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393B1 - 급지장치(給紙裝置) - Google Patents

급지장치(給紙裝置)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393B1
KR890001393B1 KR1019850009773A KR850009773A KR890001393B1 KR 890001393 B1 KR890001393 B1 KR 890001393B1 KR 1019850009773 A KR1019850009773 A KR 1019850009773A KR 850009773 A KR850009773 A KR 850009773A KR 890001393 B1 KR890001393 B1 KR 890001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main body
sheet
support
bu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9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4745A (ko
Inventor
도시노리 이시가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오시바
사바 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오시바, 사바 쇼오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오시바
Publication of KR860004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4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58Supply holders for sheets or fan-folded webs, e.g. shelves, tables, scrolls, pil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6Elements, e.g. scrapers, fingers, needles, brushes, acting on separated article or on edge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 B65H2301/4232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top of the pile
    • B65H2301/423245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top of the pile the pile lying on a stationary support, i.e. the separator moving according to the decreasing height of the p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 Handling Of Cut Pap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급지장치(給紙裝置)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급지장치 사시도.
제 2도는 제 1도의 일부 확대사시도.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급지장치의 제어회로 구성도.
제 4도 및 제 5도는 제 1도의 급지장치의 작동도.
제 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급지장치에 대한 측면도.
제7도 및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일부 작동상태를 확대도시한 측면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급지장치에 대한 측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급지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받침대 12 : 용지
14 : 용지다발 16 : 돌출부
18 : 급지장치 20 : 프린터 본체
22 : 가이드 로드 24 : 본체
26 : 지지기구 28 : 지지로드
30 : 프레임 30a : 프레임 하부
30b : 프레임 상부 32 : 지지고정판
34 : 구동축 36a,36b : 나사부
38 : 구동기어 40 : 모우터
42 : 승강판 44a,44b : 승강로드
46 : 치차 48 : 모우터
50 : 규제편 52 : 지지아암
54 : 공급로울러 56 : 급지모우터
58 : 벨트 60 : 모우터
62 : 공급로울러 64 : 종속로울러
66 : 외틀 68 : 플라텐
70 : 인자헤드 72 : 압축로울러
74 : 용지베일(bail) 76 : 제어장치
78 : 호스트 컴퓨터(host computer) 80 : 마이크로 프로세서
81 : 팜웨어 메모리(firmware memory) 82 : 모우터 제어로직
83 : 인자헤드 제어로직 84 : 플라텐 구동모우터
86 : 헤드구동모우터 88 : 고정프레임
90 : 압축 스프링 92 : 벨트
94a, 94b : 모우터 96 : 광센서
본 발명은 프린터나 판독장치에 이용되는 급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급지장치는 프린트되는 용지가 놓여지는 호퍼(hopper)와 호퍼 상방에 배치된 공급로울러를 갖추고 있는데, 이 호퍼는 스프링에 의해 공급로울러 방향으로 붙어 있고 도 상기 호퍼내에 놓여진 용지의 안쪽 최상부에 있는 용지는공급로울러내에 눌려 닿아져 있어서 이 상태에서 공급로울러가 구동되면 호퍼내의 용지는 최상부에 있는 것부터 한매씩 프린터로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공급로울러에 의해 최상부의 용지를 보낼때에는 용지간의 마찰로 말미암아 2번째, 3번째의 용지도 함께 보내지게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급지장치는 2번째 이하의 용지가 한꺼번에 이동되는 것을막기 위한 둥근테를 설치되어 최상부의 용지 한장만 둥근테를 타고 넘어서 프린터로 보내지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그러나 급지장치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지는 경우에는 호퍼에 놓여질 수 있는 용지가 50-100매 정도로 제한을 받게 되는 한편, 만일 100매 이상의 용지를 호퍼에 쌓아놓는 경우에는 호퍼를 밀어올리기 위한 탄성력이 큰 스프링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탄성력이 큰 스프링을 사용하는 경우 호퍼내의 용지가 점차 적어지게 되면 최상부의 용지는 보다 강한 힘으로 공급로울러에 눌려져 닿게 되어 공급로울러를 큰 힘으로 구동시켜 주어야 하기 때문에 대형 모우터가 필요하게 된다. 또, 용지사이의 마찰력이 커지고, 최상부의 용지와 함게 그 다음의 용지도 둥근테를 넘어서 2,3중으로 급지되거나 잘못 급지된다고 하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여러장의 용지 가운데 최상부의 용지만 순차적으로 1매씩 확실하게 보낼 수 있는 급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급지장치는 많은 용지를 쌓아서 직육면체 모양을이루는 용지다발위에 설치되며, 이 용지다발 최상부의 용지부터 1매씩 급지시킴과 동시에 급지에 따라 용지다발 높이가 변할대 그 변화는 높이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급지장치는 상기 종이다발의 최상부에 있는 용지 위로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지지되어 상기 종이다발 최상부의 용지에 접촉되고 상기 최상부의 용지를 소정의 방향으로 보내는 공급로울러, 상기 공급로울러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최상부의 용지에 대해서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최상부의 용지는 이동이 되게 하지만 다른 2번째 이하의 용지가 한꺼번에 급지되는 것을 규제하는 수단 및 상기 본체 및 규제수단을 지지함과 동시에 용지공급에 따라 용지다발의 높이가 변하는대로 이동 가능토록 설치되면서 최상부의 용지에 대한 상기 본체 및 규제수단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지지수단을 갖추고 있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를 갖추고 있는 프린터를 도시해 놓은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프린터는 받침대(10)를 갖고서 받침대(10) 위에는 예컨대 A4규격으로 된 용지(12)가 쌓여 직육면체 형태를 이룬 용지다발(14) 놓여져 있는데 이 용지다발(14)은 받침대(10)에 형성되어져 있는 돌출부(16)에 의해서 놓여질 자리가 정해지게 되어있다. 또 프린터는 용지다발(14) 상부에 설치된 급지장치(18)와 이 급지장치(18)에 지지되어 함께 이동되어지는 프린터 본체(20)를 갖추고 있는데, 이 프린터 본체(20)는 받침대(10)에 설치된 1쌍의 가이드로드(22)에 의해 그 이동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제 1도에 도시되어져 있는 바와 같이, 급지장치(18)는 용지다발(14) 최상부의 용지(12a) 윗쪽에서 그와 마주보게 되는 판형상의 본체(24)를 갖고 있는데 이 본체(24)는 용지(12)폭과 거의 같은 길이를 갖고서 용지의 폭방향으로 배치되어져 있다.
또 상기 본체(24)는 지지기구(26)에 의해 최상부의 용지(12a)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진 상태에서 지지되어져 있게 되는데, 상기 지지기구(26)는 본체(24) 양단에 서로 평행되게 고정된 한쌍의 지지로드(28)와 각 지지로드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 한쌍의 지지프레임(30)을 갖추고 있고, 또 상기 각 지지프레임(30)은 상기 지지로드(28)로부터 아랫쪽으로, 즉 용지다발(14) 방향으로 연장된 하부(30a)와 지지로드로부터 윗쪽으로 연장된 상부(30b)를 갖고서 하부(30a)의 연장부위 끝에는 용지다발의 측면에 닿도록 된 지지판(32)이 고정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고정판(32)의 용지다발쪽면에는, 제 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나 스폰지와 같이 탄성을 갖춤과 더불어 마찰력이 큰 물질로 이루어진 유지부재(32a)가 붙어져 있다.
또, 지지프레임(30)의 상부(30b)는 구동축(34)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져 있는바, 즉 구동축(34)은 본체(24)의 윗쪽에 위치하여 있고, 그 양쪽끝에는 각각 나사부(36a,36b)가 형성되어져 있어서 이들 나사부(36a,36b)가 각각 지지프레임(30)의 상부(30a)에 체결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나사부(36a,36b)는 서로 역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축(34)의 중앙에는 구동기어(38)가 고정되어 있고 이 구동기어(38)는 본체(24)상에 설치된 모우터(40)의 회전축에 고정된 기어와 맞물려 있어서 모우터가 정회전되면 구동축(34)은 그 상부(30b)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지지프레임(30)을 회동시키게 되는 한편, 또 모우터(40)가 역회전하면 구동축(34)은 그 상부(30)가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지지프레임(30)을 회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지지판(32)은 각각 용지다발(14)의 서로 마주보게 되는 쪽면에 닿아져 상기 용지다발을 잡게 되는 바, 그 결과 본체(24)는 지지프레임(30)에 의해 용지다발(14)의 윗쪽에 지지되어져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지지기구(26)는 지지로드(28)에 각각 지지된 한쌍의 승강판(42)을 갖추고 있는데, 각 승강판(42)은 지지로드(28)와 지지판(32) 사이에서 용지(12)의 긴쪽면과 나란하게 위치하고 있는데, 상기 각 승강판(42)은 L자 모양의 횡단면 형상으로 되어 용지다발(14)의 장변측 모서리부위에 걸려지도록 되어 있다. 또 각 승강판(14)으로부터는 한쌍의 승강로드(44a,44b)가 서로 평행되게 윗쪽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고, 각 승강로드의 외면에는 그 전체에 걸쳐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각 승강로드(44a,44b)하단은 제 2도에 도시되어져 있는 바와같이 승강판(42)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져 있는 한편, 상기 승강로드(44a,44b)의 상단은 지지로드(28)에 나사 체결되게 되며, 상기 승강로드(44a,44b)들 사이에는 이들과 이빨물림되는 치차(46)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치차(46)는 본체(24)에 고정된 양축 모우터(48)의 회전축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모우터(48)가 정회전하면 승강로드(44a,44b)는 치차(46)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승강판(42)와 함께 윗쪽으로 이동되는 한편, 모우터(48)가 역회전하면 승강판( 4 2 )은 승강로드(44a,44b)와 함께 용지다발(14)쪽으로 하강된다.
그리고 상기 각 승강판(42)의 앞쪽끝은 용지다발(14)의 모서리까지 연장되어 있고, 그 앞쪽끝에는 제 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규제편(5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규제편(50)은 용지다발(14) 최상부의 용지(12a)만 이동하게 하면서 두번째 이후의 용지가 한꺼번에 이동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을 형성하고 있다.
또 상기 본체(24)로부터 용지(12)의 긴쪽변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한쌍의 지지아암(52)이 앞쪽으로 연장되어 있는데, 이들 지지아암(52)은 최상부의 용지(12a)에 닿게 되는 한쌍의 공급로울러(54)가 각각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되어져 있고, 이들 공급로울러(54)는 본체(54)에 고정된 급지모우터(56)에 의해 벨트(58)을 매개로 구동된다. 또 지지아암(52)의 선단부에는 모우터(60)와 이 모우터(60)에 의해서 구동되어지는 공급로울러(62) 및 이 공급로울러와 연동되어 회전되어지는 종속로울러(64)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프린터 본체(20)는 급지장치(18)의 지지아암(52)의 연장부끝에 고정된 틀(66)을 갖추고, 이 틀(66)은 상술한 안내로드(22)에 의해서 안내되게 되는데, 상기 틀(66)에는 플라텐(68)과 인자헤드(70), 압축로울러(72) 및 용지베일(bail, 74)이 설치되어져 있다.
또 받침대(10)에는 급지장치(18) 및 프린터 본체(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76)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제어장치(76)는 제 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컴퓨터(78)로부터 인자 데이터 및 각종 제어데이터를 접수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80)를 갖추고 있는바, 이 마이크로프로세서(80)는 팜웨어 메모리(firmware memory, 81)내의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여 모우터 제어로직(82) 및 인자헤드 제어로직(83)을 제어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인자헤드 제어로직(83)은 프린터 본체(20)의 인자헤드 동작을 제어하고 모우터 제어로직(82)은 모우터(40,48,56,60)와 플라텐 구동 모우터(84) 및 헤드구동 모우터(86)의 동작을 제어하게 되어 있는데, 여기서 모우터로서는 스텝모우터가 사용되고 있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 프린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받침대(10)의 소정위치에다 여러 용지가 적층되어져 있는 용지다발(14)을 올려 놓는다. 이어 급지장치(18)가 용지다발(14)위에 놓여짐과 동시에 프린터 본체(20)가 가이드로드(22)에 걸어 맞춰진다. 이때 승강판(42)은 지지로드(28)에서 적당한 간격으로 떨어지게 되는 제 1위치에 각각 위치하게 되고 지지고정판(32)은 개방위치, 즉 서로 벌어진 위치로 놓여지게 된다. 그런데 제 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승강판(42)이 각각 용지다발(14)의 모서리부에 놓여져 용지다발을 누르게 됨과 더불어 본체(24)를 용지다발(14)위에 위치하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지지판(32)은 용지다발(14)로부터 떨어지게 되고 공급로울러(54)는 최상부의 용지(12a)위에 접촉되게 된다. 그후 주 컴퓨터(78)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80)가 모우터 제어로직을 제어하여 모우터(40)를 구동시키게 되고, 이때 모우터(40)가 역회전하면 기어(38)와 구동축(34) 및 나사부(36a,36b)가 회전되고 지지프레임(30)은 지지판(32)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제 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판(32)은 스폰지와 같은 간직부재(32a)를 통해 용지다발(14)의 측면에 닿는 위치로 이동되고, 용지다발을 양사이드에서 조이듯 지지한다. 또 마이크로프로세서(80) 및 모우터 제어로직(82)의 제어에 의해 모우터(48)가 정회전 하게 되면 치차(46)가 회전하게 되어 승강로드(44a,44b)가 회전되어 지지로드(28)에 나사식으로 끼워져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승강판(42)은 승강로드(44a,44b)와 함께 제 5도에 도시된 제 2위치로 상승하게 되어 그 위치에서 각 승강판(42)은 최상부의 용지(12a)로부터 약간 떨어져 있게 되고 규제편(50)은 최상부용지(12a)의 누름을 해제하는 한편 2번째 이하의 용지가 급지되는 것을 규제하게 된다.
그 후, 마이크로프로세서(80)는 모우터 제어로직(82)를 통해서 급지 모우터(56)를 구동시키고, 벨트(58)를 통해서 공급로울러(54)가 회전된다. 또, 이상태에서 본체(24)는 용지다발(14)의 측면에 눌려지며 접촉된 지지 고정판(32)에 의해서 지지되고, 승강판(42)은 용지다발(14)에 접촉되어 있지 않는다. 그 때문에 용지다발(14)의 최상부용지(12a)는 승강판(42)에 의해서 눌려지지 않고 용지간의 마찰은 비교적 적다. 그 결과 최상부의 용지(12a)는 비교적 적은 구동력에 의해서도 용이하게 송출된다.
또, 모우터(56)와 함께 마이크로프로세서(80)와 모우터 제어로직(82)에 의해 모우터(60)가 구동되고 공급 로울러(62) 및 종속로울러(64)가 회전된다. 그리하여 공급로울러(56)에 의해 보내진 용지(12)는 공급로울러(62) 및 종속로울러(64)에 의해 프린터 본체(20)의 플라텐(68)에 보내진다. 이 플라텐(68)에 보내진 용지(12)는 압축보일러(72)에 의해 플라텐 표면에 눌려져 끼워지고 마이크로프로세서(80) 및 모우터 제어로직(82)의 제어에 의해 모우터(84,86)가 구동되며 플라텐(68) 및 인자헤드(70)가 구동된다. 따라서 인자헤드(70)는 마이크로프로세서(80) 및 헤드 제어로직(83)의 제어에 따라 용지(12)상에 원하는 문자를 인자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인자동작이 끝난 후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80) 및 모우터 제어로직(82)의 제어에 의해 모우터(48)가 역회전되고 승강판(42)이 각각 제 1위치로 내려온다. 이때 용지다발(14)로부터 이미 1매의 용지가 송출되어 있기 때문에 각 승강판(42)은 용지다발(14)의 최상부의 용지(12a)로부터 용지 1매분의 두께만큼만 떨어진 상태로 되어 있다. 그 후, 모우터(40)가 정회전되어 지지 고정판(32)은 용지다발(14)로부터 떨어져 개방위치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본체(24)의 지지가 해제되고 급지장치(18) 및 프린터 본체(20)는 자중에 의해 승강판(42)의 용지다발(14)의 모서리부에 닿기까지 용지 1매분의 두께분만 하강한다. 이에 따라 제 4도에 도시한 상태가 다시 설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을 반복함에 따라 많은 용지가 연속적으로 인자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프린터에 의하면 종래의 것처럼 용지다발 자신을 이동시킬 필요는 없고, 급지장치가 용지다발 높이의 변화에 따라 이동되기 때문에 용지다발이 큰 경우에도 용지간 마찰이 중대되거나 혹은 최상부의 용지에 대한 공급로울러의 눌러주는 힘이 증대되거나 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여러장이 한꺼번에 겹쳐 급지되는 일이 없이 최상부에서부터 1매씩 확실하게 송출시킬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또 한꺼번에 많은 양의 용지를 쌓아 놓을 수가 있게 되어 용지보급에 따른 작업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더구나 공급로울러를 구동하는 모우터로 하여금 비교적 구동력의 적은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 급지장치(18)는 용지를 1매씩 급지할 때마다 하강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용지다발의 최상부로부터 여러매, 예컨대 10매 급지까지는 승강판만을 순차적으로 하강시키고, 10매 급지후에는 급지장치 전체를 하강시키게 해도 좋다.
제 6도 내지 제 8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해 놓은 것으로서, 여기서는 각 지지판(32)에 고정되는 간직부재(32a)로 고무나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많은 발을 갖는 브러시 형태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제 2실시예에 의하면, 제 7도 및 제 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판(32)이 용지다발(14) 측면으로 향해서 이동되면 우선 간직부재(32a)의 선단, 즉 브러시의 선단이 용지다발 측면에 닿은 다음 지지판이 더 이동되면 브러시의 발이 그 기초단을 중심으로 해서 굽혀지게 되므로서 급지장치(18)는 브러시(32a)의 길이만큼만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 때문에 상기 제1실시예에서처럼 모우터(48), 치차(46)등을 이용해서 승강판(42)을 올리는 일을 할 필요가 없고, 더구나 이러한 모우터 치차를 생략할 수가 있게 된다.
제 9도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여기서는 받침대(10)상에 고정 프레임(88)이 설치되어 있고, 이 프레임은 받침대로부터 용지다발(14) 측면을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지지프레임(30)은 지지판을 갖추지 않은 상태로 용지다발(14)을 모아서 간직하는 대신에 고정 프레임(88)과 걸어 맞춰지도록 하여 종이다발(14)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제 2 및 제 3실시예에서, 제 1실시예와 동일부분은 동일 참조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그리고, 제 2 및 제 3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 1실시예와 동일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제10도는 이 발명의 제 4실시예로써, 여기서는 2조의 지지프레임(30a, 30b)이 본체(24)에 회동될 수 있게 부착되어져 있고, 각 프레임(30a,30b)은 그 중간부가 본체(24)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프레임(30a, 30b)의 상단은 압축스프링(9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지지프레임의 하단부의 용지다발(14) 측면을 따라 접해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30a, 30b) 하단에는 용지다발(14)의 측면에 눌려져 접촉된 무한벨트(92)가 각각 부착되어 있고, 이들의 벨트(92)에서 용지다발을 모아서 지지함에 따라 본체가 지지되어 있다.
벨트(92)는 지지프레임(30a, 30b)에 고정된 모우터(94a,94b)에 의해 구동벨트(95a, 95b)를 통해서 구동된다. 그래서 무한벨트(92)가 구동되면 이들 벨트(92)는 지지프레임(30a, 30b) 및 본체(24)와 함께 용지다발(14)의 측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 또, 본체(24)에는 로드(44)를 통해서 한쌍의 승강판(42)이 고정되어 있다. 한쪽의 승강판(42)에는 위치 센서인 광센서(96)가 부착되어 최상부의 용지(12a)와 마주보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광센서(96)는 승강판(42)과 최상부의 용지(12a)와의 간격을 검지한다.
제 4실시예에 의하면, 우선 급지장치가 용지다발(14)에 대해서 제10도에 도시한 상태로 놓여진다. 이어서 도시 안된 제어장치에 의해 모우터(94a,94b)가 구동되고 급지장치 전체가 하강된다. 그리고 승강판(42)이 최상부의 용지(12a)에 대해서 소정간격에 다달으면 혹은 규제편(50)이 최상부의 용지이동을 허용하는 위치에 다달으면 광센서(96)가 검출신호를 출력시켜 모우터(94a,94b)를 정지시킨다.
그 후, 공급로울러에 의해 최상부의 용지가 프린터 본체에 보내진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제 1실시예와 동일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가 있고, 또 위치센서는 광센서에 한하지 않고 압력 센서를 이용해도 좋다. 이 경우 검출압력이 소정치에 다달은 때 압력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해 모우터(94a,94b)가 정지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청구범위내에서 그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 1실시예에 있어서는 급지장치를 프린터와 조합시켜 이용했지만 판독장치와 조합시켜도 좋다. 판독장치는 프린터 본체(20)의 인자헤드(70)를 광전변환 헤드로 바뀜에 따라 얻어진다. 또, 급지장치를 판독장치와 조합시키는 경우 용지다발은 원하는 정보가 기록된 용지를여러장 겹쳐서 형성된다. 또 제 1실시예에 있어서, 프린터 본체(20)는 받침대(10)에 세워진 가이드로드(22)에 의해 가이드되어 있지만 이들의 가이드로드를 생략해도 좋다. 더구나 제 4실시예에 있어서 무한벨트 대신에 탄성체로 형성된 로울러를 이용해도 좋다.

Claims (13)

  1. 많은 인자용 용지를 겹쳐 쌓아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용지다발을 그 최상부의 용지로부터 순차적으로 소정의 방향으로 보내는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다발(14) 최상부의 용지(12a)의 윗쪽에 설치해 놓은 본체(24)와, 상기 본체(24)에 지지되어 상기 용지다발(14) 최상부의 용지(12a)에 접촉되면서 상기 용지(12a)를 소정의 방향으로 보내주게 되는 공급로울러(54), 상기 공급로울러(54)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56,58), 상기 최상부의 용지(12a)로부터 적당하게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최상부의 용지(12a)만 이동시키고 두번재 이하의 용지는 이동되지 않도록 규제하는 규제수단(50) 및 상기 본체(24) 및 규제수단(50)을 지지하고 있으면서 용지공급에 따른 용지다발(14)의 높이에 변함에 따라 항상 최상부 용지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최상부(12a)의 용지에 대한 상기 본체(24) 및 규제수단(50)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지지수단(26)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26)은 본체(24)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지지프레임(30)과, 이 지지프레임(30)에 각각 고정되어 용지다발(14)의 한측면 및 이측면과 마주 보는 다른 측면에 각각 접촉되는 한쌍의 지지판(32), 상기 지지판(32)이 용지다발(14)의 한측면 및 맞은편 의 다른 측면에 닿게 되고 이 용지다발(14)을 모으듯 지지하는 닫혀진 위치와 상기 지지판(32)이 용지다발(14)의 측면으로부터 떨어지는 열려지는 위치로 상기 지지판(30)을 회동시키는 개폐기구(34,36a,36b,38,40) 및, 상기 본체(24)에 지지되어 각각 용지다발(14)의 한 측면쪽 모서리부 및 그 맞은 쪽 모서리부와 걸어 맞춘 한쌍의 승강판(42)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지지수단(36)은 각 지지판(32)에 고정되어 용지다발(14)의 측면에 닿을 수 있게 된 간직부재(32a)를 갖추고, 상기 간직부재(32a)는 탄성체로 된 많은 발을 갖는 브러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규제수단(50)은 각각 승강판(42)에 고정된 한쌍의 규제편(50)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승강판(42)은 본체(24)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지지수단(26)은 승강판(42)이 용지다발(14)의 최상부 용지(12a)에 접하게 되는 제 1위치와 승강판(42)이 상기 최상부의 용지(12a)로부터 소정의 이격된 거리의 제 2위치에 승강판(42)을 이동시키는 승강기구(44a,44b,46,48)를 갖추고, 상기 규제편(50)은 승강판(42)이 제 2위치로 이동된 때 상기 최상부의 용지(12a)만 이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개폐기구는 본체(24)에 설치된 모우터(40)와, 상기 모우터(40)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34)을 갖추고, 이 구동축(34)은 한쪽의 지지프레임(30)에 나사 결합된 제 1나사부(36a)와 다른 쪽의 프레임(30)에 나사 결합되며 제 1나사부(36a)와 역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제 2나사부(36b)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지지수단(26)은 본체(24)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한쌍의 지지프레임(30a,36b)과 이 지지프레임(30a,30b)에 설치되어 상기 용지다발(14)의 일측면 및 이 일측면과 마주 보는 측면에 각각 접촉 가능한 회전부재(92)와, 상기 회전부재(92)를 용지다발(14)의 상기 측면에 누르면서 닿는 방향으로 지지프레임(30a,30b)에 탄발력을 주는 탄성부재(90), 상기 회전부재(92)를 구동시켜 지지프레임(30a,30b) 및 본체(24)를 이동시키는 회전부재 구동기구(94a,94b,95a,95b) 및 상기 용지다발(14)의 최상부의 용지(12a)에 대한 상기 규제수단(50)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회전부재 구동기구(94a,94b,95a,95b) 동작을 제어하는 위치 센서(96)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회전부재는 무한벨트(92)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위치 센서는 상기 본체(24)에 고정된 광센서(96)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용지다발(14)의 서로 대칭되는 2개 측면에 각각 마주 보게 설치된 고정 프레임(88)과, 상기 지지수단(26)이 본체(24)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각각 상기 고정프레임(88)과 걸어 맞춰지는 한쌍의 지지프레임(30) 및 상기 지지프레임(30)이 고정 프레임(88)과 조합되어 상기 본체(24)를 지지하는 제1위치와 지지프레임(30)이 고정 프레임(88)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의 제2위치에 지지프레임(30)을 이동시키는 개폐기구(34,36a,36b,38,40)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11. 급지된 용지에 대해서 정보를 인쇄하는 프린터에 있어서, 많은 용지를 겹쳐 쌓아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용지다발이 놓여진 받침대(10)와 프린터 본체(20), 상기 용지다발(14)을 그 최상부의 용지(12a)로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프린터 본체(20)에 이송하는 급지장치(18)로 되어 있으면서, 상기 급지장치(18)는 용지다발(14)의 최상부 용지(12a)의 상방에 설치된 본체(24)와, 상기 본체(24)에 지지되어 용지다발(14)의 최상부 용지(12a)에 접촉되고, 상기 최상부 용지(12a)를 소정의 방향으로 보내는 공급로울러(54)와, 상기 공급로울러(54)를 구송시키는 구동수단(56,58), 상기 최상부의 용지(12a)에 대해서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최상부의 용지(12a) 이동은 허용하지만 두번째 이하의 용지는 함께 급지되지 않도록 규제하는 규제수단(50), 상기 본체(24) 및 규제수단(50)을 지지하고 있으면서 용지 공급에 따른 용지다발(14)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기 위해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최상부의 용지(12a)에 대한 본체(24) 및 규제수단(50)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게 하는 지지수단(26)을 갖추어, 상기 프린터 본체(20)는 급지장치(18)의 본체(24)에 지지되어 급지장치(18)와 일체적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12. 11항에 있어서, 받침대(10)는 프린터 본체(20)와 맞춰 끼워서 프린터 본체(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22)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13. 급지된 용지에 인자된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장치에 있어서, 많은 용지를 겹치게 쌓아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용지다발이 놓여진 받침대(10)와, 상기 판독장치 본체와, 상기 용지다발(14)을 그 최상부의 용지(12a)로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판독장치 본체에 보내는 급지장치(18)로 되어 있되, 상기 급지장치(18)는 용지다발(14)의 최상부 용지(12a)의 상방에 설치된 본체(24)와, 상기 본체(24)에 지지되어 상기 용지다발(14)의 최상부 용지(12a)에 접촉하고, 상기 최상부의 용지(12a)를 소정의 방향으로 보내는 공급로울러(54)와, 상기 공급로울러(54)를 구동하는 구동수단(56,58)과, 상기 최상부의 용지(12a)에 대해서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어 최상부 용지(12a)의 이동은 허용하지만 두번째 이하의 용지는 이동되지 않도록 규제하는 규제수단(50)과, 상기 본체(24) 및 규제수단(50)을 지지하고 있어서 용지공급에 따라 용지다발(14) 높이가 변할때 상기 용지다발(14)의 높이를 일정한 처음의 높이로 유지시켜 주기 위한 지지수단(26)을 갖추고 상기 판독장치 본체는 급지장치(18)의 본체(24)에 지지된 급지장치(18)와 일체적으로 이동되도록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KR1019850009773A 1984-12-28 1985-12-24 급지장치(給紙裝置) KR8900013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276221A JPS61155140A (ja) 1984-12-28 1984-12-28 給紙装置
JP84-276221 1984-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4745A KR860004745A (ko) 1986-07-11
KR890001393B1 true KR890001393B1 (ko) 1989-05-02

Family

ID=17566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9773A KR890001393B1 (ko) 1984-12-28 1985-12-24 급지장치(給紙裝置)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715595A (ko)
JP (1) JPS61155140A (ko)
KR (1) KR8900013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70495D1 (de) * 1986-03-12 1991-07-11 Minnesota Mining & Mfg Roentgenfilm-zufuehrungsmagazin, verwendbar in automatischen filmhandhabungsvorrichtungen.
DE3823227C2 (de) * 1988-07-08 1998-09-03 Gauselmann Paul Vorrichtung zur Entnahme von Papierkarten aus einem Kartenmagazin
US5146286A (en) * 1991-05-17 1992-09-08 Xerox Corporation Compact copy sheet input/output apparatus for an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machine
US6612562B2 (en) 2001-12-21 2003-09-02 Pitney Dowes Inc. Method and system for feeding media to a printer
JP4099717B2 (ja) * 2004-02-12 2008-06-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被記録媒体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60076568A (ko) * 2004-12-29 2006-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용지분리장치
US7418232B2 (en) * 2005-10-26 2008-08-26 Kyocera Mita Corporation Original document supply device for image form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KR100736415B1 (ko) * 2006-06-09 2007-07-09 김영이 판지 자동급지장치
US8418348B2 (en) * 2008-07-22 2013-04-16 Shimadzu Corporation Manufacturing method of scattered radiation removing grid
JP5462375B2 (ja) 2010-01-29 2014-04-02 タン クウォン ライ, カードゲームへの参加を容易に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2873373B (zh) * 2021-01-11 2023-08-11 宁波瑞利时数控科技有限公司 一种备料升降机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626126A (en) * 1961-08-22 A.B. Dick Company Sheet separating mechanism for duplicators
DE465682C (de) * 1928-09-24 I G Farbenindustrie Akt Ges Vorrichtung zur selbsttaetigen Einzelabnahme von zu einem Stapel geschichteten Blaettern, Etiketten usw.
US776837A (en) * 1904-04-02 1904-12-06 Ernst Julius Hallberg Paper-feeding machine.
US928637A (en) * 1908-07-13 1909-07-20 Howe And Davidson Company Sheet-feeding device.
US2378306A (en) * 1943-04-12 1945-06-12 Continental Can Co Sheet feeding mechanism
US3476381A (en) * 1967-09-01 1969-11-04 Speed O Print Business Machine Duplicating machines
DE2436354C2 (de) * 1974-07-27 1984-07-12 Focke & Co, 2810 Verden Vorrichtung zur aufeinanderfolgenden Entnahme von Zuschnitten von einem gewölbten Zuschnittstapel in einem Stapelmagaz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1155140A (ja) 1986-07-14
KR860004745A (ko) 1986-07-11
US4715595A (en) 1987-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1393B1 (ko) 급지장치(給紙裝置)
EP0728589B1 (en) Recording apparatus
EP2116383A2 (en) Conveying apparatus and recording apparatus
US8757611B2 (en) Sheet-feeding apparatus equipped with paper pressing mechanism
US5052673A (en) Sheet feeding device
US5711519A (en) Device for feeding flat material
US7011303B2 (en) Sheet fee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4429865A (en) Paper feed device
US8087663B2 (en) Sheet feeder and image recording apparatus
US6398438B1 (en) Sheet feeding techniqu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CN215096477U (zh) 一种打印装置
US4687192A (en) Sheet feed apparatus with fixed separator protrusions
US4277059A (en) Sheet feeder for typewriters
CN214086810U (zh) 一种智能打印用纸收纳送纸机构
CN113386473B (zh) 一种打印装置
JP2685452B2 (ja) スタッカー
JPH05294530A (ja) 画像形成装置のコピ―排出装置
JP2908804B2 (ja) 給紙装置
JP2517571Y2 (ja) 給紙装置の用紙斜行防止装置
CN212402892U (zh) 一种印刷机的收料机构
JPH07100394B2 (ja) 通帳類印字装置
JPH01162674A (ja) 記録紙処理装置用大型排紙トレーの駆動装置
JP2021133575A (ja) 記録装置
JP2686475B2 (ja) 給紙装置
JP3373543B2 (ja) ブック原稿のページめく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5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