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046Y1 - 샤아프펜슬 - Google Patents

샤아프펜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046Y1
KR910001046Y1 KR2019880013645U KR880013645U KR910001046Y1 KR 910001046 Y1 KR910001046 Y1 KR 910001046Y1 KR 2019880013645 U KR2019880013645 U KR 2019880013645U KR 880013645 U KR880013645 U KR 880013645U KR 910001046 Y1 KR910001046 Y1 KR 9100010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support
cylindrical body
cap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36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2752U (ko
Inventor
도시히코 가게야마
요우이치 나카자토
요시히데 미츠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도시히코 가게야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도시히코 가게야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ublication of KR8900227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27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0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0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08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the writing-cores fed by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06Pencil-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6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turning mean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샤아프펜슬
제1도는 본 고안 샤아프펜슬의 1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2도는 제1실시예의 요부를 부분분해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원통체의 슬릿트에 봉상물받침대가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원통캡의 종단면도.
제5a,b도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봉상물받침대의 단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선단캡 2 : 필기부재
3 : 외통 4 : 계단부
5 : 나선홈 5a : 큰직경부
6 : 원통체 6a : 앞쪽부분
6b : 뒤쪽부분 8 : 필심수용통
9 : 받침부 10 : 슬릿트
11 : 봉상물받침대 12 : 끼움지지편
13 : 봉상물(지우개고무) 14 : 돌기
15 : 돌출편 17, 18 : 다각형부
19 : 원통캡
본 고안은 원통캡을 회전시킴으로서 지우개고무라던가 연필심, 크레용, 크레파스, 쵸크, 립스틱, 눈섭화장붓 등과 같은 봉상물이 원통체뒷쪽면으로 조금씩 내보내지고, 원통체를 녹크해주게 되면 필심이 선단캡으로부터 조금씩 내보내지도록 된 샤아프펜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샤아프펜슬은 필기부재의 필심수용통에 끼워진 지우개고무받침대로부터 녹크캡을 벗겨내 지우개고무를 사용하다가 지우개고무를 사용하지 않을때만 지우개고무받침대에 장착된 녹크캡을 녹크해 줌으로서 필심이 선단캡으로부터 내보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샤아프펜슬은 지우개고무를 비쳐나오게 할 수가 없기 때문에, 지우개고무가 사용등으로 닳게 된 경우 그때마다 지우개고무받침대에서 지우개고무보유지지구를 벗겨내 이 지지구를 벌려 지우개고무가 닳아 감소된 양만큼 빼낸다음 보유지지구를 오무려 지우개고무받침대에 끼워넣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반복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선단캡(1)을 갖는 필기부체(2)를 선단캡(1)이 돌출되는 상태로 외통(3)내에다 설치하고, 원통캡(19)의 앞쪽내면 및 뒤쪽내면에 각기 계단부(4) 및 나선홈(5)을 형성시키되 이 나선홈(5)의 뒤쪽내경(5a)을 크게하며, 원통체(6)의 앞쪽부분(6a)내에 필기부체(2)의 필심수용통(8)에 맞닿는 받침부(9)를 설치해서 원통체(6)의 앞쪽부분(6a)이 외통(3)이 뒤쪽내면에 대해 축방향으로는 자유로히 이동하지만 회전방향으로는 록크되도록 구성함과 더불어, 원통체(6)의 뒤쪽부분(6a)에 슬릿트(10)를 형성시켜 이 슬릿트(10)에 봉상물받침대(11)의 지지편(12)을 자유로히 왕복이동하도록 끼워넣어져 이 지지편(12)에 봉상물(13, 예컨대 지우개고무)이 물어잡혀 지지되고 원통캡(19)의 나선홈(5)에는 상기 각 지지편(12)에 형성된 돌기(14)가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됨에 따라, 원통캡(19)을 회전시키게 되면 외통(3)의 뒤쪽부위에 대해 원통체(6)의 앞쪽부분(6a)이 축방향으로는 자유로히 이동하지만 회전방향으로는 록크되고, 또 상기 원통체(6)의 뒤쪽부분(6b) 슬릿트(10)에 봉상물지지대(11)의 지지편(12)이 자유로히 왕복이동하도록 끼워넣어져 이지지편(12)의 돌기(14)가 원통캡(19)의 나선홈(5)에 끼워맞춰지기 때문에, 봉상물받침대(11)가 원통체(6)의 슬릿트(10)를 따라 안내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해서 봉상물받침대(11)의 지지편(12)에 물어잡혀 지지된 봉상물(13)이 회전방향에 대응해서 원통체(6)로부터 출몰시켜 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봉상물(13)이 지우개고무등과 같이 소모되어지는 것인 경우에는 봉상물(13)이 소모됨에 따라 봉상물받침대(11)가 뒤쪽으로 이동해서 원통캡에 형성된 나선홈(5) 뒷부위 내경부분(5a)에 도달하게 되면 그 내경부분(5a)의 직경이 크게 되어 있어서 봉상물받침대(11)의 지지편(12)이 바깥쪽으로 벌어져 봉상물(13)의 물어잡음상태가 풀어지기 때문에, 닳아버린부분을 각 지지편(12)에서 간단히 꺼집어내고 신품의 지우개고무등과 같은 봉상물(13)을 각 지지편(12)에 끼워넣어 봉상물받침대(11)가 앞쪽으로 이동하도록 원통캡(19)을 회전시켜주게 되면, 나선홈(5)에 끼워맞춰진 돌기(14)가 나선홈(5) 뒤쪽의 직경이 큰 내경부분(5a)으로부터 벗어난곳 즉 내경이 작은곳에서 지지편(12)에 의해 물려지게 되어 당해 봉상물(13)이 물어잡혀 지지될 수가 있게 된다.
또 원통체(6)의 뒷끝을 녹크해 주게 되면, 원통캡(19)과 함께 원통체(6)의 받침부(9)에 맞닿아져 있는 필심수용통(8)이 스프링(20)에 대항하거나 또는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앞쪽 또는 뒤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공지의 샤아프펜슬과 마찬가지로 척(21)의 개폐에 따라 필심(22)을 선단캡(1)으로부터 내보낼 수가 있게 된다.
이하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 샤아프펜슬의 1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제2도는 제1실시예의 요부에 대한 부분분해 사시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에서의 원통체의 슬릿트에 지우개고무를 물어잡아 지지하는 봉상물받침대가 끼워넣어져 있는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면중 부호 2는 선단캡(1)을 갖는 필기부재인데, 이 필기부재(2)는 척(21)과 스프링(20), 척링(23), 쿠션부(24a)를 갖는 슬리이브(24) 및 척(21)에 연결된 필심수용통(8)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선단캡(1)을 외통(3)의 앞끝부위에 나사결합으로 장착시켜 주게 되면 필기부재(2)가 선단캡(1)이 돌출시켜진 상태로 외통(3)내로 장착시켜지게 된다.
부호 19는 원통캡인바, 이 원통캡(19)의 앞쪽내면에는 계단부(4)가 형성되고, 뒤쪽내면에는 나선홈(5)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나선홈(5)은 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뒤쪽내경(5a)이 앞쪽내경보다 크게 되어 있다.
부호 6은 원통캡(19)의 뒷끝으로부터 끼워넣어지는 원통체로서, 이 원통체(6)의 대략 중앙부위 외면에는 절결되어져 형성된 돌출편(15)이 원통캡(19)의 계단부(4)에 걸려지도록 되어있고, 또 원통체(6)의 앞쭉부분(6a)내에는 필기부재(2)의 필심수용통(8)에 맞닿아지는 받침부로서, 예컨대 받침판(9)이 갖추어져 있다.
한편 외통(3)의 뒤쪽내면에는 다각형부(17)가 형성되고, 원통체(6)의 앞쪽부분(6a)의 외주에는 상기 다각형부(17)에 끼어지는 다각형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즉 외통(3)의 뒤쪽내면에는 다각형부(17)가 형성되고, 원통체(6)의 앞쪽부분(6a) 외주에는 상기 다각형부(17)에 끼워지는 다각형부(18)가 형성되어 있어서, 외통(3)의 뒤쪽부위에 대해 원통체(6)의 앞쪽부분(6a)이 축방향으로는 자유로히 이동하지만 회전방향으로는 록크되도록 되어있다. 여기서 외통(3)의 뒤쪽부위에 대해 원통체(6)의 앞쪽부분(6a)이 축방으로는 자유로히 이동하나 회전방향으로는 록크되도록 하는 수단으로는, 본 실시예에서 다각형부(17, 18)형성에 의한 수단에만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키이(Key)홈과 키이에 의한 수단이라도 좋다.
또 원통체(6)의 뒤쪽부분(6b)이 대칭부분에는 1쌍의 슬릿트(10)가 형성되어, 이들 양슬릿트(10)에 슬릿트(10)를 따라 삽입된 봉상물받침대(11)의 2개의 지지편(12)이 뒤쪽으로 향해서 자유로히 미끄럼이동 할 수 있도록 끼워 넣어지게 되는바, 이 양지지편(12)에는 봉상물로서, 예컨데 지우개고무(13)가 물어잡혀져 있고, 원통캡(19)의 나선홈(5)에는 상기 지지편(12)에 형성된 돌기(14)가 끼워맞추어져 있다.
그리고 부호 25와 부호 26은 각기 슬릿트(10) 앞뒷쪽에 형성된 봉상물받침대(11)의 환상스톰퍼로서, 상기 봉상물받침대(11)는 이들 슬릿트(10)의 앞뒤쪽 환상스톱퍼(25, 26)에 닿을 때까지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원통체(6)의 양쪽슬릿트(10)에 자유로히 미끄럼이동 할 수 있도록 끼워넣어진 봉상물받침대(11)의 지지편(12)이 제5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 약간 바깥쪽으로 구부러져 있어서, 양지지편(12)이 원통캡(19)의 나선홈(5) 뒤쪽부위에 형성된 큰 직경부분(5a)에서 바깥방향으로 벌어짐에 따라 이양 지지편(12)에 의한 지우개고무(13)의 물어잡음 상태가 풀려지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원통캡(19)이 회전에 의해 상기 봉상물받침대(11)가 앞쪽으로 이동해 나가게 되면 양지지편(12)이 안쪽방향으로 오무려져 지우개고무(13)를 물어잡게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실시예에 따른 샤아프펜슬의 조립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원통체(6)의 슬릿트(10)의 양측을 바깥쪽으로 휘어 이 슬릿트(10)에다 봉상물받침대(11)를 그 양지지편(12)이 뒤쪽을 향하도록 원통체(6)내에다 끼워 양 지지편(12)이 양슬릿트(10)에서 자유로히 미끄럼이동하도록 끼워 넣는다. 다음에는 지우개고무(3)를 원통체(6)의 뒷끝으로부터 끼워 상기 양지지편(12)에 물려 이 원통체(6)를 원통캡(19)의 뒷끝으로부터 끼워 눌러넣게되면 돌출편(15)이 안쪽으로 휘어 원통캡(19)의 계단부(4)를 넘어가 이 계단부(4)에 걸려지게 된다.
그런데 지우개고무(13)를 양 지지편(12)에 물려 지지되도록 하는 것은 원통체(6)를 원통캡(19)에다 조립해 준 다음에 해도 좋다. 즉 봉상물받침대(11)가 나선홈(5)의 뒷부위의 큰 직경부(5a)에 위치시켜 양지지편(12)이 벌려진 상태에서 지우개고무(13)를 끼우고, 앞쪽방향으로 이동시켜 양 지지편(12)에다 지우개고무(13)를 물어잡혀 지지하도록 하면된다. 그리고 상기 원통체(6)를 원통캡(19)에다 조립하는 것이 끝나게 되면 원통체(6)의 환상스톱퍼(26)가 원통캡(19)의 뒷 끝에 닿은 상태로 되는바, 이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부품치수 결정되어져 있음을 말할 필요도 없다.
다음 이 원통캡(19)을 이용해서 원통(6)의 앞쪽부분(6a)외면에 형성된 다각형부(18)를 외통(3)의 뒷쪽내면에 형성된 다각형부(17)에다 끼워넣게 되면 샤아프펜슬의 조립이 끝나게 된다.
이 경우 외통(3)의 뒤쪽으로 원통체(6)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강하게 끼워 넣어주어야 함은 물론이다.
다음에는 본 고안 샤아프펜슬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지우개고무(13)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상물받침대(11)가 원통체(6)의 앞쪽의 스톱퍼(25)에 닿아 지우개고무(13)의 앞끝이 원통체(6)의 뒤쪽스톱퍼(26)의 끝면과 정확히 일치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원통캡(19)을 회전시키게 되면, 외통(3) 뒤쪽부이에 대해 원통체(6) 앞쪽부분(6a)이 축방향으로는 자유로히 이동하나 회전방향으로는 록크되고 또 원통캡(19)의 나선홈(5)에 봉상물받침대(11)의 지지편(12)에 형성된 돌기(14)가 끼워맞춰져 있기 때문에, 봉상물받침대(11)가 이들 2개의 지지편(12)이 끼워 넣어진 언통체(6)의 양슬릿트(10)를 따라 안내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봉상물받침대(11)의 2개의 지지편(12)에 물어잡혀진 지우개고무(13)가 회전방향에 대응해서 원통체(6)로부터 출몰시켜지게 된다.
또 원통체(6)의 뒷끝을 녹크해 주게 되면, 원통캡(19)과 함께 원통체(6)의 받침판(9)에 맞닿아진 필심수용통(18)이 스프링(20)의 탄력에 대항하거나 또는 이 스프링(20)의 탄발력에 의해 앞쪽 또는 뒤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공지의 샤아프펜슬과 마찬가지로 척(21)의 개폐에 따라 필심(22)이 선단캡(1)으로부터 조금씩 내보내지게 된다.
한편, 지우개고무(13)를 내보내는데는 소모분만큼 원통캡(19)을 회전시켜 봉상물받침대(11)를 축방향 즉 도면에서의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서 내보주면 되고, 사용한 다음에는 원통캡(19)을 역회전시켜 봉상물받침대(11)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지우개고무(13)를 들여보내 주면 된다.
그리고 지우개고무(13)가 소모됨에 따라 봉상물 받침대(11)가 뒤쪽으로 이동해서 원통캡(19)에 형성된 나선홈(5) 뒤쪽 내경부분(5a)에 이르게 되면, 이 내경부분(5a)이 앞쪽내경보다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봉상물 받침대(11)의 양지지편(12)이 바깥방향으로 벌어져 지우개고무(13)의 물어잡음상태가 해제됨으로서, 지우개고무(13)를 양 지지편(12) 사이에서 간단히 빼낼 수가 없게 되어 새로운 지우개 고무(13)를 양지지편(12) 사이에 끼워 봉상물받침대(11)가 앞쪽으로 이동하도록 원통캡(19)을 회전시켜 주면, 나선홈(5)에 끼워진 돌기(14)가 나선홈(5) 뒤쪽 큰 직경부분(5a)으로부터 벗어나는 지점에서 양지지편(12)이 좁혀져 지우개고무(13)를 물어잡아 지지해 주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각 지지편(12) 내면에다 제1도 및 제5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우개고무(13)를 파고들어가 물어주는 돌기(27)를 형성시켜도 좋다.
본 고안에서는 봉상물(13)로서 지우개고무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그밖에 연필심이나 크레용, 크레파스, 쵸크, 립스틱, 아이브로우심등에도 적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외통(3)에 대해 원통캡(19)을 회전시켜 줌으로서 봉상물받침대(11)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어, 봉상물(13)이 원통캡(19)의 회전방향에 대응해서 원통체(6)로부터 출몰시켜질 수가 있기 때문에, 사용할 때 봉상물(13)을 필요한 양만큼 내보내 사용할 수 있고, 또 사용하지 않을때는 봉상물(13)을 안으로 들여보낼수가 있어서, 원통캡(19)의 회전조작만으로 봉상물(13)의 출몰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 때문에 종래와 같은 번거로운 작업의 반복이 필요없게 되고, 또 작동이 편리하면서도 그 부품수가 적어 저렴한 가격으로 만들수가 있게 됨과 더불어, 봉상물받침대(11)가 원통캡(19)에 형성된 나선홈(5)뒷쪽 큰직경부분(5a)에 위치해서 봉상물(13)이 다닳은 상태가 되면 양지지편(12)이 벌어지기 때문에, 닳아버린 것을 빼내고 새로운 봉상물(13)을 극히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가 있으며 또 사용중 봉상물(13)이 빠져나가지 않게 되는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선단캡(1)을 갖춘 필기부재(2)가 선단캡(1)이 돌출된 상태로 외통(3)내에 설치되고, 원통캡(19)의 앞쪽내면 및 뒤쪽내면에는 각기 계단부(4) 및 나선홈(5)이 형성되되 이 나선홈(5)의 뒤쪽내경(5a)이 앞쪽내경보다 크도록 형성되며, 원통체(6)의 앞쪽부분(6a)내에 필기부재(2)의 필심수용통(8)이 맞닿는 받침부(9)가 형성되면서 외통(3)의 뒤쪽내면에 대해 이 원통체(6)의 앞쪽부분(6a)이 축방향으로는 자유로히 이동하지만 회전방향으로는 록크되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원통체(6)의 뒤쪽부분(6b)에 슬릿트(10)가 형성되어 이 슬릿트(10)에 봉상물받침대(11)의 지지편(12)이 자유로히 미끄럼이동하도록 끼워넣어지고, 이 끼움지지편(12)에 봉상물(13)이 물어잡혀지지되어 상기 원통캡(19)의 나선홈(5)에 각 지지편(12)에 형성된 돌기(14)가 끼워맞춰지도록 된 샤아프펜슬.
KR2019880013645U 1988-05-18 1988-08-22 샤아프펜슬 KR91000104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8066194U JPH0730394Y2 (ja) 1988-05-18 1988-05-18 シャープペンシル
JP63-66194 1988-05-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2752U KR890022752U (ko) 1989-12-01
KR910001046Y1 true KR910001046Y1 (ko) 1991-02-21

Family

ID=13308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3645U KR910001046Y1 (ko) 1988-05-18 1988-08-22 샤아프펜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30394Y2 (ko)
KR (1) KR91000104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8079Y2 (ja) * 1992-05-08 1998-08-06 三菱鉛筆株式会社 繰り出し式の消しゴム装置
JPH08150798A (ja) * 1994-11-28 1996-06-11 Pentel Kk シャ−プペンシル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97Y2 (ko) * 1984-11-02 1991-01-09
JPH0520553Y2 (ko) * 1985-08-20 1993-05-27
JPH0240899Y2 (ko) * 1985-11-20 1990-10-31
JPH0624234Y2 (ja) * 1987-07-25 1994-06-29 ぺんてる株式会社 筆記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169392U (ko) 1989-11-29
KR890022752U (ko) 1989-12-01
JPH0730394Y2 (ja) 1995-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13874B1 (en) Writing tool
US4270870A (en) Mechanical pencil with chuck closing by normal writing grip
US6517272B1 (en) Double-chuck mechanical pencil
KR910001046Y1 (ko) 샤아프펜슬
US5004364A (en) Device for advancing and retracting writing element in writing instrument
JPH0545513Y2 (ko)
KR940006144B1 (ko) 봉상물조출용기
JPH01110199A (ja) シヤープペンシル
KR900007188B1 (ko) 샤아프펜슬
JPH081910Y2 (ja) 筆記具
KR900009509Y1 (ko) 샤아프펜슬의 조출식 지우개고무받침대
JPH0649088U (ja) シャープペンシルとボールペンの多芯筆記具
JP2574343Y2 (ja) 棒状物繰り出し装置
KR910002693Y1 (ko) 봉상물 송출용구
KR880003396Y1 (ko) 샤아프 펜슬
KR910009403Y1 (ko) 봉상체 조출기구의 고정장치
JPH0545514Y2 (ko)
US3062190A (en) Cosmetic implements
JPS5913096Y2 (ja) 筆記具の芯の保護パイプ
KR960000588Y1 (ko) 봉상물조출용기
JPH0721388U (ja) 棒状物繰り出し容器
JPH061831Y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KR960005200Y1 (ko) 봉상물 조출용기
KR920000322Y1 (ko) 봉상체 조출기구의 고정장치
JPS6027599B2 (ja) シヤ−プペンシ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