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380B1 - 콘크리이트 건조물 벽면의 보강 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이트 건조물 벽면의 보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380B1
KR890001380B1 KR1019850005924A KR850005924A KR890001380B1 KR 890001380 B1 KR890001380 B1 KR 890001380B1 KR 1019850005924 A KR1019850005924 A KR 1019850005924A KR 850005924 A KR850005924 A KR 850005924A KR 890001380 B1 KR890001380 B1 KR 890001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hole
chemical liquid
wall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5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3401A (ko
Inventor
나오히꼬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장종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종근 filed Critical 장종근
Priority to PCT/KR1985/000019 priority Critical patent/WO1987001153A1/en
Priority to AU50651/85A priority patent/AU5065185A/en
Priority to EP85905338A priority patent/EP0233182A1/en
Publication of KR860003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콘크리이트 건조물 벽면의 보강 방법
제 1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벽면의 박리부분에 대한 약액의 주입 준비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제 2도는 확장식 주입 플러그의 외형도.
제 3도는 확장식 주입 플러그의 종단면도.
제 4도는 자동 약액 주입장치의 종단면도.
제 5도는 제 4의 V-V단면도.
제 6도는 복수개의 자동 약액 주입장치를 보수용 구멍에 장착한 상태의 설명도.
제 7도는 약액의 주입상태의 설명도.
제 8도는 벽면의 박리를 저지하기 위한 부품의 종단면도.
제 9도는 확장식 주입 플러그와 벽멱의 박리를 저지하기 위한 부품을 삽입한 상태의 설명도.
제10도는 제 9도의 상태에 자동 약액 주입장치를 장착한 상태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건조물의 큰크리이트 본체 2 : 외장 모르타르층
3 : 공극부 4 : 보수용 구멍
10 : 확장식 주입 플러그 12 : 나사 구멍
14 : 스플릿 15 : 통액구멍
16 : 핀 17 : 주입 노즐
18 : 나사부 20 : 자동 약액 주입장치
21 : 케이스 22 : 캡
23 : 약액 캡슈울 25 : 원판
26 : 육각 너트 28 : 코일 스프링
29 : 레버 30 : 코터핀
31 : 안전링 35 : 줄
36 : 누름판 37 : 어댑터
38 : 암나사부
본 발명은 콘크리이트 건조물 벽면의 보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콘크리이트 건조물에 있어서 그 콘크리이트 본체 표면에 실시되어 있는 외장 모르타르(mortar)가 콘크리이트 본체 표면으로부터 박리되어 생긴 크랙에 약액을 주입하여 확실하고 합리적으로 보강하는 콘크리이트 벽면의 보강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이트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수축에 의한 크랙의 발생을 피할 수 없어, 콘크리이트 건조물은 건설 후 수년이 경과하면 벽면 등에 크랙이 발생되며, 특히 외벽면의 다듬질 모르타르나 외장 타일 등이 박리하여 위험한 상태를 나타내는 수도 종종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박리 부분에서의 외장 모르타르와 콘크리이트 본체 표면 사이를 그라우트 주입에 의하여 접착 보강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할 경우, 먼저 다수의 구멍을 뚫고, 각 구멍마다 사람의 손으로 그리이스 펌프(그리이스 건)를 사용하여 점조도가 높은 그라우트를 주입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공사비가 고가이며 작업성이 낮다. 뿐만 아니라, 그리이스 핌프와 같은 가압 조작기구를 사용하여 그라우트를 압입하게 되므로, 피주입부의 수용 공극의 용적이 명확하지 않으면 과도한 주입을 하게 되어 박리된 부분 이외의 그 주위의 정상 상태에 있는 곳에 까지 주입압력이 작용되어 유리시킴으로써, 모르타르 등 외장부가 융기된 상태가 되어 외관을 손상시키며 주입약액을 과도하게 소비하는 등 여리가지의 결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결점을 해결할 수 있는 콘크리이트 건조물 벽면의 보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벽면이라 함은 건조물의 외면. 천정면, 내측의 벽면 등을 포한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이트 건조물의 벽면 등에서 외장 모르타르가 콘크리이트 본체 표면으로부터 박리된 부분의 적당한 개소에 외부로 부터 콘크리이트 본체의 일부에 이르기까지 필요한 직경의 구멍을 뚫고, 그 구멍을 청소한 후, 그 구멍에 외주의 적당한 개소에 통액 구멍을 형성하고 베이스부 내주에 나사구멍을 갖는 확장식 주입 플러그를 삽입하고, 그 후 주입약액을 충전한 캡슈울에 주입 압력을 부가시키도록 된 자동 약액 주입장치를 그 주입 노즐의 나사부를 상기 확장식 주입 플러그의 나사구멍에 나사식으로 연결함으로써 장착하고, 그 주입 압력 부가기구를 작동시킴으로써, 확장식 주입 플러그의 통액 구멍으로부터 박리된 크랙에 필요한 량의 약액을 자동 주입하여 확장식 주입 플러그 매설부 주위의 주입약액과 확장식 주입 플러그에 의하여 보강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이트 건조물 벽면의 보강방법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이트 건조물 벽면의 보강방법의 바람직한 1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모르타르층(2)의 박리된 상태를 점검한 후 필요한 보수 범위에 따라서 적당한 간격을 두고 소정 치수의 보수용 구멍 (4)을 드릴로써 모르타르층(2)으로 부터 큰크리이트 본체 (1)의 일부에 이르기까지 뚫는다.
이 작업에서, 예를 들어 모르타르층(2)의 두께가 20∼25mm. 공극부(3)가 1∼3mm의 상태이면 큰크리이트 본체 (1)에 약 12mm의 깊이로 뚫으며, 직경이 10∼11mm인 드릴을 사용한다.
이어서, 에어건 등을 사용하여 보수용 구멍(4)속을 청소한 후, 그 보수용 구멍 (4)에 확장식 주입 플러그(10)를 삽입하고, 그 핀(16)을 때려 박음으로써 확장식 주입 플러그(10)가 확장되어 구멍 (4)속에 고착되게 한다.
여기서. 확장식 주입 플러그(10)는 제 2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수용 구멍 (4)에 삽입하기에 적합한 직경과 필요한 길이 (본 실시예에서는 40mm)를 갖는 금속제 중공체로서, 베이스부(11)에는 적당한 길이의 나사 구멍 (12)이 형성되고. 전단부에는 적당한 길이 만큼 상기 나사 구멍 (12)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최전 단부가 가장 작아지는 테이퍼 구멍(13)이 뚫려져 있으며. 이 최단부로부터 전체 길이의 약 1/2이 되는 위치까지 3조 이상(본 실시예에서는 4조)의 스플릿(split) (14)이 형성되고, 베이스부(11)와 전단부의 대략 중간에 통액 구멍 (15)이 각 스플릿 (14)사이에 1개씩 뚫려져 있다.
다음에, 보수용 구멍 (4)속에 고착되어 있는 확장식 주입 플러그(10)의 나사 구멍(12)에 자동 약액 주입장치(20)의 주입 노즐(17)의 나사부(18)를 나사식으로 연결함으로써 자동 약액 주입장치(20)를 장착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자동 약액 주입장치(20)의 1예에서는 제 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한 통 형상의 케이스(21)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중앙에 관통 구멍 (22')이 뚫려져 있는 캡(22)이 나사식으로 연결되며, 이 케이스(21)의 내부에는 벨로우즈형의 필요한 용적을 갖는 약액 캡슈울(23)과, 그 저단에 주입을 위한 추력을 부가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 (28)과, 이 코일 스프링(28)에 의한 추력이 약액 캡슈울(23)의 저면에 대하여 균등하게 작용할 수 있게 하며 주입 전에 있어서의 추력 부가를 규제하기 위한 레버(29)가 직결된 원판(25)이 내장되며, 이 원판(25)에 직걸된 레버(29)에는 약액 캡슈울(23)에 주입 약액이 충전된 것을 케이스(21)내에 넣었을 때 추력이 작용되지 않게 코일 스프핑(28) 을 압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캡(22)의 외측에서 코터핀(30)을 끼우기 위한 구멍(29') 이 그 중간에 뚫려져 있고, 그 후단부에는 안전 링(31) 이 달려 있다. 또한, 상기 약액 캡슈울(23)의 목부(23')에는 주입 노즐(17)의 베이스부 (17')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이 주입 노즐(17)의 육각턱부(17")의 단부면에 케이스(21)의 전단부와 나사식으로 연결된 캡 (22)의 육각 너트(26)에 의해 고정되며, 이 육각턱부(17")에 이어져 있는 나사부(18)가 확장식 주입플러그(10)의 나사 구멍 (12)에 삽입되게 된다.
이 약액 캡슈울(23)은 합성 수지제로서 된 측선 방향으로 신축이 자유 자재한 소위 벨로우즈형이며, 그 용량은 한정되지는 않지만 대략 30∼80cc이며, 작입 현장에서 주입약제의 주제와 경화제를 소요 비율로 혼합하여 충전하여 사용한다. 또한, 주입 약제로서는 그리이스 상의 에폭시 수지계인 주제와 이에 대응하는 경화제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어서, 확장식 주입 플러그(10)에 장착되어 있는 자동 약액 주입장치(2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레버(29)의 안전링(31)에 줄(35)을 연결함으르써 제 6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적당한 간격으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적당한 수효의 자동 약액 주입장치를 그루우프로 만들어 전체를 안정되게 장착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자동 약액 주입장치 (20)를 필요한 수 만큼 장착한 후, 차례대로 각 자동 약액 주입장치 (20)의 코터핀(30)을 레버 (29)의 구멍 (29')으로 뽑아냄으로써, 압축되어 있던 코일 스프링 (28)이 복원되면서 원판(25)을 통해 약액 캡슈울(23)의 저단면에 추력이 작용되어 약액 캡슈울(23)내의 주입 약액이 제 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입 노즐(17)의 약액 주입 통로(19)를 거쳐서 확장식 주입 플러그(10)내로 압출되며, 이어서 이 확장식 주입 플러그(10)의 통액 구멍(15)과 스플릿(14)을 통해 공극부(3)로 유출되어, 그 주위의 필요한 범위에 약액의 주입이 자동적으로 행해지게 되며, 이때 케이스(21)의 밖에서 약액 캡슈울(23)의 약액 잔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약액이 주입되므로, 공극부의 상태이 따라서 유출 후의 저항이 높아지면, 즉 공극이 좁아진 부분에 도달되면, 과잉의 주입압이 소실되어 평형 상태가 되며 주입이 자연히 제한되므로 과주입 현상이 생기지 않고 각 개소내의 상황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제어되며 서서히 약액의 주입이 행해진다.
약액 주입이 완료되면, 안전링(31)으로부터 줄(35)을 빼낸 후 각 자동 약액 주입장치 (20)를 확장식 주입 플러그(10)로 부터 돌려서 분리하면 된다.
지금까지는 일반적인 마감 벽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타일을 부친 외장 벽의 경우에도 타일의 이음매 부분을 이용하여 본 방법을 실시하면 타일을 손상하지 않고 합리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외장 모르타르가 콘크리이트 본체 표면으로부터 박리되어 생긴 크랙에 약액을 주입하여 보다 확실하고 합리적으로 콘크리이트 벽면을 보강하는 방법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제 8도 내지 제10도를 참고로 하여 설명된다.
이 방법은 외장 모르타르가 상당히 넓은 면적에 걸쳐서 박리되어 있는 경우에 더욱 현저하게 발생하는 보강 작업시의 약액의 과잉 주입과 그에 따른 보강 작업후의 벽면의 요철로 인한 외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외장 모르타르의 박리를 저지하기 위한 부품을 사용하는 공정이 추가되어 구성 된다.
여기서, 외장 모르타르의 박리를 저지하기 위한 부품은 누름판(36)과 어댑터(37)로 구성되며, 이 누름판 (36)은 장착부의 주위를 적당한 범위에서 눌러 유지할 수 있는 면적의 원판으로 되어 있고 그 중심에는 나사구멍 (36a)이 뚫려져 있으며, 전면(36')은 완만하게 가운데가 높은 곡면으로 되고, 후면(36")에는 나사 체결을 용이하게 하는 육면체의 중심에 약액 유통 구멍을 뚫어 놓은 어댑터(37)의 헤드부(37')가 맞닿게 된다. 이 어 댑터 (37)의 헤드부(37')의 중앙에 돌출한 나사축(37")은 누름판(36)의 나사 구멍 (36a)에 끼워 넣어지게 되며,헤드부(37')의 중심 내부에는 자동 약액 주입장치(20)의 나사부(18)와 연결함으로써 자동 약액 주입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암나사부(38)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와 같이 설치되어 있는 확장식 주입 플러그(10)의 나사구멍 (12)에 어댑터 (37)의 나사축(37")를 끼워 넣어 누름판(36)의 전면(36')이 박리된 외장 모르타르층의 외면에 맞닿게 한 후, 어댑터(37)의 암나사부(38)에 자동 약액 주입장치(20)의 나사부(18)를 연결하여 자동 약액 주입장치 (20)를 장착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그 후의 작동 개시의 작업 등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이루어 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필요안 수효의 자동 약액 주입장치를 장착하고 그 작동 개시의 조작만 하면, 그 후에는 사람의 손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종래의 경우에서와 같이 작업원이 작업 현장에 장시간 있지 않아도 되게 되고 평형 상태가 되면 자동적으로 주입이 정지되게 되어 과잉 주입이 방지되어 모르타르 외장부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으며 콘크리이트 벽면을 보강할 뿐 아니라 공사비가 대폭적으로 절감되고, 자동 약액 주입장치의 후부에 돌출한 레버 후단의 안전링을 줄로 연결하여 놈으로써 작업 중에 1개의 자동 약액 주입장치가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연결된 줄에 의해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약액의 주입 후에는 확장식 주입 플러그가 콘크리이트 본체에 취부한 지지핀의 역할을 함으로써 상승적인 고정 효과를 발휘하는 등 종래 예측 할 수 없었던 많은 이점을 얻게 된다.

Claims (3)

  1. 콘크리이트 건조물의 벽면 등에서 외장 모르타르가 콘크리이트 본체 표면으로부터 박리된 부분의 적당한 개소에 외부로부터 콘크리이트 본체의 일부에 이르기까지 필요한 작경의 구멍을 뚫고, 그 구멍을 청소한 후, 그 구멍에 외주의 적당한 개소에 통액 구멍을 형성하고 베이스부 내주에 나사 구멍을 갖는 확장식 주입 플러그를 삽입하고, 그 후 주입 약액을 충전한 캡슈울에 주입 압력을 부가시키도록 된 자동 약액 주입장치를 그 주입 노즐의 나사부를 상기 확장식 주입 플러그의 나사 구멍에 나사식으로 연결함으로써 장착하고, 그 주입 압력 부가기구를 작동시킴으로써, 확장식 주입 플러그의 통액 구멍으로부터 박리된 크랙에 필요한 량의 약액을 자동 주입하여 확장식 주입 플러그 매설부 주위의 주입약액과 확장식 주입 플러그에 의하여 보강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이트 건조물 벽면의 보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외장 모르타르가 콘크리이트 본체 표면으로부터 박리된 부분의 적당한 개소에 필요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구멍을 뚫어, 그 구멍마다에 상기 확장 주입 플러그와 상기 자동 약액 주입 장치를 장착하고, 각 자동 약액 주입장치의 후단에 달려 있는 안전링을 줄로 상호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든 콘크리이트 건조물 벽면의 보강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적당한 개소에 뚫려져 있는 확장식 주입 플러그의 나사 구멍에, 중심부의 나사 구멍을 통해서 그 후방의 어댑터에 의해 적당한 압박 면적을 갖는 누름판을 착탈 가능하게 삽입한 후, 그 어댑터의 암나사부에 상기 자동 약액 주입장치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이트 건조물 벽면의 보강방법.
KR1019850005924A 1984-10-31 1985-08-16 콘크리이트 건조물 벽면의 보강 방법 KR890001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1985/000019 WO1987001153A1 (en) 1985-08-16 1985-10-18 Device for reinforcing a concrete wall and the method thereof
AU50651/85A AU5065185A (en) 1985-08-16 1985-10-18 Device for reinforcing a concrete wall and the method thereof
EP85905338A EP0233182A1 (en) 1985-08-16 1985-10-18 Device for reinforcing a concrete wall and the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230545A JPS61109866A (ja) 1984-10-31 1984-10-31 コンクリ−ト建造物壁面の補強工法
JP59-230,545 1984-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401A KR860003401A (ko) 1986-05-23
KR890001380B1 true KR890001380B1 (ko) 1989-05-02

Family

ID=16909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5924A KR890001380B1 (ko) 1984-10-31 1985-08-16 콘크리이트 건조물 벽면의 보강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1109866A (ko)
KR (1) KR8900013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88279A (zh) * 2016-04-19 2016-08-24 方耀 一种商品混凝土楼面裂缝的处理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S264604B1 (en) * 1986-12-19 1989-08-14 Sulc Jiri Syntetic,in hydrocare swelling,intraocular lens
JP2584268Y2 (ja) * 1991-07-09 1998-10-30 小林 リタ 補修材注入器具の取付座片
JP2627116B2 (ja) * 1992-02-26 1997-07-02 日本メンテ開発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補修剤注入プラグ
JPH08434Y2 (ja) * 1992-07-13 1996-01-10 旭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モルタル充填装置
JP5074118B2 (ja) * 2007-07-24 2012-11-14 エス・ジー・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への注入充填材の注入方法、及び注入方法に使用する注入器
JP7235636B2 (ja) * 2019-10-01 2023-03-08 ショーボンド建設株式会社 低圧注入器具及び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方法
CN113404325B (zh) * 2021-07-14 2023-11-24 五邑大学 一种单口的墙体裂缝智能注浆填缝机及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3971A (ja) * 1982-01-21 1983-07-23 コニシ株式会社 クラツク補修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88279A (zh) * 2016-04-19 2016-08-24 方耀 一种商品混凝土楼面裂缝的处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401A (ko) 1986-05-23
JPS61109866A (ja) 1986-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1049A (en) Arrangement for and a method of anchoring a mounting element in a hole of a support structure
US4140429A (en) Corrosion protected tensioning member for a prestressable anchor in solid rock
CN101506468B (zh) 改进的滑动锚栓
KR890001380B1 (ko) 콘크리이트 건조물 벽면의 보강 방법
WO1987001153A1 (en) Device for reinforcing a concrete wall and the method thereof
US20090067932A1 (en) Re-tensionable cable bolt apparatus and related method
US4826373A (en) Pin for injecting a grout material
US4765778A (en) Hardened material supported rock bolt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same
US4512123A (en) High-pressure packing device for injecting synthetic resin into cracks in concrete
US3336758A (en) Rock bolt assembly and procedure for two-stage grouting operations
RU201275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гнетания раствора в трещины бетона
EP0221682B1 (en) Method for obtaining a fixing in a wall and a nozzle for use in said method
AU604552B2 (en) Procedure for sealing cracked building components
US3244055A (en) Detachable anchor bolts
US2982373A (en) Method and device for replacing rungs on a ladder
CA2093138A1 (en) Drill pipe
US4404875A (en) Installer drive unit for chemical anchor
KR890004622B1 (ko) 콘크리이트 구조물의 균열등에 접착재를 주입하는 접착재 주입장치 및 방법
CA2454067C (en) Connecting an anchoring rod to a drilling tool
WO2010036259A1 (en) Re-tensionable cable bolt apparatus and related method
KR200153611Y1 (ko) 콘크리트 벽면의 보강액 주입기
JPH0449276Y2 (ko)
JPS60261868A (ja) コンクリ−ト建造物壁面の補強工法
JPS614566A (ja) コンクリ−ト建造物の壁部補修薬剤自動注入装置
JPS6453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5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