 항상 슬라이드파이프(18)에서 거리(f)의 필심(14)길이가 동출된 제20도(X=(f)의 상태가 된다.
즉, 선단누름에 의해 제21도와 같이 리이드척(6)은 필심(14)을 문 상태에서 후퇴함과 동시에 슬라이더(16)도 후퇴한다. 양자의 후퇴량은 같은 양으로 최대한 슬라이더(16)의 돌출부(19b)가 수납부(21)의 선단에 닿는 거리(e)까지이다. 또, 거리(e)와 거리(d)와의 사이에는 (e)<(d)의 관계가 있다.
상기 리이드척(6)의 후퇴에 대한 제 1 도에 도시한 거리(a)와 (d)사이에는 a>d의 관계가 있고 리이드척(6)의 후단이 선단수납부(4)에 닿게되는 경우가 일어날 수 없기 때문에 항상 필심(14)을 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리이드척(6)의 후퇴에 따라 내측단부(15a,7j)를 통해서 가운데틀(15) 및 선단통(9)이 제 3 스프링(17)의 미는 힘에 대항해서 후방으로 이동된다.
한편, 슬라이더(16)의 후퇴에 따라 거의 (a),(e),(g)의 사이에는 (a)>(e)>(g)의 관계가 성립되어 있다. 여기서 거리(g)와는 내벽환형돌기부(21a)와 돌기(19b)전진과의 거리를 말한다. 그리고 슬라이더(16)가 최대후퇴거리 (e)후퇴되는 과정에서 우선 슬라이더본체(19)의 돌기 (19b)가 상기 돌기부(21a)를 타고 넘은후 슬라이더본체(19)의 후단이 수납부(21)의 후단에서 돌출되는 것으로 된다. 여기서 가운데틀(15) 및 필심소출기구(5)는 필심(14)를 문 상태에서 슬라이더본체(19)와 같은 거리만큼 후퇴한다. 따라서 슬라이더본체(19)의 후단과 선단통(9)과의 사이는 거리(f)만큼 벌여져 있게 된다.
다음으로, 슬라이더(16)의 선단을 지지면에서 이탈시키면 이에따라 슬리이브(7), 리이드척(6)등의 필심송출기구 및 가운데틀(15)은 주로 제 3 스프링(17)에 의해서 선단통(9)이 선단캡(2)의 단부(2a)에 닿을때까지 전진한다.
한편, 슬라이더(16)는 제2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내벽환형돌기부(21a)와 끼워맞춰지는 슬라이더(16)의 돌기(19b)에 의해서 일시 정지되고 있다. 이 슬라이더(16)의 일시정지에서도 상기한 바와같이 필심송출기구(5)는 필심(14)을 문상태로 전진하기 때문에 슬라이더(16)의 마찰부여부재(20)에 필심(14)을 (f)의 길이만큼 눌러준다. 그후 제 3 스프링(17)에 의해서 눌려진 가동통(22)이 슬라이더본체(19)의후단에 닿게되고 상기한 일시정지의 끼워맞춤상태를 해제시킨다. 이순간, 슬라이더(16)은 제 2스프링(13)의 탄발력에 의해서 전진함과 동시에 슬라이더(16)내의 마찰부여부재(20)(후퇴마찰력)에 의해 리이드척(6)에 물려진 필심(14)을 뽑아내어 보내고 원리 위치로 슬라이더(16)가 복원되며 필심(14)은 슬라이드파이프(18)선단에서 (f)의 길이만큼 돌출 되게 된다. 나) 다음으로, 제 1의 선단누름은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파이프(18)선단에서 필심(14)이 돌출되어 있는 상태로 작동될 경우이다. 이 경우 돌출량(X)과 거리(d)-(g)와의사이에 X거리(d)-거리(g)의 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슬라이드 파이프(18)에서 (f)의 길이만큼 필심이 돌출된다.
이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일례를 들어 구체적 수치를 대입하여 설명한다. 예를들면(f)=0.8mm, (g)=1.3mm, (d)=1.7mm,X=0.3mm((d)-(g)=0.4mm)로 하자, 이상태에서 누름(노크)을 행하면 우선 후퇴거리(X)까지는 필심송출기구(5) 및 가운데틀(15)만이 필심(14)와 함께 후퇴된다. 그 후는 제 1 의 선단누름과 같이 필심(14)을 문상태로 필심송출기구(5), 가운데틀(15)과 함께 슬라이더(16) 및 가동통(22)이 후퇴한다. 따라서 리이드척(6)은 슬라이더(16)에 대해서 후퇴량이 X=0.3mm크게 되어 있다. 그에 따라 슬라이더(16)의 후퇴가능거리는 스토퍼단부(1a)에 후퇴량을 규제시킨 가운데틀(15)에 의해서 규제되어 그 나머지, 즉(d)-(g)=1.7mm,-1.3mm=0.4mm밖에 후퇴되지 않는다. 이것은 필심(14)은 리이드척(6)에 물린 사태에서 슬라이더(16), 가운데틀(15), 필심송출기구(5)가 일체로하여 후퇴하지 안으면 안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 후퇴과정에서 돌기(19b)는 수납부(21)의 내벽 환형돌기부(21a)를 타고 넘는다.
다음으로, 슬라이더(16)를 누려있던 지면에서 이탈시키면 상기의 제 1 선단노크(누름)와 같은 모양으로 필심송출기구(5)는 필심(14)을 문상태로 전지하게 된다.
이에 다라 이후는 제 1 선단노크와 완전히 같은 모양으로 필심(14)은 슬라이드파이프(18)의 선단보다(f)의 길이를 돌출시킨 것이 된다.
한편, X>(d)-(g)=0.4mm의 경우에는 스라이더(16)는 스토퍼단부(1a)에 후단 규제된 가운데틀(15)에 의해서 내벽환형돌기부(21a)에 끼워맞춰질 수 있기까지 후퇴되지 않느다.
따라서 슬라이더(16)가 수납부(21)의 돌기부(21a)에 끼워 맞춰지고 일시정지하는 상태가 일어날 수 없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같은 돌출량조절은 이행되지 않는다.
결국, 어떠한 선단노크를 실시해도 필심을 동반하지 않는 선단노크를 반복하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늘 변화없이 돌출량(X)그대로의 상태에서 필심(14)이 돌출해 있는 것으로 된다. 이것은 필기에 적합한 필심(14)이 슬라이드파프(18)에서 돌출되면 선단노크에 의해서 필심(14)이 송출되어 필기시에 필심이 더이상 부러지지 않는 형태 즉0.3mm,0.5mm등의 필심직경에 맞춰서 정해진 거리(d),(g)의 관계를 설계하면 좋게 되어 사용이 쉽고 경제적인 샤아프펜슬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필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를 설명한다.
로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필심파이프(3)의후단을 노크(이경우 리이드척(6)은 필심(14)을 개방하고 있다. 따라서 가운데틀(15) 및 필심송출기구(5)는 상기의 선단노크와 다른 후방으로는 이동되어지지 않는다) 하고, 또한 슬라이드파이프(18)를 지면등으로 눌러주어 슬라이더(16)를 선단캡(2)에 로크 격납시킨다.
즉, 상기 동작에 의해서 슬라이더(16)가 후퇴하고 그 후퇴과정에서 가동통(22)을 후방으로 누른다.
여기서 슬라이드파이프(18)의 지면등으로의 누름은 가동통(22)과 선단통(9)과의 끼워맞춤압보다 크기 때문에 가동통(22)은 제1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후방으로 눌려진다.
이때 제 3 스프링(17)이 선단통(9)과 가동통(22)과의 끼워 맞춤압보다 크게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필심송출기구(5)가 이동하지 않아서 로크조작은 부드럽게 행해진다. 이과정에서 슬라이더(16)는 돌기(19b)가 수납부(21)의 환형돌기부(21a)를 타고 넘어가 걸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16)는 걸림위치에서 부동상태로 로크된다. 이 로크에 의해서 슬라이더(16)는 다소의 외력이 작용해도 로크해제됨이 없이 종래와 같이 슬라이더(16)이동에 의한 뜻하지 않은 필심송출 감소가 생기지 않는다.
그리고 이 로크는 상기의 제 1 수단에서 설명한대로 필심 파이프(3)의 후단노크에 의해 간단히 해제된다.
이상과 같이 이 발명에 의하면 리이드척을 슬리이브로체결 부착시켜 이 슬리이브를 중간톨에서 앞방향을 향해서 밀어지지하고 또한 선단통에서 슬라이더를 소정시간 걸어놓기 때문에 내부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고 또한 필심송출동작도 3종류 방법으로 행하며 더구나 선단노크에 의한 필심 송출동작에서는 필심이 돌출해 있지 않은 경우는 물론 역으로 송정량이상 과대하게 돌출되어 있어도 항상 일정한 돌출량을 유지할 수 있다고 하는 선출원의 효과에다가 슬라이더의 선단노크에 의해 이 슬라이더를 후퇴위치에서 로크시킬 수가 있고 이때문에 필기구를 사용하지 않을때에 슬라이더가 임으로 혼자 이동되어 필심이 쓸데없이 보내는 문제가 없게 된다.

Claims (1)

  1. 외통(1)내에 축방향으로 미끄럼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수납된 필심파이프(3)와, 이 필심파이프(3)의 앞쪽에 배치되어 필심(14)의전진은 허용하지만 후퇴는 허용하지 않도록 하면서 필심을 물어주는 리이드척(6), 이 리이드척(6)의 머리부에 바같으로 끼워진 슬리이브(7), 이 슬리이브(7)와 상기 리이드척(6)과의 사이에 탄력설치된 척체결용의 제 1 스프링(12), 상기 슬리이브(7)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쿠선용의 제 3 스프링(17), 상기 리이드척(6)의 선단측에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 1 스프링(12)보다 큰 탄발계 수를 갖는 제 2 스프링(13)에 의해서 전방으로 밀려지는 슬라이더(16), 이 슬라이더(16)를 후퇴 위치에서 상기 제 2 스프링(13)의 탄발력보다 큰 끼워맞춤력으로 끼웠다 빼질 수 있도록 로크되는 돌기(19b)와 돌기부(21a) 및 가운데틀(15)에 장착된 선단통(9)과 이 선단통(9)에 소정의 마찰력으로 축방향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며 상기 슬라이더(16)의 후단과 맞닿고 상기돌기(19b)와 돌기부(21a)의 로크를 해제시키는 가동통(22)를 갖춘 샤아프펜슬.
KR1019860003426A 1986-05-01 1986-05-01 샤아프 펜슬 KR890001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3426A KR890001642B1 (ko) 1986-05-01 1986-05-01 샤아프 펜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3426A KR890001642B1 (ko) 1986-05-01 1986-05-01 샤아프 펜슬
JP57491 1998-0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962A KR870010962A (ko) 1987-12-19
KR890001642B1 true KR890001642B1 (ko) 1989-05-12

Family

ID=19249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3426A KR890001642B1 (ko) 1986-05-01 1986-05-01 샤아프 펜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164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962A (ko) 1987-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5280A (ko) 노크식 투입 용기
EP0806305A1 (en) Side-knock mechanical pencil
US4115015A (en) Retractable pen with internal tip seating
KR890001642B1 (ko) 샤아프 펜슬
EP0287237B1 (en) Mechanical pencil
EP0407002B1 (en) Device for advancing and retracting writing element in writing instrument
KR880002478B1 (ko) 샤아프 펜슬
KR890002927Y1 (ko) 샤아프펜슬의 마찰부여부재
KR900005504B1 (ko) 샤아프 펜슬
US6082916A (en) Mechanical pencil
KR900004445Y1 (ko) 샤아프펜슬의 유니트블럭부재
KR880001860B1 (ko) 샤아프 펜슬
KR910005295Y1 (ko) 샤아프펜슬의 리이드척
KR900004444Y1 (ko) 샤아프펜슬의 돌출바아
JPS6331988Y2 (ko)
JPS5832960Y2 (ja) シヤ−プペンシル
JP3774805B2 (ja) 出没式筆記具
JPS62113598A (ja) シヤ−プペンシル
KR910001046Y1 (ko) 샤아프펜슬
KR890002211B1 (ko) 복합필기구
KR880001939B1 (ko) 샤아프 펜슬
KR20010048839A (ko) 녹크식 필기구
JPH02122996A (ja) シャープペンシルの芯送出機構およびその組立方法
KR910007433Y1 (ko) 샤아프펜슬의 리이드척
KR900003505B1 (ko) 샤아프 펜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5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