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3611Y1 - 콘크리트 벽면의 보강액 주입기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벽면의 보강액 주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3611Y1
KR200153611Y1 KR2019960029333U KR19960029333U KR200153611Y1 KR 200153611 Y1 KR200153611 Y1 KR 200153611Y1 KR 2019960029333 U KR2019960029333 U KR 2019960029333U KR 19960029333 U KR19960029333 U KR 19960029333U KR 200153611 Y1 KR200153611 Y1 KR 2001536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thrust
loosening
rod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93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6048U (ko
Inventor
이종기
Original Assignee
이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기 filed Critical 이종기
Priority to KR20199600293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611Y1/ko
Publication of KR199800160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0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6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6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04G23/0211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using inj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건조물 벽면의 마감재가 박리되어 클랙이 생긴 곳을 보강하여 주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콘크리이트 표면에 처리되어 있는 외장 모르타르(mortar) 또는 마감용 타일(tile)이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 박리되어 생긴 클랙에 보강액을 주입하여 보강하기 위한 콘크리트 벽면의 보강액 주입기에 관한 것으로, 캡슐을 주입기에서 분리하지 않고 이완봉(60)을 당김손잡이(50)로 당기면 캡슐(1)의 이완꼭지(13)와 추력판(63)에 일체로 형성된 협지구(65)로 이완시켜 갭슐(1)의 벨로우즈(12)부분이 이완하여 내부에 보강보강액을 갭슐내에 흡입되어서 보강액이 충진되도록 하고 추력스프링(40)의 추력을 억제하기 위하여 보강액 충진 동작에 의해 이완봉(60)이 당겨져서 추력억제턱(62)이 봉홈(32)에 걸리어 져서 유지 되도록 하고 보강액의 주입동작에서는 추력억제턱(62)이 봉홈(32)에서 이탈시키면 추력판(63)이 갭슐(1)을 강압하여 보강액이 주입구(10)을 통하여 주입되도록 한 콘크리트 벽면의 보강액 주입기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벽면의 보강액 주입기
제1도는 본 고안의 갭슐이 수축된상태의 중앙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갭슐이 이완된상태의 중앙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 제3도의 B-B선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 제2도의 C-C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캡슐 10 : 주입구
11 : 멈춤돌기 12 : 벨로우즈
13 : 이완꼭지 15 : 주입부
16 : 걸림홈 20 : 캡
21 : 캡나선 22 : 캡슐장착홈
23 : 고정턱 30 : 외통
31 : 외통나선 32 : 봉홈
33 : 걸림턱 34 : 멈춤턱
40 : 추력스프링 50 : 당김손잡이
60 : 이완봉 61 : 당김링
63 : 추력판 64 : 이완틀
본 고안은 콘크리트 건조물 벽면의 마감재가 박리되어 클랙이 생긴 곳을 보강하거나 방수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콘크리이트 건조물에 있어서 그 콘크리이트 표면에 처리되어 있는 외장 모르타르(mortar)또는 마감용 타일(tile)이 콘크리이트 표면으로부터 박리되어 생긴 클랙에 보강액을 주입하여 확실하고 합리적으로 보강하기 위한 콘크리트 벽면의 보강액 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는 알려진 바와 같이 수축에 의한 클랙의 발생을 피할 수 없어, 콘크리트 건조물은 건설 후 수년이 경과하면 벽면 등에 클랙이 발생되며, 특히 외벽면의 다듬질 모르타르나 외장 타일 등이 박리되어 누수되거나 콘크리트에 수분이 흡수되어 내부의 철근을 부식하여 강도가 약해지는 위험 등의 문제점이 있기도 하다.
따라서, 위와 같은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박리된 부분 즉, 외장 모르타르와 콘크리트 표면 사이를 그라우트 주입에 의하여 접착 보강하기 위한 보강액 주입기가 특별히 개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먼저 다수의 구멍을 뚫고, 각 구멍마다 사람의 손으로 크리이스 펌프(그리이스 건)를 사용하여 점조도가 높은 그라우트를 주입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공사비가 고가이며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잇었다.
뿐만 아니라, 그리이스 펌프와 같은 가압 조작기구를 사용하여 그라우트를 압입하게 되므로, 피주입부의 수용 공극의 용적이 명확하지 않으면 과도한 주입을 하게 되어 박리된 부분 이외의 그 주위의 정상 상태에 있는 곳에 까지 주입압력이 작용되어 유리시킴으로써, 모르타르 등 외장부가 융기된 상태가 되어 외관을 손상시키며 주입액을 과도하게 소비하는 등 여러 가지의 결점을 갖고 있기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주입기가 개발되어 있는데, 이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개발되어 선출원된 한국 1989년 특허출원 제 5924 호(공고번호 제 89-1380 호)에 개재된 공고에 의한 종래의 구성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건조물의 벽면 등에서 외장 모르타르가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 박리된 부분의 적당한 개소에 외부로부터 콘크리트 본체의 일부에 이르기까지 필요한 직경의 구멍을 뚫고, 그 구멍을 청소한 후, 그 구멍에 외주의 적당한 개소에 통액 구멍을 형성하고 베이스부 내주에 나사구멍을 갖는 확장식 주입 플러그를 삽입하고, 그 후 주입약액을 충전한 캡슐에 주입압력을 부가 시키도록된 자동 약액 주입기를 그 주입 노즐의 나사부를 상기 확장식 주입 플러그의 나사구멍에 나사식으로 연결함으로써 장착하고, 그 주입 압력 부가기구를 작동 시킴으로써, 확장식 주입 플러그의 통액구멍으로부터 박리된 클랙에 필요한 량의 약액을 자동 주입하여 확장식 주입 플러그 매설부 주의의 주입약액과 확장식 주입 플러그에 의하여 보강하도록 된 구조로서, 그 작용을 살펴보면 먼저, 모르타르층의 박리된 상태를 점검한 후 필요한 보수 범위에 따라서 적당한 간격을 두고 소정 치수의 보수용 구멍을 드릴을 이용하여 모르타르층으로부터 콘크리트 본체의 일부에 이르기까지 뚫는다.
이어서, 에어건 등을 사용하여 보수용 구멍속을 청소한 후, 그 부수용 구멍에 확장식 주입 플러그를 삽입하고, 그 핀을 때러 박음으로써 확장식 주입 플러그가 확장되어 구멍속에 고착되게 한다.
여기서, 확장식 주입 플러그는 제2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수용 구멍에 삽입하기에 적합한 직경과 필요한 길이를 갖는 금속제 중공체로서, 베이스부에는 적당한 길이의 나사구멍이 형성되고, 전단분에는 적당한 길이 만큼 상기 나사 구멍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최전 단부가 가장 작아지는 태이퍼 구멍이 뚤려져 있으며, 세 개의 스플릿이 형성되고, 베이스부와 전단부의 대략 중간에 통액 구멍이 각 스플릿사이에 1개씩 뚫려져 있다.
다음에, 보수용 구멍속에 고착되어 있는 확장식 주입 플러그의 나사 구멍에 작동 약액 주입장치의 주입 노즐의 나사부를 나사식으로 연결함으로써 자동 약액 주입장치를 장착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자동 약액 주입장치는 투명한 통형상의 케이스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중앙에 관통 구멍이 뚫려져 있는 캡이 나사식으로 연결되며, 이 케이스의 내부에는 벨로우즈형의 필요한 용적을 갖는 약액 캡슐과, 그 저단에 주입을 위한 추력을 부가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과, 이코일 스프링에 의한 추력이 약액 캡슐의 저면에 대하여 균등하게 작용할 수 있게 하며 주입 전에 있어서의 추력 부가를 규제하기 위한 레버가 직결된 원판이 내장되며, 이 원판에 직결된 레버에는 약액 캡슐에 주입 약액이 충전된 것을 케이스내에 넣었을 때 추력이 작용되지 않게 코일 스프링을 압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캡의 외측에서 코터핀을 끼우기 위한 구멍이 그 중간에 뚫려져 있고, 그 후단부에는 안전 링이 달려 있다. 또한, 상기 약액 캡슐의 목부에는 주입 노즐의 베이스부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이 주입 노즐의 육각턱부의 단부면에 캐이스의 전단부와 나사식으로 연결된 캡의 육각 너트에 의해 고정되며, 이 육각턱부에 이어져 있는 나사부가 확장식 주입 플러그의 나사 구멍에 삽입되게 한다.
이 약액 캡슐은 합성 수지제로서된 측선 방향으로 신축이 자유 자재한 소위 벨로우즈형이며, 그 용량은 한정되지는 않지만 대략 30~80cc이며, 작업 현장에서 주입 약제의 주제와 경화제를 소요 비율로 혼합하여 충전하여 사용한다. 또한, 주입 약제로서는 그리이스 상의 에폭시 수지계인 주제와 이에 대응하는 경화제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위와 같은 종래의 보강액 주입기는 클랙부위에 보강액을 주입하기 위해서는 보강액을 저장하여 주입하는 캡슐을 주입기에서 분리하여 스포이드와 같은 별도의 충진구를 이용하여 캡슐내에 보강액을 충진하여야 되는 불편이 있으며, 또한 주입기의 코일스프링이 추력을 억제하도록 코터핀을 별도로 장착하였다가 충진된 캡슐을 장착한후 코터핀을 제거하여 추력을 발하도록 하는 구조상 사용이 불편하고 또한 캡슐을 주입기에서 탈,장착시 장착용 너트를 풀고 조이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캡슐을 주입기에서 분리하지 않고 보강액을 캡슐내에 흡입동작에 의해 충진할 수 있도록 하고 추력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이 개선된 콘크리트 벽면의 보강액 주입기를 제공하려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1도는 본 고안이 수축되어 있는 상태를 표현하고 있는 형태를 표현하고 있는데, 본 고안의 구조를 설명하면 전측에 주입구(10)를 갖은 주입부(15)가 형성되어 그 후단에 멈춤돌기(11)를 일체로 형성하고 최우측단에 걸림홈(16)을 형성하는 이완꼭지(13)를 돌출한 충진부 벨로우즈(12)를 일체로 형성한 캡슐(1)과, 상기 충진부의 이완꼭지(13)를 협지하는 이완틀(64)이 전측에 돌출하여 이루어진 추력판(63)의 후단에 십자형의 이완봉(60)을 길게 구성하여 그 끝단에 당김손잡이(50)를 거는 당김링(61)이 형성되고 그의 이완봉(60)의 중간에서 추력판(63)에 가깝게 추력억제턱(6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완봉(60)을 감싸듯 끼워지는 추력스프링(40)은 일단이 추력판(63)에 지지되고 그 반대측은 외통(30)의 끝단에 형성된 봉홈(32)의 내측벽에 지지되어 내제되어 있으며 봉홈(32)의 외측벽에는 첨부도면 제5도에서와 같이 십자형의 봉홈(32)일측에 걸림턱(33)과 멈춤턱(34)이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의 반대측 외통(30)의 선단에는 외통나선(31)이 형성되어 캡(20)의 캡나선(21)과 결합되어 첨부 도면 제4도에서와 같이 캡슐(1)의 멈춤돌기(11)가 캡슐장착홈(22)을 관통한후 90° 회전하면서 고정턱(23)을 넘어 고정시켜서 캡슐(1)과 이완봉(60), 추력스프링(40)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구조이며 첨부도면의 미설명부호 A는 콘크리트벽면, B는 마감재, C는 마감재 이격방지판, D는 고정쇠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작용과 효과를 첨부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콘크리트 건축물의 벽면에 실시된 마감재가 박리되어 발생한 클랙을 보강하기 위하여 공지의 방법에의해 시공된 즉, 박리된 부위의 마감재(B)를 관통하고 벽면(A)에 홀을 뚫어서 고정된 고정쇠(A)와 이에 고정된 이격방지판(C)을 통하여 보강액을 주입하기 위하여서는 첨부도면 제2도에서와 같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는 보강액 보관통에서 캡슐(1)에 보강액을 충진하여 박리된 클랙에 주입하여야 되는데 보관통에 설치된 충진콕크에 캡슐(1)의 전면에 형성된 주입구(10)를 끼우고 당김손잡이(50)를 당기면 이완봉(60)이 당기어지고 이에 일체로 형성된 추력판(63)과 이의 전면에 형성된 이완틀(64)에 걸리어 있는 캡슐(1)의 이완꼭지(13)가 당기어 지고 주입부(15)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멈춤돌기(11)가 캡(20)의 캡슐장착홀(22)에 걸리어 있는 관계로 벨로우즈(12)부가 이완되어 부피가 넓어지면 그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어 저장통에 담겨져있는 보강액이 주입구(10)를 통하여 빨려들어 오게 됨으로서 보강액이 캡슐(1)의 벨로우즈(12)의 내부에 충진된게 된다.
한편, 이완봉(60)이 당김손잡이(50)에 의해 당기어지면 봉홈(32)을 따라 이완되면서 이의 내측벽에 지지되어 있는 추력스프링(40)이 추력판(63)에 의해 압축되면서 반발력을 갖도록 하고 당김봉(60)의 중간에 형성된 추력억제턱(62)이 봉홈(32)에 이르러 통과되면 당김손잡이(50)를 약 45°비틀어 첨부도면 제6도와 같이 걸림턱(33)을 넘어서 멈춤턱(34)에 걸리도록 하면 추력억제턱(62)이 봉홈(32)의 외측면에 걸리어 추력스프링(40)의 탄력에 의해 이완된 캡슐(1)을 누르지 못하도록 한다.
위와 같이 캡슐(1)내부에 보강액을 충진한 후에 클랙에 보강액을 주입하기 위해서는 클랙부위에 설치한 이격방지판(C)의 주입꼭지에 캡슐(1)의 주입구(10)를 견고히 꽂은후 이완봉(60)을 우측으로 비틀어서 추력억제턱(62)이 걸림턱(33)에서 벗어나도록 하면 첨부도면 제3도에서와 같이 추력스프링(40)의 탄력에 의해 추력판(63)을 밀고 추력억제턱(62)은 봉홈(32)으로 끌려들어가게 되며 추력판(63)은 캡슐(1)의 이완꼭지(13)와 벨로우즈(12)의 측면을 강압하여 보강액이 주입구(10)을 통하여 클랙부위에 주입되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작용하는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으로 노출된 즉, 보강액을 캡슐 내에 충진하기 위하여 캡슐을 주입기에서 분리하여 별도의 스포이드와 같은 충진기를 이용하여 보강액을 흡입 충진함으로서 신속하고 편리하게 보강액을 충진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보강액이 충진된 캡슐에 추력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종래의 불편함인 코터핀을 별도로 장착하여 주입동작을 행할 때 제거하여서 사용하던 불편없이 본 고안은 위에서 설명한 보강액의 주입과정에서 이완봉의 중간에 형성한 추력억제턱에 의해 외통의 봉홈에 걸리도록 하였다가 주입 동작시 봉홈에서 이탈 시키면 추력스프링의 탄력을 발하도록 하여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을 갖은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주입구(10)와 멈춤돌기(11)를 갖은 주입부(15)를 이루고 최우측단에 걸림홈(16)을 형성하는 이완꼭지(13)를 돌출한 충진부 벨로우즈(12)를 일체로 형성한 캡슐(1)을 이루어 이완꼭지(13)를 협지하는 이완틀(64)이 전측에 돌출하여 이루어진 추력판(63)의 후단에 십자형의 이완봉(60)을 길게 구성하여 그 끝단에 당김손잡이(50)를 거는 당김링(61)이 형성되고 이완봉(60)의 중간에서 추력판(63)에 가깝게 추력억제턱(6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완봉(60)을 감싸듯 끼워지는 추력스프링(40)은 일단이 추력판(63)에 지지되고 그 반대측은 외통(30)의 끝단에 형성된 봉홈(32)의 내측벽에 지지되어 내제되어 있으며 봉홈(32)의 외측벽에는 십자형의 봉홈(32)일측에 걸림턱(33)과 멈춤턱(34)이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의 반대측 외통(30)의 선단에는 외통나선(31)이 형성되어 캡(20)의 캡나선(21)과 결합되어 캡슐(1)의 멈춤돌기(11)가 캡슐장착홈(22)을 관통한후 90° 회전하면서 고정턱(23)을 넘어 고정시켜서 캡슐(1)과 이완봉(60), 추력스프링(40)을 수용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콘크리트 벽면의 보강액 주입기.
KR2019960029333U 1996-09-14 1996-09-14 콘크리트 벽면의 보강액 주입기 KR2001536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333U KR200153611Y1 (ko) 1996-09-14 1996-09-14 콘크리트 벽면의 보강액 주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333U KR200153611Y1 (ko) 1996-09-14 1996-09-14 콘크리트 벽면의 보강액 주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048U KR19980016048U (ko) 1998-06-25
KR200153611Y1 true KR200153611Y1 (ko) 1999-08-02

Family

ID=19466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9333U KR200153611Y1 (ko) 1996-09-14 1996-09-14 콘크리트 벽면의 보강액 주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61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048U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25339B (fi) Kallioankkuripultti
NO176069B (no) Rörbolt
NO179563B (no) Anker til forankring i et borhull i en konstruksjonsdel av betong ved hjelp av en komposittmasse
NZ578800A (en) Mechanical plug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AU604552B2 (en) Procedure for sealing cracked building components
KR200153611Y1 (ko) 콘크리트 벽면의 보강액 주입기
KR890001380B1 (ko) 콘크리이트 건조물 벽면의 보강 방법
CN210828347U (zh) 一种混凝土模板螺杆穿孔堵头
KR890004622B1 (ko) 콘크리이트 구조물의 균열등에 접착재를 주입하는 접착재 주입장치 및 방법
US5622454A (en) Anchor bolt for stabilizing rock strata and method of installing
CN110565954A (zh) 防止混凝土模板螺杆穿孔漏浆的方法及堵头
WO2011132839A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를 위한 보수액 주입용 패커
KR101631037B1 (ko) 핀포트를 이용한 균열보수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보수액주입장치
CN205189911U (zh) 一种防滑自封孔式注浆锚索
KR102398371B1 (ko) 고착제 시공형 앵커볼트 유닛
KR101899258B1 (ko) 내진앵커
JP4931766B2 (ja) ロックボルト用ナット
JP4577893B2 (ja) グランドアンカーの頭部構造
JP2002364182A (ja) 流体注入プラグ
NO140203B (no) Forankringsanordning omfattende et festeelement til forankring i et borehull i et murverk eller lignende
JP4546630B2 (ja) サプライリタ−ン式孔埋めパッカ−及びボ−リング孔充填閉塞施工方法
JPS614566A (ja) コンクリ−ト建造物の壁部補修薬剤自動注入装置
JP3439711B2 (ja) 接着剤注入方法
KR100710443B1 (ko) 보강체 보강 압밀 그라우팅 공법 및 그라우팅용 강관
JP2001173239A (ja) 補修剤注入用プラ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