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188B1 - 샤아프펜슬 - Google Patents

샤아프펜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188B1
KR900007188B1 KR1019870014425A KR870014425A KR900007188B1 KR 900007188 B1 KR900007188 B1 KR 900007188B1 KR 1019870014425 A KR1019870014425 A KR 1019870014425A KR 870014425 A KR870014425 A KR 870014425A KR 900007188 B1 KR900007188 B1 KR 900007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cylindrical body
cap
outer cylinder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4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9660A (ko
Inventor
히데헤이 가게야마
요시히데 미츠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가게야마 도시히코
주식회사 수한양행
윤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가게야마 도시히코, 주식회사 수한양행, 윤휘정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riority to KR1019870014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7188B1/ko
Publication of KR890009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9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16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tepwise feed of writing-core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샤아프펜슬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샤아프펜슬의 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요부부분 분해사시도.
제3도는제2도의 결합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나선통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제3도에 대응되는 결합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나선통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선단켑 2 : 필기부재
3 : 외통 4 : 원통체
5 : 나선통로 6 : 걸림부재
7 : 원통형필심파이프받침부 8 : 필심파이프
9 : 받침턱 10 : 슬릿
11 : 봉상물 12 : 협지편
13 : 봉상물호울더 14 : 원통형켑
15 : 나선홈 16 : 돌기
17 : 환상돌기 18 : 걸어맞춤부
19 : 돌출편 20 : 계단부
21 : 바깥링 23 : 슬릿
본 발명은 녹크조작으로 필심을 선단캡으로부터 조금씩 송출시켜줄 수 있도록 된 녹크식 샤아프펜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샤아프펜슬의 뒷쪽에 있는 원통형캡을 한쪽방향으로 회전조작해 줌으로서 외통과 캡사이에 녹크한 간격 거리를 생기게 해서 녹크해줄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캡을 같은 회전방향이나 역회전방향으로 회전조작해주게되면 봉상물을 캡의 뒷끝에서 조금씩 내보내줄 수 있도륵 된 샤아프펜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샤아프펜슬에서는 외통과 탑사이에 녹크거리만큼의 간격을 마련해놓고서 캡을 녹크조작으로 필기부재를 작동시켜, 필심을 선단캡으로 부터 조금씩 송출시켜주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글자를 지울때는 캡을벗겨 지우개고무를 노출시켜주어야 글자를 지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샤아프펜슬에 있어서는 외통과 캡 사이에 항상 녹크거리만큼의 간격이 마련되어져 있기 때문에, 그 외관이 산뜻해지지 못하게 될 뿐만아니라 글자를 지울 때 지우개고무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스프링이 밀려 지우개고무가 들어가 글자를 원활히 지울 수가 없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 샤아프펜슬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해주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3)내에 필기부재(2)가 장착되고, 이 필기부재(2)의 뒷쪽끝에 설치된 원통체(4)의 앞쪽부분에 나선통로(5)가 형성되며, 외면에 이 나선통로(5)에 걸어맞춰지는 걸림부재(6)를 갖춘 원통형필심 파이프반침부(7)가 필기부재(2)의-필심파이프(8)에 씌워지면서 외통(3)의 내면에 대해 이 원통형필심파이프반침부(7)가 축방향으로 자유로히 이동은 되지만 회전방향은 체결규제된 구조로 되면서, 원통체(4)의 내면에는 원통형필심파이프받침부(7)의 받침턱(9)이 형성되고, 원통체(4)의 뒷쪽부분에는 지우개고무와 같은 축방향 슬릿(10)이 형성되며, 또 이 원통체(4)의 뒷쪽부분 내면에는 봉상물(11)을 보유지지해주면서 슬릿(10)이 안내되어지도록 봉상물호울더(13)가 자유로히 미끄럼이 이동할 수 있도록 넣어지고, 이 봉상물호울더(13)에는 외통(3)의 뒷끝에 맞닿는 원통형캡(14)의 내면에 상기 나선통로(5)와 같은 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형성된 나선홈(15)에 끼워넣어지는 돌기(16)가 형성되어 원통형캡(14)과 원통체(4)가 끼워맞춰지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샤아프펜슬은, 원통형캡(14)을 한쪽방향으로 회전시켜주게되면 이 원통형캡(14)의 나선홈(15)에 끼워진 돌기(16)가 나선홈(15)앞끝에 맞닿아져 있어 그 이상 봉상물호울더(13)가 회전하지못하기때문에, 원통체(4)가 이 호울더(13)를 매개로 회전하게 되고, 원통체(4)의 앞쪽부분에 형성된 나선통로(5)에 걸림부재(6)가 끼워진 원통형필심파이프받침부(7)가 외통(3)의 내면에 대해 축방향으로는 자유로히 이동하지만 회전방향으로의 이동은 저지되어져 있기 때문에, 걸림부재(6)는 나선통로(5)를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해서 이 원통형필심파이프받침부(7)에 대해 원통체(4)가 뒷쪽으로 이동하게되어, 외통(3)과 원통형캡(14)사이에 녹크거리 만큼의 간격이 생겨 녹크해줄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원통체(4)의 뒷끝을 녹크해주게되면 원통형캡(14)과 원통형필심파이프받침부(7) 및 필기부재(2)의 필심파이프(8)가 앞쪽으로 이동해서 종래의 샤아프펜슬과 마찬가지로 선단캡(1)으로부터 필심을 조금씩 송출시켜줄수 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휴대하거나 또는 사용하지 않을때에는, 원통형캡(14)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외통(3)과 원통형캡(14)이 맞닿아지도록 해서 양자 사이에 녹크거리의 간격이 없어지도륵 해놓는다. 이 상태에서 원통형캡(14)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주게되면 원통형캡(14)과 외통(3)사이에 간격이 생겨나게되고, 또 원통형캡(14)을 같은 방향으로 계속 회전시켜주게되면 원통체(4)의 나선통로(5) 끝부분에 원통형필심파이프받침부(7)의 걸림부재(6)가 닿아 원통체(4)가 회전하지 않게되므로, 봉상물호울더(13)가 원통형캡(14)의 나선홈(15)을 따라 뒷쪽으로 이동해서 봉상물(11)만 원통체(4)의 뒷끝으로 부터 돌출되어나가게 된다.
또 봉상물(11)을 사용할때는, 원통형캡(14)을 반대쪽으로 회전시켜 외통(3)과 원통형캡(14)사이에 간격이 없어지도록 해서 녹크운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주게되면 봉상물(11)에 강한 힘이 가해져 봉상물(11)이 밀러들어가게 될 염려가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봉상물(11)을 사용하고 난 다음에는 녹크조작의 완료후와 마찬가지로 원통형캡(14)을 한쪽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봉상물호울더(13)에 보유지지된 봉상물(11)을 들여보낼 수가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 샤아프펜슬의 1실시예를 단면도로 도시해놓은 것이고, 제2도는 제1도 실시예의 요부를 부분분해 사시도로 도시해놓은 것이며, 제3도는 제2도의 조림상태에 대한 사시도이다.
제1도에서 참조부호 2는 선단캡(1)을 갖는 필기부재인데, 이 필기부재(2)는 척(24)과 스프링(25), 척링(26), 쿠션부(27)를 갖춘 슬리이브(28) 및 척(24)에 연결된 필심파이프(8)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선단캡(1)을 외통(3)의 앞끝부위에다 나사결합시켜 주게되면 필기부재(2)가 선단캡(1)이 돌출되어지는 상태로 외통(3)내에 장착시켜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원통체(4)의 앞쪽부위에는 나선통로(5)가 형성되어져 있어서, 외면에 이 나선통로(5)에 걸어맞춰지는 걸림부재(6)를 갖는 원통형필심파이프받침부(7)가 필기부재(2)의 필심파이프(8)에 덮여끼워져 있다. 여기서 나선통로(5)는 홈 또는 슬릿등 어떤것으로 해주어도 좋으나, 도시된 도면에서는 나선슬릿의 형상으로 된 경우를 도시해 놓았다.
또 상기 나선통로(5)의 양끝부위는 걸림부재(6)의 시작점과 종착점으로 되고, 원통체(4)의 앞끝부분에는 앞끝이 개방되어진 슬릿(23)을 필요에 따라 1개 내지 여러개 형성시켜 걸림부재(6)가 나선통로(5)에 걸러지게 될때 이 슬릿(23)을 이용해서 쉽게 걸러지도록 해주기위해 그 앞끝에 안내오목부(22)가 형성시켜지고, 또 걸림부재(6)는 그 앞부위는 직각방향으로 돌출되고 그 뒷부분은 경사면으로 형성시켜 주게되면 걸림부재(6)가 쉽게 나선통로(5)에 조립시켜지게 된다.
또한 나선통로(5)로부터의 이탈이 쉽게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좀 거칠게 원통형캡(14)을 잡아당겨 원통형필심파이프받침부(7)가 필심파이프(8)에 남아있게 되어 걸림부재(6)가 나선통로(5)로부터 벗어나는 일이 전혀 없게 된다. 왜냐하면 원통형필심파이프받침부(7)를 원통체(4)에다 조립시켜 줄 때는 아직 외통(3)에 원통체(4)가 장전되어 있지않은 상태이기때문에, 원통체(4)가 쉽게 넓혀져 윈통형필심파이프받침부(7)가 비교적 쉽게 조립될 수가 있고, 이렇게 원통형필심파이프받침부(7)가 외통(3)에 조립되게 되면 외통(3)의 내벽이 방해를 해서 원통체(4)가 넓혀져 걸림부재(6)가 나선통로(5)로부터 이탈되는 일이 없어지게 된다.
만일 이탈하는 경우가 있게되면 원통형필심파이프받침부(7)가 이를 방해해서 필심파이프(8)로의 필심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게되는 문제가 야기되기 때문에 특히 이점에 대해 유의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외통(3)의 내면에 형성된 다각형부(29)에는 원통형필심파이프받침부(7)의 앞끝부위 외면에 형성된다각형부(30)가 끼워져 외통(3)내면에 대해 원통형필심파이프받침부(7)가 축방향으로는 자유로히 이동하나 회전방향으로는 저지되도록 되어있으나, 이와같은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키홈과 키로 이루어지는 구조 등으로 해주어도 좋다.
또 원통체(4)의 내면에는 원통형필심파이프받침부(7)를 받쳐주는 반침턱(9)이 형성되고, 이 원통체(4)의 뒷쪽부위와 마주보는 부분에는 축방향 슬릿(10)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이 양 슬럿(10)의 양쪽측부내에는 봉상물(11)을 끼워잡는 협지편(12)이 양 슬릿(10)에 안내되어지도록 붕상물호울더(13)가 자유로히 미끄럼이동할 수 있게 수납되어져 있다.
여기서 물론 상기 봉상물(11)을 끼워잡아주는 협지편(12)은 반드시 협지편(12)이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원통형상으로된 원통체로 봉상물(11)을 보유지지해주도록 하고여도 상관이 없다. 또 봉상물(11)로서는 지우개고무라던가 도장 등을 사용할 수가 있는 바, 도시해놓은 실시예에서는 지우개고무인 경우를 도시해 놓았다.
한편 상기 봉상물호울더(13)의 협지편(12)에는 외통(3)의 뒷끝에 닿게되는 원통형캡(14)의 내면에 나선통로(5)와 같은 방향이거나 또는 그와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나선홈(15)에 끼워넣어지는 돌기(16)가 형성됨과 더불어 원통형캡(14)의 내주면에는 환상돌기(17)가 형성되며, 또 원통체(4)의 외면에는 이 판상돌기(17)가 걸어맞춰지는 걸림부(18)가 형성되어져 있는 바, 이 걸림부(18)는 원통체(4)의 외면에 형성된 돌출편(19)과 계단부(20)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외통(3)과 원통형캡(14)의 외경은 같게되어 있고, 또 원통체(4)의 뒷쪽끝에는 원통형캡(14)내에 닿게되는 바깥링(21)이 설치되어져 있는데, 이 바깥링(21)은 봉상물호울더(13)에 빠져나가는 것을 방재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샤아프펜슬은, 원통형캡(14)을 한쪽방향으로 예컨대 왼쪽으로 회전시켜주게되면 원통형캡(14)의 나선홈(15)에 나사식으로 끼워진 돌기(16)가 나선홈(15)의 앞끝(시작점)에 맛닿아져서 그 이상 봉상물호울더(13)가 회전하지 못하게 되므로, 원통체(4)는 이 봉상물호울더(13)를 매개로 회전하게되고, 원통체(4)의 앞쪽부위에 형성된 나선통로(5)에 걸림부재(6)가 끼워 넣어진 원통형필심파이프받침부(7)는 외통(3)의 내면에 형성된 다각형부(29)에 원통형필심파이프받침부(7)의 앞끝부위 외면에 형성된 다각형부(30)가 끼워져 외통(3)의 내면에 대해서는 축방향으로 자유로히 이동하면서 회전방향으로는 제동되어져있기때문에, 걸림부재(6)에 나선통로(5)를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해서 원통체(4)가 원통형필심파이프받침부(7)에 대해 뒷쪽으로 이동하게되어 외통(3)과 원통형캡(14)사이에 녹크거리만큼의 간격이 생겨 녹크할 수가있게 된다.
따라서 원통체(4)의 뒷끝을 녹크해주게되면 원통형캡(14)과 원통형필심파이프받침부(7) 및 필기부재(2)의 필심파이프(8)가 앞쪽으로 이동하게되어 종래의 샤아프펜슬과 마찬가지로 필심(31)을 선단캡(1)으로 부터조금씩 송출시켜줄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휴대할 때나 또는 사용하지 않을때는 원통형캡(14)을 반대방향 즉 오른쪽으로 회전시켜 외통(3)과 원통형캡(14)이 맞닿아지게 해서 이를 양자사이에 녹크거리 간격을 없애게 되면, 외통(3)과 원통형캡(14)의 외경이 같게 되어 있기 때문에 산뜻한 외관을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원통형캡(14)을 오른쪽으로 회전시키게되면 원통형캡(14)과 외통(3)사이에 간격이 생기고, 다시 원통형캡(14)을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켜 주게되면 원통체(4)의 나선통로(5)의 끝부분에 원통형필심파이프받침부(7)의 걸림부재(6)가 맞닿아져 원통체(4)가 회전하지 못하게되므로, 봉상물호울더(13)가 원통형캡(14)의 나선홈(15)을 따라 뒷쪽으로 이동되어져서 지우개고무인 봉상물(11)만이 원통체(4)의 뒷끝으로부터 돌출되어져 나가게 된다.
한편 상기 지우개고무인 봉상물(11)을 사용할 때는 원통형캡(14)을 반대쪽(왼쪽)으로 회전시켜 외통(3)과 원통형캡(14)을 반대쪽(왼쪽)으로 회전시켜 외통(3)과 원통형캡(14)사이에 간격이 생기지 않도록 해줄 수가있기 때문에 녹크운동이 일어날 수가 없게됨으로 상기 지우개고무로 된 봉상물(11)에 강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이 지우개고무인 봉상물(11)이 밀려들어가게 될 염려가 없어 글자를 원활하게 지울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지우개고무인 봉상물(11)은 녹크조작이 완료된 다음과 마찬가지로 원통형캡(14)을 왼쪽방향으로 회전시켜 주게되면 봉상물호울더(13)의 협지판(12)에 잡혀 지지된 상태데로 안으로 들여 보낼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샤아프펜슬의 외관을 산뜻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지우개고무인 봉상물(11)이 파손된다거나 부러지게 될 염려가 없게 된다.
또한 지우개고무를 사용할 때와 녹크조작때의 회전방향이 확실히 그 구조상 구별되어지게됨으로, 제작과정에서 기능상 미소한 칫수정밀도가 요구되지 않게되고, 또 사용자측 입장에서 보더라도 조작방법을 명확히 구별할 수가 있기때문에, 예컨대 원동형캡(14)을 왼쪽으로 돌려주면 녹크동작이 이루어지고 오른쪽으로 돌리면 지우개고무의 송출이 일어나게된다는 간단한 표시를 해둠으로서 오작동을 방재해줄 수가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에서의 나선통로부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놓은 것인데, 이 실시예에서는 원통체(4)에 형성시킨 나선통로(5)를 이 원통체(4)의 앞쪽끝부분으로 개방되도록 슬릿(5a)형상으로 형성시키되, 이 슬릿(5a)의 앞쪽 부위에다 명목부(5b)를 형성시켜 놓은 경우를 도시해 놓은 것으로, 이는 앞설명과 마찬가지작용을 하는 것이다.
또 봉상물(11)로서는 지우개고무 외에 도장이나 크레용 또는 립스틱 등과 같은 봉상물을 사용할 수가 있음은 물론이다.
제5도 및 제6도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나선통로(5)의 방향을 반대로 형성시킨 경우인 바, 이는 휴대할 때나 또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원통형캡(14)을 반대방향 즉 왼쪽으로 회전시켜 외통(3)과 원통형캡(14)이 맞닿아지게해서 양자 사이에 녹크거리 간격이 없어지도록 하게되면 외통(3)과 원통형캡(14)의 외경이 같은 것으로 되어있어서 외관이 산뜻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원통형캡(14)을 오른쪽으로 회전시켜주게되면 상기 원통형캡(14)과 외통(3)사이에 간격이 생기고, 원통형캡(14)을 다시 같은쪽으로 다시 회전시키게되면 원통체(4)의 나선통로(5) 끝부위에 원통형필심파이프받침부(7)의 걸림부재(6)가 닿아져 원통체(4)는 회전하지 못하는 대신 봉상물호울더(13)가 원통형캡(14)의 나선홈(15)을 따라 뒷쪽으로 이동하게되어 지우개고무인 봉상물(11)만을 원통체(4)의 뒷끝으로부터 돌출되어져 나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우개고무인 봉상물(11)을 사용하게 될 때에는 원통형캡(14)사이에 간격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녹크운동이 일어날 수 없게되므로, 지우개고무인 봉상물(11)에 강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밀려들어가게 되는 일이 없어 글자를 원활하게 지울 수가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원통형캡(14)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않고 외통(3)과 원통형캡(14)사이에 간격이 생겨난 그대로 봉상물(11)을 사용해도 상관이 없다.
또 상기 지우개고무인 봉상물(11)을 사용한 후에는 원통형캡(14)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외통(3)과 원통형캡(14)사이의 간격을 없앤 다음, 다시 반대방향으로 더 회전시켜주게되면 봉상물호울더(13)의 협지편(12)에 잡혀 지지된 봉상물이 들어보내지게 됨으로 그 외관이 산뜻하게 설계되어질 수가 있음은 물론, 지우개고무인 봉상물(11)이 파손되거나 부러지게 될 염려가 없어지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샤아프펜슬은, 녹크조작을 할 때에만 외통(3)과 원통형캡(14)사이에 녹크거리만큼의 간격이 생기고, 휴대하거나 사용하지 않을 때는 외통(3)과 원통형캡(14)사이에 녹크거리 간격이 생기지 않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외관을 산뜻하게 설계제작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상기 봉상물을 사용할 때 외통(3)과 원통형캡(14)사이의 간격을 없앨 수가 있기 때문에 녹크운동이 일어날 수 없게되어 봉상물(11)에 강한 외력이 작용하게되더라도 봉상물(11)이 밀려들어가게 될 염려가 없어 봉상물(11)을 원활하고 확실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외통(3)내에 필기부재(2)가 장착되고, 원통체(4)의 앞쪽부위에 나선통로(5)가 형성되어 이 나선통로(5)에 걸어맞춰지는 걸림부재(6)가 외면에 형성된 원통형필심파이프받침부(7)가 상기 필기부재(2)의 필심파이프(8)에 끼워져 외통(3)의 내면에 대해 이 원통형 필심파이프받침부(7)는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회전방향으로는 제동되는 구조로 되고, 상기 원통체(4)의 내면에는 원통형필심파이프받침부(7)의 받침턱(9)이 형성되면서 이 원통체(4)의 뒷쪽부분에 축방향슬릿(10)이 형성되며, 이 원통체(4)의 뒷쪽부위 내에는 봉상물(11)이 보유지지되어 상기 슬릿(10)을 따라 안내되어지도록 봉상물호울더(13)가 자유로히 미끄럼이동할 수있도록 수납되고, 이 봉상물호울더(13)에는 외통(3)의 뒷끝에 닿게되는 원통형캡(14)내면에 상기 나선통로(5)와 동일 또는 역방향으로 형성되어진 나선홈(15)에 끼워지는 돌기(16)가 형성되어 원통형캡(14)과 원통체(4)를 끼워맞춰지도록 된 샤아프펜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3)과 원통형캡(14)의 외경이 같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아프펜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통로(5)의 양끝부가 걸림부재(6)의 시작점과 종로점으로 되고, 상기 원통체(4)와 마주보는 앞끝부분에는 앞끝이 개방된 슬릿(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아프펜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캡(14)내면에 환상돌기(17)가 형성되면서 원통체(4)의 외면에는 이 환상돌기(17)가 끼워맞춰지는 걸림부(18)가 형성됨과 더불어, 이 걸림부(18)는 원통체(4)의 외면에 형성된 돌출편(19)과 계단(2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아프펜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체(4)의 뒷끝에 원통형캡(14)에 닿는 바깥링(21)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샤아프펜슬.
KR1019870014425A 1987-12-17 1987-12-17 샤아프펜슬 KR900007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4425A KR900007188B1 (ko) 1987-12-17 1987-12-17 샤아프펜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4425A KR900007188B1 (ko) 1987-12-17 1987-12-17 샤아프펜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9660A KR890009660A (ko) 1989-08-03
KR900007188B1 true KR900007188B1 (ko) 1990-09-29

Family

ID=19267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4425A KR900007188B1 (ko) 1987-12-17 1987-12-17 샤아프펜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718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9660A (ko) 1989-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2727A (en) Writing tool
US6517271B1 (en) Double-chuck mechanical pencil
KR900007188B1 (ko) 샤아프펜슬
KR940006144B1 (ko) 봉상물조출용기
JPH01110199A (ja) シヤープペンシル
KR900009507Y1 (ko) 샤아프펜슬
KR910001046Y1 (ko) 샤아프펜슬
JPH0425499A (ja) 筆記用具の回転出没装置
EP0863023B1 (en) Double-chuck mechanical pencil
JPH0232881B2 (ko)
KR960005200Y1 (ko) 봉상물 조출용기
JPH0545514Y2 (ko)
JP7145036B2 (ja) 棒状芯繰出具
JPS6222396Y2 (ko)
KR910002693Y1 (ko) 봉상물 송출용구
JPH0356398Y2 (ko)
JPH081910Y2 (ja) 筆記具
JPH061831Y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H0721388U (ja) 棒状物繰り出し容器
KR900009506Y1 (ko) 샤아프펜슬
JPH078237Y2 (ja) ノック式筆記具
JPH0240901Y2 (ko)
JPH1191289A (ja) 筆記具
JP3158277B2 (ja) 棒状体繰出機構付筆記具
KR930003581Y1 (ko) 회전식 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